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964B1 - 정보를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를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964B1
KR100553964B1 KR1019980707731A KR19980707731A KR100553964B1 KR 100553964 B1 KR100553964 B1 KR 100553964B1 KR 1019980707731 A KR1019980707731 A KR 1019980707731A KR 19980707731 A KR19980707731 A KR 19980707731A KR 100553964 B1 KR100553964 B1 KR 10055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recording
value
inform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4805A (ko
Inventor
페트루스 크리스티아누스 요하누스 외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6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5Recording involving reflectivity, absorption or colour chan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 G11B7/0052Reproducing involving reflectivity, absorption or colour chan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재기록가능한 CD-RW와 같은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형태를 갖는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먼지 및 지문에 기인한 표면의 오염에 의해 기록된 정보패턴의 품질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자는, 기록전력 P의 제어값이 측정된 반사도 R에 반비례해야 하지만, 이 제어값이 그것에 정비례하는 값보다는 작아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P*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효과적인 제어를 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오염을 취급하기에 적합한 제어는 P*Rx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데, 이때 x는 0.5 내지 0.8 사이의 값을 갖는다. 또한, 주사될 트랙의 옆에 형성된 복수의 측면 스폿으로부터 발생된 신호로부터 반사도 R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기록매체를 통해 반사되는 일정한 출력을 갖는 전자기 방사빔을 사용하여 기록매체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며, 반사되기 이전 및 이후의 빔의 출력비를 나타내는 반사도에 근거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정보 기록용 장치에 대해서는 US 5,184,343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광 기록매체에 복수의 정보패턴을 기록하는 레이저와,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는, 기록매체를 통해 반사된 출력을 측정하는 센서회로가 설치된다. 기록과정 중에 먼지 입자와 같은 기록매체의 표면 상의 오염이 반사된 출력을 평균값 이하로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어수단이 측정된 감소값에 비례하는 양만큼 출력을 증가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패턴이 가능한한 균일한 품질을 갖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반사도에 비례하는 량보다 작은 량에 의해 상기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표면이 오염된 경우에 정보층 상에 형성된 스폿에 존재하는 빔의 출력이 더 작은 양만큼 변화되어, 복수의 정보패턴이 더욱 균일한 품질을 갖게 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구나, 본 발명은, 측정된 반사도가 방사원으로부터 기록층까지의 전달 경로를 통해 입사 및 반사되는 빔의 출력 손실에 비례한다는 착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록매체의 표면 상의 오염이 2회 통과된다. 빔과 기록층 사이의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투과율 T가 먼지 입자로 인해 예를 들어 T-Δ T로 감소하면, 정보층에 의해 흡수되는 출력도 ΔT 만큼 줄어든다. 그러나, 반사된 출력은 이 빔이 전달 경로를 다시 통과한 이후에 측정되므로, 감소값 ΔR이 ΔT보다 커지게 되어, 이에 대체 원리상 다음 식이 성립한다:
R-Δ R = (T-Δ T)*(T-Δ T).
이러한 제어가 갖는 목적은, 정보층에 의해 흡수된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정보패턴이 일정한 품질을 갖기 때문이다. 종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레이저 출력이 반사도에 정비례하여 증가하는 경우에, 반사된 출력은 일정하지만 정보층 상의 스폿 내부의 출력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정보층이 오염된 경우에는 공칭값보다 큰 출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은 측정된 반사도에 정비례하는 값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에 비례하도록 변형되며, 이때, P* 은 상수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P*Rx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P는 출력을 나타내고, R은 반사도를 나타내며, x는 0.2 내지 0.9 사이에 있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줄어든 반사도 R로 인해, 출력 P가 정비례하는 경우보다 덜 증가하는 한편, 일정한 값을 통해 출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값은 반사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데, 이것은 x = 0.5에 해당한다. 이러한 구성은, 균일하게 오염된 경우에 정보층 내부에 흡수되는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x가 0.5 내지 0.8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입사 및 반사된 빔이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빔의 중심에 놓인 강하게 흡수하는 오염이 더욱 효과적으로 보상되므로, 반사된 빔의 출력과 이에 따른 측정된 반사도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구나, 이와 같은 구성은, 기록매체의 정보층 상에 빔에 의해 형성된 스폿의 효율 감소를 보상하여, 출력의 증가가 반사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것 보다 더 커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정보가 기록매체 상의 트랙에 기록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어수단이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스폿을 형성하는 보조 빔의 반사된 출력에 근거하여 반사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반사된 출력이 트랙 내부의 복수의 정보패턴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정보패턴의 품질에 의해 최소한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러한 발명내용과 또 다른 발명내용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실시예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재기록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빔에 의해 형성된 트랙과 스폿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레이저용 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a는 기록용으로 형성된 트랙(9)과 중앙개구(10)를 갖는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1)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트랙(9)은 복수의 와인딩(turn)(3)으로 이루어진 나선형 패턴에 따라 배치된다. 기록매체 상의 트랙(9)은 블랭크 기록매체의 제조과정 중에 형성된 트랙 구조로 표시된다. 상기한 트랙 구조는, 예를 들어 주사과정 동안 기록 헤드가 트랙(9)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예비홈(4)으로 구성된다. 도 1b는 기록매체(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투명 기판(5)에는 기록층(6)과 보호층(7)이 설치된다. 이때, 예비홈(4)은, 하강부(indentation) 또는 상승부(elevation)로서 구성되거나 그것의 주위와 다른 물질 특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트랙 구조는, 랜드 및 홈 패턴으로 불리는, 하강된 복수의 와인딩에 의해 교대로 형성된 상승된 와인딩으로 구성되면서, 와인딩 당 랜드로부터 홈으로의 전이 또는 역으로의 전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1c는 이러한 예비홈의 주기적인 변조(워블(wobble))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워블은 트랙킹 서보레코더에 추가적인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한 워블은, 예를 들어 어드레스와 같은 주파수 및 위치 정보로 변조되거나, 변조파 내부에 타임코드가 인코딩된다. 이와 달리, 트랙 구조는 주기적으로 트랙킹 신호를 발생하는 규칙적으로 분산된 복수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랙 구조의 또 다른 예로는,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정보블록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의 출발점을 표시하는 광학적으로 기록가능한 복수의 마크로 이루어진 복수의 헤더 심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와인딩이 나선형 대신에 동심원 형태를 갖는 다른 트랙 패턴, 또는 광학 테이프와 같이 다른 형태를 갖는 기록매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기록층(6)은, 공지된 CD-레코더블 등과 같이 정보를 기록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또는 광자기적으로(MO) 기록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록과정 중에, 기록층은 레이저광과 같은 전자기 방사빔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된다. 재기록가능한 기록매체 내부의 기록층은, 예를 들어 정확한 양으로 가열되는 경우에 비정질 또는 결정 상태를 얻는 상변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재기록가능한 디스크는 신규한 고밀도 광 디스크, 즉 디지탈 다기능 디스크(DVD) 장치에 설치되는데, 이것은 DVD-RAM으로 불린다.
도 2는 정보의 기록을 위해 기록매체 상에 배치된 3개의 평행한 트랙 부분(21, 22, 23)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부분(21)에는, 예를 들어, CD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연속된 복수의 피트(pit) 또는 MO에 있어서 편광 회전 영역과 같은, 방사선을 교대로 반사하는 연속적인 복수의 영역의 형태를 갖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정보패턴(24)으로 표시된 정보가 기록된다. 두번째 부분(22)에는 정보패턴이 아직 기록되지 않은 상태로, 중앙 스폿(26)이 기록 또는 재생과정 중에 트랙을 주사하는 동안 공급된 방사빔에 의해 트랙의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한 중앙 스폿을 트랙의 중심에 유지하기 위해, 빔의 위치가 서보계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트랙킹 서보계에 대해서는 CD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다. 서보계의 가능한 실시예는, 따라가야 할 트랙을 벗어난 일정 거리에, 예를 들어 트랙 피치의 4분의 1 또는 절반의 위치에 있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보조 빔에 의해 형성된 여분의 측면 스폿(25, 27)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보조 빔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광학계(33)에 존재하는 중심 빔으로부터 분할될 수 있다.
도 3은 기록매체(1) 상에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장치에는, 전자기 방사빔(32)을 발생하기 위한 예를 들어 레이저와 같은 방사원(31)과, 방사원(31)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며, 이 제어수단은 검출부(35)와 제어회로(30)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원은 제어신호(36)를 통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입력을 갖는다. 상기 빔(32)은 광학계(33)와 투명 기판(5)을 통해 정보층(6) 상에 투사되어, 이 층 위에 복수의 정보 패턴을 판독 또는 기록하기 위한 스폿(34)을 형성한다. 반사된 후에, 상기 빔(32)은 광학계(33)를 통해 검출부(35)로 보내진다. 검출부에서는, 검출된 빔(32)이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를 통해 반사신호(39), 예를 들면 반사된 후의 빔의 출력에 비례하는 전류로 변환된다. 더구나, CD(미도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판독용 신호와 트랙킹 서보용 신호가 검출부(35)에서 발생된다. 상기 반사신호(39)는,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방법으로 제어신호(36)를 통해 방사원(31)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0)에 접속된다. 이때, 제어회로는, 기록될 정보를 공급하는 변조 입력(37)과, 방사원의 평균 출력을 조정하는 설정 입력(38)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제어회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어신호(36)를 통해 반사신호(39)에 비례하는 값보다 작은 값에 의해 레이저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회로는 아날로그 회로,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것과 같은 블록도에 따른 IC로 실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한 제어회로는, 반사신호(39)가 먼저 A/D 변환되고 제어신호(36)가 최종적으로 D/A 변환되는 디지탈 연산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기록과정 중에 기록층(6) 상에 복수의 정보패턴을 가능한한 정확히 형성하여, 판독과정 중에 최소의 에러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층(6)과 마주보는 기판(5)의 표면(11)이 예를 들어 먼지 또는 지문에 의해 오염되는 경우에는, 방사빔의 출력의 일부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손실은 반사신호의 감소를 참조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손실에 비례하여 방사원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경우에 정보패턴이 일정한 품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품질은, 무엇보다도 스폿(34)에 의해 정보층(6)으로 공급되는 출력에 의존한다. 따라서, 기록과정 중에 방사원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와 같은 출력 공급을 가능한한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종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빔이 오염을 왔다갔다 가로지른 이후에 반사도가 측정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기록층에 대한 빔의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투과율 T와 반사도 R에 있어서, 출력 P가 측정된 감소값에 비례하는 값보다 작은 양만큼, 원칙적으로는 에 비례하도록 변형되어야 하며, 이때, P*은 상수가 된다. 이에 따라, 정보층에 주어지는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제어회로(30) 내부의 상기 연산부에서는, P*이 예를 들어 설정 입력(38)을 통해 주어진 일정한 조정값과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P*Rx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 때, x는 0.2 내지 0.9 사이의 값을 갖는다. 종래의 비례 제어(x=1)에 있어서는,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너무 과도한 출력이 정보층으로 공급되어, 정보패턴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는 한편, 추가적인 정보층의 노화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변화 물질에 대해서는, 10%보다 큰 출력은 직접 오버라이트 용량(Direct OverWrite capacity: DOW)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다량의 오염인 경우에는 20 내지 50% 정도의 반사도 저하를 일으킨다. x=1인 경우에는, 정보층에 대한 출력이 10 내지 23%로 너무 높다. 실험에 따르면, 0.9보다 작은 x 값과 상기한 오염도에서, 정보패턴의 우수한 품질에 의해 DOW가 향상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에 반해, 0.5보다 작은 x 값에서는, 예를 들어 정보층이 흡수 편차를 갖는 경우에 제어가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제어과정은 더 작은 양만큼 보상을 하게 된다. x=0에서는(제어를 하지 않음), 오염이 존재하는 경우에 출력이 너무 빨리 낮아진다. 수 퍼센트의 에러가 발생하고 출력 공급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변화 물질 등의 통상적인 기록가능한 재료에 대해 정보패턴의 품질이 열화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에 따르면, 정보패턴의 품질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x가 적어도 0.2는 되어야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더구나, 입사빔의 일부를 커버하는 표면(11)과 빔의 교점의 중심부에 있는 먼지 입자는 반사된 빔의 동일한 부분을 커버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주사과정 중에, 이와 같은 입자는 커버된 부분을 통해 일시적으로 감소를 일으키는데, 이러한 감소는 커버된 퍼센트에 비례한다. 이 순간에는 보정값은 정비례해야 하지만, 이 순간 이전과 이후에는, 다시 R의 제곱근에 비례해야 한다. 제어회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0.5보다 큰 평균값이 x 값으로 취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기록되지 않거나 불충분하게 기록된 먼지 입자가 위치한 작은 영역은, 종래의 오류정정 장치에 의해 일반적으로 복구될 수 있는 정보패턴 내부의 짧은 인터럽션을 일으킨다. 비교적 큰 지문은, 에러가 큰 영역에 걸쳐 전파되어 정정하기가 더 어렵기 때문에, 충분히 보상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어값은 식 P*Rx = 상수로 표시될 수 있다. 반사도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는 출력의 제어값, 따라서 x=0.5가 지문에 대해 최적인 반면에, 먼지 입자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사용된 오류 정정 장치와 광학계의 구성에 의존하여 제어과정이 x=0.5와 x=0.8 사이의 값을 필요로 한다. 실제적으로, x=0.5 또는 이 값보다 약간 큰 값은 지문의 영향에 대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발생한다. 0.5보다 약간 큰 x 값에 대해서는, 오염에 의해 발생된 교란이 존재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스폿의 효율의 열화가 보상된다. 또한, 판독과정 동안에는, 표면의 오염이 발생한 경우에 출력을 비례하는 값보다 적게 제어함으로써 중심 스폿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거나 그것을 제한된 양 만큼만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레이저 출력이 단지 제한된 범위를 통해 조정되므로, 레이저의 열적 효과 및 노화에 기인한 빔의 편차가 줄어든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는, 반사신호(39)가 복수의 측면 스폿(25, 27)(참조: 도 2)으로부터 도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한 검출부(35)에는 복수의 측면 스폿을 위한 별개의 검출기가 설치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측면 스폿의 신호는 중심 스폿(26)보다 정보패턴의 존재 및/또는 부재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한 측면 스폿은, 주로 정보층 그 자체의 거의 일정한 반사도를 갖는 정보층의 일부 위에 있는 트랙 옆에 놓인다. 이에 따라, 측면 스폿의 신호는 반사도 R을 더 정확히 나타내게 된다. 더구나, 측면 스폿의 신호는 기록매체의 형태에 덜 의존한다. 반사신호(39)가 제어부에서 추가로 신호처리되기 이전에 반사신호의 HF 변동분을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필터링은 정보패턴을 갖는 트랙과 갖지 않는 트랙의 반사도의 평균 차이를 고려하면서, 트랙에 있는 복수의 정보패턴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심 스폿(26)에 앞서는 측면 스폿의 신호가 중심 스폿의 신호 또는 뒤따르는 측면 스폿의 신호보다 기록과정 동안 형성된 복수의 정보패턴에 의해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측면 스폿 각각의 신호가 별개로 필터링된다. 마지막으로, 보조 빔과 중심 빔은 그것들이 표면(11)을 교차할 때 거의 완전히 일치하므로, 오염에 의해 동일한 양만큼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용 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반사신호(39)는, 입력부(41)를 통해 예를 들어 증폭과 오프셋 전류의 추가에 의해 후속된 신호 처리에 적합하며 P*R 값을 갖는 신호로 변환된다. 신호 P*R은 승산기(42)로 값 P를 갖는 신호와 승산되어, 곱 P*P*R이 형성된다. 부 입력과 정 입력 사이의 차이를 적분하는 적분기(43)는, 부 입력에서 곱 P*P*R을 수신하고 정 입력에서는 설정 입력(38)으로부터 일정한 조정값을 수신한다. 피드백 제어에 의해, 상기 곱 P*P*R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적분기(43)의 출력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값 P를 갖는 신호이며, 이 신호는 레이저 구동부(44)에서 제어신호(36)로 변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곱 P*P*R을 일정한 값으로 제어하는 것은 *P*R과, 이에 따라 P*을 일정하게 하는 결과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P*P*P*R*R과 같이 다른 곱을 형성함으로써 이와 다른 관계를 얻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x가 2/3이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회로(30)에는, 출력신호 P와 적분기(43)의 부 입력에 접속된 리미터(45)가 설치된다. 상기한 리미터는 최대 출력을 조정하는 입력(46) 및/또는 최소 출력을 조정하는 입력(47)을 구비한다. 조정된 출력 한계값에 접근하면, 상기한 리미터(45)는 한계값이 초과하지 않도록 적분기(43)를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하한값 Pmin은, 예를 들어 기록매체의 형태로부터 도출되거나, 테스트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교정 과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최소 기록출력은 예를 들어 10%의 마진만큼 증가될 수 있으며, 이때, 이 값은 하한값 Pmin으로서 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회로에 있어서는, 설정 입력(38)에서의 상수 값이, 이 상수 값이 리미터(45)가 하한값의 통과를 검출할 때까지 서서히 감소하도록 하는 제어를 받는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반사도에 대한 가장 높은 발생값에서 일회전 당 한 지점에서 일어난다. 상기한 출력은 하한값 아래로 떨어지지는 않지만, 기록 출력이 최소한 항상 최소의 필요한 출력이 되고 이러한 최소값을 가능한한 작게 초과하도록 이 한계값 위에 근접하도록 유지해야 한다. 또한, 상한값은 최대의 허용가능한 레이저의 출력보다는 확실히 낮아야 하지만, 반사도의 측정값이 몇몇 경우에는 반사의 신뢰할만한 표시값이 아니며 정보층에서의 출력이 너무 높아져 DOW에 대해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예를 들어, 기록매체의 외부 모서리에서의) 복굴절로 인해, 측정된 반사 출력이 투과율에 비례하는 값보다 더 큰 양만큼 감소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실제로, 상기한 하한값 Pmin보다 15% 내지 50% 더 높은 상한값, 바람직하게는 Pmin보다 약 20% 더 큰 상한값 Pmax가 적합하다.

Claims (8)

  1. 일정한 출력을 갖는 전자기 방사빔을 통하여 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로서, 상기 빔은 기록매체를 경유하여 반사되며, 상기 장치에는 반사의 전후에서의 빔의 출력의 비를 나타내는 반사도에 의존하여 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설치되어 있는 정보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반사도에 비례하는 량보다 작은 량으로 빔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P*Rx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P는 출력을 나타내고, R은 반사도를 나타내며, x는 0.2 내지 0.9 사이에 있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x는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x는 0.5 내지 0.8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적어도 상기 출력을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리미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기록매체 상의 트랙에 기록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스폿을 형성하는 보조 빔의 반사된 출력에 근거하여 반사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7. 일정한 출력을 갖는 전자기 방사빔을 통하여 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빔은 기록매체를 경유하여 반사되며, 상기 방법에서는 반사의 전후에서의 빔의 출력의 비를 나타내는 반사도에 의존하여 빔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기록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빔의 출력은 반사도에 비례하는 량보다 작은 량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적어도 상기 출력을 최소값으로 제한하는 리미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80707731A 1997-01-29 1998-01-15 정보를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KR100553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229.9 1997-01-29
EP97200229 1997-01-29
PCT/IB1998/000057 WO1998033177A2 (en) 1997-01-29 1998-01-15 A method and a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05A KR20000064805A (ko) 2000-11-06
KR100553964B1 true KR100553964B1 (ko) 2006-05-23

Family

ID=822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731A KR100553964B1 (ko) 1997-01-29 1998-01-15 정보를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78014A (ko)
EP (1) EP0906618B1 (ko)
JP (1) JP2000508812A (ko)
KR (1) KR100553964B1 (ko)
CN (1) CN1126971C (ko)
DE (1) DE69816924T2 (ko)
ID (1) ID20263A (ko)
IL (1) IL126369A (ko)
MY (1) MY132760A (ko)
WO (1) WO19980331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1668A1 (fr) * 1998-08-20 2000-03-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nite de commande de puissance laser et dispositif a disque optique
JP2000311373A (ja) * 1999-04-28 2000-11-07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DE19932658A1 (de) * 1999-07-15 2001-01-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aserdiodenregelung bei wiederbeschreibbaren optischen Aufzeichnungsgeräten
US7023777B2 (en) * 2000-01-13 2006-04-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with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dirt on the optical disk
KR20030029931A (ko) * 2001-07-09 2003-04-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기록제어방법
US20050242072A1 (en) * 2002-06-14 2005-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scanning and cleaning an information carrier
WO2007000682A1 (en) * 2005-06-27 2007-01-04 Arima Devices Corporation Optical pick-up unit for use in an optical p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343A (en) * 1991-05-06 1993-02-02 Johann Donald F Compensation for dust on an optical disk by increasing laser writing power
US5550800A (en) * 1994-05-03 1996-08-2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Pick-up with adap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815A (en) * 1988-02-22 1990-03-13 Gregg David P Optical recording system utilizing proportional real-time feedback control of recording beam intensity
ATE282238T1 (de) * 1991-02-18 2004-11-15 Sony Corp Plattenkassette und platten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US5297129A (en) * 1992-12-24 1994-03-22 Optical Disc Corporation Waveform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recor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343A (en) * 1991-05-06 1993-02-02 Johann Donald F Compensation for dust on an optical disk by increasing laser writing power
US5550800A (en) * 1994-05-03 1996-08-2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Pick-up with adap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6369A (en) 2002-11-10
WO1998033177A3 (en) 1998-11-05
CN1220758A (zh) 1999-06-23
JP2000508812A (ja) 2000-07-11
DE69816924D1 (de) 2003-09-11
KR20000064805A (ko) 2000-11-06
WO1998033177A2 (en) 1998-07-30
EP0906618A2 (en) 1999-04-07
MY132760A (en) 2007-10-31
EP0906618B1 (en) 2003-08-06
DE69816924T2 (de) 2004-06-17
IL126369A0 (en) 1999-05-09
ID20263A (id) 1998-11-12
CN1126971C (zh) 2003-11-05
US5878014A (en) 199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5035B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thod
EP0144436B1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559391B1 (en) Magneto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4075185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法及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311021A (ja) 実行時の最適パワー制御のための装置
KR100245544B1 (ko) 방사 감응층을 갖는 기록 매체 상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장치
KR100553964B1 (ko) 정보를기록및재생하는방법및장치
KR19990082314A (ko) 광 기록매체
KR20050052606A (ko) 정보저장매체, 이에 기록된 정보재생방법 및 장치
JP3916675B2 (ja) 光学的記録方法及び該方法を使用する装置
KR0132569B1 (ko) 광기록 캐리어와, 정보 판독 및 기록 장치
US4875203A (en) Tracking servo signal generating device for an optical disc
CN100380481C (zh) 记录载体以及用于扫描记录载体的设备和方法
KR20060103833A (ko) 정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정보 기록 재생 장치
JP3292773B2 (ja)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2001297437A (ja) 光記録装置及び光記録方法
JP3995838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記録パワー設定方法
JPH08339541A (ja) 試書き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4042217B2 (ja) 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312113B2 (ja) 光記憶装置における再生光量制御装置、再生光量制御方法および光記録媒体
JPH07262590A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H0619845B2 (ja) デイスク変動状態検出装置
JPH06274922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1055543A (ja) 光情報再生装置
US8391115B1 (en) Method of improving quality of optical recording using circumferentially repeatable compen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