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612A -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612A
KR20040087612A KR1020030022059A KR20030022059A KR20040087612A KR 20040087612 A KR20040087612 A KR 20040087612A KR 1020030022059 A KR1020030022059 A KR 1020030022059A KR 20030022059 A KR20030022059 A KR 20030022059A KR 20040087612 A KR20040087612 A KR 2004008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home automation
security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706B1 (ko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57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동체 감지 및 방범 감지를 통한 감지 신호 및 도어 오픈 및 클로우즈 신호의 송수신을 가정 자동화기기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가정 자동화기기에 연동되는 방범 및 동체 감지기를 유선형에서 무선형으로 변경하여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기기에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를 가정 자동화기기 내부에 실장하였으며, 이 수신기에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무선 송신 기능을 추가하여 방문객 확인 후 도어의 열림 기능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for wireless security detector}
본 발명은 무선 방법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적으로 복합 기능을 적용하고 있는 가정 자동화 제품과 연동하여 집합 주택에서 각종 유선 감지기를 무선형으로 변경하여 적용하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는 가정의 정보화, 생력화(省力化)를 지향한 주로 전자 기술의 활용에 의한 가정 내에서의 전자화 및 자동화 시스템이다. 가정 자동화는 예로서, 가사운영(에너지 관리나 보전 등의 주거 공간의 유지 관련), 가정관리(쇼핑, 예약, 건강관리 및 재택근무 등 가정생활의 운영 관련), 교양(학습, 오락, 감상, 창작활동 관련), 커뮤니케이션(전화, 각종 뉴 미디어 등에 의한 사람과의 관계, 연락, 통신 관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정 자동화를 이용한 기기들은 생활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기기에 대한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기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가정 자동화 기기(홈 시큐리티폰)(10), 도어 장금 장치(11), 방범 감지부(12), 동체 감지부(13) 및 촬영부(14)로 구성될 수 있다.
방범 감지부(12)는 창호나 현관 문 등에 리드 스위치 형태로 장착되어 침입자가 문을 열고 들어올 경우 이를 감지한 후, 감지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가정 자동화 기기(10)로 제공한다.
동체 감지부(13)는 집합 건물의 각 세대의 현관 또는 베란다 등에 장착되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가정 자동화 기기(10)로 제공한다.
촬영부(14)는 호출스위치, 마이크로 폰 및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나 방문객이 호출 스위치를 동작시킬 경우 카메라에서 방문객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가정 자동화기기(10)로 제공하는 것이다.
가정 자동화기기(10)는 모니터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방문객이 호출 스위치를 통해 호출이 있는 경우 방문객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또한, 촬영부(14)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또는 방문객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로 형성에 의한 음성 신호 또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방문객의 영상을 확인한 후, 직접 도어 잠금장치(11)로 가서 도어를 오픈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는 가정 자동화기기(10)와 도어 잠금 장치(11)간에 유선이 연결되어 가정 자동화기기(10)의 도어 오픈 키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유선을 통해 도어 잠금 장치(11)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도어 잠금 장치(11)는 가정 자동화기기(10)로부터 제공되는 도어 오픈 신호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정 자동화 기기는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연동되는 각각의 기기마다 별도로 배선을 하여야 하고, 각 기기 마나 감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의 기기를 지정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방범 감지부(12)는 2선이 배선되고, 그 배선 방식은 노멀 클로우즈(Normal Close)방식과 노멀 오픈(Normal Open)방식으로 구분된다.
신축 건물의 경우에는 설계부터 배선 사양이 반영되어 구축할 수 있으나, 기축 건물의 경우에는 건물의 배선을 하여 미관을 해치거나 설치시의 불편한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체 감지부(13)는 4선이 배선되고 감지기 자체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기건축 건물의 경우에는 건물 외 배선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다.
한편, 도어 잠금 장치(11)의 경우에는 보통 자체적으로 운영하여 별도의 각종 열쇠(제품에 따라 다름)를 휴대하거나 방문객 확인 후에 거주자가 직접 현관으로 가서 문을 열어주는 형태이다.
가정 자동화 제품의 보급 확대로 인하여 가정 자동화 제품과 연계하여 운영되는 도어 잠금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는 있지만 각 제조업체 및 기기에 따라 제품 사양이 제각기 달라 다양한 연동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기축 건물의 경우에는 별도의 외부 배선이 필요하게 되어 미관을 헤치거나 설치의 불편함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아파트 위주로 제품이 개발된 유선(Wire)형 시큐리티(Security) 관련 기능을 기존 주택, 연립 주택, 연립 상가, 오피스텔, 소규모 빌딩 등의 용도에 맞는 중앙 관리형 무선 시큐리티 폰을 적용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기 건축 건물의 신규 시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법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법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정 자동화 기기 110 : 신호 처리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중앙 제어부
140 : 경보 발생부 150 : 도어키 입력부
160 : 무선 송,수신부 170 : 집한 주택 경비 통신부
180 : 모드 설정부 200 :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
300 : 도어 잠금 장치 400 : 방범 감지부
500 : 동체 감지부 600 : 촬영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시스템은, 가정 자동화기기에 연동되는 방범 및 동체 감지기를 유선형에서 무선형으로 변경하여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 기기에 감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감지기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를 가정 자동화기기 내부에 실장하였으며, 이 수신기에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무선 송신 기능을 추가하여 방문객 확인 후 도어의 열림 기능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방범 상황이나 동체를 감지하고, 방범또는 동체를 감지되면, 방범 또는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동체 또는 방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일정 시간 발생하고, 동체 및 방범 감지에 따른 경보 발생 상황을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방문객의 호출 스위치를 통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키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가정 자동화부;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전송되는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 클로우즈시키는 도어 잠금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세대의 창호나 도어 등에 장착되어 침입자의 방범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방범 감지부; 세대의 현관이나 베란다 등에 장착되어 동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동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범 감지부는, 세대의 창호나 도어 등에 장착되어 침입자의 방범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방범 상황이 감지되면, 감지된 방범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체 감지부는, 세대의 현관이나 도어 등에 장착되어 동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동체가 감지되면, 감지된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잠금 제어부는,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도어 오픈/클로우즈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 오픈/클로우즈 결과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도어 오픈/클로우즈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시키는 도어 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 도어 잠금 제어부와 상기 가정 자동화부 간의 무선신호 송수신 주파수 대역은 447MHz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정 자동화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방범 및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도어 오픈/클로우즈 키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도어 잠금 제어부로 전송하며, 도어 잠금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의 도어 상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체 및 방범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체 및 방범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경보 발생 상황을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보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상기 중앙 제어부를 통해 발생되는 경보 발생 신호를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경보음 발생부를 통해 경보음이 일정 시간 발생하는 도중 사용자로부터 경보음 차단을 위한 ID 또는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을 차단 제어하고,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은,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체 및 방범 감지에 따른 경보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 발생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 발생 처리부;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세대주의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경보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 발생 생 처리부에서 저장되는 경보 발생 정보는, 경보 발생 새대 정보, 경보 발생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법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가정 자동화 기기(100),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 도어 잠금 장치(300), 다수의 방범 감지부(400), 다수의 동체 감지부(500) 및 촬영부(6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잠금 장치(300), 방범 감지부(400) 및 동체 감지부(500)는 가정 자동화기기(100)와 각각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 촬영부(600)는 가정 자동화기기(100)와 각각 유선으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가정 자동화 기기(100)와 동체 감지부(500), 방범 감지부(400) 및 도어 잠금 장치(300)간의 무선 신호 주파수 대역은 소출력 무선 제품으로 주파수 혼선의 우려가 없도록 447MHz를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방범 감지부(400)는 창호나 현관 문 등에 리드 스위치(Reed Switch)형태로 장착되어 리드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 전송한다.
다수의 동체 감지부(500)는 집합 건물의 각 세대의 현관 또는 베란다 등에 장착되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한 후,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방범 감지부(400) 및 동체 감지부(500)는 각 세대별로 서로 다른 ID를 가지고 있어 다른 세대와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영부(600)는 호출스위치, 마이크로 폰 및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나 방문객이 호출 스위치를 동작시킬 경우 카메라에서 방문객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가정 자동화기기(100)로 제공하는 것이다.
가정 자동화기기(100)는 모니터 및 송수화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방문객이 호출 스위치를 통해 호출이 있는 경우 방문객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고, 또한, 촬영부(600)에서 제공하는 방문객의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로 형성에 의한 방문객의 음성 신호 또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방문객의 영상을 확인한 후, 도어 키를 이용하여 도어 오픈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도어 오픈 신호는 도어 잠금 장치(300)로 무선으로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 잠금 장치(300)는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도어 오픈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 오픈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시기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정 자동화기기(100)는 방범 감지부(400) 및 동체 감지부(500)로부터 침입자 또는 동체가 감지되게 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경보 발생 신호를 유선으로 연결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시켜 경비원(관리원)이 이를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경보 발생 정보를 자체의 기록 장치(미도시)에 기록하여 추후 경보 발생 정보를 사용자 또는 경비원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 발생 정보로는 경보 발생 시간, 경보 발생 세대 등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에서는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해당 세대의 세대주에게 핸드폰 등으로 경보 발생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상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법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 장치(300)는 가정 자동화 기기(100)로부터 무선으로 도어 오픈/클로우즈(Open/Close)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하고, 도어의 오픈/클로우즈 상태 신호를 가정 자동화기기(100)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320) 및 송,수신부(320)로부터 수신된 도어 오픈/클로우즈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시키는 도어 잠금부(310)로 구성될 수 있다.
방범 감지부(400)는, 창호나 도어 상단 틀 등에 장착되어 도어나 창호 등의 오픈 여부에 따라 리드 스위치의 온/오프상태를 감지하여 침입자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410)와, 감지부(410)에서 감지 결과에 따른 방범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기기(100)로 전송하는 송신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체 감지부(500)는, 베란다나 현관 등에 설치되어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510)와, 감지부(510)에서 감지된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기기(100)로 전송하는 송신부(520)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600)는 일반적인 비디오 폰과 같이, 호출 스위치(610) 및 카메라 폰(6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문객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의 가정 자동화기기(100)로 제공하는 마이크로 폰 및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정 자동화기기(100)는, 신호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중앙 제어부(130), 경보 발생부(140), 도어 키 입력부(150), 무선 송,수신부(160), 집합주택경비 통신부(170) 및 모드 설정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10)는, 촬영부(60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된 방문객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10)는 촬영부(600)의 호출스위치(610)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호출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모드 설정부(180)는, 그 모드가 자동 모드 및 수동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동 모드는 외출 모드가 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160)는 방범 감지부(400)의 송신부(420) 및 동체 감지부(500)의 송신부(520)로부터 전송되는 방범 및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무선으로 도어 잠금 장치(300)의 송,수신부(320)로 전송하며, 도어 잠금 장치(300)의 송,수신부(32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의 도어 상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중앙 제어부(130)는 촬영부(600)의 호출 스위치(610)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발생부(140)에 호출음 발생 신호를 제공하여 호출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는 발생되는 호출음 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문객의 영상 신호를 확인하게 되고, 방문객을 확인한 후, 도어 키 입력부(150)를 통해 도어 오픈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무선 송,수신부(160)는 해당 신호를 도어 잠금 장치(30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방범 감지부(400)의 송신부(42) 및 동체 감지부(500)의 송신부(520)로부터 동체 및 방범 감지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160)로 수신되어 수신된 감지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160)로부터 입력되면, 중앙 제어부(130)는 수신된 감지 신호에따라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를 경보 발생부(140)로 제공된다. 따라서, 경보 발생부(140)는 중앙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음 발생 시간은 30초 정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경보음이 발생되는 도중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는 경우 즉, 모드 설정부(180)를 통해 수동 모드를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ID를 입력하여 경보음 발생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130)는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경보 발생 신호를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관리실 직원에게 경보 발생 상황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경보 발생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 발생 정보를 자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경보 발생 정보로는 경보 발생 시간, 경보 발생 세대 등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경보가 발생된 세대의 세대주에게 경보 발생 상황을 미리 설정된 핸드폰 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경보 발생 음성 메세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기기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방범 감지부(400)가 동작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자,
방범 감지부(400)의 감지부(410)를 통해 방범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방범 감지부(400)의 송신부(420)를 통해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기기(10)의 무선 송,수신부(160)로 전송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는 방범 감지부(400)의 송신부(420)로부터 전송되는 방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범 간지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중앙 제어부(130)는 무선 송,수신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방범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 발생부(140)에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경보 발생부(14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경보 발생부(140)는 중앙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ID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경보 발생이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중앙 제어부(130)는 방범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으로 방범 감지 경보 신호를 제공한다.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전송되는 방범 감지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발생하여 경비직원 또는 관리 직원으로 하여금 방범 경보 발생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방범 경보 발생 정보를 자체의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방범 경보 발생 정보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범 발생 시간 및 방범 감지 세대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된 방범 발생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세대주의 유.무선 전화기으로 방범 발생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체 감지부(500)가 동작되었을 경우를 살펴보면, 동체 감지부(500)의 감지부(510)를 통해 동체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동체 감지부(500)의 송신부(520)를 통해 무선으로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로 전송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는 동체 감지부(500)의 송신부(520)로부터 전송되는 동체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체 감지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중앙 제어부(130)는 무선 송,수신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동체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 발생부(140)에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경보 발생부(14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경보 발생부(140)는 중앙 제어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가 ID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경보 발생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외출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경보음 발생이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중앙 제어부(130)는 동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으로 동체 감지 경보 신호를 제공한다.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170)를 통해 전송되는 동체 감지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음을 발생하여 경비직원 또는 관리 직원으로 하여금 동체 경보 발생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며, 동체 경보 발생 정보를 자체의 저장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동체 경보 발생 정보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체 발생 시간 및 방범 감지 세대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200)은 가정 자동화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된 동체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세대주의 핸드폰 등의 유무선 통신 장치로 방범 발생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세대의 도어폰 즉, 촬영부(600)의 호출 스위치(610)를 통해 호출이 있을 경우, 호출 신호는 유선으로 연결된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신호 처리부(110)로 제공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신호 처리부(110)는 촬영부(600)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하고, 중앙 제어부(130)는 수신된 호출 신호에 따라 경보 발생부(140)로 호출음 발생 신호를 제공하여 호출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여 가정 자동화기기(100)에 부착된 송수화기를 드는 경우 즉, 송수화기의 호크 오프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호출음 발생을 차단하고, 방문객과 사용자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방문객의 호출 스위치(610)의 동작과 동시에 촬영부(600)의 카메라폰(620)에서는 방문객의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촬영된 신호가 신호 처리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다.
통화중 및 방문객의 영상을 확인한 후, 사용자가 도어키 입력부(150)를 통해 도어 오픈 키를 입력하게 되면, 도어 오픈 키 입력신호는 무선 송,수신부(160)로 제공된다.
가정 자동화 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는 도어 오픈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으로 도어 잠금 장치(300)의 송,수신부(320)로 전송한다.
도어 잠금 장치(300)의 송,수신부(320)는 가정 자동화 기기(300)의 무선 송,수신부(320)를 통해 전송되는 도어 오픈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 오픈 제어 신호를 도어 잠금부(300)로 제공하여 도어를 오픈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어가 오픈되면, 도어 잠금 장치(300)의 송,수신부(320)는 도어 오픈 신호를 무선을 통해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로 전송한다.
가정 자동화기기(100)의 무선 송,수신부(160)는 이를 수신하여 수신된 도어 오픈 신호를 중앙 제어부(13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도어가 오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짧게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120)에 도어가 오픈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동체 감지 및 방범 감지를 통한 감지 신호 및 도어 오픈 및 클로우즈 신호의 송수신을 가정 자동화기기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 건물 또는 기축 건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은 동체 감지 및 방범 감지를 통한 감지 신호 및 도어 오픈 및 클로우즈 신호의 송수신을 가정 자동화기기와 유선이 아닌 무선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별도의 배선 배관이 필요 없어 설치시 비용 부담이 적으며, 신축 건물 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세대에 설치된 제품마다 고유의 ID가 설정되어 있어 데이터의 오류 및 간섭이 없으며, 특정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447MHz)을 사용하는 소출력 무선 제품으로 주파수 혼선의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선 방범 감지기와 도어 잠금 장치 제어 기능을 가정 자동화기기가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어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고, 보통의 가정 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 구성이 자유로우며, 각 통신 기기의 일체화로 전체 시스템 비용이 절감되는 카다란 이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10)

  1.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과 연결된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방범 상황이나 동체를 감지하고, 방범 또는 동체를 감지되면, 방범 또는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동체 또는 방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일정 시간 발생하고, 동체 및 방범 감지에 따른 경보 발생 상황을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방문객의 호출 스위치를 통한 호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키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가정 자동화부;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전송되는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 클로우즈시키는 도어 잠금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세대의 창호나 도어등에 장착되어 침입자의 방범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방범 감지부;
    세대의 현관이나 베란다 등에 장착되어 동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동체 감지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감지부는,
    세대의 창호나 도어등에 장착되어 침입자의 방범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방범 상황이 감지되면, 감지된 방범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감지부는,
    세대의 현관이나 도어등에 장착되어 동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동체가 감지되면, 감지된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제어부는,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도어 오픈/클로우즈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도어 오픈/클로우즈 결과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도어 오픈/클로우즈 제어 신호에 따라 도어를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시키는 도어 잠금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도어 잠금 제어부와 상기 가정 자동화부간의 무선신호 송수신 주파수 대역은 447MHz 인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 자동화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방범 및 동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도어 오픈/클로우즈 키 입력신호에 따라 도어 오픈 또는 클로우즈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도어 잠금 제어부로 전송하며, 도어 잠금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의 도어 상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체 및 방범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동체 및 방범 감지 신호에 따라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경보 발생 상황을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경보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중앙 제어부;
    상기 중앙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 발생 제어 신호에 따라 설정된 시간 동안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
    상기 중앙 제어부를 통해 발생되는 경보 발생 신호를 상기 집한 주택 경비 시스템으로 인터페이싱하는 집합 주택 경비 통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경보음 발생부를 통해 경보음이 일정 시간 발생하는 도중 사용자로부터 경보음 차단을 위한 ID 또는 패스워드가 입력되는 경우 경보음 발생을 차단 제어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 주택 경비 시스템은,
    상기 가정 자동화부로부터 전송되는 동체 및 방범 감지에 따른 경보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고, 경보 발생 정보를 저장하는 경보 발생 처리부;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해당 세대주의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경보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발생 처리부에서 저장되는 경보 발생 정보는, 경보 발생 새대정보, 경보 발생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10-2003-0022059A 2003-04-08 2003-04-08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KR10049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59A KR100495706B1 (ko) 2003-04-08 2003-04-08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059A KR100495706B1 (ko) 2003-04-08 2003-04-08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612A true KR20040087612A (ko) 2004-10-14
KR100495706B1 KR100495706B1 (ko) 2005-06-14

Family

ID=3736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059A KR100495706B1 (ko) 2003-04-08 2003-04-08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5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138A (ko)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Rf신호를 이용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513971B1 (ko) * 2011-12-23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댁내 방범 시스템
WO2020050796A3 (en) * 2018-06-20 2020-05-07 Yanda Teknoloji Aş A security and automation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138A (ko) * 2004-12-08 2006-06-13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Rf신호를 이용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513971B1 (ko) * 2011-12-23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패드를 이용한 댁내 방범 시스템
WO2020050796A3 (en) * 2018-06-20 2020-05-07 Yanda Teknoloji Aş A security and automation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5706B1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security systems
KR10030167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인 경비 시스템
JP2004135197A (ja) 住宅用制御・監視統合システム
IT201800005672A1 (it) Sistema di allarme biometrico scalabile con intelligenza artificiale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2004135203A (ja) 住宅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4310614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495706B1 (ko) 무선 방범 방재용 가정 자동화 시스템
WO1997048220A2 (en) Programmed telephone security system
KR10058537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도어락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41507B1 (ko) 두 종류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방범 방재시스템과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한 시스템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JP200624381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13520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5208878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30032693A (ko) 방범, 방재 기능을 갖는 무선 도어락 시스템
JP3132055U (ja) 薄型テレビ台
JP2007058663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413519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200186166Y1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KR20000074038A (ko)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20000043713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가전기기의 자동 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KR20100048823A (ko) 터미널형 유/무선 다기능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