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648B1 - 꺼꾸리 지압장치 - Google Patents

꺼꾸리 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648B1
KR100547648B1 KR1020040055476A KR20040055476A KR100547648B1 KR 100547648 B1 KR100547648 B1 KR 100547648B1 KR 1020040055476 A KR1020040055476 A KR 1020040055476A KR 20040055476 A KR20040055476 A KR 20040055476A KR 100547648 B1 KR100547648 B1 KR 10054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key
saddle
transf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0148A (ko
Inventor
신현권
Original Assignee
신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권 filed Critical 신현권
Priority to KR102004005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64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148A/ko
Priority to US11/168,303 priority patent/US7125389B2/en
Priority to CNB2005100839864A priority patent/CN100364495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93Hanging by hanging the patient upside down or inclined downward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꺼꾸리 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꺼꾸리 장치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가 위치된 방향으로 진동, 지압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확보된 척추사이로 이탈된 디스크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며, 혈액순환과 긴장 완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평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에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로 연결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키조절지지대와; 상기 키조작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걸 수 있게 된 발걸이로 구성된 꺼꾸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 헤드를 척추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구동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타격헤드가 척추를 타격하도록 구동시키는 타격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측면에 장착되어 타격 및 이송에 대한 각종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도래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키설정 데이터에 따라 미리 스텝모터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송구동부와 타격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안장 내부에서 타격헤드가 척추를 따라 이송하면서 척추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에 일정 강도의 타격을 받게 되어, 척추의 사이에 이탈된 디스크가 원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꺼꾸리 지압장치{STAND ON END APPARATUS WITH A MASSAGE MEANS}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장치가 내장된 꺼꾸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이송구동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타격구동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압장치, 102:타격헤드,
110:이송구동부, 112:이송부 하우징,
114:지지판, 116:슬라이드판,
118:관통공, 120:가이드봉,
122,124:삽입홀, 126:고정용 보스,
128:제 1기어, 130:제 2기어,
132:체인, 134:고정고리,
136:이송모터, 138:감속기어부,
150:타격구동부, 152:타격모터,
154:감속기어부, 156:지지판,
160:캠, 162:타격판,
164:타격봉, 166:고정부재,
168:헤드지지판, 170:보스,
172:복원스프링, 200:키조작패널,
222:메모리, 224:제어부.
본 발명은 꺼꾸리 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꺼꾸리 장치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가 위치된 방향으로 진동, 지압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확보된 척추사이로 이탈된 디스크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며, 혈액순환과 긴장 완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에는 웰빙이나 주 5일제의 붐에 맞추어 운동으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정신적, 시간적 여유가 생김에 따라 자신의 육체적 건강 증진 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휴일에는 심신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푸는 시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직장인의 경우 심신의 피로가 주로 근무자세나 형태에서 발생되는 잘못된 자세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목 또는 허리, 등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즉 척추 디스크 관련 질병이 흔하게 발병할 수 있다. 척추는 크게 경추(목부위 7개), 흉추(가슴부위 12개), 요추(허리부위 5개), 선골 1개, 미골 3 내지 6개로 구성되어져 있는 바, 이때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에 존재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수행하는 연골로서 일종의 관절에 해당되고, 그 80% 정도가 물로 이루어진 젤타입의 수핵과 그 수핵을 감싸서 보호하는 섬유질의 섬유륜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척추에는 각종 중추신경이 통과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또, 추간판 디스크는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며, 중량 분산과 흡수를 통해 척추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튼튼한 인대 조직에 의해 둘려쌓여 쉽게 밀려나오지 않게 구성되어져 있다.
하지만, 나쁜 자세나 사고, 과다한 중량물 운반, 외부적인 충격 등에 의해 어느 한 척추뼈가 틀어지게 되면 그 사이를 통해 척추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밀려나온 디스크는 주위의 신경을 자극하게 되므로 심한 고통을 느끼게 되고, 인대와 근육은 더 이상 척추가 비틀어지지 않도록 강한 힘으로 경직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일명 "디스크 질환" 이나 "추간판 탈출증"이다. 특히, 밀려나 온 디스크가 요추 디스크인 경우에는 "허리 디스크"라고 일컫는다.
이때의 치료방법은 수술을 통해 비틀어진 척추를 교정하거나, 물리적인 치료를 빈번하게 가하여 물리적으로 비틀어진 척추를 교정하는 방법이 있다. 물리적인 교정이란 인간의 직립보행을 통해 척추가 틀어지게 되므로 하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다시 상방으로 가하게 하는 치료방법이다.
이러한 치료 및 자세 교정을 위해, 최근에는 물구나무 서기 형태의 운동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운동장치(이하, 꺼꾸리 장치라 함)의 구성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기 꺼꾸리 장치(2)는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체(10)와; 그 하부 구조체(10)의 상부에 물구나무 선 상태로 매달릴 수 있는 안장(22) 및 발걸이(32)가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10)는 양측에 각각 각목의 형태로 프레임이 짜여져 전체적으로는 평면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는 전방 지지대(12)와; 그 전방 지지대(12)와 유사하게 프레임이 짜여져 있으면서 상기 전방 지지대(12)에 대해 일정각도 벌어지고,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후방 지지대(18)로 구성된다.
전방 지지대(12)의 상방 소정부에는 좌우측 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된 연결지지대(14)가 용접되어져 있으며, 그 연결 지지대(14)에 대해 수직으로 키조절 지지대(24)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상단부에는 상체를 눕히거나 일으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6)가 현수되어져 있으며, 그 전방 지지대(12)의 하부에 는 각도 조절판(20)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 지지대(14)와 키조절 지지대(24)의 상부에는 안장(22)이 밀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안장(22)의 하부에는 길이조절핀(28)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키조절 지지대(24)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이 걸려지는 복수개의 발걸이(3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상단에는 발 받침대(34)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발걸이(32)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여 발목조임을 조절하는 발목조임 조절대(36)가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안장(22)이 상부측에 위치되고, 발걸이(32)가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안장(22)에 등을 밀착시키고, 상기 손잡이(16)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팔에 힘을 가하여 안장(22)이 하부로 위치되게 거꾸로 매달린다.
그러면, 체중에 짓눌려 손상된 연골조직이 회복될 수 있고, 나쁜 자세로 인해 굽은 등을 곧추세워 신장을 늘리는 효과가 있으며, 복부비만으로 튀어나온 배를 들어가게 하여 체형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고, 수족냉증의 치료에도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등의 성인병을 예방/치료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에 의한 피로회복 내지는 긴장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꺼꾸리 장치(2)는 단지 환자나 자세 교정자가 거꾸로 매달리는 것에 불과한 장치이므로, 그 효과가 매우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무게중심이 빠르게 머리쪽으로 쏠리지 않으며, 거꾸로 매달림으로써 척추사이에 확보된 공간으로 디스크가 삽입 복원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꺼꾸리 장치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가 위치된 방향으로 진동, 지압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확보된 척추사이로 이탈된 디스크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며, 혈액순환과 긴장 완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에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로 연결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키조절지지대와; 상기 키조작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걸 수 있게 된 발걸이로 구성된 꺼꾸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 헤드를 척추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구동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타격헤드가 척추를 타격하도록 구동시키는 타격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측면에 장착되어 타격 및 이송에 대한 각종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도래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키설정 데이터에 따라 미리 스텝모터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송구동부와 타격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안장 내부에서 타격헤드가 척추를 따라 이송하면서 척추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에 일정 강도의 타격을 받게 되어, 척추의 사이에 이탈된 디스크가 원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구동부는 이송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가 그 내부에 내장된 이송부 하우징과; 그 이송부 하우징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대면되게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지지판에 각각 수직되게 연결된 가이드봉과;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는 상하 이동을 행하고 상기 가이드봉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 1 기어와; 상기 이송모터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체인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체인과 슬라이드판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고리와; 상기 이송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터의 축에 축결합되면서 그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기어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 소정부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리밋스위치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격구동부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슬라이드판의 일측면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타격모터와; 그 타격모터와 축결합된 감속기어부와; 그 감속기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감속기어부의 축에 편심 결합된 캠과; 캠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캠과 밀착되어 캠의 궤적에 따라 위치 이동되는 타격판과; 그 타격판의 중심에 결합된 타격봉과; 그 타격봉과 타격판을 슬라이드판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타격봉의 전단 외주연에 보스에 의해 결합된 헤드 지지판과; 그 타격봉의 종단부에 결합된 타격헤드와; 상기 헤드지지판과 고정부재의 사이 타격봉 외주연에 결합된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장치가 내장된 꺼꾸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장치가 내장된 꺼꾸리 장치(2')는 종래의 꺼꾸리 장치(2)와 마찬가지로, 장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구조체(10)와; 그 하부 구조체(10)의 상부에 물구나무 선 상태로 매달릴 수 있는 안장(22) 및 발걸이(32)가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하부 구조체(10)는 양측에 각각 각목의 형태로 프레임이 짜여져 전체적으로는 평면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는 전방 지지대(12)와; 그 전방 지지대(12)와 유사하게 프레임이 짜여져 있으면서 상기 전방 지지대(12)에 대해 일정각도 벌어지고,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후방 지지대(18)로 구성된다.
전방 지지대(12)의 상방 소정부에는 좌우측 프레임에 수직으로 연결된 연결지지대(14)가 용접되어져 있으며, 그 연결 지지대(14)에 대해 수직으로 키조절 지지대(24)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상단부에는 상체를 눕히거나 일으키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6)가 현수되어져 있으며, 그 전방 지지대(12)의 하부에는 각도 조절판(20)이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연결 지지대(14)와 키조절 지지대(24)의 상부에는 안장(22)이 밀착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안장(22)의 하부에는 길이조절핀(28)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안장(22)은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일정 각도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키조절 지지대(24)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이 걸려지는 복수개의 발걸이(3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상단에는 발 받침대(34)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발걸이(32)사이의 이격공간을 조절하여 발목조임을 조절하는 발목조임 조절대(36)가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압장치가 내장된 꺼꾸리 장치(2')는 상기 안장(22)의 내부에 지압장치(100)가 구성되어져 있는 바, 그 지압장치(100)는 환자나 자세 교정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타격 헤드(102)가 척추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일정 각도의 타격을 받게 되어, 거꾸로 매달림으로 인해 확보된 척추의 사이에 이탈된 디스크가 보다 원할하게 삽입되어 이탈 디스크가 복원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꺼꾸리 장치(2')에는 그 지압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조작패널(200)이 상기 전방 지지대(12)의 일측면에 구비되어져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이송구동부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상기 지압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지압장치(100)는 크게 상기 타격헤드(102)가 상기 안장(22)의 내부에서 안장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을 하도록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110)와; 상기 이송구동부(110)의 슬라이드판(116)의 상부에 구비되어져 있으면서 척추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구동부(15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이송구동부(110)는 이송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모터(136)가 그 내부에 내장된 이송부 하우징(112)이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이송부 하우징(112)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이송부 하우징(112)과 그 정면 면적이 동일한 지지판(114)이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 하우징(112)과 지지판(114)에는 각각 대면한 상태로 위치되고, 그 대면부에는 각각 삽입홀(122,124)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삽입홀(122,124)에 장봉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봉(120)이 삽입되어지고, 그 지지판(114)의 타면으로부터 고정용 보스(126)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120)의 종단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봉(120)은 상기 지지판(114)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 하우징(112)과 상기 지지판(114)의 사이에는 상하 이동을 행하는 슬라이드판(116)이 위치되게 되며, 그 슬라이드판(116)의 중앙에는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118)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관통공(118)을 통해 상기 가이드봉(120)이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판(116)은 상기 가이드봉(120)을 통해 상하 이동시 가이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114)의 일측면에는 제 1 기어(128)가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이송부 하우징(112)에는 상기 제 1 기어(128)와 체인(132)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기어(130)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체인 (132)에는 슬라이드판(116)이 고정고리(134)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다. 따라서, 체인(132)이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판(116)은 체인(132)의 이동거리와 동일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모터(136)의 축에 축결합되면서 그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기어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138)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감속기어부(138)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속기어부(138)의 종단 기어축은 상기 제 2 기어(130)에 축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 하우징(112)과 상기 지지판(114)의 측면 소정부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리밋스위치(140a,140b)가 부착되어져 있는 바, 상기 슬라이드판(116)이 이송부 하우징(112)과 지지판(114)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리밋스위치(140a,140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이송모터(136)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어 역방향으로 다시 직선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타격구동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3에 구비된 타격 구동부(150)는 상기 안장(22)의 내부에 위치되어져 있으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척추를 타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판(116)에 그 타격 구동부(150)가 장착되어져 있다.
상기 타격구동부(15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슬라이드판(116)의 일측면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타격모터(15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타 격모터(152)의 축에는 감속기어부(154)가 장착되어지고, 그 감속기어부(154)의 타단에는 지지판(156)이 결합되어져 있고, 그 지지판(156)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감속기어부(154)의 축에 캠(160)이 편심 결합되어져 있다.
캠(160)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그 캠(160)과 밀착 및 밀착해제를 반복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타격판(162)이 구비되고, 그 타격판(162)의 중심에는 타격봉(164)이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그 타격봉(164)과 타격판(162)은 슬라이드판(116)에 고정된 고정부재(166)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타격봉(164)의 전단 외주연에는 헤드 지지판(168)이 고정보스(170)에 의해 결합되고, 그 타격봉(164)의 종단부에는 상기한 타격헤드(102)가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헤드지지판(168)과 고정부재(166)의 사이 타격봉(164) 외주연에는 복원스프링(172)이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타격구동부(15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타격구동부(150)는 상기 슬라이드판(116)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구동 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타격모터(152)가 구동된다.
상기 타격모터(152)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을 감속기어부(154)를 통해 속도는 감속시키고, 구동력은 증가시키게 된다. 그 감속기어부(154)에서 증가된 구동력은 상기 캠(160)을 회전시킨다.
상기 캠(160)이 회전되면, 캠(160)이 편심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그 캠(160)의 상부에 위치된 타격판(162)을 상승/하강시키게 된다. 즉, 캠(160)의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타격판(162)과 밀착될 경우에는 그 캠(160)이 상기 타격판(162)을 밀어올리고, 캠(160)의 직경이 작은 부분이 타격판(162)과 밀착된 경우에는 상기 타격판(162)이 하강되게 되고, 이때, 상기 타격봉(164)은 복원스프링(172)에 의해 상기 캠(160)과 말착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봉(164)의 상승 및 하강은 그 선단에 위치된 타격헤드(102)가 척추를 지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므로 이탈된 디스크를 척추의 사이에 삽입시키게 되고, 디스크 복원이 보다 빨라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꺼꾸리 지압장치(2')에는 상기 지압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키조작패널(200)이 구비되는 바, 그 키조작패널(200)에는 전원투입버튼(202), 수동/자동모드 선택버튼(204), 이송속도 설정버튼(206), 타격속도 설정버튼(208), 시간설정버튼(209)이 구비되어져 있다.
수동/자동모드 선택버튼(204)은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가 때때로 키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이송동작과 타격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하는 신호발생 버튼이며, 이송속도 설정버튼(206)은 상기 타격구동부(208)가 구비된 슬라이드판(116)의 이송속도를 설정하는 버튼이고, 타격속도 설정버튼(208)은 상기 타격헤드(102)의 초당 타격횟수를 설정하는 버튼이며, 시간설정버튼(209)은 지압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상기 시간설정버튼(209)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도래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210)가 구비되고, 그 부저(210)를 구동시키는 부저구동부(212)가 구비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판(116)을 이송시키는 이송모터(136)가 구비되고, 그 이송모터(136)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 구동부(11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타격헤드(10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타격모터(152)가 구성되고, 그 타격모터(152)를 구동시키는 타격모터 구동부(21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꺼꾸리 지압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LED(218)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LED(218)를 구동시키는 LED구동부(22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종 키버튼(202,204,206,208,209)을 통해 인가받은 설정신호를 저장하고, 각 설정신호에 따른 모터 구동데이터(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2)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각종 키버튼(202,204,206,208,209)을 통해 설정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메모리(222)에 저장하고, 그 메모리(222)로부터 펄스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이송모터(136) 및 타격모터(152)에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224a)가 종료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부저(21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224)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키조작패널(200)을 통해 지압장치(100)의 구동을 설정하고, 키신호를 발생시키면 먼저 상기 타격모터(152)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타격모터(152)가 구동되면, 그 회전력을 감속기어부(154)를 통해 속도는 감속시키고, 구동력은 증가시키게 된다. 그 감속기어부(154)에서 증가된 구동력은 상기 캠(160)을 회전시킨다.
상기 캠(160)이 회전되면, 캠(160)이 편심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일정시간 간 격으로 그 캠(160)의 상부에 위치된 타격판(162)을 상승/하강시키고, 그 타격판(162)과 결합된 타격봉(164)이 상승/하강 운동을 하고, 그 타격봉(164)의 상하운동에 따라 그 종단에 장착된 타격헤드(102)가 척추를 지압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타격구동부(150)의 타격동작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상기 이송구동부(110)가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구동부(110)의 속도는 미리 설정한 이송속도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송구동부(110)의 구동은 상기 이송모터(136)로부터 시작하게 되는 바, 이송모터(136)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상기 감속기어부(138)를 통해 상기 제 2 기어(130)로 전달된다. 제 2 기어(130)가 회전하면 그 기어(130)에 체결된 체인(132)이 이동하게되고, 그 이동에 따라 체인(132)에 결합된 슬라이드판(116)이 이송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판(116)이 이송부 하우징(112)과 지지판(114)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리밋스위치(140a,140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이송모터(136)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어 역방향으로 다시 직선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꺼꾸리 지압장치는 꺼꾸리 장치에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가 위치된 방향으로 진동, 지압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확보된 척 추사이로 이탈된 디스크가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며, 혈액순환과 긴장 완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평면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부 구조체와; 상기 하부 구조체의 상면에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로 연결되어 안장을 지지하는 키조절지지대와; 상기 키조작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을 걸 수 있게 된 발걸이로 구성된 꺼꾸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된 타격 헤드를 척추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송구동부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타격헤드가 척추를 타격하도록 구동시키는 타격구동부와;
    상기 안장의 측면에 장착되어 타격 및 이송에 대한 각종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조작부와;
    상기 키조작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도래시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설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키설정 데이터에 따라 미리 스텝모터 구동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조작부의 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이송구동부와 타격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안장 내부에서 타격헤드가 척추를 따라 이송하면서 척추를 타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채로, 척추에 일정 강도의 타격을 받게 되어, 척추의 사이에 이탈된 디스크가 원할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동부는 이송 구동력을 발생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가 그 내부에 내장된 이송부 하우징과; 그 이송부 하우징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대면되게 설치된 지지판과;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지지판에 각각 수직되게 연결된 가이드봉과;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는 상하 이동을 행하고 상기 가이드봉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 결합된 제 1 기어와; 상기 이송모터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체인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기어와; 상기 체인과 슬라이드판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고리와; 상기 이송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모터의 축에 축결합되면서 그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배가시키기 위해 기어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하우징과 상기 지지판의 측면 소정부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리밋스위치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구동부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슬라이드판의 일측면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된 타격모터와; 그 타격모터와 축결합된 감속기어부와; 그 감속기어부의 타단에 결합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감속기어부의 축에 편심 결합된 캠과; 캠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그 캠과 밀착되어 캠의 궤적에 따라 위치 이동되는 타격판과; 그 타격판의 중심에 결 합된 타격봉과; 그 타격봉과 타격판을 슬라이드판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타격봉의 전단 외주연에 보스에 의해 결합된 헤드 지지판과; 그 타격봉의 종단부에 결합된 타격헤드와; 상기 헤드지지판과 고정부재의 사이 타격봉 외주연에 결합된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꺼꾸리 지압장치.
KR1020040055476A 2004-07-16 2004-07-16 꺼꾸리 지압장치 KR10054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76A KR100547648B1 (ko) 2004-07-16 2004-07-16 꺼꾸리 지압장치
US11/168,303 US7125389B2 (en) 2004-07-16 2005-06-29 Spinal massager
CNB2005100839864A CN100364495C (zh) 2004-07-16 2005-07-15 脊椎按摩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476A KR100547648B1 (ko) 2004-07-16 2004-07-16 꺼꾸리 지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330U Division KR200363889Y1 (ko) 2004-07-16 2004-07-16 꺼꾸리 지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148A KR20040070148A (ko) 2004-08-06
KR100547648B1 true KR100547648B1 (ko) 2006-02-02

Family

ID=3560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476A KR100547648B1 (ko) 2004-07-16 2004-07-16 꺼꾸리 지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25389B2 (ko)
KR (1) KR100547648B1 (ko)
CN (1) CN10036449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22B1 (ko) * 2008-10-08 2011-01-25 신현권 관절 인장 타격기능이 구비된 거꾸리 지압장치
KR101631798B1 (ko) 2015-04-16 2016-06-24 이선일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1128B2 (en) * 2006-06-27 2008-04-22 Chih-Liang Chen Exercising apparatus
US7575541B2 (en) * 2007-03-14 2009-08-18 Samuel Chen Spine stretch machine
US20080280739A1 (en) * 2007-05-07 2008-11-13 Chieh-Ming Wu Inversion exerciser
US8083698B2 (en) * 2008-01-15 2011-12-27 Weightec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Massage device with a hoist transmission mechanism
US8083697B2 (en) * 2008-01-15 2011-12-27 Weightec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Massage device with a threaded bolt transmission mechanism
US8070698B2 (en) * 2008-04-16 2011-12-06 Weightec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Massage device with a shaft transmission mechanism
US8066652B2 (en) * 2008-04-16 2011-11-29 Weightec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Massage device with a hoist transmission mechanism
US8012073B2 (en) 2009-12-22 2011-09-06 Michael Charles Barnett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US20130131724A1 (en) * 2010-08-09 2013-05-23 Masanori Harada Chiropractic Device Having Alignment-by-Touch Function
KR101230664B1 (ko) * 2011-04-13 2013-02-06 주식회사 세라젬 온열치료기용 인체 체형 판단 장치 및 방법
CN102525704A (zh) * 2011-06-02 2012-07-04 吴道立 健美健身器
US20130059706A1 (en) * 2011-09-02 2013-03-07 Beto Engineering & Marketing Co., Ltd. (Owner in common 2/1 each) Massage device for tilting inversion exerciser
TWM433851U (en) * 2011-12-13 2012-07-21 Solid Focus Ind Co Ltd Vertical type auxiliary device with both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functions
KR101384509B1 (ko) * 2013-04-06 2014-04-16 안승훈 전동식 꺼꾸리용 구동장치 및 전동식 꺼꾸리
RU2570765C2 (ru) * 2014-02-19 2015-12-10 Василий Фёдорович Севрюков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осложнений при остеохондрозе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CN108371605B (zh) * 2018-02-27 2019-06-11 邓纪英 一种用于医疗护理的电动按摩椅
KR102223805B1 (ko) * 2018-04-26 2021-03-05 주식회사 세라젬 마사지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3502A (ko) * 2019-11-22 2021-06-02 주식회사 세라젬 면역력 강화를 위한 온열 마사지기 구동 방법
JP1670417S (ko) * 2020-02-24 2020-10-19
JP1670418S (ko) * 2020-02-24 2020-10-19
CN115212530B (zh) * 2022-07-11 2023-04-18 金陵科技学院 一种具有大众健身及体操教学训练多功能倒立架
CN115770133A (zh) * 2022-12-02 2023-03-10 青岛大学 脊柱外科术后联动辅助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841A (ja) * 1983-07-20 1985-02-07 松下電工株式会社 マツサ−ジ機
US4615336A (en) * 1983-11-30 1986-10-07 Fuji Medical Instruments Mfg. Co., Ltd. Automatic massaging machine
SE511529C2 (sv) * 1993-09-22 1999-10-11 Good Health Inc 4 Kroppstraktionsbord för behandling av bland annat ryggbesvär
US5462516A (en) * 1993-12-29 1995-10-31 Niagara Therapy Manufacturing, Inc. Cyclical action massaging chair
US5551937A (en) * 1995-01-04 1996-09-03 Kwo; Chung-Jen Body inversion suspension exercise device
JPH10243982A (ja) * 1997-03-05 1998-09-14 Family Kk 椅子型マッサージ機とその運転制御方法
KR100247230B1 (ko) * 1997-07-12 2000-04-01 김형준 헬스용 기구의 구동장치
CN2312032Y (zh) * 1997-10-05 1999-03-31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电动按摩椅
KR20040053855A (ko) * 2002-12-16 2004-06-25 최현배 온열 치료기
CN2590563Y (zh) * 2002-12-30 2003-12-10 屠洪明 电动保健按摩椅的脊背按摩上下行走机构
US7037279B2 (en) * 2003-05-27 2006-05-02 Hakjin Kim Lie-down massager
US6960174B2 (en) * 2003-05-21 2005-11-01 Randall Fenkell Therapeutic back exercise machine
US7052448B2 (en) * 2004-08-23 2006-05-30 Teeter Roger C Tiltable exerciser having massag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22B1 (ko) * 2008-10-08 2011-01-25 신현권 관절 인장 타격기능이 구비된 거꾸리 지압장치
KR101631798B1 (ko) 2015-04-16 2016-06-24 이선일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25389B2 (en) 2006-10-24
CN100364495C (zh) 2008-01-30
US20060015046A1 (en) 2006-01-19
CN1720890A (zh) 2006-01-18
KR20040070148A (ko) 200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648B1 (ko) 꺼꾸리 지압장치
KR100699027B1 (ko)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101010822B1 (ko) 관절 인장 타격기능이 구비된 거꾸리 지압장치
KR101017559B1 (ko) 디스크 치료용 침대
KR20080006337A (ko) 신체교정용 침대
CA2243541A1 (en) A traction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of herniated nucleosus pulposus or sprain and strain
CN109512563B (zh) 人体脊柱保护架
CN104470590A (zh) 脊柱矫正用康复运动器械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JP2004527338A (ja) 全身運動用逆立ち運動装置
KR100798208B1 (ko) 개별위치의 집중 지압이 가능한 꺼꾸리 지압장치
CN101400410B (zh) 运动器械
KR200363889Y1 (ko) 꺼꾸리 지압장치
CN110433021A (zh) 一种脊柱扭动、震动、牵拉的康复方法与脊柱运动康复床
CN100396267C (zh) 防止或减轻下背部疼痛的装置
KR100725279B1 (ko) 스트레칭 교정 및 키 성장 촉진보조장치
CN102319164A (zh) 一种颈椎病的治疗和康复仪
KR100453547B1 (ko) 척추 수직 반복견인 유산소 운동기
KR100388130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RU2242207C2 (ru)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для позвоночного столба "профилактор евминова"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и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CN109512565B (zh) 躯干康复治疗机
KR101397392B1 (ko) 척추 교정장치
KR101397393B1 (ko) 체인형 리프팅 수단을 이용한 척추 교정장치
KR102033568B1 (ko) 척추 교정장치
RU86868U1 (ru) Стол для массажа и мануальной терап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