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322B1 -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322B1
KR100549322B1 KR1020030076814A KR20030076814A KR100549322B1 KR 100549322 B1 KR100549322 B1 KR 100549322B1 KR 1020030076814 A KR1020030076814 A KR 1020030076814A KR 20030076814 A KR20030076814 A KR 20030076814A KR 100549322 B1 KR100549322 B1 KR 100549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iber
electrode
manufacturing
active materia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594A (ko
Inventor
최석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430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493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Priority to KR102003007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3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4Electrod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01M4/16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축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합성 극세사(Microfiber)를 활물질에 첨가하여 고율방전특성이 우수한 전극을 제조하는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납축전지, 전극제조, 활물질, 극세사

Description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de for lead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연축전지의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크론 사이즈의 유기합성 극세사를 활물질에 첨가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전극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축전지의 전극은 활물질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활물질 혼합시 유기합성 단섬유를 0.01 ~ 0.5 wgt %를 첨가하고 있다. 이때 첨가되는 유기합성 단섬유는 통상적으로 2~5 데니어의 섬도를 갖으며, 길이는 2 ~10밀리미터 정도이다. 유기합성 단섬유의 성분은 내산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모드아크릴 계열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근래의 연축전지 업계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고출력전지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를 위해 활물질의 전기 및 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지의 고율 방전 특성 향상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활물질의 기계적 강도 보강을 위해 첨가하던 유기합성 단섬유를 미크론 사이즈의 유기합성 극세사로 대체하여, 활물질내에 분포한 유기합성 극세사 내부 및 표면의 모세관 현상을 통해 이온전도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유기합성 단 섬유는 전지 활물질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활물질의 혼합시 첨가하게 된다. 재질은 전해액인 황산수용액에 대한 내산성을 고려하여,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 및 모드아크릴계열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되는 유기합성 단섬유는, 직접 방사법으로 제조되는 통상적인 합성 단 섬유의 사양인 2~5 데니어(직경은 약 12~20 마이크로미터)의 섬도를 갖으며, 길이는 2~10 밀리미터이다. 혼합시 투입되는 양은 0.01 ~ 0.5 wgt % 로, 이를 통해 최종적인 전극 활물질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진동 및 충방전에 의한 활물질의 수축팽창으로 인해 활물질 구조가 파괴되는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극세사는 일반적인 섬유 제조방법인 직접 방사법의 한계인 0.5 ~ 1 데니어 사이의 섬유를 말하였으나, 해도형 초극세사와 분할형 초극세사가 개발됨에 따라 최소 0.001 데니어 까지 확장되었다. 이러한 극세사로 만든 직물 또는 부직포는 우수한 흡수성으로 인해 주방용품, 청소용품 목욕용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공이 미세해짐에 따라 고성능 방진 및 정수 필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유기합성 단섬유(직경 10 ~ 50 마이크로미터)를 유기합성 극세사(직경 0.5 ~ 10 마이크로미터)로 대체함으로써, 단섬유의 표면적을 증가 시키고, 섬유간 또는 섬유내부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전해액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여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전지의 고율방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해액인 황산에 대한 내산성, 주기적인 산화환원반응에 대한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재질을 갖고, 마이크로 미터 수준(1~10마이크로미터)의 굵기를 갖는 유기합성 초극세사를 선정, 전극 활물질에 첨가하여 고율방전특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연축전지용 전극에 있어서, 전극의 활물질에 1 데니어 미만의 유기합성 극세사를 첨가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상기 극세사는 다양한 재질의 극세사가 이용될 수 있다.
즉,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0.5~1 데니어 미만의 섬도를 갖는 길이 1~10mm인 스테이플 화이버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극세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일성분 이거나 두개이상의 복합성분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복합방사 또는 고분자블렌드 방사법으로 제조되고, 0.001~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해도형 또는 분할형 극세사로 길이 1~10mm인 스테이플 화이버로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극세사는 활물질과의 혼합시 0.01~0.5 wgt% 첨가하여 주며, 혼합이 완 료된 활물질은 전극에 도포하여 전극을 제조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산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모드아크릴 계열의 유기합성 극세사를 전극제조용 활물질에 소량첨가하여 전극 활물질내로의 이온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활물질 혼합시, 기존에 투입되던 유기합성 단 섬유를 유기합성 극세사로 대체하여 동일 중량비로 첨가하였으며 후속 공정인 숙성, 조립, 충전 등의 공정을 통해 최종적인 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험품은 KS C 8504 자동차 시동용 연축전지 시험규격(1999)에 의거 초기 성능 및 수명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초기 성능 시험결과
1) 보유용량 (Reserve Capacity, min)
- 25℃수조에서 25A 방전시, 10.5V 도달시 까지의 방전시간을 측정하는 것임.
- 시험결과, 극세사를 적용한 전지의 RC(Reserve Capacity)는 기존품의 RC 대비 5%의 향상된 결과를 보임.
- 따라서, 극세사 사용에 따라 RC가 향상됨을 확인.
2) 저온시동력 (Cold Cranking Ampere, A)
- 저온에서의 시동력을 보기 위한 고율 방전시험임.(-18℃에서 630A로 30초 방전시의 전압을 측정.)
- 7.2V 이상일 경우 합격판정을 받으나 30초 전압이 높을수록 저온시동능력이 우수하다고 평가됨.
- 시험결과, 극세사를 적용한 전지의 CCA(Cold Cranking Ampere)는, 기존품의 CCA 대비 약 10%의 상승효과를 보임.
- 따라서, 극세사 사용에 따라 CCA가 약 10% 상승함을 확인.
3) 20시간율 용량 (C20, AH)
- 25℃수조에서 3.75 A로 방전하여, 10.5 V 까지의 방전용량 (AH)를 측정
- 시험결과, 극세사를 적용한 전지의 20시간율 용량은, 기존품의 20시간율 용량대비, 5%의 상승효과를 보임.
- 따라서, 극세사 사용에 따라 20시간율 용량이 약 5% 상승함을 확인.
4) 수명시험 ( SAE J 240 at 75 ℃)
- 75℃수조에서 4분 방전(25A), 10분 충전(14.8V, 최대 25A)을 1주 480회 반복
- 1주 충방전후, 고율방전(630A)하여 30초 전압 측정
- 30초 전압이 7.2 V 이상일 경우, 충방전 1주 반복. 7.2 V 미만일 경우 수명 종지임.
- 시험결과, 극세사를 적용한 전지의 수명은, 기존품의 수명 대비 약 20%의 상승효과를 보임.
- 따라서, 극세사 사용에 따라 수명이 약 20% 상승함을 확인.
전지의 초기 성능과 수명시험결과, 보유용량(RC,분)은 5%, 고율방전특성(CCA, A)은 10%, 20시간용량(C20,Ah)는 5%, 수명(SAE J240 at 75℃)은 20%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결과 표 >
Figure 112003041174903-pat00001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축전지의 품질조건인 보유용량 (Reserve Capacity, min), 저온시동력 (Cold Cranking Ampere, A), 20시간율 용량 (C20, AH), 내구수명 등이 종래품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연축전지용 전극에 있어서, 전극의 활물질에 1 데니어 미만의 유기합성 극세사를 첨가하여 전극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극세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 재질이며, 0.5~1 데니어 미만의 섬도를 갖는 길이 1~10mm인 스테이플 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극세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재질의 단일성분 이거나 두개이상의 복합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복합방사 또는 고분자블렌드 방사법으로 제조된, 0.001~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해도형 또는 분할형 극세사로 길이 1~10mm인 스테이플 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극세사는 아크릴재질로, 복합방사 또는 고분자블렌드 방사법으로 제조된, 0.001~0.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해도형 또는 분할형 극세사로 길이 1~10mm의 스테이플 화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극세사는 활물질과의 혼합시 0.01~0.5 wgt%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KR1020030076814A 2003-10-31 2003-10-31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KR10054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814A KR100549322B1 (ko) 2003-10-31 2003-10-31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814A KR100549322B1 (ko) 2003-10-31 2003-10-31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94A KR20050041594A (ko) 2005-05-04
KR100549322B1 true KR100549322B1 (ko) 2006-02-02

Family

ID=3724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814A KR100549322B1 (ko) 2003-10-31 2003-10-31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97B1 (ko) * 2005-09-14 2010-10-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KR100803091B1 (ko) * 2006-01-19 2008-02-13 주식회사 코오롱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08062765A1 (de) 2008-12-18 2010-07-01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Textiles flächiges Material für eine Batterieelektrode
EP2401782B1 (en) 2009-02-26 2020-06-03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594A (ko)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4363B2 (en) Electrical power storage devices
Yanilmaz et al. Evaluation of electrospun SiO2/nylon 6, 6 nanofiber membranes as a thermally-stable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ies
US20120070729A1 (en) Glass compositions with high levels of bismuth oxide
US20120070728A1 (en) Compositions and delivery systems with leachable metal ions
US10535853B2 (en) Glass compositions with leachable metal oxides and ions
KR20180045327A (ko) 납축전지의 활물질 제조 방법
EA029971B1 (ru) Однослойный сепаратор литий-ион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JP2006222083A (ja) 不織布、繊維および電気化学的電池
US20040265699A1 (en) Eletrode for lead srorag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4769756A (zh) 增强填充有凝胶电解质的阀控式铅酸电池的深循环性能的组合物
KR100549322B1 (ko)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KR102105992B1 (ko) 고전도성 그래핀 섬유를 적용한 납축전지용 극판 제조 방법 및 납축전지
KR20180045244A (ko) 납축전지의 극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99203A (ja) 電池用セパレータ
KR101737320B1 (ko) 납축전지의 활물질 제조 방법
JP7424371B2 (ja) 液式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液式鉛蓄電池
KR102225198B1 (ko) 규조토 단섬유를 첨가한 납축전지용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KR20090027791A (ko) 연축전지의 전극
JP4814392B1 (ja) 電池用セパレータ
KR101775360B1 (ko) 납축전지의 활물질 제조방법
KR102305192B1 (ko) 표면에 깊은 홈을 가진 폴리에스터 화이버 첨가에 따른 활물질간 접착력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의 활물질 제조방법
KR102103287B1 (ko) Cnt 코팅 섬유를 적용한 납축전지용 활물질 제조 방법
KR102233128B1 (ko) 바이메탈 구조 화이버를 첨가한 납축전지용 활물질 제조 방법
JPH10255752A (ja) 密閉形鉛蓄電池用セパレ−タ
JP2005108617A (ja) 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30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426

Effective date: 201710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