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117B1 -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117B1
KR100547117B1 KR1020030034030A KR20030034030A KR100547117B1 KR 100547117 B1 KR100547117 B1 KR 100547117B1 KR 1020030034030 A KR1020030034030 A KR 1020030034030A KR 20030034030 A KR20030034030 A KR 20030034030A KR 100547117 B1 KR100547117 B1 KR 10054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electronic device
network electronic
network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532A (ko
Inventor
이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117B1/ko
Priority to US10/847,466 priority patent/US20050015446A1/en
Priority to EP04102327A priority patent/EP1482697A3/en
Priority to JP2004160023A priority patent/JP2004355634A/ja
Priority to CNB2004100119591A priority patent/CN100341272C/zh
Publication of KR2004010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57Factory remote control, monitoring through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인터넷 채팅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단계,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다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 중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정확한 인터넷 주소를 알 필요도 없고,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접속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구현할 필요 없이도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a network electr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버 접속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명령 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클라이언트 20: 인터넷 망
30: 인터넷 채팅 서버 40: 네트워크 전자기기
500: 서버 접속 처리부 510: 제어명령 처리부
600: 식별번호 입력 처리부 610: 상태 검출부
700: 프로토콜 해석부 710: 제어명령 해석부
720: 데이터 저장부 730: 제어명령 실행부
740: 에러 메시지 생성부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거리 제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전자기기는 컴퓨터 주변기기를 포함해서 인터넷 등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를 말한다.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공유하여 다른 곳에서 액세스를 하기 위한, 종래의 한가지 방법은 인터넷망에 공유되어 있는 웹 서버(web server)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연결되어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그 네트워크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접속과 그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장치들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은 컴퓨터의 필수적인 부분은 아니지만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장치들로서, 프린터, 복합기(MFP: Multi Function Peripheral), 이미지 스캐너, 팩스, 다큐먼트 서버 등을 말한다. 클라이언트는 컴퓨터 처리에서 다른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요구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네트워크에 공유되어 있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은 자체 웹(web) 기능을 가지고 있거나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프로그램들이 구현되어 있어서 그 프로그램들이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동작시킨다. 즉, 종래에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연결되어 있는 웹 서버(web server)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도메인 서버(domain server)에 가입하여, 웹 서버에 연결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나 URL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address)가 공유가 되어 전 세계에서 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IP 주소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로 통신할 때 송신원과 송신선을 식별하기 위한 주소이며, URL 주소는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web page)를 보여주기 위한 표준화된 논리 주소이다.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공유하고 다른 곳에서 액세스를 하기 위한, 다른 한가지 방법은, 네트워크 전자기기들 자체가 웹 서버를 가지고 있어서, 웹 서버를 인터넷망 관리센터(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에 등록하여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통해 전 세계에서 공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모든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은 웹 서버를 통해 공유되어 왔다. 즉, 어떤 한 개인이 자기 집에 있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원거리에서 액세스하여, 제어하기 위해서는 웹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IP 주소나 URL 주소를 등록을 해야하고, 또한, 웹 서버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첫 번째, 사용자가 공유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액세스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사용하려면 IP 주소나 URL 주소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두 번째, 웹 서버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웹 서버의 메모리 공간이 커져야 한다는 부담을 주게 된다.
세 번째, 웹 서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경우에는 일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에 비해 고비용이 요구되고, 또한 웹 서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인터넷에 공유하기 위해서도 고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접속된 인터넷 채팅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구현할 필요 없이,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은 인터넷 채팅(IRC: Internet Relay Chat)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단계,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다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들 중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는 인터넷 채팅 서버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접속시키는 서버 접속 처리부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명령 처리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클라이언트(10), 인터넷 망(20), 인터넷 채팅 서버(30) 및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10)의 일 예로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다. 인터넷 채팅 서버(30)는 대화의 다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하나의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전 세계로부터 클라이언트(10)가 접속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문자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 전자기기(40)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전자기기(40)는 종래와 달리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인터넷망(20)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클라이언트(10)가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로서,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계(제100 ~ 제10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접속한다(제100 단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00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100A)의 플로차트로서, 결정된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를 전송하여, 전송된 식별기호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하는가에 따라,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를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하는 단계(제200 ~ 제20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인터넷 채팅 서버(30)를 결정한다(제200 단계). 몇 개의 잘 알려진 인 터넷 채팅 서버는 미리 선정되어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입력되어 있다.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접속할 인터넷 채팅 서버(30)는 미리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대한 식별기호 정보 등을 구비하고 있는 서버이다.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2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 채팅 서버(30)가 선택되면, 선택된 인터넷 채팅 서버(30)를 네트워크 전자기기(40)와 접속할 인터넷 채팅 서버(30)로서 결정한다.
제200 단계 후에,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를 결정된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한다(제202 단계).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는 아이디(ID: 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제202 단계 후에,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제204 단계). 인터넷 채팅 서버(30)는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등록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등록정보에 기록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전송된 식별기호를 비교하여, 식별기호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된 식별기호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를 전송한다(제206 단계).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는 대기 상태일수도 있고,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액세스되어 동작을 실행 중일 수도 있다. 인터넷 채팅 서버(30)는 전 송받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그러나, 전송된 식별기호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2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새로운 식별기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제208 단계). 만일, 제2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새로운 식별기호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제202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2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새로운 식별기호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제200 단계로 진행한다.
제100 단계 후에,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한다(제102 단계). 클라이언트(10)는 종래의 방법으로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한다. 클라이언트(10)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면, 현재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다른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도 디스플레이 된다.
제102 단계 후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다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들 중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 전송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제104 단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104A)의 플로차트로서, 대화형 메시지 형태로 제공된 제어명령의 선택 메뉴 중에서 결정된 제어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어명령인가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제300 ~ 제31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결정한다(제300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다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들 중에서 제1 사용자에 의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클라이언트(10)에서 제어할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서 결정한다.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결정하면,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대화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제300 단계 후에,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결정한다(제302 단계). 제어 명령의 종류는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최초로 전송되는 제어명령과, 그 이후에 부수적으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이 있다. 최초에 전송되는 제어명령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부수적인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의 선택 메뉴를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요구하는 제어명령이다.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제어 명령은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최초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일 수도 있고,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명령의 선택메뉴에서 선택된 제어 명령일 수도 있다. 제1 사용자에 의해 제어명령이 선택되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서 결정한다.
제302 단계 후에,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한다(제304 단계).
제304 단계 후에,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306 단계).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은 인터넷상에서의 채팅이 가능하도록 정의된 프로토콜로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TCP/IP 네트웍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채팅을 위한 프로토콜인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판단한다(제308 단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는 자신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명령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자기기(40)는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제어명령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여,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판단한다.
만일,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310 단계). 제어명령은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일 수도 있고, 제어명령의 하위에 속하는 부수 선택 메뉴를 요구하는 제어명령일 수도 있다. 부수 선택 메뉴는 제어명령의 부수적인 제어명령에 대한 다양한 선택사항을 구비하고 있는 메뉴이다.
만일,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부수 선택 메뉴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제302 단계로 진행한다(제312 단계).
그러나,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한다(제314 단계).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 명령은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실질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한다.
한편,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거나,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제316 단계). 에러 메시지는 전송된 제어명령에 의해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플로차트는 대화형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제어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 대화형 메시지 형식의 제어명령 선택 메뉴에서 결정된 제어명령에 의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제어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기술한다.
첫 번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전자기기(40) 중의 하나인 프린터나 복합기에서 인쇄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 중 프린터 또는 복합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문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전송할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대화창이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Help"라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이 "Help"라는 제어 명령이 인터넷 채팅 서버(30)를 통해서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전송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Help"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lp"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Help"라는 제어 명령이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이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 구비된 제어명령 데이터 중의 하나인가를 검사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 구비된 제어명령 데이터의 일 예를 보면, 모든 네트워크 전자기기에 공통되는 제어명령 데이터로서 "Help", "Get", "Set", "Do"을 구비하고 있으며,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 특수한 제어 명령 데이터로서 "Print", "Connect", "Display" 및 "Distribute" 등을 구비하고 있다. "Help"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제공할 수 있는 제어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라'는 제어명령이고, "Get"은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속성이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라'는 제어명령이고, "Set"은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속성이나 데이터에 대해 클라이언트(10)로부터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 전송하라'는 제어명 령이다. 또한, "Print"는 '파일을 인쇄하라'는 제어명령이고, "Connect"는 '프린터 또는 복합기를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와 연결하라'는 제어명령이고, "Display"는 '프린터 또는 복합기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제어명령이고, "Distribute"는 '프린터 또는 복합기의 파일을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라'는 제어명령이다. 이 제어 명령들은 네트워크 전자기기들마다 다를 수 있고, 또 그 명령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것들도 네트워크 전자기기들마다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이 명령들을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자로 보낼 수 도 있고 선택형 메뉴로도 보낼 수 있다. 즉 선택형 메뉴는 "1. Get, 2. Set, 3. Display" 등으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클라이언트(10)로 보내면 사용자가 1번,2번, 또는 3번을 고를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메뉴를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클라이언트(10)로 보내어 사용자가 선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Help"라는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인 "1. 주 메뉴, 2. 관리 메뉴, 3. 도움말" 등을 검출하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전송된 부수 선택 메뉴인 "1. 주 메뉴, 2. 관리 메뉴, 3. 도움말" 등은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에 의해 부수 선택 메뉴 중에서 "1. 주 메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어명령이 다시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전송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이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인 "1. 파일 인쇄, 2. 파일 검색, 3. 팩스 전송, 4. 받은 팩스 목록보기" 등을 검출하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전송된 부수 선택 메뉴인 "1. 파일 인쇄, 2. 파일 검색, 3. 팩스 전송, 4. 받은 팩스 목록보기" 등은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에 의해 부수 선택 메뉴 중에서 "1. 파일 인쇄"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어명령이 다시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전송된다. 이때, 인쇄할 파일을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전송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1. 파일 인쇄"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파일 인쇄"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1. 파일 인쇄"라는 제어 명령이 프린터 또는 복합기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프린터 또는 복합기는 "1. 파일 인쇄"라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된 파일의 인쇄를 실행한다.
전송된 파일이 인쇄되었다는 결과는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파일 인쇄 시에 네트워크 전자기기들 중의 하나인 데이터 서버로부터 인쇄할 파일을 프린터 또는 복합기로 가져와서 인쇄를 실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하거나, 여러 프린터 또는 복합기들에 동시에 하나의 파일을 인쇄하도록 제어명령을 할 수도 있다.
두 번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전자기기(40) 중의 하나인 다큐먼트 서버에서 파일을 불러오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 중 다큐먼트 서버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문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다큐먼트 서버로 전송할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대화창이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Help"라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이 "Help"라는 제어 명령이 인터넷 채팅 서버(30)를 통해서 다큐먼트 서버로 전송된다.
다큐먼트 서버는 "Help"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lp"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Help"라는 제어 명령이 다큐먼트 서버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다큐먼트 서버는 제어명령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어서, 클라이언트(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이 다큐먼트 서버에 구비된 제어명령 데이터 중의 하나인가를 검사한다. 다큐먼트 서버에 구비된 제어명령 데이터의 일 예를 보면, 모든 네트워크 전자기기에 공통되는 제어명령 데이터로서 "Help", "Get", "Set", "Do"을 구비하고 있으며, 다큐먼트 서버에 특수한 제어 명령 데이터를 아울러 구비하고 있다.
다큐먼트 서버는 "Help"라는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인 "1. 주 메뉴, 2. 관리 메뉴, 3. 도움말" 등을 검출하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전송된 부수 선택 메뉴인 "1. 주 메뉴, 2. 관리 메뉴, 3. 도움말" 등은 클라 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부수 선택 메뉴 중에서 "1. 주 메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어명령이 다시 다큐먼트 서버로 전송된다.
다큐먼트 서버는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이 다큐먼트 서버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다큐먼트 서버는 "1. 주 메뉴"라는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인 "1. 파일 목록 보기, 2. 서버 목록 보기" 등을 검출하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전송된 부수 선택 메뉴인 "1. 파일 목록 보기, 2. 서버 목록 보기" 등은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부수 선택 메뉴 중에서 "1. 파일 목록 보기"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어명령이 다시 다큐먼트 서버로 전송된다.
다큐먼트 서버는 "1. 파일 목록 보기"라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파일 목록 보기"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1. 파일 목록 보기"라는 제어 명령이 다큐먼트 서버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다큐먼트 서버는 "1. 파일 목록 보기"라는 제어 명령에 따라 다큐먼트 서버에 저장된 파일의 목록을 검출하여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전송된 파일 목록은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파일 목록 중 소정 파일이 선택되고, 선택된 소정 파일에 대한 "Get" 제어명령이 결정되면, 소정 파일에 대한 "Get" 제어명령이 다시 다큐먼트 서버로 전송된다.
다큐먼트 서버는 소정 파일에 대한 "Get"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t"이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인가를 검사하고, "Get"라는 제어 명령이 다큐먼트 서버에서 허용되는 제어명령인가를 검사한다.
다큐먼트 서버는 소정 파일에 대한 "Get"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파일을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
소정 파일이 클라이언트(10)로 전송되었다는 결과는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복합기 등에서 스캐닝된 파일이나 팩시밀리를 통해 팩스된 파일을 클라이언트(10)로 불러들여서 목록 보기를 수행한 후에, 전술한 다큐먼트 서버에서 파일을 불러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스캐닝된 파일이나 팩스된 파일을 클라이언트(10)로 불러올 수 있다.
세 번째 실시예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현재 상태를 클라이언트(10)에 제공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되면, 접속된 시점에서의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가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되고,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는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 태는 주기적으로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상세한 현재 상태를 요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상세한 현재 상태가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104B)의 플로차트로서, 제어명령의 메뉴 창에서 결정된 소정 제어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제어명령인가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제400 ~ 제41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결정한다(제400 단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가 결정되면, 결정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제어명령의 메뉴 창이 클라이언트(1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전술한 대화형 메시지 형태의 선택 메뉴와 달리, 제어명령의 메뉴 창은 제어명령을 제1 사용자가 한번에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명령은 일시에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 전송된다는 면에서 대화 형식으로 제어명령을 제공하는 도 4에 기술된 일 실시예(104A)와 차이가 인정된다.
제400 단계 후에,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결정한다(제402 단계).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제어명령의 메뉴 창에서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서 결정한다.
제402 단계 후에,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 전송한다(제404 단계).
제404 단계 후에,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제406 단계).
만일,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판단한다(제408 단계).
만일,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한다(제410 단계).
그러나,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거나,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제412 단계).
제104 단계 후에, 제어된 결과 또는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제106 단계). 제어명령에 의해 제어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제어된 결과 또는 제어명령에 의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클라이언트(1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 서버 접속 처리부(500) 및 제어명령 처리부(510)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 접속 처리부(500)는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접속시킨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버 접속 처리부(50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500A)의 블록도로서, 식별기호 입력 처리부(600) 및 상태 검출부(610)로 구성된다.
식별기호 입력 처리부(600)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를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한다. 식별기호 입력 처리부(60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식별기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한다. 인터넷 채팅 서버(30)는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등록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등록정보에 기록된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와 네트워크 전자기기(40)로부터 전송된 식별기호를 비교한다.
상태 검출부(610)는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를 검출하여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한다. 상태 검출부(610)는 인터넷 채팅 서버(30)의 등록정보에 기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식별기호와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 로부터 전송된 식별기호의 비교된 결과를 인터넷 채팅 서버(30)로부터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받는다. 상태 검출부(610)는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현재 상태를 검출하여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인터넷 채팅 서버(30)로 전송한다.
제어 명령 처리부(510)는 클라이언트(1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명령 처리부(5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510A)의 블록도로서, 프로토콜 해석부(700), 제어 명령 해석부(710), 데이터 저장부(720), 제어 명령 실행부(730) 및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해석부(700)는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검사한다. 프로토콜 해석부(700)에서 검사된 결과는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경우와,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프로토콜 해석부(700)는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검사하고, 검사한 결과를 제어명령 해석부(710) 및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로 출력한다.
제어 명령 해석부(710)는 전송된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검사한다. 제어명령 해석부(710)는 프로토콜 해석부(700)로부터 입력된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검사하고, 검사한 결과를 제어 명령 실행부(730) 및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로 출력한다. 제어 명령 해석부(710)는 전송된 소정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검사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부(720)로부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요청하고, 요청한 제어 명령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 명령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라는 검사 결과를 출력한다.
데이터 저장부(720)는 소정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 데이터 및 인터넷 채팅 서버(30)에 접속된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목록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720)는 제어명령 해석부(710)의 제어명령 데이터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 제어명령 데이터를 제공한다.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는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과 연결되어,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과의 신호 교환을 통해 소정 제어명령을 실행한다. 따라서,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등록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명령 실행부(73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를 검출한다. 제어명령 실행부(730)는 제어명령 해석부(710)로부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하거나,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를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는 대화형 메시지 형식으로 제어명령에 의해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할 때에 검출된다. 출력단자 OUT3에서 출력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의 제어된 결과는 클라이언트(1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는 프로토콜 해석부(700)로부터 검사된 결과 또는 제어명령 해석부(710)로부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에러 메시지를 생성한다.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에서 생성되는 에러 메시지는 전송된 제어명령에 의해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40)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에러 메시지 생성부(740)는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단자 OUT4에서 출력된 에러 메시지는 클라이언트(1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정확한 인터넷 주소를 알 필요도 없고,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이 접속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구현할 필요 없이도 인터넷을 통해 원거리에서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네트워크가 형성된 프린터, 복합기, 스캐너 또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인터넷 채팅 서버에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c)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종류들 중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를 결정하는 단계;
    (a2)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식별기호를 상기 결정된 인터넷 채팅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전송된 식별기호가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a4) 상기 전송된 식별기호가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현재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및
    (a5) 상기 전송된 식별기호가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 전자 기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식별기호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새로운 식별기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c2)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c3)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c4)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c5)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상기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6)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c7) 상기 제어 명령의 상기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부수 선택 메뉴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c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c8) 상기 제어 명령의 상기 부수 선택 메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c9)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상기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거나,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0)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결정하는 단계;
    (c11)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c12)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c13)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c14)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상기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15)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c16)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상기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지 않거나,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은
    상기 (c) 단계 후에, 제어된 결과 또는 상기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 명령이 파일 인쇄, 파일 불러오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상태확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7. 제1 항의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에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접속시키는 서버 접속 처리부;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명령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접속 처리부는
    제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식별기호를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로 전송하는 식별기호 입력처리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현재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처리부는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인터넷 채팅 프로토콜에 해당하는가를 검사하는 프로토콜 해석부;
    상기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명령 데이터 및 상기 인터넷 채팅 서버에 접속된 다른 네트워크 전자기기들의 목록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이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에서 허용되는 제어 명령인가를 검사하는 제어명령 해석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소정 네트워크 전자기기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어 명령의 부수 선택 메뉴를 검출하는 제어명령 실행부; 및
    상기 프로토콜 해석부로부터 검사된 결과 또는 상기 제어명령 해석부로부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는 에러 메시지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KR1020030034030A 2003-05-28 2003-05-28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4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30A KR100547117B1 (ko) 2003-05-28 2003-05-28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US10/847,466 US20050015446A1 (en) 2003-05-28 2004-05-18 Method and apparatus to remotely control electronic apparatuses over a network
EP04102327A EP1482697A3 (en) 2003-05-28 2004-05-26 Remote service provision using a chat protocol
JP2004160023A JP2004355634A (ja) 2003-05-28 2004-05-28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の遠隔制御方法及び装置
CNB2004100119591A CN100341272C (zh) 2003-05-28 2004-05-28 经网络遥控电子设备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030A KR100547117B1 (ko) 2003-05-28 2003-05-28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532A KR20040102532A (ko) 2004-12-08
KR100547117B1 true KR100547117B1 (ko) 2006-01-26

Family

ID=3312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030A KR100547117B1 (ko) 2003-05-28 2003-05-28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15446A1 (ko)
EP (1) EP1482697A3 (ko)
JP (1) JP2004355634A (ko)
KR (1) KR100547117B1 (ko)
CN (1) CN10034127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911A (ko) *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는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6620A1 (en) * 2005-02-23 2006-08-3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s with instant messaging
US20100299392A1 (en) * 2009-05-19 2010-11-25 Shih-Chien Chiou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devices using instant message
CN102467090B (zh) * 2010-11-16 2016-08-10 北京普源精电科技有限公司 一种测量资源控制方法和测量资源控制系统
TWI417814B (zh) * 2011-08-29 2013-12-01 Wishtek Technology 監視系統及其相關控制方法
JP5990006B2 (ja) * 2012-02-16 2016-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5845107B2 (ja) * 2012-02-21 2016-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74554A1 (en) * 2013-01-18 2015-03-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ntent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84507B1 (ko) 2013-09-05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77005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깃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대한 방법
US10009311B2 (en) 2014-03-28 2018-06-26 Alcatel Lucent Chat-based support of multiple communication interaction types
CN107086949A (zh) * 2016-02-15 2017-08-22 北京北信源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人与智能设备交互操作的辅助智能装置
KR102130830B1 (ko) * 2019-02-22 2020-07-06 백상운 전자장치 관리 시스템
JP7313189B2 (ja) * 2019-05-20 202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206824B1 (ko) * 2020-02-27 2021-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587592A (en) * 1991-03-18 1992-10-21 Echelon Corporation Networked variables
US5898387A (en) * 1997-03-26 1999-04-27 Scientific-Atlanta, Inc. Modular meter based utility gateway enclosure
JP2002512758A (ja) * 1997-05-19 2002-04-23 コアクティブ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ールド・ワイド・ウェブを用いて制御ネットワークと直接入出力装置をネットワークで結ぶためのサーバ・システムと方法
JPH11259423A (ja) * 1998-03-10 1999-09-24 Fujitsu Ltd 伝送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BR0009659A (pt) * 1999-04-09 2002-03-12 Henry B Steen Iii Sistema de monitoramento para habilitar múltiplos usuários a monitorar e controlar equipamento remoto, e, método para monitorar um equipamento localizado em localizações remotas utilizando o sistema de monitoramento computadorizado tendo acesso através da internet
AU3771400A (en) * 1999-08-05 2001-03-05 Princeton Protech Llc Alarm report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and instant messaging
US20020124057A1 (en) * 2001-03-05 2002-09-05 Diego Besprosvan Unified communications system
EP1420316B1 (en) * 2002-11-18 2012-05-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stant messaging for event notification and exchanging data in an industrial controller environ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911A (ko) *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는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의 구동 방법
KR101601273B1 (ko) * 2009-09-11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신저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는 로봇 장치, 및 로봇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41272C (zh) 2007-10-03
JP2004355634A (ja) 2004-12-16
KR20040102532A (ko) 2004-12-08
CN1592200A (zh) 2005-03-09
EP1482697A3 (en) 2005-01-12
EP1482697A2 (en) 2004-12-01
US20050015446A1 (en)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2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a network address
US6631407B1 (en) Device management network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0547117B1 (ko) 네트워크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40230500A1 (e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er terminal, service providing method, service utiliz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 service provi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 service utilizing program
JP2008071154A (ja) プログラム及び配置図作成装置
US7418632B2 (en) Service processing system, processing result management device and processing result checking method of service processing system
JP4297792B2 (ja) Webサーバ組み込みビジネス機器
JP5791367B2 (ja) 画像形成装置とプロキシサーバ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キシサーバ
US8687219B2 (en) System which can utilize a func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a web service
US6931447B1 (en) Remote hard copy apparatus control including firewall penetrating protocols
US73953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ssion management method
US6943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nt preview/media selection
US782286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program product for adding communication mechanism t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improved usability and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product
US200903001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of storing computer program to perform control method
US20090249372A1 (en) Work form management method, host apparatus to manage work form, work form management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work form management system
US8527643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that registers information notification destination and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9255390A (ja) 画像形成装置、機能連携制御方法、及び機能連携制御プログラム
US932586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communicate with external apparatus
JP6492711B2 (ja) 中継装置、操作画面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064853B2 (en) Document printing system
JP2006285840A (ja) 文書管理システム
JP5274203B2 (ja) データ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03248559A (ja)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7081771A (ja) ジョブ処理装置およびジョブ依頼装置
US200901987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data mining of document process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