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017B1 -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 Google Patents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017B1
KR100550017B1 KR1020030095400A KR20030095400A KR100550017B1 KR 100550017 B1 KR100550017 B1 KR 100550017B1 KR 1020030095400 A KR1020030095400 A KR 1020030095400A KR 20030095400 A KR20030095400 A KR 20030095400A KR 100550017 B1 KR100550017 B1 KR 10055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 transistor
transconductor
input voltage
mos transistors
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116A (ko
Inventor
이병우
김천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0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048Calibrating and standardising a dif 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칩 사이즈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증대시키지 않도록 출력 전류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랜스컨덕터 회로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는, 차동 증폭기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주 회로부, 상기 주 회로부에 일정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주 회로부의 소정 노드와 연결되어, 출력 전류의 왜곡을 보상하는 보조 회로부, 및 상기 출력 전류의 왜곡 보상 동작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 전류원을 포함한다.
트랜스컨덕터(transconductor), 서브 쓰레쏠드(Sub threshold), 포화(saturation)

Description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Transconductor circuit composed of MOS Transistors}
도 1은 일반적인 트랜스컨덕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컨덕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한(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전류의 왜곡 특성을 모의 실험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컨덕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트랜스컨덕터 110 : 주 회로부
120 : 보조 회로부 130 : 전류원
M1-M6 : MOS 트랜지스터 Idc1,Idc2 : 정전류원
Is : 제어 전류원
본 발명은 트랜스컨덕터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컨덕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서, 전압을 전류로 변환시키는 회로이다. 즉, 트랜스컨덕터 회로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값이 출력된다. 이러한 트랜스컨덕터는 필터 및 이득 가변 증폭기등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 처리 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고집적 아날로그 신호에 의해 처리되는 트랜스컨덕터는 대부분 저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MOS 트랜지스터 또는 C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이들 MOS 및 CMOS트랜지스터는 입력 게이트 전류가 없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집적도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트랜스컨덕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트랜스컨덕터(10)는 입력부(20), 출력부(30) 및 전류원(40)으로 구성된다.
입력부(20)는 차동 증폭기 형태를 가지며, 제 1 MOS 트랜지스터(M1), 제 2 MOS 트랜지스터(M2) 및 저항(R1)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게이트에 제 1 및 제 2 입력 전압(Vinn,Vinp)이 인가된다.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소오스는 저항(R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입력부(20)는 트랜스컨덕터(10)의 실질적인 주 회로 역할을 한다. 또한, 입력부(20)는 한 쌍의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차동 증폭기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동작 스피드 측면에서 우수하다. 이때, 출력 전류는 저항(R1)이 없을 때 보다 있을 때, 왜곡이 더 작게 나타난다.
출력부(30)는 한 쌍의 MOS 트랜지스터(M3,M4)의 게이트가 공통 접속된 캐스코드(cascode) 증폭기 형태를 갖는다. 제 3 MOS 트랜지스터(M3)의 소오스는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제 4 MOS 트랜지스터(M4)의 소오스는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제 3 및 제 4 MOS 트랜지스터(M3,M4)의 드레인에 임의의 전기적인 부하가 연결되어, 출력 전류가 흐른다. 제 3 및 제 4 MOS 트랜지스터(M3,M4) 각각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전원 전압(Vdc)이 인가된다.
한편, 전류원(40:Idc)은 제 1 MOS 트랜지스터(M1)와 접지 사이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2)와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에 소정의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이때, 트랜스컨덕터가 저전압에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에 인가되는 게이트-소오스 전압(Vgs)은 작아야 하고,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자체 트랜스컨덕턴스(gm)는 클수록 좋다. 또한, 빠른 동작 특성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게이트-드레인 캐패시턴스(Cgd)는 작은 것이 유리하다.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채널 길이(L)를 작게 하면서, W/L(채널 폭/채널 길이)비를 크게 설계하는 것이 출력 전류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트랜스컨덕터(10)의 트랜스컨덕턴스(Gm)는 다음의 식으로 구하여진다.
Figure 112003049151434-pat00001
즉, 트랜스컨덕턴스는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류의 변화량이다. 상기 식에서 출력 전류(Iout)은 제 2 전류(Iop)와 제 1 전류(Ion)의 차(Iop-Ion)이고, 입력 전압(Vin)은 제 2 입력 전압(Vinp)과 제 1 입력 전압(Vinn)의 차(Vinp-Vinn)이다.
이와같은 트랜스컨덕터는 입력부(20)의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각각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Vinn,Vinp)에 의해 출력 전류(Ion, Iop)가 변화된다. 이때, 출력부(30)는 주 회로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트랜스컨덕터 전체 출력 저항을 크게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상적인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Gm)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트랜스컨덕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의 절대값이 일정 전압 이상 증가하면, 트랜스컨덕턴스(Gm)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곧,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전류(Iout)가 왜곡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출력 전류의 왜곡은 주로 전원 전압 및 그에 의해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값에 의한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비선형적인 특성 때문에 발생된다. 이와같은 출력 전류의 왜곡은 입력부(20)의 저항(R1)의 크기를 증대시킴에 의하여 상당량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저항(R1)은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므로써 얻어지므로, 그 크기를 증대시키게 되면, 도전층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하므로, 반도체 기판의 점유 면적이 증대된다. 이에따라, 반도체 칩의 사이즈가 증대되고, 기생 캐패시턴스가 증대되어, 집적 밀도 및 동작 스피드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저항을 증대시키더라도,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비선형 특성 및 전류원(40)의 비선형 특성은 변화되지 않는다. 더구나. 트랜스컨덕터(10)의 입력 전압(Vin=Vinp-Vinn)이 최대값(도 2의 Vmax)에 가깝게 될 수록, 출력 전류의 왜곡이 더욱 심화된다(도 2 참조). 또한, 이와같이 출력 전류의 왜곡이 발생되면, 출력 전류가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영역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칩 사이즈 및 기생 캐패시턴스를 증대시키지 않도록 출력 전류의 왜곡을 보상할 수 있는 트랜스컨덕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는, 차동 증폭기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주 회로부, 주 회로부에 일정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주 회로부의 몇 개의 노드와 연결되어, 출력 전류의 왜곡을 보상하는 보조 회로부, 및 상기 출력 전류의 왜곡 보상 동 작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 전류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보조 회로부는 4개의 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트랜스컨턱더의 전체 입력 전압의 절대값이 일정 전압 이하일 때, 보조 회로부는 서브 쓰레쏠드 영역의 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고, 트랜스컨덕터 전체 입력 전압의 절대값이 일정 전압 이상일 때, 보조 회로부는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포화 영역으로 바뀌는 MOS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보조 회로부에 의해 트랜스컨덕터 전체 출력 전류의 왜곡이 보상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컨덕터(100)는 주 회로부(110), 보조 회로부(120) 및 전류원(130)을 포함한다.
주 회로부(110)는 소오스 디제너레이션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pair with source degeneration) 형태로 구성된다. 주 회로부(110)는 제 1 MOS 트랜지스터(M1), 제 2 MOS 트랜지스터(M2),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게이트에 제 1 및 제 2 입력 전압(Vinn,Vinp)이 각각 입력되며, 그것들의 소오스는 제 1 및 제 2 저항(R1,R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의 드레인에 임의의 부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트랜스컨덕터 출력 전류는 그 부하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때, 트랜스컨덕터(100)의 입력 전압(Vin)은 제 2 입력 전압(Vinp)와 제 1 입력 전압(Vinn)의 차가 되고, 트랜스컨덕터(100)의 출력 전류(Iout)는 제 2 출력 전류(Iop)와 제 1 출력 전류(Ion)의 차가 된다.
보조 회로부(120)는 제 3 MOS 트랜지스터(M3), 제 4 MOS 트랜지스터(M4), 제 5 MOS 트랜지스터(M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6)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3 MOS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에 제 1 입력 전압(Vinn)이 입력되고, 제 4 MOS 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에 제 2 입력 전압(Vinp)이 입력된다. 제 3 MOS 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은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되고, 제 4 MOS 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은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또한, 제 3 MOS 트랜지스터(M3)의 소오스는 제 5 MOS 트랜지스터(M5)의 드레인 및 게이트와 동시에 접속된다. 제 4 MOS 트랜지스터(M4)의 소오스는 제 6 MOS 트랜지스터(M6)의 드레인 및 게이트와 동시에 접속된다. 또한,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5,M6)의 소오스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5,M6)의 소오스 연결 노드는 제 1 및 제 2 저항(R1,R2)의 공통 접속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전류원(130)은 제 1 및 제 2 정전류원(DC current source : Idc1, Idc2), 및 제어 전류원(variable current source : Is)을 포함한다. 제 1 정전류원(Idc1)은 제 1 MOS 트랜지스터(M1)의 소오스에 공급되고, 제 2 정전류원(Idc2)은 제 2 MOS 트랜지스터(M2)의 소오스에 공급된다. 제어 전류원(Is)은 제 1 및 제 2 저항(R1,R2)이 공통 접속된 노드, 즉,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5,M6)의 소오스들이 연결된 노드에 공급된다.
이때, 입력 전압(Vin)이 0인 경우, 상기 정전류원(Idc1,Idc2)은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가 MOS 트랜지스터의 포화 영역으로 동작되도록 일정한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제어 전류원(Is)은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가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되도록 소정의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즉,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의 게이트-소오스 전압(Vgs)이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도록, 상기 제어 전류원(Is)의 공급 바이어스의 값을 정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컨덕터(100)의 입력 전압(Vin=Vinp-Vinn)의 절대값이 Va보다 작으면, 제 1 및 제 2 MOS 트랜지스터(M1,M2)는 MOS 트랜지스터의 포화 영역으로 동작하고, 제 3 및 제 4 MOS 트랜지스터(M3,M4)는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한다. 그러면,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의 드레인 전류가 매우 작아져서 전체 출력 전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후, 입력 전압(Vin)이 Va보다 커지면, 제 2 입력 전압(Vinp)이 제 1 입력 전압(Vinn) 보다 증대된 것으로, 제 2 MOS 트랜지스터(M2)와 연결된 제 2 저항(R2)에 흐르는 전류량이 증대된다. 이에따라, 제 4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4,M6)의 게이트-소오스 전압(Vgs)이 증대되어, 제 4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4,M6)가 포화영역으로 빠지게 된다. 포화 영역에서의 제 4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4,M6)의 드레인 전류는 입력전압이 0일때의 드레인 전류보다 많이 증대된다. 따라서,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전류(Iout)는 보조 회로부(120)가 없을 때 보다 더 증대되어 트랜스컨덕턴스가 줄어들지 않고 유지되므로, 나아가, 출력 전류의 왜곡이 보상된다. 이때, 제 3 및 제 5 MOS 트랜지스터(M3,M5)는 더 강한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되고, 그 전류는 매우 미세하여, 전체 출력 전류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종래의 트랜스컨덕터는 도 4의 C2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일정전압(Va) 이상인 경우, 트랜스컨덕턴스(Gm)가 많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주 회로부(110)의 출력단(드레인단)에 보조 회로부(120)를 연결하면, 트랜스컨덕터의 입력 전압(Vin)이 Va 이상인 경우, 트랜스컨덕턴스(Gm()이 감소되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출력 전류의 왜곡이 보상된다.(도 4의 C1 참조)
이때,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의 게이트 길이에 대한 게이트 선폭의 비(W/L)가 크고 채널 길이가 너무 작으면, 입력 전압(Vin)이 Va보다 큰 경우, 제 4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3,M4)의 드레인 전류 변화율이 너무 급격해져서, 출력 전류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랜스컨덕턴스(Gm)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의 W/L 및 제어 전류원(Is)에서 공급되는 바이어스를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 전압(Vin)이 양의 방향으로 더 증가하여, Vmax보다 커지면(도 4 참조), 전류원(130)에 생성되는 모든 바이어스 전류는 제 2, 제 4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M2,M4,M6)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제 1, 제 3 및 제 5 MOS 트랜지스터(M1,M3,M5)에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에따라, 출력 전류의 변화량인 트랜스컨덕턴스(Gm)는 0에 이른다. 이상과 같이, 입력 전압(Vin)이 음의 값으로 증가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여기서, 제어 전류원(Is)의 값은 다음 두가지를 동시에 만족하는 값이다. 첫 번째는, 입력 전압(Vin)의 절대값이 Va 보다 작으면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가 모두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된 값이고, 입력 전압(Vin)의 절대값이 Va보다 크면, 제 3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3~M6)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반드시 포화 영역에서 동작되도록 설정된 값이다.
여기서, 상기 Va는 다음의 식 2에서와 같이, 제어 전류원(Is)과 연관되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3049151434-pat00002
여기서, Vth4는 제 4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의미하고, Vth6은 제 6 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의미하며, Vgs2는 입력 전압이 Va인 경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오스 전압을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실험의 경우, 전체 출력 왜곡이 최소화되는 시점에서 Va는 대략 최대 입력 전 압(Vmax)의 1/4 정도가 된다. 이에따라, 출력 전류(Iout)가 선형적으로 증대되는 선형 영역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도 3의 트랜스컨덕터(100)의 제 1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1~M6)는 모두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1~M6)를 선택적으로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전류원(Ids1,Ids2,Is) 및 전압 공급원(VDD 와 접지)의 극성을 반대로 바꿔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의 트랜스컨덕턴스를 모의 실험한 그래프이다. 상기 모의 실험은 1.8V의 전원 공급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트랜스컨덕터의 입력 DC 전압을 0.9V로 잡고 진행되었다. 상기 도 5의 트랜스컨덕턴스(Gm) 곡선은 상기 도 3에서 예측하였던 트랜스컨덕턴스(Gm) 곡선과 그 형태가 거의 일치되었다. 이는 곧, 상기 보조 회로부(120)가 출력 전류(Iout)의 왜곡을 방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컨덕터의 왜곡 특성을 모의 실험한 그래프이다. 모의 실험 조건은 입력 주파수를 5MHz로 설정하고, 트랜스컨덕터의 제 1 및 제 2 입력 전압(Vinn,Vinp)에 사인파(sine wave)를 차동 상태로 입력하였다. 아울러, 상기 왜곡 특성은 상기 조건에서 출력 전류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한 전체 하모닉값(THD)으로 설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압(Vin)이 증대될수록,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턴스가 종래의 트랜스컨덕턴스에 비해 보다 작은 전체 하모닉값(THD)를 갖는다. 이는 곧, 본 발명의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왜곡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동 증폭기 형태의 트랜스컨덕터의 주 회로부의 출력단에, 보조 회로부를 연결한다.
이때, 보조 회로부의 모스 트랜지스터는 일정 입력 전압 이하에서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하고, 일정 전압 이상에서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일정 입력 전압 이상에서 주 회로부의 출력 전류의 선형성이 감소되는 것이 보상되어,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회로부는 두 쌍의 모스 트랜지스터 구성됨에 따라,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이에따라, 칩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동작 스피드 역시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차동 증폭기 형태를 가지며 소정의 입력 전압이 인가되는 주 회로부, 주 회로부에 일정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전류원, 상기 주 회로부와 연결되어 트랜스컨덕터의 출력 전류의 왜곡을 보상하는 보조 회로부. 상기 출력 전류의 왜곡 보상을 제어하는 제어 전류원을 포함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 회로부는 제 1 MOS 트랜지스터, 제 2 MOS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입력 전압은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 2 입력 전압에서 상기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 1 입력 전압을 감산한 전압이고,
    상기 보조 회로부는 제 3, 제 4,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 1 입력 전압이 입력되고, 제 3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제 1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되며, 제 3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는 제 5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되고, 상기 제 4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 제 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4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는 제 6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접속되고, 상기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 각각은 자신의 게이트와 자신의 드레인이 연결되며,
    상기 소정의 입력 전압의 절대값이 일정 전압 이하일 때, 상기 보조 회로부의 제 3, 제 4,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는 모두 서브 쓰레쏠드 영역으로 동작하고, 상기 소정의 입력 전압의 절대값이 일정 전압 이상일 때, 상기 보조 회로부의 제 3, 제 4,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 중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고 나머지 2개의 트랜지스터는 서브 쓰레쏠드 영역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항과 제 2 저항이 연결된 노드와 상기 제 5 및 제 6 MOS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노드는 모두 공통적으로 제어 전류원의 한 쪽 노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1~M6)는 모두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6 MOS 트랜지스터(M1~M6)는 모두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컨덕터 회로.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95400A 2003-12-23 2003-12-23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KR10055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400A KR100550017B1 (ko) 2003-12-23 2003-12-23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5400A KR100550017B1 (ko) 2003-12-23 2003-12-23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116A KR20050064116A (ko) 2005-06-29
KR100550017B1 true KR100550017B1 (ko) 2006-02-08

Family

ID=37255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5400A KR100550017B1 (ko) 2003-12-23 2003-12-23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49B1 (ko) * 2005-08-30 2007-07-13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선형성이 개선된 증폭회로 및 이를 이용한 주파수 변환기.
KR101408946B1 (ko) * 2007-11-05 2014-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컨덕터 회로 장치 및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116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406B1 (ko) 캐스코드 회로 및 반도체 장치
US8212545B2 (en) Reference voltage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4481590B2 (ja) アクティブインダクタンス回路及び差動アンプ回路
KR101333421B1 (ko) 저전압 저전력 a/b급 출력단
US5444413A (en) Operational amplifier circuit with variable bias driven feedback voltage controller
US6891433B2 (en) Low voltage high gain amplifier circuits
KR100576716B1 (ko) 출력 전류의 왜곡이 보상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JPH10303664A (ja) 可変利得増幅器
Pennisi A low-voltage design approach for class AB current-mode circuits
JPH10209781A (ja) 差動回路を含む電子回路
US7557657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wide gain variation and wide bandwidth
KR100582545B1 (ko) 출력 전류의 왜곡이 보상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TW201838327A (zh) 跨導放大器
López-Martín et al. Highly linear programmable balanced current scaling technique in moderate inversion
KR100681239B1 (ko) 연산 증폭기
US6642789B2 (en) Operational amplifier input stage and method
KR100550017B1 (ko) 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터 회로
KR20070068973A (ko) 차동 증폭 회로
US6542034B2 (en) Operational amplifier with high gain and symmetrical output-current capability
CN112511110A (zh) 一种高线性度可编程增益放大器
JPH1065461A (ja) 差動増幅回路
JP5126221B2 (ja) 増幅回路
JP2560134B2 (ja) 利得調整可能な差動増幅器
KR100450755B1 (ko) 고선형성 및 고이득을 갖는 트랜스컨덕터 증폭기
Suman et al. Recent Trends on MOSFET based Cascode Current Mirrors: An Analytical Surv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