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604B1 -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604B1
KR100551604B1 KR1020030040552A KR20030040552A KR100551604B1 KR 100551604 B1 KR100551604 B1 KR 100551604B1 KR 1020030040552 A KR1020030040552 A KR 1020030040552A KR 20030040552 A KR20030040552 A KR 20030040552A KR 100551604 B1 KR100551604 B1 KR 10055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rinted
transparent ink
rosi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014A (ko
Inventor
조항태
Original Assignee
조항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태 filed Critical 조항태
Priority to KR102003004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6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8Sequential or multiple printing, e.g. on previously printed background; Mirror printing; Recto-verso printing; using a combination of different printing techniques; Printing of patterns visible in reflection and by transparency; by superposing printed artif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반사가 달라짐으로 인한 서로 다른 느낌을 주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피인쇄면에 단색 또는 다색으로 그림이나 문자 등이 인쇄되는 제1인쇄부와, 제1인쇄부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투명하고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는 넓은 면적의 제2인쇄부와, 제1인쇄부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제2인쇄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투명하게 형성되는 제3인쇄부를 포함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물을 제공한다.
또 피인쇄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자 등의 패턴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는 색도인쇄단계와, 색도인쇄단계에서 형성된 패턴 중의 일부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도포하는 투명인쇄단계와,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도포된 부분에 송진분말을 점착시키는 송진점착단계와, 송진분말을 용융시키는 가열단계와, 송진분말이 용융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경화시키는 고착단계를 포함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을 제공한다.
인쇄, 다단, 엠보싱, 요철, 돌출, 자외선경화 잉크, 송진, 투명

Description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Printed Matter with Multistage Embossment and Printing Process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부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투명한 요철(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반사가 다름으로 인하여 다양한 느낌을 주는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이나 달력 등에는 그림, 도안, 문자, 기호 등이 다색으로 인쇄된다.
상기 인쇄로는 모든 그림이나 문자 등이 피인쇄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인쇄되는 평면인쇄와, 특정 부분이 피인쇄면보다 돌출되어 인쇄되는 엠보싱인쇄가 있다. 상기 엠보싱인쇄는 평면인쇄에 비하여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므로 홍보용 인쇄물에 많이 사용된다.
종래 엠보싱인쇄는 강조하고자 하는 그림이나 문자의 특정 부분을 피인쇄면보다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인쇄하므로, 피인쇄면과 돌출된 엠보싱면의 2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엠보싱인쇄된 부분에 있어서는 입체감이 있지만, 이 입체감도 단순한 입체감으로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동일한 느낌밖에 주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단으로 요철(엠보싱)을 형성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의 반사가 달라짐으로 인한 서로 다른 느낌을 주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홍보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한 다단 엠보싱 인쇄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된 상태에서 자외선(UV)경화 투명잉크를 특정 부분에 소정의 패턴으로 도포하고 여기에 송진분말을 살포한 상태에서 열을 가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다단으로 요철(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물은 피인쇄면에 단색 또는 다색으로 그림이나 문자 등이 인쇄되는 제1인쇄부와, 상기 제1인쇄부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투명하고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는 넓은 면적의 제2인쇄부와, 상기 제1인쇄부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제2인쇄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투명하게 형성되는 제3인쇄부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은 피인쇄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자 등의 패턴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는 색도인쇄단계와, 상기 색도인쇄단계에서 형성된 패턴 중의 일부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도포하는 투명인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도포된 부분에 송진분말을 점착시키는 송진점착단계와, 상기 송진분말을 용융시키는 가열단계와, 상기 송진분말이 용융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경화시키는 고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인쇄면(2)에 단색 또는 다색으로 그림이나 문자 등이 인쇄되는 제1인쇄부(4)와, 상기 제1인쇄부(4)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투명하고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는 넓은 면적의 제2인쇄부(6)와, 상기 제1인쇄부(4) 중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제2인쇄부(6)보다 높게 돌출되어 투명하게 형성되는 제3인쇄부(8)를 포함한다.
상기 제2인쇄부(6) 및 제3인쇄부(8)를 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인 쇄부(4)의 그림이나 문자 등의 색상이나 형태가 그대로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제3인쇄부(8)는 높이가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인쇄되지만, 상기 제2인쇄부(6)는 높이가 거의 없어 상기 제1인쇄부(4)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도 존재하며 상기 제3인쇄부(8)의 높이보다 20%이상 감소된 높이로 전체적으로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요철형상이 형성되어 인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인쇄면(2)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자 등의 패턴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인쇄하는 색도인쇄단계(P10)와, 상기 색도인쇄단계(P10)에서 형성된 패턴 중의 일부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를 도포하는 투명인쇄단계(P20)와,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도포된 부분에 송진분말(22)을 점착시키는 송진점착단계(P30)와, 상기 송진분말(22)을 용융시키는 가열단계(P40)와, 상기 송진분말(22)이 용융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를 경화시키는 고착단계(P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색도인쇄단계(P10)는 피인쇄면(2)에 옐로우(12), 시안(14), 마젠타(16), 블랙(18)의 색상을 단계적으로 인쇄하여 소정의 칼라색상을 갖는 그림이나 문자 등의 제1인쇄부(4)를 형성한다.
상기 색도인쇄단계(P10)는 일반적인 단색 또는 다색 인쇄방식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명인쇄단계(P20)에서 사용하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는 송진분말 과 리듀서(reducer)를 소량 첨가하여 점도 및 유동성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송진분말은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 1kg에 대하여 대략 1∼100g 정도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진분말의 첨가량이 10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유동성이 너무 저하되어 고르게 인쇄가 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고, 송진분말의 첨가량이 1g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의 효과가 거의 없어 의미가 없다.
상기 리듀서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 1kg에 대하여 대략 3∼30cc 정도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듀서의 첨가량이 30c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서 인쇄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비인쇄영역까지 인쇄가 될 우려가 있고, 리듀서의 첨가량이 3cc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의 효과가 거의 없어 의미가 없다.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는 피인쇄면(2)에 인쇄된 제1인쇄부(4)의 그림이나 문자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차폐하지 않도록 무색투명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투명인쇄단계(P20)에서는 상기 제2인쇄부(6)와 제3인쇄부(8)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를 도포한다.
상기 투명인쇄단계(P20)에서는 상기 제2인쇄부(6)에 대응하는 패턴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얇은 두께로 불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3인쇄부(8)에 대응하는 패턴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상기 제2인쇄부(6)에 대응하는 패턴보다도 두껍고 고른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인쇄단계(P2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2인쇄부(6) 및/또는 제3인쇄부(8)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필름이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인쇄(도포)를 행한다.
상기 투명인쇄단계(P20)에서 인쇄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 부분은 쉽게 건조되거나 굳어지지 않으므로, 다음의 송진점착단계(P30)에서 살포되는 송진분말이 고르게 점착된다.
상기에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점도(유동성)을 송진분말 및/또는 리듀서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조절하지 않으면, 제2인쇄부(6) 및 제3인쇄부의 경계면이 모호(불분명)하게 되고 인쇄품질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내에서 송진분말 및/또는 리듀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바람직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는 인쇄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잔량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데, 이 때 재사용하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의 경우에는 유동성이 점차 저하된다. 따라서 재사용의 횟수에 따라서 첨가하는 리듀서나 송진분말의 양을 높여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진점착단계(P30)에서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된 부분과 그 주변에 송진분말(22)을 고르게 살포하고, 가볍게 털거나 바람을 불어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된 송진분말(22)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송진분말(22)을 고르게 살포하면, 송진분말(22)은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된 부분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경화되거나 건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잘 점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고,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부분에는 부착력이 거의 없어 가벼운 진동이나 바람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된다.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되지 않은 제1인쇄부(4)의 경우에도 색도인쇄를 행한 부분은 완전하게 건조된 상태이므로 전혀 인쇄가 되지 않은 면과 동일한 상태로 송진분말(22)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진분말(22)은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인쇄된 부분에만 점착된다.
상기에서 제2인쇄부(6)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인쇄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는 얇은 두께로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있으므로 부착되는 송진분말(22)의 양도 작고 부착량도 일정하지 않고 불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3인쇄부(8)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인쇄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경우에는 두께가 두껍고 균일하므로 상기 제2인쇄부(6)에 비하여 많은 양의 송진분말(22)이 균일한 양으로 부착된다.
상기 가열단계(P40)는 빛이나 히터 등을 이용하여 송진분말(22)이 점착된 부분을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송진분말(22)을 용융시킨다. 이 때 송진분말(22)은 용 융되면서 투명한 색을 띠게 된다.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는 가열에 의해서는 건조되지 않으므로 송진분말(22)의 용용액이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에 혼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제3인쇄부(8)의 부분에는 많은 양의 송진분말(22)이 점착되어 있으므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양에 더하여 많은 양의 송진분말(22) 용융액이 혼합되어 두껍게 돌출된 상태로 되고, 상기 제2인쇄부(6)의 부분에는 적은 양의 송진분말(22)이 점착되어 있으므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의 양에 더하여 작은 양의 송진분말(22) 용융액이 혼합되어 얇은 두께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상기에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와 송진분말(22) 용융액의 혼합액은 유동성이 매우 작으므로 인쇄된 영역을 유지하고, 비인쇄영역으로 쉽게 뭉그러지지 않는다.
상기 고착단계(P50)는 자외선램프 등을 사용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와 송진분말(22) 용융액의 혼합액이 도포된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를 경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경화 투명잉크(20)가 자외선에 의하여 경화되면 송진분말(22)의 고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제1인쇄부(4)로부터 제2인쇄부(6) 및 제3인쇄부(8)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에 의하면, 색도인쇄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으로 인쇄된 그림이나 문자 위에 다시 다단의 두께로 투명층이 형성되므로, 빛이 투명층에 반사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은 느낌을 주게 되고, 새로운 패션감과 호기심을 주게 된다.
따라서 특정 문자나 상표, 브랜드, 기호, 문장 등에 대한 시인성이 크게 향상되고 달력이나 카달로그, 명함, 안내지, 청첩장, 초대장 등의 홍보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에 의하면, 색도인쇄된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투명층의 두께가 높고 일정한 제3인쇄부와 두께가 낮으면서 불균일한 제2인쇄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므로 손으로 만지는 경우에도 오톨도톨한 촉감을 느낄 수 있어 새로운 흥미를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물에 의하면,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제3인쇄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낮으면서 불균일한 높이로 다수의 요철이 돌출되는 제2인쇄부를 형성하므로, 실제적인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혁제품에 인쇄한 듯한 고급스런 느낌을 주게 된다.
나아가 다수의 점을 이용하여 그림이나 문자 등을 표현한 경우에 점부분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점이 입체적으로 반짝이면서 시인되어 표현된 그림 이나 문자가 3차원적으로 돌출되어 사실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향상된 인쇄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에 의하면, 색도인쇄가 완료된 다음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소정의 패턴으로 인쇄하고 송진분말을 살포하므로, 송진분말의 점착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부터 두께가 두꺼운 제3인쇄부와 두께가 얇으면서 불균일한 높이를 갖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는 제2인쇄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에 의하면,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사용하므로 송진분말을 가열하여 용융하는 과정에서 잉크가 경화되지 않아 충분하게 투명한 제2인쇄부와 제3인쇄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도인쇄된 제1인쇄부가 손상됨이 없이 시인가능하게 되고, 실제 인쇄된 색상을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경화시켜 고착시키므로 인쇄된 상태 그대로 고착이 이루어지고, 경화과정에서 투명층에 균열이나 잔금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에 의하면, 자외선경화 투명잉크의 유동성을 송진분말과 리듀서를 미량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상태의 인쇄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적절한 투명층(제2인쇄부 및 제3인쇄부)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삭제
  2. 피인쇄면에 단색 또는 다색으로 그림이나 문자 등이 인쇄되는 제1인쇄부와, 상기 제1인쇄부 중의 일부에 소정의 패턴으로 투명하고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는 넓은 면적의 제2인쇄부와, 상기 제1인쇄부 중의 일부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제2인쇄부보다 높게 돌출되어 투명하게 형성되는 제3인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쇄부 및 제3인쇄부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와 송진분말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형성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물.
  3. 피인쇄면에 소정의 그림이나 문자 등의 패턴을 단색 또는 다색으로 제1인쇄부를 인쇄하는 색도인쇄단계와,
    상기 색도인쇄단계에서 형성된 제1인쇄부 패턴 중의 일부 위에 제2인쇄부와 제3인쇄부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도포하는 투명인쇄단계와,
    상기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도포된 부분에 송진분말을 점착시키는 송진점착단계와,
    상기 송진분말을 용융시키는 가열단계와,
    상기 송진분말이 용융된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를 경화시켜 제2인쇄부와 제3인쇄부를 형성하는 고착단계를 포함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인쇄단계에서 사용하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는 송진분말을 자외선경화 투명잉크 1kg에 대하여 1∼100g, 리듀서를 자외선경화 투명잉크 1kg에 대하여 대략 3∼30cc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점도 및 유동성을 조정하여 사용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인쇄단계에서는
    상기 제2인쇄부에 대응하는 패턴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얇은 두께로 불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3인쇄부에 대응하는 패턴에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상기 제2인쇄부에 대응하는 패턴보다도 두껍고 고른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패턴을 형성하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진점착단계는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도포된 부분과 그 주변에 송진분말을 고르게 살포하고,
    가볍게 털거나 바람을 불어서 자외선경화 투명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 부착된 송진분말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다단 엠보싱 인쇄방법.
KR1020030040552A 2003-06-23 2003-06-23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KR10055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52A KR100551604B1 (ko) 2003-06-23 2003-06-23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52A KR100551604B1 (ko) 2003-06-23 2003-06-23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014A KR20050000014A (ko) 2005-01-03
KR100551604B1 true KR100551604B1 (ko) 2006-02-13

Family

ID=3721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552A KR100551604B1 (ko) 2003-06-23 2003-06-23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71B1 (ko) * 2006-03-23 2007-04-17 조항태 다단 엠보싱 자동 인쇄시스템
KR102331994B1 (ko) * 2020-08-10 2021-12-01 조항태 점자양장도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99B1 (ko) * 2009-05-11 2009-09-22 대원항업 주식회사 건물 번호판의 표면 인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71B1 (ko) * 2006-03-23 2007-04-17 조항태 다단 엠보싱 자동 인쇄시스템
KR102331994B1 (ko) * 2020-08-10 2021-12-01 조항태 점자양장도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014A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7578A (en) Desk top printing of raised text, graphics, and braille
KR200280679Y1 (ko) 장식용 스티커 시트
US20050249929A1 (en) Digitally printed surface covering
JPH07257097A (ja) 転写の作成
KR20190120241A (ko) 데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데칼 및 데칼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오브젝트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한 방법
KR20040099252A (ko) 입체 인쇄 화상을 제작하는 방법과 입체 인쇄물
CN104039555A (zh) 用于减少光泽带的样式化透明层应用的打印系统
US63000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sign and/or sign on glass, glass-ceramic or ceramic articles
US20010036871A1 (en) Method of applying high-fidelity color printed indicia to a golf ball
KR100551604B1 (ko) 다단 엠보싱 인쇄물 및 그 인쇄방법
KR100676388B1 (ko) 인쇄방법
JPS62251183A (ja) 樹脂に対する印刷方法
KR100259503B1 (ko) 컴퓨터를이용한인쇄강판제작방법
CN109715404A (zh) 罐压印装置和相关的方法
JPS59109387A (ja) 合成樹脂製容器の表面に模様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製品
KR100707771B1 (ko) 다단 엠보싱 자동 인쇄시스템
JP2004098017A (ja)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このパターン形成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たデバイス
JPH0821749A (ja) 表示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72427B2 (ja) ガラス印刷方法及びガラス容器
KR101954873B1 (ko) 입체감을 갖는 이미지 인쇄 방법 및 인쇄물
TW202124178A (zh) 一種使用於uv噴墨印表機上可施行印後燙金之列印方法
JP3498984B2 (ja) 描画焼成体の製造方法
WO2000040661A1 (en) Printing composition, process and prin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751138B2 (ja) キートップの製造方法
JPS5983158A (ja) 樹脂パタ−ン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