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055B1 -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055B1
KR100548055B1 KR1020030080215A KR20030080215A KR100548055B1 KR 100548055 B1 KR100548055 B1 KR 100548055B1 KR 1020030080215 A KR1020030080215 A KR 1020030080215A KR 20030080215 A KR20030080215 A KR 20030080215A KR 100548055 B1 KR100548055 B1 KR 10054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oor
visit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195A (ko
Inventor
김생수
강항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3008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0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감시구역내의 침입을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의 상태를 입력받고, 교환기를 통해 내방객용 전화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사내 전화기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면,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와 정상통화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한다. 정상통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내부에 미리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밀번호 및 전화번호가 누설되었을지라도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거나 경비중에는 출입문을 열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경비, 출입, 모니터링, 도어락, 내방객, 전화기

Description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A visitor management system using PST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도1은 종래의 출입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관리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 발명은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유인 사무실이나 건물내에 외부인 출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출입문 제어장치를 건물내부에 사람이 없으면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 공중선(PSTN)을 모니터링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자신 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출입문 관리 시스템은 외부에서 일반 유선 전화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제어하였다.
도1은 종래의 출입문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부에서 일반 유선 전화 및 휴대폰을 이용하여 원하는 전화번호에 전화를 건다.
그러면, 종래의 출입문 관리 시스템은 일반 공중선(PSTN)에서 전화 번호 및 비밀번호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나서, 모니터링된 번호와 저장된 번호가 일치하면 일정시간 동안 출입문을 개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출입문 관리 시스템은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만 알면 외부 전화 및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 개방이 가능하므로, 보안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의 침입자가 전화번호와 비밀번호만으로 침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밀번호 및 전화번호가 누설되었을지라도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거나 경비중에는 출입문을 열 수 없도록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은,
일정 구역내의 전화신호를 제어하는 교환기;
방문객이 전화를 걸기 위한 내방객용 전화기;
해당 구역내에 위치한 사내 전화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
상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은,
감시구역내의 침입을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의 상태를 입력받고, 교환기를 통해 내방객용 전화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사내 전화기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내방객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환기와 사내 전화기를 연결하며, 통신신호를 검출하는 통신부;
비밀번호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신호를 입력받으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감시구역내의 침입을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의 상태를 입력받고, 교환기를 통해 내방객용 전화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사내 전화기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면,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와 정상통화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정상통화가 이루어지고 나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내부에 미리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은,
일정 구역내의 전화신호를 제어하는 교환기(200);
방문객이 전화를 걸기 위한 내방객용 전화기(500);
해당 구역내에 위치한 사내 전화기(30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600);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400);
상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제어장치(700)를 포함한다.
도3은 도2의 관리 시스템의 상세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400)은,
상기 교환기와 사내 전화기를 연결하며, 통신신호를 검출하는 통신부(430);
비밀번호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410);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420);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신호를 입력받으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정상통화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도2 내지 도4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경비시스템(600)을 경비상태 또는 경비해제 상태로 설정을 한다. 경비 상태는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거나 야간시에 사용하며, 해당 구역을 감시하는 상태로서 외부의 침입이 감지되면, 이를 알리는 벨을 울리거나 지정된 연락처로 연락을 하게 된다.
제어부(440)는 경비 시스템(600)의 경비상태를 모니터링하여(S410), 경비중 이 아닐 경우에, 방문객의 링신호가 통신부(430)를 통해 수신되는지 체크한다(S420).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문객이 방문을 하여 내방객용 전화기(300)의 수화기를 들어 해당번호로 전화를 걸면, 링(Ring)신호가 사설교환기(200) 및 통신부(430)의 제어를 통해 해당 사내 전화기(500)로 연결된다.
이때, 제어부(440)는 링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사내 전화기(500)와 내방객용 전화기(300) 사이에 통화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S430), 정상적인 통화후, 사내전화기(500)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40)는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저장부(410)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S440), 출입문 개방 신호를 출력한다(S450).
이때, 출입문 개방신호는 직접 출입문 제어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고, 경비시스템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간접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출입문 제어장치(700)는 내부의 모터를 구동하여 출입문을 개방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40)는 타이머(420)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S460), 출입문을 닫도록 제어신호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출력한다(S470).
그러면, 출입문 제어장치(700)는 내부의 모터를 구동하여 출입문을 잠근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비 시스템(600)이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중에 침입자가 있거나 이상이 발생하면, 경비 시스템(600)은 지정된 전화번호로 통지를 하며, 이에 따라 해당 경비업체에서 출동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 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밀번호 및 전화번호가 누설되었을지라도 건물 내부에 사람이 없거나 경비중에는 출입문을 열 수 없도록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소정의 구역내의 전화신호를 제어하는 교환기;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객이 전화를 걸기 위한 내방객용 전화기;
    상기 교환기의 구역내에 위치하는 사내 전화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
    상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을 열도록 상기 출입문 제어장치에 직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소정의 구역내의 전화신호를 제어하는 교환기;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객이 전화를 걸기 위한 내방객용 전화기;
    상기 교환기의 구역내에 위치하는 사내 전화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
    상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을 열도록 상기 경비 시스템에 간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경비시스템이 상기 출입문 제어장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시스템은 출입문을 열도록 상기 출입문 제어장치에 직접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일정시간후 출입문을 잠그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5. 소정의 구역내의 전화신호를 제어하는 교환기;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방문객이 전화를 걸기 위한 내방객용 전화기;
    상기 교환기의 구역내에 위치하는 사내 전화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상기 교환기를 통해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내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하는 관리 시스템;
    상기 관리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는 출입문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시스템은,
    상기 교환기와 사내 전화기를 연결하며, 통신신호를 검출하는 통신부;
    비밀번호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신호를 입력받으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정상통화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 시스템(600)은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중에 침입자가 있거나 이상이 발생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해당 경비업체가 출동을 하도록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7. 감시구역내의 침입을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의 상태를 입력받고, 교환기를 통해 내방객용 전화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사내 전화기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내방객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환기와 사내 전화기를 연결하며, 통신신호를 검출하는 통신부;
    비밀번호 및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신호를 입력받으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와 상기 사내 전화기 간의 정상통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입력된 번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상기 타이머를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후 출입문을 잠그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8. 삭제
  9. 감시구역내의 침입을 감시하는 경비 시스템의 상태를 입력받고, 교환기를 통해 내방객용 전화기의 전화신호를 수신하고, 사내 전화기의 비밀번호 입력에 따라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경비 시스템이 경비 상태가 아니면, 상기 내방객용 전화기의 링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링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사내 전화기와 정상통화가 이루어지는지 판단하는 단계;
    정상통화가 이루어지고 나서, 상기 사내 전화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내부에 미리 저장된 번호와 일치할 때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입문을 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후 출입문을 잠그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 시스템은 감시 구역내의 침입 및 이상 유무를 감시중에 침입자가 있거나 이상이 발생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해당 경비업체가 출동을 하도록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30080215A 2003-11-13 2003-11-13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4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215A KR100548055B1 (ko) 2003-11-13 2003-11-13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215A KR100548055B1 (ko) 2003-11-13 2003-11-13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195A KR20050046195A (ko) 2005-05-18
KR100548055B1 true KR100548055B1 (ko) 2006-01-31

Family

ID=3724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215A KR100548055B1 (ko) 2003-11-13 2003-11-13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649A (ko) 2016-09-09 2018-03-19 (주)다인인더스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649A (ko) 2016-09-09 2018-03-19 (주)다인인더스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195A (ko)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3352C (en) Alarm system armed and disarmed by a door contact
US8504103B2 (en) Cellular home security system
KR20050093052A (ko) 무인 경비 시스템용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 방범 방법
KR100578489B1 (ko) 보안 도어록 시스템
KR100297397B1 (ko)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48055B1 (ko) 전화선을 이용한 내방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3716171B2 (ja) 携帯端末を利用したホームセキュリティ方法
CN106331658A (zh) 基于无线网络手机远程视频监控防盗系统
KR100440660B1 (ko)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KR10058537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85813B1 (ko) 서버 피씨와 카메라 및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그 제어 방법
JP3113906U (ja) 集合住宅用開錠装置
JP3216348B2 (ja) 住宅情報盤
KR20100032609A (ko) 자체 경비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9990046567A (ko) 원격방범감시장치
KR100542610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폰과 원격지 전화기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5541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360634Y1 (ko) 무선 카메라 도어록
KR200214739Y1 (ko) 통신기기를 이용한 원격 건물 관리 시스템
KR100431900B1 (ko) 인터폰을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60009579B1 (ko) 일반 전화기와 tv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60011294A (ko) 디지털 도어 록의 개폐 제어장치
KR930000913Y1 (ko) 온/오프 스위칭 회로
KR20040087612A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200165407Y1 (ko) 원격제어 및 원격감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키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