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756B1 -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756B1
KR100546756B1 KR1020020079732A KR20020079732A KR100546756B1 KR 100546756 B1 KR100546756 B1 KR 100546756B1 KR 1020020079732 A KR1020020079732 A KR 1020020079732A KR 20020079732 A KR20020079732 A KR 20020079732A KR 100546756 B1 KR100546756 B1 KR 10054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tool
design tool
inform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014A (ko
Inventor
김상필
조한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7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7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설계 툴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관리자의 시간 소모 및 인적 자원 낭비를 방지하면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은, 개별적으로 분산된 각각의 설계 툴 정보를 보유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의 설계 툴 사용에 관한 요청시 이에 대한 답변을 수행하고 설계 툴에 대한 각종 기능을 표시하는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 및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에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군을 포함한다.
통합 설계 환경, 라이센스 관리, 설계 툴 관리, 통합 관리

Description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System for management semiconductor design tool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설계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반도체 설계 환경에서 개별 관리자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의 수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 110 : 사용자 정보
120 : 설계 툴 정보 130 : 호스트 정보
140 : 라이센스 정보 150 : 데이터베이스군
160 : 통합 관리자 170 : 사용자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에 관한 것 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계 환경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 들어서면서, 첨단 분야의 기술 발전, 특히 전자 분야의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인하여 전자 관련 분야 제품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고집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제품의 개발 주기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양한 신제품을 빠른 시간에 개발하기 위하여는 고도로 지능화된 설계 툴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1990년대이래, 국내외 전자 정보 통신과 관련된 연구소 및 산업체에서는 지능화된 설계 툴의 수요에 맞춰서 막대한 예산을 들여 다양한 상용 설계 툴들을 구매하여 설계 환경을 구축해왔다. 각 연구 부서에서는 자체적으로 설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부서별 역시 설계 환경을 관리하는 운영팀을 가동하면서 정보 통신 관련 연구 프로젝트들을 산출해왔다.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설계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반도체 설계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서별로 설계 툴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10) 및 설계 툴을 관리하는 개별 관리자(20)가 존재한다. 사용자(10)는 해당 개별 관리자(20)에게 설계 툴의 종류 및 사용이 가능한지, 설계 툴 사용 환경 설정에 관한 질문 또는 설계 툴 호출/사용법 등을 질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개별 관리자는 해당 질문에 답변하거나, 요청에 관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또한, 관리자(2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툴 사용과 관련한 사 용자 지원 작업(31), 설계 툴 설치/관리 작업(32), 라이센스 관리 작업(33), 라이센스 서버 관리 작업(34), 설계 툴 환경 설정 작업(35) 및 사용자별 환경 설정 작업(36)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반도체 설계 환경은 각 부서별로 개별적으로 구축함에 따라, 각 부서별로 설계 툴을 관리하는 다수의 관리자가 요구되고, 이들은 설계 툴 관리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여야 한다. 특히, 부서별로 관리됨에 따라, 개별 관리자들의 업무가 중복되어, 인적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 또한 있다.
더구나, 설계 툴을 부서별로 관리함에 따라, 개별 부서에서 보유한 설계 툴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추가로 구매하게 되어, 막대한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계 툴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관리자의 시간 소모 및 인적 자원 낭비를 방지하면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반도체 설계 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은, 개별적으로 분산된 각각의 설계 툴 정보를 보유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의 설계 툴 사용에 관한 요청시 이에 대한 답변을 수행하고 설계 툴에 대한 각종 기능을 표시하는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 및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에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군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은 모니터링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기능 및 답변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군은 데이터 베이스화된 사용자 정보, 설계 툴 정보, 호스트(host) 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설계 툴 관리방법은, 개별 분산된 설계 툴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툴 사용자가 설계 툴에 대한 질문, 사용 요청, 설계 툴 기능 개시에 대한 요청시, 상기 집계된 설계 툴 데이터에 의거하여, 답변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계 툴에 대한 답변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답변은 설계 툴 자체에서 직접 처리하거나, 새로운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그의 다른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의 수행 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 설계 툴 관리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과,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 제공되는 다수의 데이터베이스군(150)으로 구성된다.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자동 환경 설정 기능, 보유 설계 툴 정보 개시 기능, 라이센스 서버 정보 개시 기능, 라이센스 현황 표시 개시 기능, 사용자/호스트 정보 표시 기능, 자동 환경 설정 기능, 로그 분석 기능 및 라이센스 통제 기능을 갖는다. 즉,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사용자에게 보유하고 있는 설계 툴에 대한 종류와 수량을 보여주고, 현재 시점에서 사용 가능한 설계 툴에 대한 정보를 개시하여야 한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기능을 통해서 사용자 설계 툴 관리기에 등록된 모든 설계 툴에 대한 환경 변수를 자동 설정하고, 라이센스 키의 접속, 설계 툴의 호출 등과 같은 일련의 복잡한 작업을 쉽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일원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관리자와 사용자가 설계 관리기를 이용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설계 툴을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어떤 설계 툴이 부족하고 어떤 설 계 툴이 사용되지 않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사용량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하여야 하며, 라이센스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여 주어진 정책에 맞게 설계 툴의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이러한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군(150)은 사용자 정보(110), 설계 툴 정보(120), 호스트(host) 정보(130) 및 라이센스 정보(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 제공되므로써, 관련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라이센스 공유가 이루어진다. 또한, 일원화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통합 설계 환경 툴(100)에 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설계 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에게는 설계자(사용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없이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만 설정해주면 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110)에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ID, 사용자 이미지 파일 이름, 연락처, 소속 부서 및 소속 과제와 같은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설계 툴 정보(120)에는 설계 툴 이름, 버전(version) 정보, 라이센스 서버 이름, 라이센스 파일 위치, 설계 툴 사용을 위한 환경 변수 및 설계 툴 사용법 문서등과 같은 설계 툴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호스트 정보(130)에는 호스트 컴퓨터명, 호스트 컴퓨터 이미지 파일 이름, 인터넷 주소(IP address), 모델명, 모델 사양, 위치, 소속 부서 및 관리자등 설계 툴을 사용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관련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라이센스 정보(140)에는 라이센스 파일 이름, 라이센스 서버 이름, 라이센스 관련 명령어 및 라이센스 벤더 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정보(110-140)는 파일 형태나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되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접근, 사용된다.
이러한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통합 관리자(160)에 의해 관리되며, 이 통합 관리자(160)는 상기한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을 이용하여 통합 설계 환경을 구축한다. 이때, 종래의 개별 관리자가 하는 업무 대부분은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본 발명에서의 통합 관리자(160)는 설계 환경 구축만 수행하면 되므로, 업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170) 측면에서는 종래와 달리,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을 수행시켜서 갖가지 개시된 정보 및 기타 데이터베이스들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이용해서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와같이,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있던 설계 툴들을 통합시키고,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 의하여 이들 설계 툴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에따라, 통합 관리자(160)는 초기 통합 설계 환경 구축 및 이후 새로운 사항에 대해서만 추가로 변경하면 되므로, 중복 관리로 인한 인적 자원 낭비가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 측면에서는 관리자의 도움없이 소프트웨어인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을 이용해서 설계 툴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거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하다.
더구나,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에는 갖가지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관리자 및 사용자 측면 모두에서 최적의 통합 설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요구를 직접 처리하거나, 발전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시켜서 수행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되고, 생성된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가 된다. 즉,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부모 프로세스(200) 및 자식 프로세스(2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출하여 실행시킨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초기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갖는 단일 프로세스로 이루어졌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계 툴 호출, 라이센스 검사, 로그 분석, 사용자/호스트 정보 검색, 설계 툴 사용법을 요청할 수 있다. 로그 분석이나 사용자/호스트 정보, 설계 툴 사용법 등은 프로세스 생성없이 부모 프로세스에 의하여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설계 툴 호출이나 실시간 라이센스 검사 등은 외부 프로그램을 호출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100)은 새로운 자식 프로세스(210)를 생성시켜서 대신 수행한다. 부모 프로세스(200)와 자식 프로세스(210)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주고받음이 자유롭다.
또한, 부모 프로세스(200)와 자식 프로세스(210)는 일반적인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에서 사용하는 유닉스 운영 체제(300)내의 파이프(3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310)는 유닉스 윤영 체제(300)에서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단방향이고, 부모와 자식 프로세스 통신에 사용된다. 두 개의 프로세스를 연결시키는 방법은 부모 프로세스(400)의 표준 출력(205b)을 파이프(310)에 의하여 자식 프로세스(210)의 표준 입력(215a)과 연결하고, 자식 프로세스(210)의 표준 출력(215b)을 파이프(310)를 통하여 부모 프로세스(200)의 표준 입력(205a)에 연결한다. 부모 프로세스(200)는 자식 프로세스(210)를 통하여 설계 툴 호출이나 라이센스 검사와 같은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명령을 줄 때, 그것의 표준 출력(205b)으로 관련 명령과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주면, 실제 명령을 수행하는 자식 프로세스(210)는 표준 입력(215a)을 통해서 들어오는 정보를 받아서 명령을 수행한다. 아울러, 명령을 수행하면서 생성되는 출력 정보는 표준 출력(215b)을 통해서 부모 프로세스(200)의 표준 입력(205a)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부모 프로세스(200)에서는 표준 입력(205a)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유한 모든 설계 툴, 사용자, 호스트 시스템 및 라이센스 서버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을 설치한다.
이에따라, 보유하고 있는 설계 툴에 대한 정보들이 데이터 베이스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파악이 쉽고, 다른 부서에서 보유하고 있는 설계 툴이라도 설계 툴 관리자의 도움없이 간편하게 사용가능하므로, 설계 툴 활용율이 개선된다.
또한, 설계 툴이 전부 데이터 베이스화되어, 사용방법이 단순해져서 설계 툴 관리자의 도움없이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설계 툴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용되지 않는 설계 툴과 추가로 필요한 설계 툴의 수요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수량의 설계 툴을 유지할 수 있고, 설계 툴 관리기를 이용해서 다양한 버전의 설계 툴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으며, 최신 버전의 설계 툴을 구입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최적의 설계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에따라, 설계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보유 설계 툴 정보 표시 기능, 라이센스 서버 정보 개시 기능, 라이센스 현황 표시 기능, 사용자/호스트 정보 표시 기능, 자동 환경 설정 기능, 로그 분석 기능 및 라이센스 통제 기능을 갖는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 및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에 데이터 베이스화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군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은 개별적으로 분산된 각각의 설계 툴 정보를 통합적으로 보유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의 설계 툴 사용에 관한 요청시 사용이 가능한 경우 자동으로 설계 툴을 호출해서 사용할수 있도록 하고,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설계 환경 관리 툴은 모니터링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기능 및 답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군은 데이터 베이스화된 사용자 정보, 설계 툴 정보, 호스트(host) 정보 및 라이센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4. 개별 분산된 설계 툴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툴 사용자가 설계 툴에 대한 질문, 사용 요청, 설계 툴 기능 개시에 대한 요청시, 상기 집계된 설계 툴 통합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설계 툴을 호출하거나 답변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툴에 대한 답변을 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답변은 설계 툴 자체에서 직접 처리하거나, 새로운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툴 관리방법.
KR1020020079732A 2002-12-13 2002-12-13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KR10054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32A KR100546756B1 (ko) 2002-12-13 2002-12-13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732A KR100546756B1 (ko) 2002-12-13 2002-12-13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014A KR20040052014A (ko) 2004-06-19
KR100546756B1 true KR100546756B1 (ko) 2006-01-26

Family

ID=3734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732A KR100546756B1 (ko) 2002-12-13 2002-12-13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458B1 (ko) * 2022-02-17 2023-08-29 주식회사 싸이프 반도체 통합 모델링 솔루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모델링 수행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404A (ja) * 1993-12-24 199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設計支援装置
JPH1165831A (ja) * 1997-08-25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フトウェア設計支援装置
KR19990052562A (ko) * 1997-12-22 1999-07-15 정선종 혼합 공유 모델을 이용한 분산 환경에서의 하드웨어설계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저장 장치의 구조
KR20000058622A (ko) * 2000-06-20 2000-10-05 문혜준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 설명서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360A (ko) * 2000-06-29 2000-11-06 윤익현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에서의 설계정보 관리 방법
JP2001282868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設計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404A (ja) * 1993-12-24 199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設計支援装置
JPH1165831A (ja) * 1997-08-25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ソフトウェア設計支援装置
KR19990052562A (ko) * 1997-12-22 1999-07-15 정선종 혼합 공유 모델을 이용한 분산 환경에서의 하드웨어설계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저장 장치의 구조
JP2001282868A (ja) * 2000-03-31 2001-10-12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設計管理システム
KR20000058622A (ko) * 2000-06-20 2000-10-05 문혜준 네트워크를 이용한 사용 설명서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63360A (ko) * 2000-06-29 2000-11-06 윤익현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에서의 설계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014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5731B (zh) 一种免编码集成应用软件平台系统
JP3940171B2 (ja) 統合化アプリケーション・インタフェース・マネージャ
JP4867660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ユーティリティの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のコンポーネント化された自動プロビジョニングおよび管理
JP5148607B2 (ja) データベース管理における標準操作手順の自動化
JP2006053915A (ja) 統一化されたプラント・モデル用ダイナミック・スキーマ
JP2008518295A5 (ko)
US5659788A (e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unified interface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stem management software tools
EP1949233A2 (en) Dynamic definition for concurrent computing environments
US6499040B1 (en) Document and task coordination system for a computer
CN112686580B (zh) 一种可自定义流程的工作流定义方法及系统
CN109165062A (zh) 一种终端远程协助控制方法及系统
KR100546756B1 (ko) 반도체 설계 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US20070064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CN115237547A (zh) 一种非侵入式hpc计算集群的统一容器集群托管系统和方法
Marlin et al. MultiView-Merlin: An experiment in tool integration
Singh Systems integration‐coping with legacy systems
EP1628256A1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running a plurality of business processes
Holocher et al. AMBAS—An Adaptive Method Base Shell
CN107220053B (zh) 一种bios管理方法及电子设备
Huang et al. Development of a virtual factory emulator based on three-tier architecture
CN116521686B (zh) 动态数据表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cheer Embedding data modelling in a general architecture for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JPH09282153A (ja) 画面・帳票、データベース、プロトコル作成システム
JP2004046585A (ja) 分散型制御装置
JP2000148517A (ja) ジョブネット実行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