KR100556565B1 -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565B1
KR100556565B1 KR1020040017849A KR20040017849A KR100556565B1 KR 100556565 B1 KR100556565 B1 KR 100556565B1 KR 1020040017849 A KR1020040017849 A KR 1020040017849A KR 20040017849 A KR20040017849 A KR 20040017849A KR 100556565 B1 KR100556565 B1 KR 10055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l
roller
fold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964A (ko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텍시스템
Priority to KR102004001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편물을 자동으로 봉합하는 장치에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낱장의 용지를 공급하여 절첩 및 봉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를 고정된 몸체부와 탈착이 가능한 접지유닛로 나누어 서로 이격되는 두개체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접지유닛이 일괄적으로 이격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가압롤러 및 그 내부의 소제(掃除)는 물론, 작동중에 걸린 우편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을 구현하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기능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서, 제조공정상 생산비용의 절감효과가 고대되는 매우 고도한 발명이다.
우편, 봉합, 착·탈식, 롤러, 슬라이드, 접지유닛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The pressure sealer having slide folding un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착·탈식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의 작동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 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접지유닛 11 : 급지대
12 : 이송롤러 13 : 안내롤러
14 : 절첩롤러 15 : 송출롤러
16 : 절첩안내판 16a: 스토퍼
20 : 몸체부 21 : 가압롤러
22 : 송출통로 23 : 구동수단
30 : 고정수단 31 : 힌지축
32 : 체결구 33 : 체결대
34 : 자석구 35 : 고정구
40 : 가이드 50 : 레일
본 발명은 우편물을 자동으로 봉합하는 장치에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접지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낱장의 용지를 공급하여 절첩 및 봉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를 고정된 몸체부와 탈착이 가능한 접지유닛으로 나누어 서로 이격되는 두개체로 구성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접지유닛이 일괄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이격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가압롤러의 소제(掃除)는 물론, 작동중에 걸린 우편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권이나 관공서 및 대규모 회원을 보유하고 관리해야 하는 단체로부터 발송되는 우편물의 형태를 살펴보면, 낱장의 용지 양면에 내용을 기재한 후, 다단으로 접어서 그 테두리를 봉합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같은 우편물은 처리시한이 한정적인데 비해 그 분량이 엄청나고, 일괄처리해야 하는 특성상 절첩 및 봉합과정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자동화 기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의 내부 구성은 투입되는 우편물의 재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다수개의 롤러와 롤러간 우편물의 이동을 매개하는 안내판으로 대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는 우편물의 절첩 및 봉합과정을 신속히 수행함으로써, 최소의 노동력으로 발송비용을 최대로 줄일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으나, 작동중 장치 내부에 우편물이 걸리는 경우, 걸린 우편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분리 및 조립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절첩 및 봉합작업이 오랫동안 지체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2001년 9월 2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2003년 특허등록 된 제400635호 "우편물 자동봉합장치의 착탈식 접지카세트"에서 우편물 자동봉합장치의 착탈식 접지유닛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것 역시 효과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미미한 것으로 그 이전의 문제점을 일부 해소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우편물 자동봉합장치의 착탈식 접지카세트"의 내용 을 도 1에 첨부한 착·탈식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의 대략적인 개념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지부(1)와 공급된 우편물의 이송 및 절첩을 위해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부(2), 상단 및 하단 일측에 연설된 가이드플레이트(3a)를 포함하는 제1스토퍼부(3) 및 제2스토퍼부(4), 후단부에 구비된 가압롤러부(5)로 형성되는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에 근접하게 배치된 가이드플레이트(3a)의 선단을 일정 곡률로 연장하여 급지라인에 대해 일정 높이 내측벽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롤러(6)와, 내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롤러(6)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가이드홀(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제1스토퍼부(3)에 포함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a)를 일측에 설치된 가동롤러(6)가 상기 가이드홀(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작동중 내부에 우편물이 걸리는 경우, 상기 제1스토퍼부(3)를 상기 가이드홀(7)의 이동범위 내에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종래기술에 의한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의 몸체 내에서 단순히 구성요소중 하나 즉, 상기 제1스토퍼부(3)의 위치를 소폭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몸체의 내부를 완전히 이격되게 분리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치변경은 여전히 그 이전에 몸체분리에 따른 번거로운 분해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의 가압롤러부(5)는 그 기 능상 롤러의 외주면에 누적되는 이물질로 인해 주기적인 소제(掃除)를 요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제1스토퍼부(3)의 단순 위치변경만으로는 이러한 소제(掃除)행위가 어려워 불가능했던 치명적인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낱장의 용지를 공급하여 절첩 및 봉합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에 있어서, 전체 구성을 고정된 것과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유동되는 것으로 나눠 탈·부착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즉,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는 우편물의 절첩 및 봉합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에서, 고정된 몸체부와 탈착이 가능한 접지유닛으로 나누되,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접지유닛이 일괄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가압롤러의 소제(掃除)는 물론, 작동중에 걸린 우편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실시되는 것에 그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작동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a 내지 4b는 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는 급지대(11)와 상기 급지대(11)로부터 공급된 우편물을 이송하는 이송롤러(12), 이송된 우편물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3), 안내된 우편물을 절첩시키는 절첩롤러(14), 절첩된 우편물을 송출시키는 송출롤러(15) 및 소정의 양 지점에 스토퍼(16a)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롤러(13)에 의해 우편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첩안내판(16)을 포함하는 접지유닛(10)과, 절첩되어 송출된 우편물을 압착하여 봉합시키는 가압롤러(21), 봉합된 우편물이 밖으로 이송되는 송출통로(22), 그리고 상기한 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3)을 포함하는 몸체부(20)로 이루어지는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내측면 하단에 결합 고정된 가이드(40)와, 상기 가이드(40)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접지유닛(10)에 고정된 레일(50)과,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었을때 그 결합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한 가이드(40) 및 레일(50)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의 끝단부에는 연장범위를 제어하는 홈이나 돌기 내지 스토퍼 수단이 구비되며,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실시하여 상기 몸체부(20)와 접지유닛(10)이 충분히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는 상기와 같이 두개체로 이분된 구성상의 특징으로부터 상기 몸체부(20)와 접지유닛(10)이 완전히 이격됨에 따라, 분리시 상기 가압롤러(21)가 밖으로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며, 이에 그 내부의 소제(掃除)는 물론, 걸린 우편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접지유닛(10)의 하판 저면에 마련된 자석구(34)와, 상기 몸체부(20)의 하판 상면에 구비된 고정구(3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35)는 자화(磁化)의 세기가 강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유닛(10)의 레일(50)이 상기 몸체부(20)의 가이드(40)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결합될 때에는, 상기 자석구(34)의 외주면이 상기 고정구(35)의 외주면에 면착되어 상기 자석구(34)의 자력(磁力)으로부터 유발되는 강한 인력에 의해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 내에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접지유닛(10)을 상기 몸체부(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접지유닛(10)의 자석구(34)와 상기 몸체부(20)의 고정구(35) 사이에 걸리는 자력(磁力) 보다 큰 외력을 상기 접지유닛(10)에 가하되, 상기 접지유닛(10)의 레일(50)이 상기 몸체부(20)의 가이드(40)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하면,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30)의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접지유닛(10)의 저면에 횡으로 힌지축(31)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31)에 결합하되 힌지 방식에 따라 회동되도록 형성된 체결구(32)와, 상기 몸체부(20)의 저면 일측에 횡으로 구비된 체결대(33)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32)의 일측 끝단부의 형상은 갈고리의 형태로 구비되어 결합시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체결대(33)의 일측에 걸쳐져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적인 작동에 의해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의 전체 구성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는, 상기한 구성의 상세설명에서 충분히 설명된 고정수단(30)과 종래기술에 의해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한 우편물 자동 봉합장치 내부의 롤러 및 안내판과 관련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적 특징부의 작동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30)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급지대(11), 이송롤러(12), 안내롤러(13), 절첩롤러(14), 송출롤러(15) 및 절첩안내판(16)으로 이루어진 접지 유닛(10)이 일괄적으로 상기 가이드(4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레일(50)에 의해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며, 이때, 상기 몸체부(20)의 가압롤러(21)를 비롯한 그 내부가 밖으로 확연히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접지유닛(10)을 상기 몸체부(20)에 결합할 때에는, 분리된 상기 접지유닛(10)을 밀어서 상기 레일(50)이 상기 가이드(40)에 결합된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에 완전히 결합되어 밀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을 잠금상태로 전환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에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급지대(11)로 공급되는 우편물의 절첩 및 봉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한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것 또한 본 발명의 기재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에 따르면, 본체의 몸체가 이분된 구성상의 특징으로 상기 접지유닛를 일괄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이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에 포함된 가압롤러의 소제(掃除)는 물론, 작동중에 걸린 우편물의 제거를 손쉽게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을 구현하는 구성은 간단하면서도 실용성 극대화된 것으로서, 제조상 생산비용이 절감되며, 부수적으로 많은 분량의 우편물에 대한 절첩 및 봉합작업의 능률이 극대화되어 우편물의 발송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업무상 효율이 제고되는 매우 고도한 발명이다.

Claims (3)

  1. 급지대(11)와 상기 급지대(11)로부터 공급된 우편물을 이송하는 이송롤러(12), 이송된 우편물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3), 안내된 우편물을 절첩시키는 절첩롤러(14), 절첩된 우편물을 송출시키는 송출롤러(15) 및 소정의 양 지점에 스토퍼(16a)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롤러(13)에 의해 우편물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절첩안내판(16)을 포함하는 접지유닛(10)과;
    절첩되어 송출된 우편물을 압착하여 봉합시키는 가압롤러(21), 봉합된 우편물이 밖으로 이송되는 송출통로(22) 및 상기한 롤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23)이 포함된 몸체부(20)로 이루어지는 우편 자동 봉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의 내측면 하단에 결합 고정된 가이드(40)와, 상기 가이드(40)에 결합되어 일측이 상기 접지유닛(10)에 고정된 레일(50)과, 상기 접지유닛(10)이 상기 몸체부(20)에 결합되었을때 그 결합상태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30)이 포함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20)로부터 상기 접지유닛(10)이 일괄적으로 슬라이딩 이격되어, 상기 가압롤러(21)와 그 내부의 소제(掃除)는 물론, 걸린 우편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접지유닛(10)의 하판 저면에 마련된 자석구(34)와, 상기 몸체부(20)의 하판 상면에 구비된 고정구(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접지유닛(10)의 저면에 마련된 힌지축(31)에 결합된 체결구(32)와, 상기 몸체부(20)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대(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KR1020040017849A 2004-03-17 2004-03-17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KR10055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49A KR100556565B1 (ko) 2004-03-17 2004-03-17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849A KR100556565B1 (ko) 2004-03-17 2004-03-17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64A KR20050093964A (ko) 2005-09-26
KR100556565B1 true KR100556565B1 (ko) 2006-03-06

Family

ID=3727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849A KR100556565B1 (ko) 2004-03-17 2004-03-17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98Y1 (ko) * 2011-06-07 2011-09-27 이석률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964A (ko) 200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600B1 (ko) 인쇄 공정용 분말 시스템 리사이클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56565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지유닛이 적용된 우편 자동 봉합장치
CA2587042C (en) Projection nut feeding device
CN115485201A (zh) 包装盒的打开系统
JPH06218849A (ja) 折畳みボール箱を起立させかつ折畳みボール箱の閉鎖舌片を屈曲させる方法並びに装置
US20050062219A1 (en) Sheet delivery for a printing press
US5475966A (en) Apparatus for unfolding documents
JP2012096807A (ja) ダンボール箱組立て装置
DE60110603D1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entfernen voneinander von zwei aufeinanderfolgenden, in einer transportrichtung bewegten bogen
CN201990115U (zh) 索道货运用自动卸料斗
JP2020104859A (ja) 蓋閉め機構および蓋閉め方法
JP2011162195A (ja) フラップ折込み装置およびカートニングマシーン
CN108244775B (zh) 拉头供给装置
CN211515218U (zh) 一种易于快速分拣的导向联动装置
CN214729802U (zh) 一种涂料的自动包装装置
CN203512815U (zh) 一种新型布料装置
KR200152082Y1 (ko) 탄탈 프레임 검사 공정용 지그 컨베이어
JPH06191192A (ja) 封筒の封入封緘機における封筒開口装置
JPH01226623A (ja) 部品供給装置
KR200228082Y1 (ko) 종이 접지기에 장착되는 탈부착 구조의 상ㆍ하단 접지카셋트
KR101298759B1 (ko) 트리퍼용 개폐장치
JP2012101798A (ja) 挿入装置
US20190359365A1 (en) Label processing apparatus and label processing method
JP2005314069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44819A (ja) 後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