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5201B1 -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5201B1
KR100555201B1 KR1020050119015A KR20050119015A KR100555201B1 KR 100555201 B1 KR100555201 B1 KR 100555201B1 KR 1020050119015 A KR1020050119015 A KR 1020050119015A KR 20050119015 A KR20050119015 A KR 20050119015A KR 100555201 B1 KR100555201 B1 KR 10055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ox
buried
temporary
concre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인
Original Assignee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1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 그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져 있고 외피는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임시매립부(200),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100),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결합되는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박스

Description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Concrete box for electricity work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임시매립부(200),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크리트 매립부(100) 110 : 콘크리트 매립부 몸체부
120 :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
200 : 임시매립부 210 : 매립부 몸체부
220 : 임시매립부 관통구 250 : 합성수지팩부
300 : 콘크리트 박스부 310 : 박스부 고정 관통부
320 :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 350 : 박스부 다리부
본 발명은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 그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져 있고 외피는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임시매립부(200),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100),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결합되는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 도중에 참여하여 전기공사 인력이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한다는 것이 참으로 곤욕이다.
좀 쉽게 그리고 융통성 있게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다면 좋겠다.
만약,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 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 좋겠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또한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다면 좋겠다.
더욱이,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 트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시매립부(200), 콘크리트 매립부(100),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 그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져 있고 외피는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임시매립부(200),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100),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결합되는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임시매립부(200),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 2도는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 그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져 있고 외피는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임시매립부(200),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100),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결합되는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사용방법은 형틀설치시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설치해 주는 제 1단계,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임시매립부(200)를 제거해주는 제 2 단계,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결합시켜주고 작업을 마무리해주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임시매립부(200)는 콘크리트 속에 나중에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설치하기 위한 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데,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는 상기 임시매립부(200)를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마감처리를 하면 된다.
따라서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임시매립부(200)는 충진재인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알갱이로 채워져서 몸체를 구성하는 임시매립부 몸체부(210), 상기 임시매립부 몸체부(21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임시매립부 관통구(220), 상기 임시매립부 몸체부(210)를 싸고 있는 외피로 형성되며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팩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임시매립부 관통구(220)의 갯수나 크기는 주위의 콘시트튜브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팩부(250) 안에 상기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알갱이가 채워져있으므로, 상기 임시매립부(200)를 제거하려고 할 때, 상기 합성수지팩부(250)가 콘크리트면으로 부터 잘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합성수지팩부(250)로 부터 상기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알갱이가 쏟아져 나오므로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임시매립부(200)는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알갱이가 압축되고 알갱이 상호간이 접착되어 합성수지팩이 없이 한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의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콘크리트 매립부 몸체부(110), 콘크리트 매립부 몸체부(110)가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표면으로 몸체 안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 하며 상기 임시매립부(200)에 부착되어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한 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그 단면이 역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면으로 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데, 그 단면이 콘크리트 속에 잘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다른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그 재질이 폐합성수지나 폐합성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는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상기 빈 공간에서 어느 정도 위치를 변경해 가면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는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의 상기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크면에 접촉되지 않는 부분은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 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제 3도는 본 발명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구성요소인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는 콘크리트면이나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접촉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 상기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의 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120)의 위치와 일치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박스부 고정 관통부(310), 상기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의 가장자리로 부터 아래로 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박스부 다리부(3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의 사용방법은 형틀설치시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설치해 주는 제 1단계,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임시매립부(200)를 제거해주는 제 2 단계,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결합시켜주고 작업을 마무리해주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스부 고정 관통부(310)에는 기설치된 콘시트튜브가 끼워지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마개로 막아서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아줄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의 결합은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120)와 상기 박스부 고정 관통부(310)를 나사나 스크류로 조여주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급작스런 설계변경으로 콘크리트 박스가 필요 없게 된 경우에 콘크리트 박스를 제거하거나 다른 재료를 채워 넣거나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고 간단하게 콘크리트 면을 마감처리 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콘크리트 속에 콘크리트 박스를 매립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확보된 빈 공간 내에서 시공자가 원하는 위치에 콘크리트 박스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콘크리트 박스의 일부분만 콘크리트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분은 콘크리트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식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박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 그 내부는 충진재로 채워져 있고 외피는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임시매립부(200);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기다란 선형부재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100);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같은 형상이되 상기 임시매립부(20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결합되는 콘크리트 박스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매립부(200)는
    충진재인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알갱이로 채워져서 몸체를 구성하는 임시매립부 몸체부(210);
    상기 임시매립부 몸체부(21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임시매립부 관통구(220);
    상기 임시매립부 몸체부(210)를 싸고 있는 외피로 형성되며 투명 합성수지팩으로 형성되는 합성수지팩부(250);
    를 포함하는 임시매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콘크리트 매립부 몸체부(110)가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되며 표면으로 몸체 안으로 형성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는 상기 임시매립부(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상기 임시매립부(200)에 부착되어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한 몸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매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는
    콘크리트면이나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접촉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
    상기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의 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 고정부(120)의 위치와 일치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박스부 고정 관통부(310);
    상기 박스부 콘크리트 접촉부(320)의 가장자리로 부터 아래로 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박스부 다리부(350);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박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형틀설치시 상기 임시매립부(200)와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를 설치해 주는 제 1단계;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상기 임시매립부(200)를 제거해주는 제 2 단계;
    상기 콘크리트 매립부(100)와 상기 콘크리트 박스부(300)를 결합시켜주고 작업을 마무리해주는 제 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사용방법.
KR1020050119015A 2005-12-07 2005-12-07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KR10055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15A KR10055520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015A KR10055520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201B1 true KR100555201B1 (ko) 2006-03-03

Family

ID=3717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015A KR100555201B1 (ko) 2005-12-07 2005-12-07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2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889A (ko) * 1994-11-09 1996-06-17 후루카와 쥰노스케 합성수지 매틸배선박스
KR20000016865A (ko) * 1998-08-28 2000-03-25 아끼구사 나오유끼 Ito막접촉구조,tft기판및그제조방법
KR20020003037A (ko) * 2000-06-30 2002-01-10 이 상 종 바리케이트용 지주 및 그 시공방법
KR200276329Y1 (ko) 2002-02-28 2002-05-18 (주)삼부테크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
KR200317441Y1 (ko) 2003-03-12 2003-06-25 유인섭 수축확장 콘센트 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9889A (ko) * 1994-11-09 1996-06-17 후루카와 쥰노스케 합성수지 매틸배선박스
KR20000016865A (ko) * 1998-08-28 2000-03-25 아끼구사 나오유끼 Ito막접촉구조,tft기판및그제조방법
KR20020003037A (ko) * 2000-06-30 2002-01-10 이 상 종 바리케이트용 지주 및 그 시공방법
KR200276329Y1 (ko) 2002-02-28 2002-05-18 (주)삼부테크 매립형 전기 배선박스
KR200317441Y1 (ko) 2003-03-12 2003-06-25 유인섭 수축확장 콘센트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7251A (zh) 车辆控制模块的保护罩
KR101681875B1 (ko) 토목건축물용 교량의 배수장치
KR101535669B1 (ko)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100555201B1 (ko) 전기공사 콘크리트 박스 및 사용방법
CN113474511B (zh) 排水系统、单元和方法
KR101515920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 고정 장치
JP3160407U (ja) 排水トラップ改修用部品
KR101234813B1 (ko) 공동주택용 매립형 배전박스의 고정 장치
KR101713091B1 (ko) 배수파이프 개방 유지모듈
KR200460713Y1 (ko) 매립형 단자블록 고정장치
JP5350200B2 (ja) 地中埋設箱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17886A1 (en) In-wall electrical box
KR101568972B1 (ko) 철골 콘크리트 합성 기둥용 강관 및 이를 이용한 기둥 시공 방법
WO201603417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onformteilen
KR20090127564A (ko) 맨홀블록,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186581B2 (ja) 雨水等の地下式貯留・浸透槽
KR101535116B1 (ko)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1606424B1 (ko) 도로포장의 측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KR101411579B1 (ko) 디자인 가변형 금속소재 맨홀뚜껑과 그 제조방법
KR101307577B1 (ko) 그라우팅 패드용 거푸집과 이것을 이용한 그라우팅 패드 시공방법
WO2012053999A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mounting embodiment in tunnel formwork constructions
KR101262856B1 (ko) 콘크리트 맨홀 성형틀
KR200369499Y1 (ko) 싱크대배수관용 슬리브
KR20100063244A (ko) 맨홀 커버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52192Y1 (ko) 맨홀뚜껑의 손잡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