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517B1 -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517B1
KR100547517B1 KR1020047006024A KR20047006024A KR100547517B1 KR 100547517 B1 KR100547517 B1 KR 100547517B1 KR 1020047006024 A KR1020047006024 A KR 1020047006024A KR 20047006024 A KR20047006024 A KR 20047006024A KR 100547517 B1 KR100547517 B1 KR 10054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terminal blocks
terminal
housing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986A (ko
Inventor
레포티어이브스
엠. 푸어스트로버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4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shape cabl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는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개시되고, 여기서 전도체는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갖는다. 유전성 하우징은 하우징의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리셉터클을 갖는다.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블록을 리셉터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단자 블록은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와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의 개구부에서 노출되는 평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하며, 단자 블록은 폭이 변하는 전도체의 패턴과 정합하게 크기가 변하는 평면의 패턴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에 배열된다.
커넥터 조립체, 단자 블록, 커넥터 하우징, 리셉터클

Description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CONNECTOR SYSTEM FOR INTERCONNECTION WITH FLAT FLEXIBLE CIRCUITR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이고, 특히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같은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분리된 복수의 전선을 편평한 회로의 그 폭이 변하는 전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편평한 가요성 회로는 통상적으로 이들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전도체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스트립을 갖는 길고 편평한 가요성 유전성 기판을 포함한다. 전도체는 회로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얇은 가요성 보호피막으로 덮혀질 수 있다. 보호층이 사용된다면, 보호층에 개구부를 형성해서 그 아래의 전도체가 소망의 접촉 위치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접촉 위치에서 전도체는 상보성 정합 연결 장치의 전도체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보성 정합 연결 장치는 분리된 전선에 종결시킬 수 있는 정합 커넥터의 개별 단자,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2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이에 해당된다.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접속시키거나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상보성 정합 연결 장치의 전도체와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다양한 커넥터가 수년동안 설계되어 왔다. 그러나 가변 전류 특성을 편평한 단일 회로에 제공하기 위해 전도체 스트립의 폭이 변화하는 편평한 회로 소자에서도 커넥터에 여전히 문제가 생긴다. 달리 말하면,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편평한 회로는 길고 편평한 유전성 기판의 전도체 측방향으로 이격된 스트립을 갖지만, 많은 적용에 있어서 전도체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없다. 예컨대 자동차에 이용함에 있어서, 단일 편평한 가요성 회로는 폭이 변하는 전도체를 가지고, 전류 용량을 변하게 하여 자동차에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좁은 전도체 스트립은 감지 신호 또는 논리 신호를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 넓은 전도체 스트립은 라이트, 파워 윈도우 모터 등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분명히, 편평한 회로 소자의 전도체 스트립은 크기나 규격이 다른 분리 전선과 같은 상보성 정합 연결 장치의 다르거나 변하는 전도체에 연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편평한 회로 소자에 있는 크기가 다른 전도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극히 간단한 모듈식 장치 또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같은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새롭고 개선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도체는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분리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전도체는 편평한 회로의 측방향으로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은 하우징의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갖는다.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블록을 리셉터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단자 블록은,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와의 결합을 위해 리셉터클의 개구부에서 노출되는 평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한다. 블록은 폭이 변하는 전도체의 패턴과 정합하게 크기가 변하는 평면의 패턴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에 배열된다.
특히 본 발명은 폭이 변하는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에 복수의 분리 전선을 연결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된다. 결국, 종결 수단은 전선을 삽입하기 위해 단자 블록에 구멍을 갖는다. 단자 블록의 구멍은 단자 블록의 크기 변화에 정비례하여 크기가 변한다. 블록은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도시되며,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블록이 전선을 구멍 내에 클램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리셉터클에 단자 블록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 상에 보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단자 블록이 근접하여 나란히 배열되어 하우징의 리셉터클에 장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다. 따라서 유전성 분리기는 리셉터클에서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이나 실시예에 따라, 유전성 분리기는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다. 유전성 분리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의 평 측면에 고정되는 편평한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이나 실시예에 따라, 유전성 분리기는 유전성 커넥터 하 우징 상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기가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벽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분리기 벽은 리셉터클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된다. 벽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벽 사이의 가변 배열 내에 가변 크기의 단자 블록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이 첨부 도면과 연계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신규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특징들이 첨부된 청구항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연결된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잘 이해될 수 있고,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구체화한, 커넥터 조립체의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조립체를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의 실시예에서 단자 블록을 수용하는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4는 하우징에 장착되는 단자 블록을 가진 도3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다른 크기의 단자 블록을 수용하도록 분리기 벽을 분리시키기 전의, 도3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과 단자 블록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 다.
도7은 하우징으로부터 단자 블록이 제거된 도6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1 및 도2에서, 도면 부호 "10"의 장치로 구현되는 본 발명은, 도1에서 도면 부호 "12a" 내지 "12d"로 가상 도시된 복수의 분리 전선을 편평한 회로의 전도체[14a 내지 14d(도2 참조)]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같은 편평한 회로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6"으로 지시된다. 앞서 "배경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편평한 가요성 회로(16)는 편평한 가요성의 유전성 기판(18)(도1 참조)을 갖는데, 이곳에 전도체(14a 내지 14d)의 편평한 가요성 스트립이 배치된다. 편평한 가요성 회로(16)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0"으로 지시되는 상보성 정합 커넥터에서 종결되는데, 이는 다양한 형상이나 디자인을 갖는다. 도2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14a 내지 14d)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2"로 지시된 볼록한 접촉 지역에 노출된다.
상보성 정합 커넥터(20)는 화살표 "A"(도1 참조)의 방향으로 어댑터의 상부 후방 리셉터클(24)로 삽입된다. 커넥터(20)처럼, 어댑터(26)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형상에서, 어댑터는 지지 패널의 구멍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계되고, 한 쌍의 아이릿(islet)(28)이 어댑터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어댑터를 패널에 고정시켜 준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0"으로 지시되는 커넥터 조립체로 구체화되는데, 이는 어댑터의 하부 전방 리셉터클(3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26)와 정합 커넥터(20)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신규한 커넥터 조립체의 적용 또는 사용에 대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다.
특히 도1 및 도2와 연결되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30)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4"로 지시되어 도3에 별도로 도시된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개방된 리셉터클(36)(도3 참조)을 갖는데, 도면 부호 "38"(도4 참조)에서처럼 리셉터클을 하우징의 외부와 통하게 한다. 하우징(34)은 복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장착한다. 하우징(34)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성 물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된 하나의 구조물이다. 하우징은 인접한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하거나 절연하는 유전성 분리기 벽(42)을 갖는다. 단자 블록은 리셉터클의 하부 전방 에지에 있는 경사진 보유 보스(44)(retaining boss)를 지나서 리셉터클(36)에 스냅 결합되고, 단자 블록은 분리기 벽(44)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리셉터클의 각 대향 단부에 있는 상부 보유 플랜지(46)로써 리셉터클에 유지된다.
각각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은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고체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예컨대 단자 블록은 주석 도금된 고체 황동으로 제조될 수 있다. 블록은 전선(12a 내지 12d)(도1 참조)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48)을 갖는다. 금속 블록은 전선을 클램프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선은 단자 블록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크기 또는 규격이 달라진다. 단자 블록이 하우징(34)에 장착될 때, 단자 블록의 편평면 또는 평면(50)은 개구부(38)(도4 참조)를 통해 노출된다. 달리 말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블록의 편평면 또는 평면(50)은 하우징 리셉터클의 개구부(38)에서 보유 플랜지(46)의 후방으로 노출된다.
이 점에서 도2를 다시 참조하면, 편평한 가요성 회로(16)에 전도체(14a 내지 14d)의 스트립이 편평한 회로의 측방향으로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갖는다. 전도체의 폭이 변하는 패턴은 주어진 회로의 성능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배경 기술"에서 자동차에 이용되는 것으로 지적된 바와 같이, 전도체(14a, 14c)의 좁은 스트립은 자동차의 여러 구성 요소에 감지 신호 또는 논리 신호를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 넓은 전도체(14b, 14d)는 라이트, 파워 윈도우 모터 등과 같은 구성 요소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2를 보면, 전도체가 가변 폭의 패턴을 갖는다는 점과 함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은 회로 전도체(14a 내지 14d)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배열되어 커넥터(30)의 하우징(34)에 있는 리셉터클(36)에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삽입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작은 단자 블록(40a)은 좁은 회로 전도체(14a)와 정합하는 크기를 갖고, 큰 단자 블록(40b)은 회로 전도체(14b)와 정합하는 크기를 가지며, 작은 단자 블록(40c)은 좁은 회로 전도체(14c)와 정합하는 크기를 갖고, 가장 큰 단자 블록(40d)은 회로 전도체(40d)와 정합하는 크기를 갖는다.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의 크기 및 배열을 회로 전도체(14a 내지 14d)의 크기 및 배열과 정합시키는 위의 이해를 바탕으로 도4를 참조하면, 평면(50)이 하우징(34)의 배면에 있는 개구부(38)에서 노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질적으로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도체(14a 내지 14d)의 가변 패턴과 정합하는 가변 패턴의 평면(50)을 제공하도록 하우징(34)의 리셉터클에 배열된다. 커넥터 조립체(30)가 어댑터(26)의 하부 전방 리셉터클(32)(도1 참조)로 삽입되고, 정합 커넥터(20)가 어댑터(26)의 상부 후방 리셉터클(24)로 삽입될 때, 볼록한 접촉 지역(22)(도2 참조)에 노출되는 전도체(14a 내지 14d)는 보유 플랜지(46)의 내측으로 향한 단자 블록의 평면(50)(도4 참조)과 결합한다.
도5는 통상적이거나 보편적인 하우징을 성형한 후에 유전성 분리기 벽(42) 사이의 가변 배열 내에 가변 단자 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하우징(34)의 특정 구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34)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성 물질로 성형되고, 분리기 벽(42)은 하우징과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그러나 분리기 벽이 벽의 전방 바닥 모퉁이에 있는 작은 취성 웹(50)에 의해 하우징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것을 도5에서 알수 있다. 또한 후방 에지와 벽의 하부 에지 부분은 얇거나 좁은 취성부(52)에 의해 하우징에 연결된다. 도5에서, 분리기 벽(42)은 하우징(34)의 리셉터클(36)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5를 도3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많은 분리기 벽이 제거되어 분리기 벽 사이에 크기가 다른 공간을 제공하여, 도4에 도시된 크기가 다른 단자 모듈(40a 내지 40d)의 배열을 수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우징(34)의 제작은 하우징의 나머지로부터 분리기 벽(42)을 분리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이것은 취성 웹(50)과 취성부(52)로 인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분리기 벽은 통상의 플라이어(plier) 등과 같은 적절한 공구에 의해 취성 웹(50)과 취성부(52)에서 간단히 분리되고, 선택적으로 제자리에 남아있는 분리기 벽 사이의 가변 배열 내에 가변 단자 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우징이 제작될 수 있다.
도6 및 도7은 커넥터 조립체(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30)는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34)은, 크기가 다른 단자 블록을 배열시켜서 복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장착한다. 본 발명이 잘 이해될 수 있도록, 도6 및 도7에 도시한 크기가 변하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이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단자 블록과 약간 다를지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1 내지 도5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 요소와 일치하도록 도6 및 도7에 적용된다.
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하우징(34)은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수용하는 리셉터클(36)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셉터클은 개구부(38)를 갖는데, 이러한 개구부(38)를 통해서 단자 블록의 평면(50)이 노출되어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전도체와 결합한다. 단자 블록은 하우징의 전방 개구부(60)를 통해 리셉터클로 삽입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경사진 래칭 플랜지(62)가 단자 블록을 리셉터클에 유지한다. 또한 단자 블록은 다른 규격의 분리 전선(12a 내지 12d)을 수용하는 구멍(48)을 갖고, 블록을 전선에 크림프시킨다.
도6 및 도7의 실시예에서, 유전성 분리기(64)는 각자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단자 블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전성 분리기는 편평한 전기 절연 웨이퍼(64)를 포함하는데,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의 평 측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유전성 웨이퍼들은 단자 블록을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거나 분리시킨다.
유전성 분리기(64)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b)과 일체형이고, 하우징(34)의 리셉터클(36)은 벽들의 연속 공동 공간(continuous cavity void)이므로, 실제로 무한히 다양한 다른 배열을 가지는 가변 단자 블록을 하우징(34) 내에 위치시켜서, 편평한 회로에 있는 측 방향으로 이격된 전도체 스트립의 임의의 패턴과 정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중심 특징 내에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제나 실시예는 예시적이면서 제한적이지 않은 모든 면에서 고려될 것이고,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1)

  1. 분리된 복수의 전선(12a 내지 12d)을 편평한 회로(16)의 전도체(14a 내지 14d)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10)이며,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38)를 구비한 리셉터클(36)을 갖는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34)과,
    상기 리셉터클(36)에 위치시킬 수 있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과,
    복수의 전선(12a 내지 12d)을 종결시키기 위해 단자 블록에 있는 종결 수단(48)을 포함하고,
    전도체(14a 내지 14d)는 편평한 회로(16)의 측방향으로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갖고,
    단자 블록은, 편평한 회로(16)의 전도체(14a 내지 14d)와의 결합을 위해 개구부(38)에서 노출되는 평면(50)의 변화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하며,
    단자 블록은 폭이 변하는 전도체(14a 내지 14d)의 패턴과 정합하게 크기가 변하는 평면(50)의 패턴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에 배열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은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결 수단은 단자 블록으로 전선(12a 내지 12d)을 삽입하기 위해 단자 블록(40a 내지 40d)에 구비되는 구멍(48)을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이 전선(12a 내지 12d)을 구멍 내에 클램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의 상기 구멍(48)은 단자 블록의 크기 변화에 정비례하여 크기가 변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d) 사이에 유전성 분리기(42, 64)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64)는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d)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의 평 측면에 고정되는 편평한 웨이퍼(64)를 포함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42)가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 상에(34)에 있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는 커넥터 하우징(34)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벽(42)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리셉터클(36)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벽(42)을 포함하고, 벽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벽 사이의 가변 배열 내에 가변 크기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에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34)상에 보유 수단(44, 46, 62)을 포함하는 장치.
  13. 편평한 회로(16)의, 폭이 변하는 패턴을 가진 전도체(14a 내지 14d)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조립체(30)이며.
    외부로 통하는 개구부(38)를 구비한 리셉터클(36)을 갖는 유전성 하우징(34)과,
    리셉터클(36)에 나란히 배열하여 위치시킬 수 있는 전도성 물질의 복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블록은, 편평한 회로(16)의 전도체(14a 내지 14d)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개구부(38)에서 노출되는 평면(50)의 변화에 대응하여 크기가 변하며,
    상기 블록은 폭이 변하는 전도체(14a 내지 14d)의 패턴과 정합하게 크기가 변하는 평면(50)의 패턴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에 배열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은 단면이 대체로 직사각형인 커넥터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d) 사이에 유전성 분리기(42, 64)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64)는 서로 인접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단자 블록(40a 내지 40d)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의 평 측면에 고정되는 편평한 웨이퍼(64)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42)가 유전성 커넥터 하우징(34)상에 있는 커넥터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분리기는 커넥터 하우징(34)과 일체형으로 성형된 벽(42)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리셉터클(36)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벽(42)을 포함하고, 벽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벽 사이의 가변 배열 내에 가변 크기의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21. 제13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에 단자 블록(40a 내지 40d)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커넥터 하우징(34)상에 보유 수단(44, 46, 62)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047006024A 2001-10-24 2002-10-21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KR100547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3,541 2001-10-24
US10/003,541 US6520810B1 (en) 2001-10-24 2001-10-24 Connector system for interconnection with flat flexible circuitry
PCT/US2002/033537 WO2003036764A1 (en) 2001-10-24 2002-10-21 Connector system for interconnection with flat flexible circuit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986A KR20040048986A (ko) 2004-06-10
KR100547517B1 true KR100547517B1 (ko) 2006-01-31

Family

ID=2170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024A KR100547517B1 (ko) 2001-10-24 2002-10-21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20810B1 (ko)
EP (1) EP1440494B1 (ko)
JP (1) JP4061428B2 (ko)
KR (1) KR100547517B1 (ko)
DE (1) DE60203022T2 (ko)
WO (1) WO2003036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90B1 (ko) 2008-11-19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2430B2 (en) * 2002-06-13 2005-06-07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Connector housing retainer
JP2005004993A (ja) *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JP2005004994A (ja) * 2003-06-09 2005-01-06 Jst Mfg Co Ltd プラグ型コネクタ及びこ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
US6935902B1 (en) * 2004-08-05 2005-08-30 Ching Lin Chou Coupler device for power supply facility
US8512079B2 (en) * 2009-09-17 2013-08-20 Henge Docks Llc Docking st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improved electrical interface
JP5626830B2 (ja) * 2009-10-23 2014-11-1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熱電変換モジュール作製方法
US9048560B2 (en) * 2013-01-29 2015-06-02 Avx Corporatio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of making
CN104485559A (zh) * 2014-12-08 2015-04-01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扁平电缆与圆形导线连接用矩形连接器
CN116076153A (zh) 2021-08-31 2023-05-05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复合片材和扁平带状线缆的联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6188A (en) * 1962-01-18 1963-04-16 Joseph I Ross Non-reversing hermaphroditic cable connectors
US3325769A (en) * 1964-09-25 1967-06-13 Rogers Corp Separable electrical circuit assembly
US4206958A (en) * 1978-03-27 1980-06-10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ical conductor having an integral electrical contact
US4343528A (en) * 1980-04-25 1982-08-10 Amp Incorporated Modular interconnect system
US4665614A (en) * 1985-04-04 1987-05-19 Molex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 multi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US4915641A (en) * 1988-08-31 1990-04-10 Molex Incorporated Modular drawer connector
JP2896783B2 (ja) * 1989-03-01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二重ロック構造
JPH034464A (ja) * 1989-05-30 1991-01-10 Riyousei Denso Kk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2822305B2 (ja) * 1994-01-31 1998-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FR2730588B1 (fr) * 1995-02-13 1997-03-28 Cinch Connecteurs Sa Perfectionnements aux connecteurs electriques
DE19753521C2 (de) * 1997-12-03 2000-04-06 Amphenol Tuchel Elect Steckverbinder
US6183299B1 (en) * 1998-05-29 2001-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Automotive cellular phone connecto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90B1 (ko) 2008-11-19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986A (ko) 2004-06-10
EP1440494B1 (en) 2005-02-16
WO2003036764A1 (en) 2003-05-01
JP2005507151A (ja) 2005-03-10
US6520810B1 (en) 2003-02-18
EP1440494A1 (en) 2004-07-28
DE60203022T2 (de) 2005-12-29
DE60203022D1 (de) 2005-03-24
JP4061428B2 (ja)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984Y1 (ko) 전기 커넥터
US6790089B2 (en) Cable assembly
US4863393A (en) Modular jack assembly with improved bridging arrangement
US691877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ng circuit boards
CN101331653A (zh) 电缆连接器组件的板安装式接头
US681462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8190903A (ja) 印刷回路基板用の改良したバッテリーホルダ
US4255004A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H0828245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3023602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module
JPH11510301A (ja) 電子装置箱同軸接続組立体
KR100547517B1 (ko)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장치
EP0522798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20142672A1 (en) Housing with integrally molded connectors
EP116640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45009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with lead-in device
US5078609A (en) Plural jack connector module
EP0109297B1 (en)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EP1718140A2 (en) Electric connection box
EP0131248B1 (en) Connector for coaxially shielded cable
US2003007793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867303B1 (en) Modular circuit device
US6109932A (en) Three-dimension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WO1997041624A1 (en) Electrical socket for two plugs
US6053778A (en) Rigidizing cover plate for a printed wiring board mounted termina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