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049B1 - 정보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049B1
KR100556049B1 KR1020037011651A KR20037011651A KR100556049B1 KR 100556049 B1 KR100556049 B1 KR 100556049B1 KR 1020037011651 A KR1020037011651 A KR 1020037011651A KR 20037011651 A KR20037011651 A KR 20037011651A KR 100556049 B1 KR100556049 B1 KR 100556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tip
zone
movement
menu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498A (ko
Inventor
이쯔오 쿠마자와
Original Assignee
이쯔오 쿠마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쯔오 쿠마자와 filed Critical 이쯔오 쿠마자와
Publication of KR2003008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손가락끝을 하강시키고 단거리 직선이동한 다음 상승시키는 일련의 운동(손가락끝 스트로크 운동)을 입력할 문자나 지령에 대응하는 운동단위로 사용하고, 손가락끝 하강위치와 상승위치를 조합하여 입력할 문자나 지령을 지시한다. 손가락끝 스트로크 운동과 함께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초심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이 변해 어느위치에 손가락끝이 있는지를 인식할 때 손가락끝에 가해진 촉각자극이 변하므로, 블라인드 입력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메인구획이나 서브구획이 손가락끝 이동영역에 있는 다수의 구역과 기하학적인 상사관계를 갖도록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메인구획에서 입력하는 구획은 손가락끝 하강영역을 기초로 정해지고, 서브구획에서 입력할 구획은 손가락끝 상승구역에 기초해 정해진다.

Description

정보입력장치{INFORMATION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정보기기로 문자데이터나 지령데이터 기타 정보를 능률적으로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데이터 입력장치의 하나인 키보드는 능숙한 사용자에게는 효과적인 데이터 입력수단이지만, 타이핑에 많은 작업범위를 요하지 않는 소형 휴대기기에 대한 데이터 입력에는 적당치 않다. 키보드의 J와 F 키의 표면에는 돌기가 튀어나와 있고, 숙련자는 이 돌기를 손으로 느끼면서 손가락 위치를 파악하는 블라인드 타이핑에 의해 시선을 화면에 두지 않고 작업을 하지만, 초심자가 블라인드 타이핑을 습득하려면 상당한 훈련이 필요하다.
한편, 인터넷의 열람작업 등에 있어서는 초심자에게 아주 쉬운 인터페이스로서 마우스 등의 포인팅 기기를 이용해 화면상에 표시된 메뉴의 항목이나 버튼이나 아이콘 등의 연결부를 선택하여 컴퓨터에 지령을 입력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는 통상 한 지점을 포인팅하여 입력할 데이터를 지정하지만,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 커서를 이동시키는 드래그 작업 또는 일부 메뉴 조작에서는 마우스 버튼을 누른 위치와 놓은 위치의 조합에 기초해 입력할 데이터가 정해진다.
이와 같은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는 시각으로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지만, 시각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촉각자극을 원용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핀 디스플레이가 핀을 돌출시킨 것(일본국 특개평 11-161152, 특개평 10-55252, 특개평 6-02997), 마우스에 장착된 바이브레이터나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것(일본국 특개평 6-102997, 특개 2001-356862), 포인팅용 스틱을 진동시키는 것(일본국 특개 2000-29623), 화면상에서 커서가 목표영역에 도달한 것을 조작자에게 통지하는 방식이 고안되어 있다. 또, 손가락끝을 색에 삽입해 움직이면 위치에 따라 핀을 돌출시켜 손가락을 자극하여 가상물체의 촉감을 주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00-259333, 특개 2000-47792). 이런 방식은 다양한 정보를 고속으로 입력할 목적으로 촉각자극을 사용한 것이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143301에서는, 돌기의 상하운동에 의해 키 위의 손가락끝에 자극을 가하고, 이 자극을 통해 키의 이동위치를 통지하는 방식이 예시되어 있지만, 키를 하강시키는 운동만으로 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문자 등 다양한 정보의 입력에는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해야만 했다. 하나의 손가락으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려면, 손가락끝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를 조합하여 입력할 정보를 지정하는 방식(일본국 특개평 11-224161, 실개평 5-55222)가 효과적이지만, 하나의 손가락의 좁은 운동범위내에서 접근된 하강위치와 상승위치를 촉각정보에 의해 정확히 파악하기가 곤란하고, 손가락끝의 하강, 이동, 상승을 연속적으로 하면 손가락끝의 하강을 검출하기 이전에 손가락끝이 이동을 개시하여 하강검출시의 손가락끝의 위치가 변하기때문에 오입력의 원인이 되었다.
또, 커서 키의 형상이나 크기를 방향마다 변화시켜 촉각에 의해 구별하도록 하는 방식(일본국 특개평 3-90922)이나, 손가락끝 접촉부에 볼형 돌기를 복수개 배열하고 손가락끝이 볼형 돌기배열 위를 원활히 이동하면서 볼형 돌기배열의 요철의 촉각정보를 통해 정보입력하는 방식(일본국 특개평 11-3530091, 특개 2001-166871)도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방식에서는 요철이 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손가락끝을 동작시켜도 명료한 요철형상의 형상의 차이가 얻어지지 않았다.
마우스버튼을 누르는 위치와 놓는 위치의 조합에 기초해 메뉴 항목을 선택할 경우에도, 종래 방식에서는 항목 사이의 이동을 단시간에 행할 수 없고, 항목의 식별도 용이하지 않으며, 시각적으로 주의하면서 항목을 선택할 필요가 있어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기가 불가능했다. 최초의 목표위치에서 마우스버튼을 누른채 마우스를 이동시킨 뒤 다음 목표위치에서 마우스버튼을 놓는 운동은, 커서를 목표위치에 일치하도록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중단되므로, 연속된 일체의 운동으로서 단번에 수행하기가 불가능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초심자에는 직감적으로 쉽다는 측면은 있지만, 종래의 키보드 입력에 비해 입력능률이 낮고 시각적 부하가 크며 오조작이 쉬운 결점을 갖는다.
전술한 촉각정보를 원용해서도, 종래의 원용법에서는 입력능률이 개선되지 않았다. 예컨대, 점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에서는 촉각정보를 이용해 넓은 탐색범위의 중간에서 목표영역을 찾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데이터 입력능률이 극히 낮았다. 보다 다양한 정보를 촉각정보만을 이용해 식별하는 것은 곤란하므 로,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가 한정된다. 또, 키보드의 경우와 달리, 아무리 숙련되어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작업능률이 향상되지 않는 것도 문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와 그래픽 인터페이스 방식을 포함한 상기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손가락의 이동범위내에서 충분한 다양성과 식별성을 갖고 원활하고 고속으로 실행할 수 있는 손가락의 운동으로서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손가락을 하강한 뒤, 하강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하강방향에 역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운동)을 데이터입력에 사용하며, 이 스트로크 운동에서 손가락끝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의 조합에 의해 소정의 정보를 지정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손가락의 운동과 연동해 표시내용을 변화시키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또 초심자에게도 식별이 보다 단순한 촉각자극을 통해 손가락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작업에 있어서 시각적 부하를 경감하고, 초심자가 블라인드 입력을 용이하게 습득하여 고속으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을 검출하는 상하동작 검출수단; 상기 손가락끝이 상하운동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얻어지는 이동영역내에 설정된 복수의 구역에 관련해 설치되고, 상기 이동영역내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검출하는 이동구역 검출수단; 상기 상하동작 검출수단과 이동구역 검출수단 에 의해 검출된 손가락끝이 하강한 위치에 대응하는 하강구역과, 손가락끝이 상승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승구역의 조합에 기초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 및 상기 손가락끝이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이나 이 구역 위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의 변화를 조작자에 알려주는 구역통지수단;을 구비한 정보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장치는 손가락끝의 상기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역통지수단은 손가락끝의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 손가락끝 또는 이동재를 눌러 변위시키도록 하여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로서 구성된다.
이 정보입력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복잡한 정보입력을 가능케할 수 있고, 또 초심자에게도 식별이 보다 단순한 손가락 위치의 변화를 통해 손가락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등의 정보입력작업에 있어서 시각적 부하를 경감하고, 초심자가 블라인드 입력을 쉽게 습득해 고속으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재가 상기 구역통지수단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한 시트체일 경우에는, 구획통지수단 위를 움직이는 손가락의 동작이 원활화되고 조작자의 입력이 쉬워지며, 조작자의 피로가 감소된다.
또, 상기 구역통지수단이 상기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의 방향으로 출몰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구역으로부터 구역으로의 손가락끝의 이동을 돌출부의 변위로서 명료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입력미스가 적은 정보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역통지수단이 손가락끝이나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해 요동하고, 상기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시트형 기구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구역으로부터 구역으로의 손가락끝의 이동을 돌출부의 변위로서 명료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입력미스가 적은 정보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하강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자음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로 되고, 상기 상승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모음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로 되며, 상기 정보출력수단이 이들 정보의 조합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나 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극히 단순한 조작으로 문자나 음을 지정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하강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자음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로 되고, 상기 상승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모음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로 되며, 상기 정보출력수단이 이들 정보의 조합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나 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극히 단순한 조작으로 문자나 음을 지정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정보입력장치에서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을 식별하고,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촉각자극을 주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상기 정보입력장치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시트형 아암이 밀어주는 구형 돌기가 손가락을 자극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정보입력장치에서 손가락 위치식별용 스위치의 배치와 그 온/오프에 의해 손가락끝 위치를 식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이동구역 검출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이동구역 검출수단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휴대전화를 겸한 휴대단말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일괄 메뉴방식의 예와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에서 메뉴항목중 하나를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일괄메뉴방식의 섹션내의 항목을 아이콘으로 치환해 축차메뉴방식의 메인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축차메뉴방식의 예와,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에서 메뉴항목중 하나를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포인팅모드에서 일괄메뉴방식의 메뉴 구성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 일괄메뉴방식의 메뉴 구성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영문자 입력모드에서 일괄메뉴방식의 메뉴 구성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가나한자변환모드에서 메뉴 구성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웹페이지의 링크부 후보의 배열례와, 손가락끝의 스트로크운동에 의 한 링크부 선택조작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이동구역 검출수단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주로 손의 검지로 장치를 조작하게 되고, 손의 검지 끝을 단순히 손가락끝이라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손가락끝은 검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가락 끝을 손가락의 앞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손가락 끝의 상하운동이라 한다. 상하 운동에 있어서도 특히 손가락 끝을 손가락의 앞면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하향운동이라 하고, 손가락의 등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향운동이라 한다. 또, 손가락 끝을 손가락의 앞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손가락끝을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손가락끝에 먹을 바르고 종이에 짧은 선분을 그리는 작업은 손가락끝을 지면에 내린 뒤 지면에 접촉시킨채 직선으로 단거리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손가락끝을 올리는 행동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끝을 내리고 직선으로 단거리 이동시킨 다음 올리는 운동은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원활하게 연결되는 하나의 행동으로서 단시간에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끝을 내려 직선으로 단거리 이동시키고 올리는 행동(이하 이런 일련의 운동을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이라 한다)을 데이터 입력조작상의 하나의 운동단위로 취급하고, 이 운동단위를 입력하는 문자나 지령에 대응시켜 손가락을 내리는 위치와, 올리는 위치의 조합에 기초해 입력하는 문자나 지령의 종류를 결정하는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손가락끝을 내리는 지점과 올리는 지점으로서 2차원 평면내에서 접근된 2 지점을 식별 가능한 해상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이 조합은 다양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필요에 따라 손가락끝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손가락 끝 위치에 따라 촉각자극을 변화시켜 손가락에 가하는 구조를 도입하고, 손가락끝 위치를 시각이 아닌 촉각으로 식별함으로써 데이터 입력작업의 능률과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장치사용자는 상기 촉각정보에 기초해 손가락끝을 내리는 위치를 파악하고, 제1 목적위치에서 손가락 끝을 내린 뒤, 손가락을 내린채 제2 목적위치까지 손가락 끝을 이동시키고, 상기 촉각정보를 이용해 손가락끝을 올리는 위치를 감지하면서 손가락끝을 올려, 입력하는 문자나 지령을 지정한다. 장치에 입력하는 문자나 지령의 종류는 제1 목적위치와 제2 목적위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다.
제1 목적위치에서 제2 목적위치까지 손가락끝이 촉각정보를 얻으면서 고속 원활한 이동에 의해 손가락끝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받침대나 시트 등에는 손가락끝에 접하여 회전하는 볼이나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손가락끝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시트나 대를, 본 발명에서는 이동재라 한다. 또는, 손가락끝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표면을 가공한 패널이나 시트를 도입하고, 그 위에 손가락끝을 미끄럼 이동하는 것도 좋다.
또, 제1 목적위치에서 제2 목적위치까지 손가락끝을 직선으로 단거리 이동시켜 도달시키도록 하는 것과 양 목적위치를 시각이 아닌 촉각에 의해 파악하도록 하는 것이 데이터 입력 고속화의 요점이다.
종래의 포인팅 장치에서는 화면상의 커서의 상대이동량이 시각에 의하거나, 또는 손가락이나 손의 이동량이나 손가락이나 손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정 해지므로, 손가락이나 손의 절대위치가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끝의 이동영역에 복수개의 구역을 설정하고, 손가락끝의 절대위치가 포함된 구역을 식별한다. 손가락끝의 절대위치가 소수개의 구역 어디에 포함되었나의 여부는 장치상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온/오프되는 소수개의 스위치에 의해 식별되므로, 종래의 포인팅 장치에 비해 장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여기서 구역으로 언급해 설명의 편의상 이용되고 있지만, 이 실체는 반드시는 아니라도 명시적으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스위치의 배치가 정해지면, 스위치의 온/오프 방법이 동일하게 되는 손가락끝 위치는 동일 구역에 속한다고 해석되고, 스위치의 온/오프 방법이 다르게 되는 손가락끝 위치는 다른 구역에 속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역은 스위치의 배치에 따라 암묵적으로 정해지고, 구역의 범위나 형상 등을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는 없다. 스위치의 온/오프 방식의 변동은, 손가락에 가해지는 촉각자극을 변화시켜 손가락이 위치하는 암묵적인 구역이 변화되었음을 통지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의 방식에 있어서, 손가락끝의 이동영역에 있는 구역은 수를 적게 하되 보다 많은 구역 사이에 인접관계가 생기도록 2차원적으로 배치하여,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하강구역)과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상승구역)의 조합에 기초해, 입력하는 문자나 지력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손가락끝이 다른 구역을 경유하지 않고 인접한 구역에 직접적으로 단시간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많은 구역 사이에 인접관계가 있으면 데이터입력의 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또, 목적구역에 도달하는 도중에 다른 구역을 경유하지 않을 수 없을 경우에는, 구역의 식별이 어렵게 되고, 촉각정보만으로는 손가락끝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중단하지는 않지만, 후보로 되는 구역이 소수개로서 그중 많은 것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목적구역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소수개의 구역을 이용하되, 각 구역이 가능한 많은 다른 구역과 인접하도록 구역을 2차원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데이터입력의 능률향상의 키가 된다.
상기 각 구역을 2차원적으로 배치할 때 중앙구역을 두고 그 주위에 복수개의 주변구역을 배치하도록 하면 중앙구역으로부터 임의의 어느 주변구역에도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구역을 손가락끝의 표준구역(홈 포지션)으로 하고, 대기시간에 손가락끝을 중앙구역에 배치하면 손가락끝을 하강할 위치(하강구역)의 어느 한 구역에 두어도 표준위치로부터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어 데이터입력의 능률이 더 향상된다. 상승구역에 관해서도, 하강구역과 인접한 구역만을 이용하면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별 갯수가 감소되지만 입력능률은 향상된다.
소수개의 구역을 개별적으로 문자나 지령에 대응하도록 하면, 문자나 지령의 종별을 표현하는 구역의 수가 부족하지만,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하강구역과 상승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위치하는 상승구역의 조합을 문자나 지령에 대응시키면, 표현할 수 있는 문자나 지령의 종별이 구역수의 2제곱으로 되어 많아진다.
예컨대, 3행 3열로 배열하여 합계 9개의 구역을 이용할 경우, 총 81 종류를 표시할 수 있어, 알파벳에서부터 히라가나의 종류를 충분히 망라할 수 있는 갯수가 된다. 또, 1개의 손가락끝의 좁은 범위내의 운동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종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등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는 메뉴의 항목이 종이나 횡으로 일차원적으로 배치되고, 마우스에서 목표 항목을 선택할 수 있지만, 항목수가 증가하면 목표항목에 도달하기까지의 도중에 다수의 무관한 항목을 경유하지 않을 수 없고, 도달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목표항목을 옳게 선택하려면 시각적 주의를 상당히 기울여야만 하며, 면적이 작은 목표구역은 클릭할 때 잘못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방식을 취하는 한, 항목선택의 능률은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능률에 도저히 미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에서는 소수개의 구역을 가능한한 인접하도록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구역의 종류와 구역 사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 구역수가 문자수나 지령수에 비해 부족한 문제는 손가락끝의 상승 및 하강의 각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을 조합시켜 문자나 지령에 관련시키도록 해결하며, 필요에 따라 촉각자극을 도입하여 시각적 주의를 요하지 않는 손가락끝의 운동을 파악하도록 하여 종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도록 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따라서 상술한 손가락끝의 운동에 연동해 화면의 표시내용을 변화시키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도입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자신의 조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가락끝의 이동영역에 있는 구역의 이차원적 위치관계와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이차원적 위치관계를 갖도록 화면내에 메뉴항목이나 버튼이나 아이콘 등이 링크항목 등의 선택항목을 표시한 구획에 배치하고, 기하학적 상사성에 기초해 구역과 선택항목 사이에 대응관계를 정하며,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선택항목을 다른 선택항목과 구별해 표시한다. 이하, 이와 같이 특정한 항목을 다른 것과 구별해 표시한 것은 항목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 것이라 한다.
예컨대,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메뉴 중앙의 항목을 밝기와 색을 변화시키거나, 테두리를 두는 등으로 다른 항목과 구별해 표시한다. 또,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다른 항목과 구별해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는 항목을 "손가락끝 위치에 의해 지시되는 항목"이라 한다.
메뉴는 계층적으로 구성되고, 처음에 손가락끝이 하강할 구역에 기초한 계층의 최초의 메뉴(이후 이를 메인메뉴라 함)로부터 항목(이후 이것을 상위항목이라 함)을 선택한다. 다음, 메인메뉴에서 선택한 상위항목에 관련된 하위 계층의 메뉴(이후 이것을 서브메뉴라 함)에서,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지점에 기초한 서브메뉴중의 항목(이후 이것을 하위항목이라 함)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계층화하고 각 층에서 선택후보로 되는 항목수가 적어도 2층에 이르도록 항목선택을 정하면 항목수의 2제곱에 상당하는 다수의 종류의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런 2층에 걸친 항목선택 작업은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일괄적으로 단시간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런 계층구조는 상기한 2층에 한하지 않고, 메인메뉴와 서브메뉴의 관계를 반복해 2층 이상의 층구조로 해도 좋다.
또, 후술하는 일괄 메뉴방식에 의하면 메뉴를 계층구조로 하면서 메인메뉴중에 서브메뉴를 차곡차곡 합해 전체 서브메뉴를 일괄 표시할 수도 있다.
메뉴의 항목수가 적어도 이차원적으로 배열되면, 휴대기구의 소형 화면에 메뉴를 수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필요할 때만 메뉴를 팝업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메뉴를 표시하지 않고 화면에 최대한 내용이 표시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숙련도에 따라 메뉴의 표시방법을 변화시키고,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동안은 조작의 보조용으로 화면의 일부를 메뉴 전용표시영역으로 확보하고, 이곳에 항상 메뉴를 표시하는 것도 좋다.
필요에 따라 손가락에 촉각자극을 가하는 구성을 도입하고, 손가락끝의 이동에 의해 지시되는 메뉴의 항목이 변할 때에 손가락에 가해지는 촉각자극을 변화시키면, 촉각자극을 통해 손가락끝이 지시하는 항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항목선택이 잘못되지 않는다. 또, 시선을 메뉴로 두지 않고도 촉각자극으로 손가락끝 위치를 파악하면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정보입력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스트로크 운동을 순간적으로 행해 고속으로 정보입력하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메뉴의 표시변화를 시각적으로 추적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촉각적인 방식이 불가결하다.
충분히 조작에 숙련되고 손가락에 가해지는 촉각자극과 입력할 문자나 지령의 대응관계를 기억할 수 있으면, 메뉴를 표시하지 않고도 촉각자극만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필요한 메뉴의 내용이 변화되므로, 숙련도에 따라 메뉴의 표시방법을 변경하는 구성이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는, 손가락끝의 상하운동과 이동을 간섭시키지 않고 실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손가락끝을 한참 상하운동하는 도중에 모르는 사이에 손가락끝이 이동해 잘못 입력이 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촉각자극을 도입하고, 손가락끝 위치가 동일구역에 있기만 하면 촉각자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손가락끝 위치가 다른 구역으로 이행할 때에는 촉각자극이 반드시 변하도록 하면, 촉각자극을 통해 손가락끝의 불측의 이동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중에 촉각자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주의하기만 하면, 상하운동중에 손가락끝이 불측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손가락끝이 촉각자극을 받는 한, 장치에 장시간 접촉을 계속하지 않아도 된다. 손가락끝을 일단 장치에서 떼어내고 다시 위치시킬 때 손가락끝이 규정위치에 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손가락끝에 둘 필요는 없다. 이런 시선의 이동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고 데이터입력의 능률이 저하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도 손가락끝이 항상 장치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손가락끝과 장치가 밀착되어 통기성이 악화되면 손가락끝의 피부가 습해져 불쾌해지고, 장치에도 악영향을 주게된다.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밀착부에 다공성 소재나 포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 손가락끝 위치와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상의 커서의 색과 형상을 손가락끝 위치와 그 상하운동의 검출결과에 기초해 변화시킬 수 있다. 물론, 청각적 자극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촉각 자 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시선을 커서 위치에 향할 때까지 손가락끝의 운동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촉각자극만으로는 손가락끝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불충분할 경우, 그 부족을 보충하도록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방식을 화면에 표시하여 손가락끝 위치를 특정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단, 시각적이거나 청각적 수단에 의해 손가락끝 위치를 추적 확인하면 고속데이터입력이 불가능하다. 스트로크 운동을 중단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손가락끝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촉각적 수단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히라카나를 입력할 경우에는 히라카나를 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하여 로마자로 표기하고, 자음의 종류는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시점의 하강구역에 기초해 결정하며, 모음의 종류는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시점의 상승구역에 기초해 결정하도록 하면, 모음의 배치가 자음에 의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정해지므로, 입력규칙을 기억하기가 쉽다. 영어의 경우, 자음이 연속적이고, 모음도 이중모음 등의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도 자음의 뒤에 모음이 이어질 확율이 높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의 조합보다 일반적으로 빈도가 높은 음운의 조합으로 된 음절을 손가락끝의 일회의 스트로크 운동으로 입력하도록 하면, 영어입력 능률도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서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2개의 문자나 지령 또는 분류를 각각 손가락끝을 하강할 구역과 상승할 구역에 대응시켜 일회의 스트로크 운동으로 일괄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알파벳, 기호, 지령에 관해서는 시각상이나 청각상 또는 기능상의 유사성에 기초한 그룹으로 나누고,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에 기초한 그룹을 선택하며, 손가락끝을 하강 또는 이동시킨 뒤 다시 상승시킬 시점에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에 기초해 그룹내의 알파벳이나 기호나 지령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인터넷 등의 연결부는 표시화면중에 있되 언더라인이나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지만, 손가락끝 이동범위에 배치되는 구역의 위치관계와 기하학적으로 유사한 위치관계를 갖도록 연결부를 화면상에 배치하여,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에 대응하는 연결부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해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선택하는 작업도 쉽다.
손가락끝 이동범위에 도입되는 구역중 하나(예컨대 중앙구역)에 포인팅 모드로 이행하는 기능을 할당하고, 이 구역에 손가락끝을 이동시켜 손가락끝을 하강했을 때 포인팅모드로 이행하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포인팅모드로 이행한 뒤, 손가락끝을 하강한채 움직이게 하면 손가락끝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상세히 계측하는 센서가 작동되고, 손가락끝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커서를 표시화면상에서 움직여 임의의 지점을 포인팅하도록 하면 된다.
또, 검지로 누르는 키(검지 시프트키)나 중지로 누르는 키(중지 시프트키)를 설치하여, 포인팅모드에서는 검지 시프트키 또는 중지 시프트키가 마우스의 좌측버튼이나 우측버튼과 호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마우스와 같이 키보드와 다른 포인팅장치를 이용하면, 문자입력과 포인팅의 작업 전환시에 장치의 교체작업이 필요해 작업능률이 떨어지지만, 상술한 방식으로 포인팅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면, 동일한 손가락으로 동일한 장치를 조작하여 선택할 구역의 상위에 기초한 문자입력과 포인 팅을 전환하므로, 문자입력 작업과 포인팅 작업을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포인팅모드에서는 종래 일반적인 화면표시내용을 고정한채 화면내의 커서를 움직여 포인팅하는 방식(커서 이동방식)과, 커서를 화면중앙에 고정한채 화면표시내용을 움직이는 방식(조준창 이동방식)의 2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표준창 이동방식은 대화면의 단말을 향해 디자인된 큰 화상을 소형 휴대단말에서 이용할 목적에 적합한 스크롤 겸용 포인팅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작은 화면을 마치 대화면 창이나 조준창처럼 이용해 스크롤과 포인팅을 동시에 행한다. 휴대단말기의 소화면을 대화면 창처럼 이용해, 이 창을 움직여(스크롤하여) 대화면 전체의 내용을 파악하고, 동시에 창 중앙부의 정위치에 있는 조준점을 창과 함께 이동시켜 목표위치에 일치시키는 포인팅을 할 수도 있다.
통상의 포인팅방식(커서 이동방식)에서는 고정된 창의 중앙으로 커서를 움직여 목표위치에 합치시키지만, 조준창 이동방식에서는 커서를 작동시키는 조준위치가 창에 대해 항상 정위치되어 있고, 창 자체가 움직이면서 조준위치를 창과 함께 움직여 포인팅한다. 이렇게 하면 포인팅과 스크롤을 동일한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어, 대화면용으로 디자인된 표시내용을 화면이 작은 휴대단말기로 열람하기가 쉽다.
단, 조준창 이동방식에서는 창을 움직일 때마다 표시정보를 갱신해야만 하므로, 큰 통신용량과 고속메모리, 고속 화상처리기능이 필요하다. 여기서 장래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예측해 미리 메모리에 로드해 두면, 통신과 계산 부하가 일시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고, 부하를 시간적으로 분산시켜 통신로와 프로세서의 능력을 크게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손가락끝 이동범위에서 손가락끝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구역을 3행3열로 배치할 경우를 예로 들어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설명하겠지만, 3행3열 배열이 아니라 구역의 많은 부분이 인접하여 이차원으로 배열된 다른 배치형식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손가락끝의 하강시점과 상승시점 각각에 대해 3행3열의 구역인 경우, 각 구역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양자를 조합해 합계 81종의 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각 구역이 정보에 대응한다면 81종류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게된다.
메뉴의 표시방법으로서는 우선 메인메뉴에 있어서 서브메뉴의 내용을 표시하는 명칭이나 아이콘(그림문자)을 상위항목으로서 3행3열로 배치해 표시하고, 이 메인메뉴로부터 손가락끝을 하강할 시점의 하강구역에 기초해 상위항목을 선택하며, 선택된 상위항목에 관련되어 있는 서브메뉴의 하위항목을 3행3열로 배치해 메인메뉴 대신 표시하고, 이어서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시점의 상승구역에 기초해 그 서브메뉼부터 하위항목중 하나를 성택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을 축차(逐次) 메뉴방식이라 한다.
또, 이와 다른 메뉴표시방식으로서, 각각 3행3열의 하위항목을 갖는 서브메뉴 자체를 상위항목으로 3행3열로 배치해 전체적으로 9행9열로 배열하여 일괄 표시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을 일괄메뉴방식이라 한다. 일괄메뉴방식에서도 3행3열의 항목이 배열된 서브메뉴의 일부분을 1개의 큰 아이콘으로 하면, 이 아이콘을 상위항목으로서 3행3열로 배열한 것이 전체 메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전체 메뉴가 메인메뉴이고, 서브메뉴는 메인메뉴중에 조합되어, 메인메뉴와 동 시에 표시한 것도 좋다.
축차메뉴방식에서는, 메뉴가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를 축차적으로 전환해 표시한다. 이런 메뉴도 3행3열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화면내에 메뉴가 차지하는 면적이 항상 작게 된다. 따라서, 휴대기기의 소형 화면에 메뉴를 표시하기에 적당하다. 메인메뉴와 서브메뉴의 크기는 변하지 않으므로 색깔 등을 변화시켜 양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괄메뉴방식에서는 9행9열의 하위항목을 일괄적으로 모니터화면내에 표시하지만, 그 중에 각 서브메뉴에 해당하는 3행3열의 하위항목을 포함한 각 화면을 하나의 큰 아이콘으로 하고, 이것을 하나의 상위항목으로 볼 수도 있다. 메인메뉴에 있어서는, 큰 아이콘(3행3열의 하위항목을 표시하는 구획)이 3행3열로 배열되어 있지만, 손가락끝 위치에 의해 지시되는 구획을 색을 변화시켜, 주변의 다른 구역과 구별해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하이라이트 구획은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로 손가락끝을 움직이면 손가락끝의 움직임에 연동해 다른 구획으로 변한다. 여기서 손가락끝을 하강할 시점에 하이라이트 된 구획은 서브메뉴로서 선택된다.
손가락끝을 하강시켜 서브메뉴를 선택한 뒤, 손가락끝을 하강시킨채 이동시키면, 이번에 선택된 서브메뉴의 3행3열의 하위항목중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의해 지시되는 하위항목이 하이라이트로 표시된다. 하이라이트된 하위항목은 손가락끝을 하강한채 이동시킬 때 그 움직임에 연동되어 서브메뉴의 3행3열의 하위 항목중에서 다른 하위항목으로 변하고,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시점에 하이라이트된 하위항목이 서브메뉴중에서 선택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일괄메뉴방식에서는 특정의 서브메뉴내 의 하위항목을 선택할 때에도 다른 서브메뉴내의 하위항목을 같이 표시하고, 입력할 수 있는 전체 정보를 항상 일람표시할 수 있어 초심자에게도 쉽다.
이상의 메뉴에 관해서는, 조작내용에 따라 적절한 메뉴를 표시 및 소거하여, 휴대기기의 작은 모니터화면을 종래의 내용표시에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손가락을 이동했을 때, 정지했을 때, 특정 메뉴 항목을 선택했을 때, 또는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필요한 메뉴가 나타나거나 불필요한 메뉴가 소실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잠시동안 조작을 하지 않으면 메뉴가 없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중앙구역을 포인팅모드로의 이행용으로 사용할 경우, 포인팅 시에는 메뉴가 방해가 될 뿐이므로, 손가락끝을 중앙구역에 위치시키면 메뉴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손가락끝을 상기 중앙구역을 둘러싼 주변영역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만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뉴를 표시할 때 작업위치(커서 위치)의 부근에 메뉴를 팝업 표시하면, 메뉴 내용을 볼 때의 시점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시점을 항상 작업위치 부근에 유지하면서 입력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커서가 화면의 구석에 있을 때, 메뉴가 모니터화면에 보이게 메뉴의 표시위치를 변경하도록 한다. 예컨대, 커서가 화면의 상하좌우 모서리에 있으면, 각각의 메뉴가 커서의 아래, 위, 우측, 좌측에 나타나는 것이 좋다.
이후, 메인메뉴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해 선택된 화면상의 구획을 섹션, 서브메뉴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해 선택된 구획을 서브섹션이라 한다. 섹션은 손가락끝을 하강할 시점에 선택되고, 서브섹션은 손가락끝을 상승할 시점에 선택된다. 축차메뉴방식에서는,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도 3행3열의 항목으로 된다. 어떤 메 뉴에서도 손가락끝 위치로 지시되는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므로, 섹션도 메뉴도 하나의 항목만을 포함하는 구획으로 된다.
한편, 일괄메뉴방식에서는, 3행3열 항목으로 된 서브메뉴를 3행3열로 배열한 것이 메인메뉴이므로, 전체적으로 9행9열의 항목으로 된다. 메인메뉴의 9행9열의 항목중 각 서브메뉴에 상당하는 3행3열의 항목을 포함한 구획이 섹션으로 된다. 손가락끝을 상승시킨채 이동할 때에는, 손가락끝 위치에 연동해 하이라이트로 표시되는 섹션이 변하고,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시점에 하이라이트로 표시되어 있는 섹션이 선택된다. 섹션 선택후에 손가락끝을 하강시킨채 이동시키면, 선택된 섹션이 포함된 3행3열의 항목의 범위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된 항목이 하이라이트 표시된다. 최후로 손가락끝을 상승시킬 시점에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는 항목이 선택된다. 따라서, 서브섹션은 하나의 항목만을 포함한 구획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메뉴를 구분하여 구획을 선택하여 행하는 작업, 즉 섹셔닝이 인터페이스의 기본이 된다. 한편, 종래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에서는 좌표점을 지정하는 작업, 즉 포인팅이 인터페이스의 기본이었다. 포인팅은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한 점을 지정하는 조작으로서, 조작을 계층화할 수 없다.
한편, 섹셔닝은 최초의 계층에서 섹션을 선택하고, 다음 계층에서는 선택된 섹션의 중앙 섹션을 선택하도록 조작을 계층화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각 섹션이 3행3열의 서브섹션을 하위계층으로 구비하여, 9분 가지 구조로 된다.
손가락끝의 일회의 스트로크 운동에서는 메뉴의 계층의 2층 밑에까지 억세스 할 수 있지만, 스트로크 운동 개시 시점의 기준층(홈 섹션)을 변경하도록 하면, 임의의 계층수를 갖는 메뉴를 취급할 수 있다. 예컨대, 최초 스트로크 운동에서 2층 밑의 메뉴에 억세스하고 억세스된 섹션을 새로운 홈 섹션으로 하면, 다음 스트로크 운동에서 다시 2층 밑의 메뉴에 억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상술한 메뉴에 한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가지구조를 이루는 각종 체계를 취급하기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디렉토리 체계나 커맨드 체계를 9분 가지 구조로 계층화하고, 손가락끝의 일회 스트로크 운동으로 계층의 2층 밑에까지 한번에 억세스할 수 있는 이점을 활용해 파일선택이나 커맨드 입력을 능률 좋게 실행할 수 있는 오퍼레이팅시스템(OS)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를 각종 가전제품의 컨트롤러로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텔레비젼, 비디오, 게임기 등 사용자가 통상 화면에 시선을 두는 영상기기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의 항목을 리모콘으로 선택할 때 효과적이다. 종래의 리모콘은 다수의 버튼중에서 목적하는 버튼을 깊이 누를 때 시점을 화면으로부터 손에 쥔 리모콘으로 이동시켜야만 하고, 시점의 이동시 영상의 감상이 방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에서는 최초에 손가락끝을 규정위치에 두면 그 스트로크 운동만으로 다양한 지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화면에 시선을 둔채 지정위치를 파악하여 목적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
종래에도 메뉴방식의 리모콘은 있었지만, 버튼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조작중에 일단 손에 시선을 둘 필요가 있고, 메뉴의 항목을 선택할 때 시각과 행동의 타 이밍이 엇갈리면 잘못된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다. 촉각자극을 통해 지정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촉각자극의 변화와 선택항목의 변화를 연동시키면, 촉각자극을 통해 선택항목을 확실히 파악하여 오조작을 낮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방식에서는, 손가락끝을 실제 이동시키지 않아도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감압센서로 검출하고, 검출된 압력에 연동하여 하이라이트로 표시된 섹션이나 서브섹션을 변경하는 방식도 고려되고 있다.
또, 손가락끝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해 손가락에 가해지는 촉각자극을 변화시키면,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촉각자극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감압방식의 조작성은 실제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방식에 비해 열악하다. 또, 촉각자극을 변화시킬 경우에는 그 구동원으로서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을 이용할 필요가 있어, 장치의 가격이 높아진다. 손가락끝을 실제 이동시키는 방식에서는, 이런 구동원을 도입하지 않아도 그 이동운동 자체를 구동원으로 직접 이용하는 촉각자극을 바꾸거나 이동부에서 새로운 촉각자극을 받을 수 있어, 장치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에서 손가락끝의 하강 및 상승운동(스트로크 운동)을 식별하는 구성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서 손가락끝은 화살표(1) 방향으로 상하운동하고, 화살표(2) 방향으로 상하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손가락끝의 밑에는 4개의 시소기구(S)를 설치한다. 각 시소형 기구는 회전축(6)을 중심으로 아암(3)이 힘을 받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도 1b-d의 파단선(7)은 4개의 아암의 판(4) 사이에 신장된 신축성 있는 시트 를 의미한다. 이 시트(7)의 재질은 예컨대 스타킹의 포지를 이용해도 된다. 손가락끝은 시트(7)에 접촉하고, 시트(7)와 함께 이동한다. 시트(7)는 시트체의 일례로서 손가락끝과 판(4) 또는 구형부(5) 사이에 위치하여 판(4)이나 구형부(5)의 위를 미끄러지거나, 손가락끝이 판이나 구형부의 위를 원할히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시트(7)는 착탈가능하고, 오래 사용하여 마모되면 교환할 수 있다.
아암(3)의 일면에는 판(4)이 부착되고, 이 판에 손가락끝을 대고, 회전축(6)을 시트의 지지점으로 하여 아암(3)을 외측으로 누르면 구형부(5)가 상승하여 손가락끝의 앞면을 자극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형부(5)를 포함한 시트형 기구가 구역통지수단의 일례로 된다. 이런 기구가 도 2a-d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d에는 손가락끝을 이동시킬 때, 아암이 기울어져 구형부(5)가 손가락의 앞면을 자극하는 구성을 손가락끝의 4가지 위치에서 보여준다. 도 2b에서는 손가락끝이 시트 중앙부에 위치한채 시트를 누르고 있다. 이 경우 시트 내부에서 구형부(5)가 아래로 눌려지므로 손가락에는 자극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 도 2a-d에서는 특히 손가락끝의 하강을 제한하는 돌출부(17)를 두고 있다. 도 2a에서는 구형부(5)가 중간까지 올라가 약간만 손가락을 자극하지만, 도 2b에서는 구형부(5)가 돌출부(17)의 밑으로 완전히 내려가 손가락을 자극하지 않는다. 도 2c,d에서는 손가락을 이동시킨쪽의 시트를 외측으로 눌러 구형부가 돌출부(17) 위로 돌출해 손가락을 자극한다.
도 2e-g는 각각 도 2b-d를 위에서 본 상태로서, 손가락 위치를 파단선으로 타원(16)으로 표시했다. 돌출부(17)를 위에서 보면 X형상임을 알 수 있다. 손가락 끝은 도 3에서는 검은색 타원(19)으로 도시되어 있고, 9가지 위치에서 역시 화살표쪽으로 이동시켜 판(4)을 밀어준다. 각각의 위치에서 손가락끝을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여 판(4)을 밀면, 4개의 구형부가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자극을 손가락에 가하며, 사용자는 이 자극을 통해 손가락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장치는 4개의 시소중에 밀린 것을 스위치(SW1-4)로 검출하여 손가락 위치를 식별한다. 상기 스위치(SW1-4)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구역 검출수단의 일례이다.
시소가 기울어진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9)를 도 1c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아암(3)을 화살표(8) 방향으로 외측으로 밀면 스위치(9)가 온된다. 4개의 시소 각각에 스위치(9)가 붙어있으므로, 도 3의 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소의 스위치를 SW1, SW2, SW3, SW4로 표시하여 구별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도 3의 9곳의 손가락끝 위치 각각에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변한다. 검은색 타원으로 표시된 구역으로 손가락끝을 이동시켜 화살표 방향으로 판(4)을 누를 때 온되는 스위치를 도 3의 각 도면의 아래에 표시했다.
이와 같이, 손가락끝의 이동범위에 9개 구역을 상정할 수 있으므로, 손가락끝이 위치하는 구역은 SW1-4의 온/오프 상황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또, 손가락끝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 방향으로 상하운동한다. 이런 상하운동을 도 1c의 스위치(12)로 검출한다. 상기 스위치(12)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운동 검출수단의 일례로 된다. 이 스위치(12)는 손가락끝이 내려가면 온되고 올라가면 오프된다.
본 실시형태중 도 1c, d의 구성에서는 스위치(12)가 장치 배후에서 엄지와 다른 손가락의 상하운동을 검출한다. 엄지끝이 정지해 있어도 장치 배후의 손가락끝이 상하운동할 때 엄지끝은 장치배후의 손가락끝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운동하고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1c, d의 구성에서 스위치(12)는 이런 엄지끝의 상대적 상하운동을 검출한다.
도 1c의 13, 14는 각각 광학방식 포인팅장치의 수광소자와 광원이다. 도 2에 도시된 돌출부(17)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 상부에 수광소자(13)와 광원을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7)의 배면에는 격자모양이 구성되어 있고, 포인팅을 행하는 모드가 선택되면, 수광소자와 광원이 가동되어, 손가락끝과 일체로 이동하는 시트 배면의 격자모양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격자모양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화면중의 커서가 이동하고, 포인팅이 행해진다.
도 4는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다른 촉각자극을 손가락에 가하는 이동검출수단의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손가락끝을 올려놓는 대(21)(이동재의 일례)에서 손가락이 원활히 이동한다. 손가락끝을 자극하는 돌출부(20)의 돌출정도는 손가락끝 위치에 따라 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3은 조인트 접합형 구형접합부로서, 수용부(24)에 결합되어 자유로이 각도가 변할 수 있다. 22는 조인트접합의 회전축이다. 25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돌출부(20)의 바닥을 지지하는 봉의 단면이다. 이 봉에 지지되면서 돌출부(20)는 손가락을 계속 자극하지만, 손가락끝과 함께 대(21)가 이동해 돌출부(20)의 바닥이 지지봉(25)에서 벗어나면 돌출부(20)가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해 내려가 손가락을 자극하지 않는다.
도 5는 이동검출수단의 다른 구체예이다. 여기서는 구형 조인트 대신에 미끄 럼대(18)나 회전대(26)를 이용해 손가락끝을 놓는 대(21; 이동재의 일례)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손가락끝을 놓는 대가 상하운동, 수평운동한 뒤 표준위치로 복귀하도록 나사(27)를 사용한다. 28은 상하운동의 가이드부이다. 이런 구조에서도 돌기(20; 돌출부의 일례)의 일단이 대에 부딪치면 타단이 돌출하여 손가락을 자극한다.
도 15에도 이동검출수단의 다른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스틱(46)이 손가락(47) 양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를 자극하도록 설치된다. 도 15a에는 손가락의 한쪽 측면을 2개의 스틱이 움직여 자극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b는 손가락끝에서 본 장치의 단면으로서, 스틱(46)의 일단이 손가락끝(51)을 둘러싼 벽(50)에 형성된 구멍(49)을 통과해 손가락끝(51)의 측면을 자극한다. 스틱(46)의 타단부에는 받침대(48)가 장착되고, 손가락끝을 움직이면 받침대(48)가 외벽에 부딪치고 그 반동으로 외벽(52)에 대해 눌려지는 스틱의 반대쪽 단부가 손가락 측면을 자극하도록 돌출하는 모양이 도 1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c는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으로서 타원형의 벽(50)의 안쪽에 손가락끝을 삽입하면 손가락끝과 함께 벽(50)이 이동된다. 각 도면에서 손가락끝의 각 위치에 4개의 스틱이 손가락끝을 타원형으로 둘러싼 벽(50)으로부터 손가락쪽으로 돌출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각종 방식중 도 15의 방식은 촉각자극이 손가락끝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해지므로, 촉각자극의 반작용과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이 직교하여 간섭이 없다. 이때문에 손가락끝의 이동과 상하운동의 독립성이 높아 오입력이 생기기 어렵다. 그러나, 촉각자극의 식별의 용이성에 관해서는 도 1의 방식이 우수하 다.
이상의 각 도면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손가락에 촉각자극을 주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간단한 방식으로는, 예컨대 손가락끝 접촉부에 볼이나 볼형 돌기를 복수개 설치하고, 볼 자체의 회전이나 볼형 돌기와 손가락 사이에 설치된 유연성과 저마찰성을 갖는 시트에 의해, 손가락끝이 볼이나 볼형 돌기의 위를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볼이나 볼형 돌기의 요철을 파악하고, 요철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상에 배치된 메뉴의 항목을 요철의 촉각정보를 통해 선택하는 방식이 있다. 볼형 돌기를 2행2열로 배열하면 9개의 구역을 요철패턴의 상위에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이렇게 2행2열로 배열된 볼형 돌기의 위에서 손가락을 스트로크 운동시키면 구역수의 2제곱인 81개 종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는 휴대전화겸용 휴대단말기에 본 발명의 정보입력장치를 적용한 구성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정면에서 본 표시화면(29), 도 1에 따라 구성된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30), 클립부(32), 마이크(33), 이어폰(34)을 갖춘 휴대전화를 보여준다. 클립부(2)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도록 화살표(37,38)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클립부(2)를 우측손으로 쥐어 사용할 경우에는 38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측손으로 쥐고 사용할 경우에는 37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전화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6a와 같이 클립부(32)를 펼치고, 표시화면(29)의 측면에 설치된 이어폰(34)을 귀에 대며 클립부(32)의 측면에 설치된 마이크(33)를 입에 댄다. 클립부(32)를 우측손으로 쥘 경우와 좌측손으로 쥘 경우에는 클립부(32)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펼쳐 사용할 수 있지만, 입과 귀에 닿는 장치의 측면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33)와 이어폰(34)을 각각 표시화면(29)과 클립부(32)의 양측면에 설치하면, 어느 손에 쥐어도 마이크(33)와 이어폰(34)이 입과 귀에 접할 수 있다.
도 6b는 6a의 측면도이다. 검지시프트키(35)와 중지시프트키(36)는 각각 장치의 배면에서 검지와 중지로 누르는 버튼이다. 이들 버튼은 원통형 회전부(31)에 설치되고, 원통형 회전부(31)와 함께 화살표(39)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버튼(35,36)은 검지와 중지로 누르는 위치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가 휴대전화를 겸용할 경우에는, 클립부(32)를 보유하면서 화면을 옆으로 길게 보이게 배치하는 디자인상의 고려가 필요하다. 도 6e-g에는 이런 요구를 만족시키는 다른 구성례가 도시되어 있다. 표시화면(29)이 클립부(32)에 대해 2축으로 자유로운 각도로 변할 수 있도록 2개의 회전축 조인트가 이용되고 있고, 수납시에는 e와 같이 접고, 휴대전화기로 사용할 때는 f, 휴대단말기로 사용할 때는 g와 같이 표시화면을 용도에 따라 다른 각도로 열어 사용할 수 있다.
도 7, 9에는 각각 일괄메뉴방식(도 7)과 축차메뉴방식(도 9)으로 메뉴를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 도면에 도시되어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손가락끝 위치가 b, e, h와 같이 이동할 때 메뉴의 표시는 c, f, i 또는 d, g, j와 같이 변화한다.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b의 파단선 타원(16)의 위치로부터 e의 파단선 타원 위치(P1)까지 이동시키고, 이 위치(P1)에서 손가락끝을 하강시킨 상태로 h의 파단선 타원 위치(P2)까지 이동시킨 다음 손가락끝을 상승시킨다. 실제로는 다 른 손가락끝으로 스위치(12)를 누른 뒤 떨어지는 것으로, 엄지가 상대적으로 하강된 뒤 상승하는 것이 검출된다. 손가락끝이 이와 같이 스트로크 운동할 때 c, f, i 또는 d, g, j의 메뉴중에서 손가락끝 위치에 대응하는 섹션이 굵은테(43)로 둘러싸여 다른 섹션과 구별되게 표시된다.
a는 화면(41)에 문장(40)을 중간까지 입력한 상태로서, 손가락끝은 메뉴(44)의 중앙 섹션을 지시한다. 지시되어 있는 섹션은 굵은테(43)로 둘러싸여 다른 섹션과 구별되게 표시된다. 커서는 언더라인으로 표시되고, 45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메시지를 표시하는 행이다.
도 7은 일괄메뉴방식의 메뉴 표시례를 2가지 보여준다. 일례는 손가락끝이 b, e, h와 같이 스트로크 운동할 때 표시되는 메뉴가 c, f, i와 같이 변하는 것이다. 처음에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b의 파단선 타원(16)의 위치에 있으면 c의 중앙섹션이 굵은테로 표시된다. e와 같이 손가락끝이 상승한 상태로 P1의 위치(이동영역의 하단좌측 구역)까지 이동하면 손가락끝의 이동에 연동되어 굵은테로 둘러싸인 섹션이 f와 같이 변한다. P1의 위치에서 손가락끝을 내리면(스위치 12를 누르면), f의 굵은테로 둘러싸인 섹션이 선택되고, 손가락끝을 하강시킨 상태로 h의 P2 위치(이동영역의 상단중앙 구역)까지 이동시키면 i와 같이 먼저 선택된 섹션중에서 P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항목(도면중의 R)이 굵은테로 둘러싸여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끝을 상승시키면 R이 선택되어 입력된다.
일괄메뉴방식의 다른 메뉴 표시례로는, 손가락끝이 b, e, h와 같이 스트로크 운동할 때 표시되는 메뉴가 도 7의 d, g, j와 같이 변하는 것이 있다. c, f, i의 메뉴와 다른 점은, g, j에서 선택된 섹션의 3행3열 항목만을 표시하고, 그중 손가락끝 위치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항목을 굵은테로 둘러싸 표시되는 점에 있다.
도 8a에는 일괄메뉴방식에서 시프트키(35,36)를 누를 때의 메뉴를 좌측에, 또는 시프트키(35,36)를 누를때의 메뉴를 우측에 표시한다. 여기서는 영문자 입력용 메뉴로서, 9행9열의 문자배열로 된다. 경계선으로 구분된 모니터상의 각 구획을 섹션이라 한다. 중앙 섹션은 포인팅모드로 이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8b의 각 구획에는 a의 양 메뉴의 대응위치에 있는 섹션의 내용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기입하고 있다. 여기서는 각종 문자, 기호를 다음과 같은 방침으로 섹션으로 분류하여 아이콘을 정한다.
수직, 수평 스트로크만으로 되는 문자(FTEILH): 수직, 수평 스트로크를 시사하는 아이콘(b의 상단좌측).
폐루프 없이 사선 스트로크를 구비한 문자(WVYKXNMAZ); 사선스트로크를 시사하는 아이콘(b의 상단중앙).
숫자와 연산기호 : 숫자와 연산기호를 시사하는 아이콘(b의 상단우측).
폐루프가 아닌 곡선부를 구비한 문자(CSGUJ): 폐곡선이 아닌 곡선을 시사하는 아이콘(b의 중단좌측).
포인팅모드로의 이행: 중심으로부터 상하좌우로 향하는 화살표 아이콘(b의 중단중앙).
문장중의 각종기호: 피리어드와 괄호를 시사하는 아이콘(b의 중단우측).
곡선부를 갖는 폐루프를 구비한 문자(PRDOBQ): 폐루프를 시사하는 아이콘(B 의 하단좌측).
기타 기호: @를 시사하는 아이콘.
특수문자, 삭제(스페이스, 줄바뀜, 백스페이스, 탭 등): 문자삭제를 시사하는 아이콘(b의 하단우측).
도 9에는 축차메뉴방식의 메뉴 2가지가 도시되어 있다. 일례로, 손가락끝이 b, e, h와 같이 스트로크 운동할 때 표시되는 메뉴는 c, f, i와 같이 변한다. 즉,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로 b의 파단선 타원(16)의 위치에 두면 c의 중앙섹션이 굵은테로 표시된다. e와 같이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로 P1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연동하여 굵은테로 둘러싸인 섹션이 f와 같이 변한다. P1의 위치에서 손가락끝을 하강시키면 f의 굵은테로 둘러싸인 섹션이 선택되고, 이 섹션의 내용을 보여주는 i의 서브메뉴가 f의 메인메뉴를 대체해 표시된다. 이때 손가락끝을 하강시킨 상태로 h의 P2 위치까지 손가락끝을 이동시키면, i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브메뉴중에서 P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것(도면중의 R)이 굵은테로 둘러싸여 표시된다. 이때 손가락끝을 상승시키면 R이 선택되어 입력된다.
축차메뉴방식의 다른 메뉴표시례는 손가락끝이 b, e, h와 같이 스트로크 운동할 때 표시되는 메뉴는 d, g, j와 같이 변하는 것이다. c, f, i의 메뉴와 다른 점은, e에서 손가락끝을 하강시킨채 손가락끝을 P1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g와 같이 P1 위치에 대응하는 섹션의 내용을 보여주는 메뉴가 나타나는 점에 있다. 결국, d, g, j의 메뉴 표시례에서는, 메인메뉴가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로 중앙구역에 위치할 때 나타나고, 손가락끝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주변구역으로 이동시키면, 손가 락끝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섹션이 메인메뉴 대신 표시된다. 한편, c, f, i의 메뉴표시례에서는, 손가락끝을 하강시킬 때 손가락끝을 하강시킨 위치에 대응하는 서브메뉴가 최초로 나타나고, 손가락끝이 올라가 있는 한 항상 메인메뉴가 표시된다.
도 10-13에는 일괄메뉴방식에서 메뉴의 9행9열의 항목에 문자나 지령, 기능을 할당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각 도면의 메뉴의 9행9열의 항목은 3행3열마다 경계선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렇게 구분된 구획 각각이 섹션이다. 9행9열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전체 메뉴를 메인메뉴, 그중 각 섹션내의 3행3열의 항목으로 된 부분메뉴를 서브메뉴라 한다. 손가락끝을 하강할 시점에 손가락끝이 지시하는 섹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섹션의 3행3열 항목중에서 손가락끝을 상승할 시점에 지시되어 있는 항목을 선택한다.
일괄메뉴방식에서 각 섹션내의 3행3열 항목을 대표하는 명칭이나 아이콘을 도입하고, 이 명칭이나 아이콘을 3행3열로 배열하여 메인메뉴를 구성하며, 각 섹션내의 3행3열 항목을 배열하여 서브섹션을 구성하면 축차메뉴방식을 얻을 수 있다. 도 10-13중의 a는 시프트키(도6의 검지시프트키 35와 중지시프트키 36)를 누르고 있지 않을 때 나타나는 메뉴이다. b는 검지시프트키(35)를 누르고 있을 때 나타나는 메뉴이다. 여기서 c는 중지시프트키(36)를 누르고 있을 때 나타나는 메뉴이다. 검지시프트키(35)와 중지시프트키(36)를 동시에 누르면서 엄지끝을 올리면 잘못 선택된 섹션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런 메뉴의 항목에 사용되는 각종 약어의 의미를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이하 표시한다.
도 10-12중의 약어는 반각영문자 2개 문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이들 을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0은 파일이나 웹사이트의 내용 표시를 주체로 한 작업에 사용되는 메뉴로서, 주로 포인팅과 스크롤 및 링크에 관한 기능을 메뉴에 배치하고 있다. 중심 섹션에는 "포인팅 호환"이 기입되어 있지만, 이것은 중심섹션에서 손가락끝을 하강시키면 포인팅 모드로 이행하고, 이때 손가락을 내린 상태로 손가락끝을 이동시키면 화면의 커서가 손가락끝에 연동해 이동하여 화면내의 임의의 지점을 포인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포인팅모드에서는 검지시프트키(35)와 중지시프트키(36)가 각각 마우스 좌우측 버튼들과 호환기능을 갖는다.
또, 링크나 억세스에 관한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L1-L9: 화면중에 표시되어 있는 웹사이트나 특정 파일의 링크부를 9개까지 메뉴중에 리스트로 표시. i1-i9: 임의의 웹사이트나 파일을 인덱스로 9개까지 등록, 억세스. h1-h9: 과거에 억세스했던 웹사이트나 파일을 히스토리로 하여 9개까지 자동등록, 억세스. ri: 인덱스 등록모드로 이행. di: 인덱스 소거모드로 이행.
다른 약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표시화면의 행단위의 스크롤. > < ∧∨: 표시화면의 페이지단위의 스크롤. sc: 커서이동방식과 조준창 이동방식의 전환. 동일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구획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의 구획에서 손가락끝을 올려도 동일한 기능이 입력된다.
포인팅모드에서 중지시프트키(36)를 누르면 다음의 각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cu: cut(지정범위를 클립보드로 이동). pa: paste(클립보드에서 붙여넣음). cp: copy(지정범위를 클립보드에서 복사). ca: cancel(바로 앞의 조작을 취소해 커 맨드버퍼에 복사). rd: redo(커맨드버퍼에 있는 커맨드를 실행). sb: 이 시점의 커서위치를 범위지정의 시점으로 함. se: 이 시점의 커서위치를 범위지정의 종점으로 함. 이렇게 지정된 범위는 클립보드에 복사되고 붙여넣을 수 있다.
파일관리에 관한 다음 기능이 있다. sv: 표시내용을 파일로 저장. qt: 종료. nw: 새파일 작성. op: 파일열기. dl: 다운로드, ul;업로드(사이트의 데이터를 파일로 다운로드, 파일의 데이터를 사이트로 업로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필연적으로 소형화된다. 소형 디스플레이에서는 화면 스크롤이 빈번하게 행해지므로, 화면의 스크롤과 기타 조작의 연결이 원활한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범위의 지정이나 기타 조작을 하는 도중에도 스트로크를 자유롭게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메뉴에서 스크롤기능을 충실히 하고, 페이지 단위의 스크롤과 행단위의 스크롤을 포인팅과 연계하는 것도 개발되고 있다.
도 11, 12는 각각 히라카나 입력용, 영문자 입력(또는 로마자 입력)용 메뉴이다. 이들 메뉴에서도 특수문자, 소거문자는 다음과 같은 약어로 기재되어 있다. sp: 공백, rt: 줄바뀜. bs: 백스페이스. d1: 삭제, tb: 탭.
또, 문자종류(입력모드) 전환 기능은 다음 약어로 표시된다. kn:가다가나 이력모드. hr: 히라가나 입력모드. en: 영문자 입력모드. sb: 기호입력모드, rk: 로마자로의 변환모드, qw: QUERTY 키보드 호환형식에서 문자를 메뉴에 배치.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는, 섹션에 동일 자음의 히라가나가 그룹화되어 있다. 또, 섹션내에는 각 히라가나가 자음에 이어지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규칙으로 배치되 어 있다.
다음 cv와 qk는 문자입력모드에서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도 11, 12의 메뉴중에 의도되어 있지만, 가나한자변환에 관한 기능의 약어이다. cv: 가나한자변환의 실행(변환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도 13에 표시된 한자변환모드의 메뉴로 이행한다). qk: 가나한자변환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가나인채로 확정한다.
히라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모드에서는 도 13의 메뉴가 사용된다. 히라가나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가나한자변환모드로 이행하고, 입력된 히라가나는 변환결과가 확정될 때 가나한자변환 버퍼에 유지된다.
히라가나를 입력해 cv를 입력하면 변환결과 후보가 a와 같이 3행3열로 배열되어 표시되고, 그중에서 목적 후보가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선택된다. 검지시프트를 누르면 b의 메뉴가 나타나고, 다음 약어로 표시되는 각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pb: 앞문절로 이동, nb: 다음 문절로 이동, eb: 문절을 확장, rb: 문절을 축소, da: 전체 문절을 동시에 확정, bk: 변환모드를 취소하고 원래의 히라가나 입력모드로 복귀, zh: 전각 히라가나로 변환, zk: 전각 가다가나로 변환, hk: 반각 가다가나로 변환, ze: 전각 영수자로 변환, he: 반각 영수자로 변환, nm: 다음 변환후보 메뉴로 이행, pm: 앞의 변환후보메뉴로 복귀. 변환후보가 3행3열 메뉴로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복수의 메뉴를 사용한다. 이들을 nm, pm에 의해 메뉴를 전환하여 표시한다.
최근, 단어 맨 앞의 수자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문자가 맨 앞에 표시된 단어후보 리스트가 나타나는 입력방식이 보급되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후보단어를 메 뉴에 표시해 선택할 때에도 도 13a의 형식으로 후보를 배치하는 것이 좋다.
도 14b는 웹사이트를 표시할 때의 화면의 일례이다. 링크부가 3행3열로 배열되어 있고, a와 같이 손가락끝을 이동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링크부가 테두리로 둘러싸여 다른 링크부와 구별되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끝을 하강시키면 테두리로 둘러싼 링크부가 선택된다. 링크부에 이렇게 3행3열 항목이 있을 경우, 메뉴는 이 3행3열 항목의 표시로 전환되고, 손가락끝을 하강한채 이동시켜 목적 항목을 지시한 뒤 상승시키면 지시된 항목이 선택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을 검출하는 상하동작 검출수단; 상기 손가락끝이 상하운동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얻어지는 이동영역내에 설정된 복수의 구역에 관련해 설치되고, 상기 이동영역내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검출하는 이동구역 검출수단; 상기 상하동작 검출수단과 이동구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손가락끝이 하강한 위치에 대응하는 하강구역과, 손가락끝이 상승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승구역의 조합에 기초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 및 상기 손가락끝이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이나 이 구역 위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의 변화를 조작자에 알려주는 구역통지수단;을 구비한 정보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장치는 손가락끝의 상기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역통지수단은 손가락끝의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 손가락끝 또는 이동재를 눌러 변위시키도록 하여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로서 구성된다.
이 정보입력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손가락끝의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복잡한 정보입력을 가능케할 수 있고, 또 초심자에게도 식별이 보다 단순한 손가락 위치의 변화를 통해 손가락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등의 정보입력작업에 있어서 시각적 부하를 경감하고, 초심자가 블라인드 입력을 쉽게 습득해 고속으로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재가 상기 구역통지수단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한 시트체일 경우에는, 구획통지수단 위를 움직이는 손가락의 동작이 원활화되고 조작자의 입력이 쉬워지며, 조작자의 피로가 감소된다.
또, 상기 구역통지수단이 상기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의 방향으로 출몰하는 돌출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구역으로부터 구역으로의 손가락끝의 이동을 돌출부의 변위로서 명료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입력미스가 적은 정보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역통지수단이 손가락끝이나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해 요동하고, 상기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시트형 기구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구역으로부터 구역으로의 손가락끝의 이동을 돌출부의 변위로서 명료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입력미스가 적은 정보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하강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자음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로 되고, 상기 상승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모음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로 되며, 상기 정보출력수단이 이들 정보의 조합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나 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극히 단순한 조작으로 문자나 음을 지정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손가락끝의 상하운동을 검출하는 상하동작 검출수단; 상기 손가락끝이 상하운동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얻어지는 이동영역내에 설정된 복수의 구역에 관련해 설치되고, 상기 이동영역내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을 검출하는 이동구역 검출수단; 상기 상하동작 검출수단과 이동구역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손가락끝이 하강한 위치에 대응하는 하강구역과, 손가락끝이 상승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승구역의 조합에 기초해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 및 상기 손가락끝이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구역이나 이 구역 위를 이동하는 손가락끝의 위치의 변화를 조작자에 알려주는 구역통지수단;을 구비한 정보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장치는 손가락끝의 상기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역통지수단은 손가락끝의 상하동작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해 손가락끝 또는 이동재를 눌러 변위시키도록 하여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재는 상기 구역통지수단 위를 미끄럼이동 가능한 시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통지수단은 상기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손가락끝의 방향으로 출몰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통지수단은 손가락끝이나 이동재의 이동에 수반해 요동하고, 상기 손가락끝에 대한 접촉상태를 변화시키는 시트형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자음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로 되고, 상기 상승구역에 대응하는 구획이 모음의 종류에 관련된 정보로 되며, 상기 정보출력수단이 이들 정보의 조합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나 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KR1020037011651A 2001-03-22 2002-03-22 정보입력장치 KR100556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1792A JP2002278694A (ja) 2001-03-22 2001-03-22 ストローク運動に基づくデータ入力装置とグラフィカルインターフェイス方式
JPJP-P-2001-00081792 2001-03-22
PCT/JP2002/002781 WO2002077786A1 (fr) 2001-03-22 2002-03-22 Dispositif d'entree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498A KR20030081498A (ko) 2003-10-17
KR100556049B1 true KR100556049B1 (ko) 2006-03-03

Family

ID=1893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651A KR100556049B1 (ko) 2001-03-22 2002-03-22 정보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278694A (ko)
KR (1) KR100556049B1 (ko)
WO (1) WO2002077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3951B2 (ja) * 2003-05-26 2011-10-26 ソニー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EP1672472A1 (en) * 2003-07-22 2006-06-21 Itsuo Kumazawa Data input device, information equipment, informatio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879075A (zh) 2003-11-03 2006-12-13 通用汽车公司 一种手写输入装置
JPWO2005057395A1 (ja) * 2003-12-12 2007-07-05 逸夫 熊澤 データ入力装置、情報機器、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方法
JP2005293512A (ja) * 2004-04-05 2005-10-20 Itsuo Kumazawa 指装着型データ入力装置
WO2005111770A1 (fr) * 2004-05-14 2005-11-24 Tung-Chin Lee Structure de levage pour touche d'ordinateur appuyee
KR100638585B1 (ko) * 2005-03-23 2006-10-26 엔에이치엔(주) 문자 입력 장치 및 상기 문자 입력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JP4969472B2 (ja) 2008-01-31 2012-07-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EP2194443A1 (en) * 2008-12-04 2010-06-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troke based input system for character input
CN102468075A (zh) * 2010-11-03 2012-05-23 常州市福驰电动车辆科技有限公司 用于复合按钮键盘的手指仿形按钮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0922A (ja) * 1989-09-01 1991-04-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H0555222U (ja) * 1991-12-27 1993-07-2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キーボードスイッチ方式
JPH05257592A (ja) * 1992-03-12 1993-10-08 Hitachi Ltd データ入力制御方法
JPH10228344A (ja) * 1997-02-17 1998-08-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入力装置
JPH11224161A (ja) * 1998-02-04 1999-08-17 Pfu Ltd 文字入力装置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7786A1 (fr) 2002-10-03
KR20030081498A (ko) 2003-10-17
JP2002278694A (ja)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197A (en) Graphical keyboard
EP0464712A2 (en) Display/input control system for software keyboard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ntegral display/input device
US7154480B2 (en) Computer keyboard and cursor control system with keyboard map switching system
US5798760A (en) Radial graphical menuing system with concentric region menuing
US20060236239A1 (en) Text entry system and method
EP2105823A1 (en) Human computer intera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method
US20030080947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mmand bar
WO2011158641A1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操作制御方法
US20110035209A1 (en) Entry of text and selections into computing devices
US20110169760A1 (en) Device for control of electronic apparatus by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on a multicontact touch screen
US20110285651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JP2004054589A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531704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023118A1 (zh) 手机键盘与鼠标
CN101595445A (zh) 人机交互装置、电子装置及人机交互方法
JP3319647B2 (ja) 文字入力装置
US20030081016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mouse
KR100556049B1 (ko) 정보입력장치
JPH1185354A (ja) キーボード組込み型座標指示装置、キーボード・ユニット、及び情報処理機器
US20160328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JP2006155313A (ja) カーソルの機能切り換え方法及びこれを使用する情報処理装置
JP5070606B2 (ja) 端末およびソフトウェアキー入力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10712905B2 (en) Display input device
CN104866228A (zh) 一种用于捏着便携智能设备操作的系统和方法
JP4713681B1 (ja) 足用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