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428B1 -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428B1
KR100546428B1 KR1020040033292A KR20040033292A KR100546428B1 KR 100546428 B1 KR100546428 B1 KR 100546428B1 KR 1020040033292 A KR1020040033292 A KR 1020040033292A KR 20040033292 A KR20040033292 A KR 20040033292A KR 100546428 B1 KR100546428 B1 KR 10054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precharge
data lin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928A (ko
Inventor
이시이겐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2Sports equipment ; Games; Articles for amusement; Toys
    • B29L2031/5281Articles for amusement
    • B29L2031/529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는,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고 전송신호를 순차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와, 순차 출력된 n (단, n 은 2 이상의 자연수) 번째 전송신호를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화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샘플링 회로와, 순차 출력된 n-1 번째 전송신호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의 공급에 앞서 소정 전위의 프리차지 신호를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한다.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샘플링 회로, 프리차지 회로

Description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DRIVING CIRCUIT FOR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THE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샘플링 회로,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의 상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로직 회로도의 주요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 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주요 신호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트리밍 회로에 의한 트리밍 소자를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로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샘플링 회로,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 의 상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데이터선군, n 번째 데이터선군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0 은 제 4 실시형태의 트리밍 회로와 선택회로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1 은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H-H'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 는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전자기기의 다른 예로서의 PC 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은 전자기기의 일례로서의 TCP 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장치 10 : TFT 어레이 기판
20 : 대향기판 21 : 공통전극
50 : 액정층 100 : 액정패널
110 : 화상표시영역 103 : 클럭신호배선
112 : 주사선 114 : 데이터선
116 : TFT 118 : 화소전극
130 : 주사선 구동회로 140 : 샘플링 회로
141 : 샘플링 스위치 142 :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
150 : 데이터선 구동회로 160 : 시프트 레지스터
170 : 인에이블 회로 200 : 프리차지 회로
201 : 프리차지 스위치 202 : 프리차지 신호선
203 :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 204 : 트리밍 회로
205, 207 : 인버터 206 : NAND 회로
300 : 화상신호 처리장치 400 : 타이밍 제너레이터
500 : 프리차지 신호 발생회로 600 : 선택회로
601, 602, 603 : NAND 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액정패널 등의 전기광학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그 전기광학패널 및 구동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액정장치 등의 전기광학장치, 및 그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예를 들어 액정 프로젝터 등의 전자기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이러한 전기광학패널의 구동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기광학패널의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샘플링 회로, 프리차지 회로 등이 있다. 데이터 선 구동회로는, 그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송신호를 샘플링 펄스로서 샘플링 회로에 순차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샘플링 펄스에 따라 샘플링 회로는 화상신호선 위의 화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샘플링 회로에 의해 데이터선에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은, 구동주파수가 낮은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방식 등의 전기광학펄스라면 문제는 없다. 그럼에도 화상의 고품위화라는 일반적인 요청하에서 화상의 정세도가 높아지거나 구동주파수가 높아지거나 하면 데이터선의 배선용량 등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즉, 구동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한 구동력 부족이나 샘플링 회로에서의 기록능력 부족이 현저해진다. 이러한 기록능력 부족 등은 고스트 등의 화상불량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종래는, 각 데이터선에 대하여 화상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예를 들어 회색 혹은 중간색에 대응하는 소정 전위 레벨의 프리차지 신호를 해당 각 데이터선에 대하여 기록함으로써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한 구동력 부족이나 샘플링 회로에서의 기록능력 부족을 보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예를 들어 고구동주파수이고 귀선 기간이 짧은 하이비전 대응 화상표시용 등, 보다 구동주파수를 낮게 하거나 귀선 기간 (fly-back period) 을 짧거나 하기 위하여 전송 프리차지 혹은 순차 프리차지라 불리는 방식의 프리차지 회로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전송 프리차지 회로에 의하면,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를 기록하기 직전에 샘플링 회로에 의한 순차 동작에 앞서 프리차지 회로에 의한 순차 동작을 먼저 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프리차지를 실행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송 프리차지 회로에 의하면, 기판 위에서 데이터선의 한 쪽 편측에 샘플링 회로 및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선 구동회로가 배치되어 있고, 데이터선의 다른 쪽 편측에 프리차지 회로 및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즉, 기판 위에서 데이터선이 배선된 화상표시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영역에서, 예를 들어 그 하측 부근에 샘플링 회로 및 이것을 구동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등이 배치되며, 또한 예를 들어 그 상측 부근에 프리차지 회로 및 이것을 구동하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회로 등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프리차지 회로의 채용에 의해 기본적으로 기판의 소형화나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매우 곤란해진다는 기술적 문제점이 있다. 특히 데이터선의 양단에 별개의 회로를 형성해야 할 필요에 의해 기판 위에서의 각종 배선의 배치도 곤란해진다. 또, 외부부착 IC 회로로서 이들 각종 회로를 구축할 때에도 IC 개수가 증대되거나 실장영역 (mount area) 의 확보가 곤란하고, 제조공정이 곤란하다는 등 각종 곤란성을 초래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기판이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혹은 기판 위에서의 장치 구성이나 제어 형태를 간략화하면서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광학패널의 구 동회로, 그 구동회로 및 전기광학패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기광학장치 및 그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각종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판 위에 화소전극, 그 화소전극을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화상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선을 구비한 전기광학패널을 구동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로서, 전송신호를 순차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순차 출력된 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 번째 전송신호를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상기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샘플링 회로, 및 상기 순차 출력된 n-1 번째 전송신호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상기 데이터선에 대한 상기 화상신호의 공급에 앞서 소정 전위의 프리차지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에 의하면, 그 동작시에는 데이터선 구동회로에서 출력되는 샘플링 펄스에 따라 샘플링 회로에 의해 화상신호가 샘플링된다. 이로써 데이터선에 대하여 샘플링된 화상신호가 공급된다. 그러면, 전기광학패널 내에서는 데이터선으로 공급되는 화상신호는 예를 들어 별도 주사선을 통하여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 라 함)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화상전극에 공급된다. 이로써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에 의한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동작 중, 프리차지 회로에 의해 샘플링 회로에 의한 각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 공급에 앞서 프리차지 신호가 그 각 데이터선에 기록된다. 따라서,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의 기록능력 부족은 거의 또는 실천상 전혀 문제가 되는 일은 없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충분한 기록능력으로 기록된 화상신호에 따라 고스트 등이 저감된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에서는 특히, 샘플링 회로와 프리차지 회로는 동일한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송신호를 각각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이용하여 동작한다. 즉,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동일한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송신호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종래의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 방식의 구동회로와 같이, 샘플링 회로와 프리차지 회로에 대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를 각각 갖는 샘플링 회로를 차례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용회로(즉, 데이터선 구동회로)와 프리차지 회로를 차례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용회로(즉, 프리차지 회로 구동회로)를 기판 위에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또한 소자기판 위의 주변영역에서 데이터선의 양측에 각각의 회로를 구축할 필요성도 없어진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에 의하면, 기판이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또는 기판 위에서의 장치구성이나 제어형태를 간략화하면서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의 한 양태는, 상기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샘플링 회로 및 상기 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기판 위에서 상기 데이터선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 및 상기 프리차지 신호는 상기 데이터선의 일단측으로부터 기록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데이터선의 일단측에 형성된 하나의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해 샘플링 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의 양방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자기판 위의 주변영역에서 데이터선의 양측에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동반하는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한정된 소자기판 위에서 비교적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 기판의 소형화나 전기광학패널 전체의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각의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기판 위에서 각종 신호선을 복잡하게 또는 장거리에 걸쳐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판 위에서의 구동회로 전체의 점유면적을 한 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배선의 형성량 저감에 의해 해당 배선의 용량은 현저하게 저감되어, 이에 기인하는 신호지연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고구동주파수를 가진 고속표시모드 채용시에도 구동주파수에 따라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구동능력을 확보하는 것도 가능해져, 고스트 등의 화상불량을 방지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외의 양태에서는,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양태에 의하면, 하나의 데이터선에 관하여 선행하는 프리차지 신호의 기 록 종료로부터 화상신호의 기록 개시 사이에는 시간간격이 존재한다.
즉, n-1 번째 전송신호에 기초하여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가 「OFF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이 되는 시점과, N 번째 전송신호에 기초하여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가 「ON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이 되는 시점 사이에 시간간격이 있어, 이들 양 구동신호가 동시에 「ON」이 되는 기간이 없도록 전송신호의 출력이 제어되고 있거나 또는 전송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가 가해진 후에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 또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가 생성된다. 따라서, 샘플링 회로와 프리차지 회로에 있어서 동일한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송신호를 구동신호로서 공용해도 프리차지 신호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적절히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특히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의 기록 초기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선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동시에 기록된 경우에 발생하는 고스트 등의 표시품위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양태에서는, 하나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하나의 데이터선 다음에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화상신호의 기록 동작과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 동작이 차례로 서로 오버랩되면서 진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미리 한번에 모든 데이터선에 프리차지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프 리차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하나의 데이터선 다음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에는, 항상 화상신호가 기록되기 직전에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기 때문에 화상신호의 기록 개시까지의 기간에 프리차지 신호가 열화되는 일은 없어, 데이터선의 전압 레벨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고속표시 모드 채용시에도 충분하고 적절한 프리차지를 가능하게 하여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하나의 데이터선 다음에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의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완전히 일치하고 있을 수도 있고, 일부만 겹쳐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화상신호는 m(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 상으로 시리얼-패러렐 전개 (serial-to-parallel converted) 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선은 상기 데이터선을 m 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시에 동일한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동시에 기록되는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 (group) 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상기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양태에 의하면, 하나의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에 대하여 m 개의 샘플링 스위치가 접속되고, 각각에 대응하는 m 개의 데이터선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으로부터 전송신호를 공급함으로써 m 개의 샘플링 스위치군을 동시에 구동하여 화상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선의 개수에 대하여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을 1/m 개로 감소시킬 수 있고, 데이터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주파수를 1/m 로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구동주파수를 갖는 고속표시모드를 채용할 때, 외부제어회로의 부하를 저감한다는 관점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한편, 프리차지 회로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에 대하여 m 개의 프리차지 스위치가 접속되고, 각각에 대응하는 m 개의 데이터선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으로부터 전송신호를 공급함으로써 m 개의 프리차지 스위치군을 동시에 구동하여 프리차지 신호를 기록하게 된다. 이 때문에,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에서도 마찬가지로 1/m 개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은 대응하는 하나의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에 접속되며, 동일한 전송신호가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공용된다. 따라서, 프리차지 회로의 구동에 의해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구동주파수가 더욱 높아지는 일은 없어 비교적 낮은 구동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표시모드의 채용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m 개의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지 않다. 이렇게 구성하 면, m 개의 데이터선군에 관해 선행하는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 종료로부터 화상신호의 기록 개시 사이에는 시간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샘플링 회로와 프리차지 회로에 있어서 동일한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의해 출력되는 전송신호를 구동신호로서 공용하여도 프리차지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히 화상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양태에서는,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상기 시간축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화상신호의 기록 동작과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 동작이 차례로 서로 오버랩되면서 진행하게 된다. 게다가, 데이터선의 개수에 대하여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은 1/m 개로 감소되어 있고, 데이터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주파수는 1/m 로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더욱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프리차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1 수평주사 기간 내에서의 프리차지 신호의 공급타이밍 및 공급시간에 자유도를 줄 수 있다는 관점에서도 고속표시모드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하나의 데이터선군 다음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군에는, 항상 화상신호가 기록되기 직전에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 된다. 이 때문에, 화상신호의 기록 개시까지의 기간에 프리차지 신호가 열화되는 일이 없어, 데이터선의 전압레벨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고속표시모드 채용시에도 충분하고 적절한 프리차지를 가능하게 하여,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완전히 일치하고 있을 수도 있고, 일부만 겹쳐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데이터선구동회로는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인에이블 수단이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인에이블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는 n 번째와 n-1 번째 전송신호가 시간축 위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전송신호의 파형을 선택 또는 정형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데이터선 또는 데이터선군에 관해 n 번째 전송신호가 샘플링 회로의 트리거 레벨이 되어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n-1 번째 전송신호가 프리차지 회로의 트리거 레벨이 되어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에 대하여 각각 제한이 가해져, 양 기간은 서로 중복되는 일이 없다. 따라 서, 특히 데이터선에 대한 화상신호의 기록 초기에서 해당 데이터선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동시에 기록되는 것에 기인한 고스트 등의 문제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인에이블 수단에 관한 양태에서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인에이블 펄스끼리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그 인에이블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서 출력되는 전송신호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인에이블 펄스와의 사이에서 논리곱이 구해져, 인에이블 펄스가 「ON(예를 들어 하이 레벨)」이 되는 기간에만 샘플링 회로 또는 프리차지 회로의 트리거 레벨이 된다. 이 때, 서로 중복되지 않는 서로 인접하는 인에이블 펄스에 의해 논리곱이 구해져 시간축 위에서 파형이 선택 또는 정형된다. 이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n 번째 전송신호와 n-1 번째 전송신호를 시간축 위에서 중복되지 않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선 혹은 데이터선군에 관하여 n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n-1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중복되는 일이 없어져, 보다 확실하게 고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프리차지 회로와 상기 샘플링 회로 사이에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트리밍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프리차지 회로와 샘플링 회로 사이에 형성된 트리밍 수단에 의해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이 가해진다. 이로 인해 동일한 데이터선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쳐지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선 혹은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와 화상신호가 동시에 기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송신호의 펄스폭의 편차가 고구동주파수를 갖는 고속표시모드 등의 채용에 따라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현저해지는 경우에도 고스트 등의 표시품질의 열화를 방지함에 있어서 매우 유효하다.
이 양태에서는, 상기 트리밍 수단은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상기 프리차지 회로 및 상기 샘플링 회로에 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따라 상기 프리차지 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프리차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트리밍함으로써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하나의 데이터선 또는 데이터선군에 관해 트리밍 수단은 n-1 번째 전송신호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에서 출력되는 프리차지 신호에 대하여 n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트리밍을 가한다.
이로 인해 프리차지 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은 제한된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선 또는 데이터선군에 관해 n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n-1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중복되는 일이 없어져, 보다 확실하게 고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의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이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복수의 출력단 배열에서의 상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방향인 전송방향은, 공통된 방향제어신호부로부터의 전송방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상기 전송방향에 따라 상기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공급원을 선택하는 선택회로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선택회로에 의해 화상신호의 기록에 이용되는 전송신호에 선행하는 전송신호가 선택되며, 이 전송신호가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이용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화상신호의 기록에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이 양태에서는, 상기 선택회로는 상기 전송방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하여 선행하는 n+1 번째 전송신호 및 n-1 번째 전송신호 중 어느 하나 한쪽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선택회로에 의해 그 선택회로에 입력된 전송방향 제어신호에 따라 n+1 번째 전송신호와 n-1 번째 전송신호 중에서 화상신호의 기록에 이용되는 n 번째 전송신호에 대하여 선행하는 어느 한 쪽이 선택되어,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전송신호가 순차 출력되는 경우에도, 화상신호의 기록에 선행하여 프 리차지 회로에 의한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단, 그 각종 양태를 포함함) 및 상기 전기광학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를 구비하기 때문에, 기판이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혹은 기판상에서의 장치 구성이나 제어형태를 간략화하면서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실행함으로써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단, 그 각종 양태도 포함함)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한 투사형 표시장치, 액정텔레비전, 휴대전화, 전자수첩, 워드프로세서,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워크스테이션, 텔레비전전화, POS 단말, 터치패널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로서, 예를 들어 전자 페이퍼 등의 전기영동장치나 EL(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다른 이득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부터 분명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를 TFT 액티브매트릭스 구동형식의 액정장치에 적용 한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전기광학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장치(1)는, 주요부로서 본 발명에 관한 「전기광학패널」의 일례인 액정패널(100), 화상신호 처리회로(300), 타이밍 제너레이터(400) 및 프리차지 신호 발생회로(500)를 구비한다.
액정패널(100)은, 그 화상표시영역에 화소스위칭용 스위칭소자로서 TFT (116), 화소전극 등을 형성한 소자기판과 대향전극 등을 형성한 대향기판을, 서로 전극형성면을 대향시키고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부착시켜 그 간극에 액정을 협지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400)는, 각부에서 사용되는 각종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제너레이터(400)의 일부인 타이밍신호 출력수단에 의해 최소단위의 클럭이며 각 화소를 주사하기 위한 도트클럭이 작성되며, 이 도트클럭에 기초하여 전송개시펄스(DX) 및 전송클럭(CLX)이 작성된다.
화상신호 처리회로(300)는, 1 계통의 화상신호(VID)가 입력되면 이것을 m 상의 화상신호(VID1∼VIDm)로 시리얼-패러렐 변환하여 (serial-to-parallel converted)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리차지 신호 발생회로(500)는 프리차지 신호를 작성하여 프리차지 회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리차지 회로 및 프리차지 신호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샘플링 회로(140) 및 프리차지 회로(200)는, 각각 화상신호(VID) 및 프리차지 신호(NRS)의 샘플링을 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군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실제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관해서도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액정패널(100)은 구동회로 내장형이고, 그 소자기판 위에 본 발명에 관한 「구동회로」의 일례로서 주사선 구동회로(130), 샘플링 회로(140)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를 포함하며, 또한 프리차지 회로(200)를 포함하는 구동회로(120)가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120)는, 바람직하게는 화상표시영역(110)에 장착되는 각 화소에 관한 TFT(116) 등과 함께 소자기판의 주변영역에 장착된다. 또는, 구동회로(1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외부부착 IC 로서 구축되고, 소자기판에 대하여 외부부착 또는 후부부착된다.
액정패널(100)은 또한, 그 소자기판의 중앙을 차지하는 화상표시영역(110)에 종횡으로 배선된 데이터선(114) 및 주사선(112)을 구비하며, 이들의 교점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된 화소전극(118) 및 화소전극(118)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한 TFT(116)를 구비한다. 그리고, 화상신호선(301)에 공급되는 화상신호(VID1∼VIDm)를 샘플링 회로(140)에 의해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에서 공급되는 샘플링신호(S1,S2, ···)에 따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114)에 공급하도록 구 성되어 있다.
TFT(116)의 소스전극에는 이와 같이 화상신호가 공급되는 데이터선(11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한편, TFT(116)의 게이트전극에는 주사신호가 공급되는 주사선(11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TFT(116)의 드레인전극에는 화소전극 (118)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화소는 화소전극(118)과, 대향기판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이들 양 전극 사이에 협지된 액정에 의해 구성된 결과, 주사선 (112)과 데이터선(114)의 각 교점에 대응하여 매트릭스상으로 배열되게 된다.
또한, 유지된 화상신호가 리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적용량(119)이 화소전극(118)과 대향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용량과 병렬로 부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소전극(118)의 전압은 소스전압이 인가된 시간보다도 3 자리수나 긴 시간만큼 축적용량(119)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유지특성이 개선된 결과 높은 콘트라스트비가 실현되게 된다.
구동회로(120)는, 화상표시영역(110)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영역에 주사선 구동회로(130), 샘플링 회로(140),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및 프리차지 회로(20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회로의 능동소자는 모두 p 채널형 TFT 및 n 채널형 TFT 의 조합에 의해 형성가능하므로, 화소를 스위칭하는 TFT(116)와 공통된 제조프로세스로 형성하면, 집적화나 제조비용, 소자의 균일성 등의 점에서 유리해진다.
여기에서, 구동회로(120) 중 주사선 구동회로(130)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가 지며, 타이밍 제너레이터(400)로부터의 클럭신호(CLY)나 그 반전클럭신호(CLYINV), 전송개시펄스(DY) 등에 기초하여 주사신호를 각 주사선(112)에 대하여 순차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샘플링 회로(140)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샘플링 회로,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의 상세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3 은 이들에 관한 각종 신호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또한 프리차지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는 데이터선(114)을 순차구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160)를 구비한다. 시프트 레지스터(160)에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의 전송을 스타트시키기 위한 전송개시펄스(DX)가 입력된다.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X 방향에 대응하는 전송방향에서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각 단 SRS(i)(단, i=0, 1, 2, 3, ··, n, ··)로부터 전송신호(SR1, SR2, ···)로서 순차 출력된다.
다음으로,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는 본 발명에 관한 「인에이블 수단」의 일례를 구성하는 인에이블회로(170)를 구비한다(이하, 적절히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각 단 SRS(i)에 대응시켜 "인에이블회로(170(i))(단, i=0, 1, 2, ··, n, ··)" 라 하여 설명한다). 인에이블회로(170)는 시프트 레지스터(160)와 샘플링 회로(140) 및 프리차지 회로(200)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NAND 회로(171) 및 인버터(1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160)에서 출력된 전송신호(SR1, SR2, ···)는 인에이블회로(170(1), 170(2), ···)에 공급된다. 인에이블회로(170(1) 및 170(2))의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인에이블신호(ENB1 및 ENB2)가 각각 입력된다. 이로 인해 전송신호(SR1, SR2, ···)가 출력되고 있으며(즉, 전송신호(SR1, SR2, ···)가 하이 레벨로 되어 있으며), 또한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가 출력되고 있을(즉,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가 하이 레벨로 되어 있을) 때에만 데이터선(114)이 구동된다. 즉,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에 의해 화상신호(VID)가 안정출력일 때에 데이터선(114)을 활성상태로 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전송신호(SR1, SR2, ···)는, 인에이블회로(170(1), 170(2), ···)에 의해 인에이블신호와의 논리곱이 구해진 후, 본 발명에 관한 「샘플링펄스」의 일례인 데이터선 구동신호 또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이하 「샘플링신호」라 함 ; S1, S2, ···)로서 샘플링 회로(140)에 공급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1 단째에 상당하는 SRS(0)으로부터는 전송신호(SR0)가 출력되고, 또한 인에이블회로(170(0))를 통하여 샘플링신호(S0)가 출력된다. 단, 이 샘플링신호(SO)는 어느 샘플링 회로에도 공급되지 않고 후술할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 1 데이터선군에 공급되는 샘플링신호를 "S1" 로서 대응시키기 위해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초단(SRS(0))에 관한 각 구성요소 및 신호에는 "0" 의 대응번호를 붙여, 편의상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제 2 단(SRS(1))을 「초단」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이것은 아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인에이블회로(170)는 하나의 데이터선에서의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게다가 동시구동되는 하나의 데이터선군에 속하는 각 데이터선(114)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그 하나의 데이터선군에 인접하는 다른 데이터선군에 속하는 각 데이터선(114)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더욱 기능한다(이하, 이 수단을 「인에이블 수단」이라 함). 인에이블 수단의 동작방법 및 작용효과에 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샘플링 회로(140)는, 제 1 도전형 TFT 로 이루어지는 샘플링 스위치(141)를 복수 구비한다. 또한 샘플링 스위치(141)는 P 채널형 TFT 및 N 채널형 TFT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CMOS 형 TFT 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샘플링 회로(140)는 m 개의 데이터선(114)을 1 군으로 하여 이들 군에 속하는 데이터선(114)에 대하여 샘플링신호(S1, S2, ···)에 따라 m 상으로 시리얼-패러렐 전개된 화상신호(VID1∼VIDm)를 각각 샘플링하여 각 데이터선(114)에 순차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샘플링 회로(140)에는 샘플링 스위치(141)가 각 데이터선(114)의 일단에 형성되는 동시에 각 샘플링 스위치(141)의 소스전극은 화상신호(VID1∼VIDm) 중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신호선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하나의 데이터선(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샘플링 스위치(141)의 게이트전극은 그 군에 대응하여 샘플링신호(S1, S2, ···)가 공급되는 신호선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신호(VID1∼VIDm)는 패러렐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각 데이터선군마다 샘플링신호(S1, S2, ···)에 의해 동시에 샘플링되게 된다.
도 3 의 타이밍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160)에 입력된 전송개시펄스(DX)는 시프트 레지스터(160) 내에서 데이터선 전송클럭(CLX ; 이하 「전송클럭 CLX」이라 함) 및 그 반전클럭신호인(CLXINV)에 의해 전송클럭(CLX)의 반주기 단위로 시프트된다. 이로써,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각 출력단으로부터 전송클럭의 반주기분씩 늦은 전송신호(SR1, SR2, ···)가 순차 출력된다.
전송신호(SR1, SR2, ···)는, 데이터선(114)의 구동기간을 화상신호(VID1∼VIDm)의 안정출력기간과 동기시키기 위해 인에이블회로(170(1), 170(2), ···)에 의해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와의 논리곱이 구해지고, 샘플링신호(S1, S2, ···)로서 출력된다. 이로써, 화상신호와 샘플링신호(예를 들어, 화상신호(VID1∼VIDm)와 샘플링신호(S1))의 동기가 구해져 올바른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 때, 특히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 레벨이 되는 기간이 겹쳐져 있지 않은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에 기초하여 샘플링신호(S1, S2, ···)가 하이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각 샘플링신호(S1, S2, ···)가 하이 레벨 또는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이 겹치는 일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데이터선(114)은 m 개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데이 터선군으로서 묶여져, 각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시프트 레지스터(160)에서 공급되는 동일한 전송신호에 대응한 하나의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서 샘플링 신호(S1, S2, ···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화상신호를 샘플링한다. 즉, 데이터선의 개수에 대하여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의 개수는 1/m 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 레지스터(160)는 그 각 단에 대하여 하나의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주파수가 1/m 로 저감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구동주파수를 갖는 고속표시모드를 채용할 때 외부제어회로의 부하를 저감한다는 관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리차지 회로(20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 도 2 에 추가하여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서는, 상기 서술한 샘플링 회로(140)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에 더하여 추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프리차지 회로(200)의 상세 구성 및 프리차지 회로(200)와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의 접속관계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200)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 는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주요신호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또, 도 4 에서는, 각 데이터선군에 있어서 m 개의 데이터선에 대응하여 m 개씩 구비하는 샘플링 회로(140) 및 프리차지 회로(200) 각각의 스위칭소자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각 데이터선군에 관해 하나만, 즉 하나의 데이터선에 관한 부분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고, m 상에 전개된 화상신호선군에 대 해서도 하나의 화상신호선으로서 도시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차지 회로(200)는 프리차지 신호(NRS)의 샘플링용, 즉 프리차지 신호(NRS)를 샘플링하는 스위치로서의 제 1 도전형 TFT 로 이루어지는 프리차지 스위치(201)를 복수 구비한다. 또한, 프리차지 스위치(201)는 P 채널형 TFT 및 N 채널형 TFT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CMOS 형 TFT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소스전극은 프리차지 신호선(202)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하나의 데이터선(1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은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에 접속되어 있다.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소스전극에는 외부의 프리차지 신호 발생회로(500)로부터 프리차지 신호선(202)을 통하여 소정전압의 프리차지 신호(NRS)가 공급된다. 그리고, 게이트전극에는 화상신호(VID)의 기록에 선행하는 타이밍(상세한 것은 후술함)으로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을 통하여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1, P2, ···)가 공급됨으로써, 프리차지 스위치(201)가 도통상태가 되어, 프리차지 신호(NRS)가 각 데이터선(114)에 기록되게 된다. 여기서, 프리차지 회로(200)에 공급되는 프리차지 신호(NRS)는, 예를 들어 중간계조레벨 또는 회색레벨 등에 대응하는 적절한 전위레벨로 설정된 신호이다. 이러한 프리차지 신호(NRS)가 화상신호(VID)의 데이터선(114)에 대한 공급에 선행하여 그 데이터선(114)에 기록됨으로써 화상신호(VID)를 데이터선(114)에 기록할 때 필요한 전하량을 현저하게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신호(VID)가 높은 주파수로 데이터선(114)에 공급되는 경우라도 각 데이터선(114)의 전위레벨을 안정시켜, 표시화면 상의 라인 불균일의 저감, 콘트라스트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114)에 대한 화상신호(VID)의 기록능력 부족은 거의 또는 실천상 완전히 없어져, 상대적으로 충분한 기록 능력으로 기록된 화상신호에 따라 고스트 등이 저감된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프리차지 회로(200)에 공급되는 프리차지 신호(NRS)는 화상신호와 동일한 극성으로, 중간계조레벨의 화소데이터에 상당하는 신호(화상보조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정장치(1)를 교류구동하기 위해 1 수평주사 기간(1 프레임) 또는 1 필드(예를 들어 2 프레임)와 같은 소정주기마다 화상신호의 전압극성을 반전시키는데, 이러한 프리차지 신호(NRS)가 공급되면 화상신호를 기록할 때의 부하는 경감되어 있어, 데이터선(114)의 전위레벨은 전회에 인가된 전위레벨에 관계없이 안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화상신호를 각 데이터선(114)에 안정된 전위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차지 회로(200)에 있어서 샘플링 회로(14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에 대하여 m 개의 프리차지 스위치(201)가 접속되고, 각각에 대응하는 m 개의 데이터선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m 개로 한 묶음인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으로부터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1, P2, · ·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m 개의 프리차지 스위치(201)를 동시에 구동하여 프리차지 신호(NRS)를 기록한다. 이 때문에, 데이터선의 개수에 대하여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의 개수에 관해서 도 마찬가지로 1/m 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하나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은 하나의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로부터 출력되는 동일한 전송신호가 이것과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공용되어 프리차지 회로(200)가 구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n 번째 데이터선군에서의 하나의 데이터선에는 화상신호의 샘플링용 스위칭소자(141) 및 프리차지 신호의 샘플링용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각 드레인전극이 접속되어 있다. 이것은, n-1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n 번째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은, 또한 n-1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접속되어 구성됨으로써 n-1 번째 시프트 레지스터단(SRS(n-1))으부터 출력된 전송신호(SRn-1)는 인에이블회로(170(n-1))를 통하여 인에이블신호와 논리곱이 구해진 후,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Sn-1)로서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군에 공급되는 동시에,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로서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회로군에 공급된다. 즉, 전송신호(SRn-1)가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군의 구동과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회로군의 구동을 위해 공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송신호(SRn)는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군의 구동과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회로군의 구동을 위해 공용된다.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160)에 의해 전송신호 SRi(i=0, 1, 2, ···)는 차례로 시프트되어 출력되기 때문에, 전송신호(SRn-1)의 출력에 계속하여 전송신호(SRn)가 늦게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전송신호(SRn)가 출력될 때는 이미 상기 서술한 전송신호(SRn-1)에 의해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회로군이 구동되어 프리차지 신호(NRS)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신호(SRn)에 의해 n 번째 데이터선군으로 화상신호가 기록될 때에는 이미 소정의 전위로 프리차지되어 있게 된다. 이것은 전송신호(SRn)와 전송신호(SRn+1)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동작이 시프트 레지스터의 전송방향(X 방향)으로 1 수평주사 기간 내에서 차례로 행해짐으로써, 순차 프리차지 또는 전송 프리차지가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특히, 화상신호의 기록 동작과 프리차지 신호의 기록 동작은 차례로 서로 오버랩되면서 진행하게 된다. 게다가, 데이터선(114)의 개수에 대하여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은 1/m 개로 감소되어 있고, 데이터선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주파수는 1/m 로 저감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리 한번에 모든 데이터선에 프리차지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1 수평주사 기간 내에서 전체적으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프리차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n-1 번째 데이터선군 다음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n 번째 데이터선군에는 항상 화상신호가 기록되기 직전에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기 때문에, 화상신호의 기록 개시까지의 기간에 프리차지 신호가 열화되는 일이 없어 데이터선 의 전압레벨을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고속표시모드 채용시에도 충분하고 적절한 프리차지를 가능하게 하여,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차지 회로의 구동을 위해 예를 들어 별도의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동반하는 구동회로(예를 들어 전용 프리차지 회로 구동회로인 것)를 소자기판 상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하나의 데이터선 구동회로(150)가 샘플링 회로(140) 및 프리차지 회로(200) 양방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데이터선의 양측에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동반하는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한정된 소자기판 위에서 비교적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 기판의 소형화나 전기광학패널 전체의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특히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리차지 회로(200)는 액정패널(100)의 소자기판 위에서 화상표시영역(110)과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 즉 데이터선(114)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화상신호(VID) 및 프리차지 신호(NRS)는 데이터선의 일단측으로부터 기록되게 된다(도 1 등 참조). 따라서, 데이터선의 양측에 각각의 구동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와 같이 기판 위에서 각종 신호선을 복잡하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기판 위에서의 구동회로 전체의 점유면적을 한 층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배선의 형성에 의한 용량분의 부하는 현저하게 저감되어, 이것에 기인하는 신호 지연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고구동주파수를 갖는 고속표시모드 채용시에서도 구동주파수에 따라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구동능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어져 고스 트 등의 화상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 관계에 있어서도, 도 3 에 나타낸 타이밍차트와 마찬가지로 시프트 레지스터(160)에 의해 전송클럭(CLX)의 반주기 단위로 시프트되고,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각 출력단으로부터 전송클럭의 반주기분씩 늦은 전송신호(SRn-1, SRn, SRn+1, ···)가 순차 출력된다. 그리고, 전송신호(SRn-1, SRn 및 SRn+1)는 데이터선(114)의 구동기간을 화상신호(VID1∼VIDm)의 안정출력기간과 동기시키기 위해 인에이블회로 (170(n-1), 170(n) 및 170(n+1))에 의해 인에이블신호(ENB1 또는 ENB2)와의 논리곱이 구해져 샘플링신호(Sn-1, Sn 및 Sn+1)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n-1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은 n 번째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에도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샘플링신호(Sn-1)가 트리거 레벨이 되었을 때(t5), 동시에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도 트리거 레벨이 된다. 따라서, 샘플링신호(Sn)가 트리거 레벨이 되어(t8),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데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내의 인에이블회로(170)는 동일한 데이터선(114)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NRS)가 기록되는 기간과 화상신호(VID)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인에이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160)에서 출력된 전송신호(SRn-1 및 SRn)가 「ON(즉, 하이 레벨)」이 되는 기간은, 그 상태에서는 서로 시간축 위에서 중복되는 기간(즉, 모두 「ON」이 되는 기간)이 존재한다. 그래서, 인에이블회로(170(n-1), 170(n))의 각각에서 인에이블펄스(ENB1 및 ENB2)와의 논리곱이 구해진다. 여기서 특히 서로 인접하는 인에이블펄스(ENB1 및 ENB2)는 시간축 위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인에이블펄스가 「ON(즉, 하이 레벨)」이 되는 기간에서만 트리거 레벨이 되는 샘플링신호(Sn-1 및 Sn)가 출력된다. 즉, 인에이블회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샘플링신호(Sn과 Sn-1)가 서로 중복하여 출력되지 않도록 전송신호(SRn-1 및 SRn)에 대하여 시간축 위에서의 파형이 선택되게 된다. 또한, 이 샘플링신호(Sn-1)는 그 자체가 n 번째(즉, 다음단)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그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와 샘플링신호(Sn)도 서로 중복되는 일이 없다. 즉, n 번째 데이터선군에 주목하면,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에 의해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NRS)가 기록되는 기간과 샘플링신호(Sn)에 의해 화상신호(VID)가 기록되는 기간은 서로 중복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기능하는 「인에이블 수단」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선 또는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화상신호와 프리차지 신호가 동시에 기록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고스트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하는 인에이블펄스(ENB1 및 ENB2)는 각각의 펄스폭이 클럭신호(CLX)의 반주기보다 좁은 폭으로 출력되고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시각(t5∼t6) 또는 시각(t8∼t9)의 폭이 시각(t4∼t7) 또는 시각(t7∼t10)의 폭에 대하여 작아지도록 출력되고 있다. 이렇게 출력됨으로써 이들 인에이블펄스와 논리곱이 구해져 파형이 선택되어 출력되는 서로 인접하는 샘플링신호(Sn-1와 Sn)는 시간축 위에서 서로 분리되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샘플링신호(Sn-1)는 그 자체가 n 번째(즉, 다음단)의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그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와 샘플링신호(Sn)도 시간축 위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게 된다. 즉, n 번째 데이터선군에 주목하면,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에 의한 프리차지 신호(NRS)의 기록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샘플링신호(Sn)에 의한 화상신호(VID)의 기록이 개시되기까지의 동안에 시간적 여유(예를 들어, 시각(t6∼t8))이 확보되게 된다. 이처럼, 선행하여 프리차지 신호(NRS)가 기록되는 기간과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시간축 위에서 분리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고스트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200)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트리밍 수단」에 의한 트리밍의 모양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서로 인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 사이의 회로 구성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공급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인에이블회로의 회로 구성 및 그 동작, 그리고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된 개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차지 회로(200)와 샘플링 회로(140) 사이에 동일한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프리차지 신호(NRS)가 기록되는 기간과 화상신호(VID)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트리밍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n-1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과 n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 사이에 트리밍 회로(204)를 구비하며, 그 트리밍 회로(204)는 인버터(205), NAND 회로(206) 및 인버터(20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203) 위에는 인버터(205) 및 NAND 회로(206)가 형성되고, 인버터(205)는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NAND 회로(206) 중 하나의 입력단자는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NAND 회로(206)의 다른 쪽 입력단자는 인버터(207)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 접속되어 있다.
즉,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1)가 이용되는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인에이블회로(170(n-1))로부터의 출력과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의 반전신호 사이에서 NAND 회로(206)에 의해 논리곱이 구해지고, 인버터(205)를 통하여 n 번째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에 입력된다. 이 때문에 샘플링신호(Sn)가 「ON(즉, 하이 레벨)」, 즉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는 반드시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에 입력되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는 「OFF(즉, 로우 레벨)」가 되고, 샘플링신호(Sn-1)가 「OFF」일 때에만 전단의 샘플링신호(Sn-1)가 「ON」이 되는 것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ON」, 즉 트리거 레벨이 된다. 즉, 트리밍 회로(204)에 의해 n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해 그 샘플링신호(Sn)의 「ON」 또는 「OFF」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고속표시모드의 채용에 의한 고구동주파수화에 따라 샘플링신호의 펄스폭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편차가 생겨,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샘플링신호(Sn-1와 Sn)가 시간축 위에서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도 중복된 기간(T)은 상기 서술한 「트리밍 수단」에 의해 트리밍되고, 트리밍 신호(PRCGn)로서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프리차지 스위치(201)에 입력된다. 따라서, 샘플링신호(Sn)와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중복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이상과 같은 「트리밍 수단」에 의하면, 시프트 레지스터(16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신호가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 및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로서 공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프리차 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서로 중복되는 것이 거의 또는 완전히 없어진다. 따라서, 양자가 동시에 기록된 경우에 발생하는 고스트 등의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에이블회로(170)에 의한 「인에이블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의 「트리밍 수단」에 의해 하나의 데이터선군에 대하여 화상신호와 프리차지 신호가 동시에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에 관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8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샘플링 회로, 데이터선 구동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9 는 본 실시형태의 프리차지 회로(200)에 관한 구성, 특히 n-1 번째 데이터선군, n 번째 데이터선군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추출하여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 3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데이터선 구동회로 내의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구성 및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의 접속방법이 다르다. 도 1 에 나타낸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는 액정패널(100) 내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구동회로(120)에서의 각 신호선의 접속방법에 관해서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관해 설명하며,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된 개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 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는 시프트 레지스터로서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8 에는 시프트 레지스터(160)가 나타나 있지만, 이 시프트 레지스터는 스타트펄스(DX)의 전환 등에 의해 A 에서 B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로서 기능하는 경우와, B 에서 A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시프트 레지스터로서 기능하는 경우로 전환 가능한 이른바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이다.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160)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를 모두 클럭드 인버터로 구성하여, 신호수취부의 클럭드 인버터 및 귀환부의 클럭드 인버터와 직렬로 전송방향제어용의 클럭드 인버터를 접속한 것이다. 이 전송방향제어용의 클럭드 인버터의 게이트단자에는 전송방향 제어신호(D) 및 이 반전신호인 (DINV) 가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송방향 제어신호(D)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도 8 에서의 A 에서 B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고, 반전신호(DINV)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B 에서 A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된다.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의 기본적인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의 시프트 레지스터와 마찬가지이며, 도 8 에서의 A 에서 B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전송신호는 SR1, SR2, ···의 순서로 순차 출력되며, 한편 B 에서 A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전송신호는 SRn, SRn-1, ···의 순서로 순차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데이터선군에 대응 하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는 그 데이터선군 앞에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가 이용되어 공급된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회로에 대하여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를 공급하기 위해 시프트 레지스터의 전송방향에 따라 샘플링신호(Sn-1)를 이용할 것인지 또는 샘플링신호(Sn+1)를 이용할 것인지가 선택된다.
즉, 전송방향이 도 2 에 나타내는 X 방향이고 전송신호가 SR1, SR2, ···Sn-1, Sn, ···의 순서로 출력되는 경우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로서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1)가 공급된다. 한편, 전송방향이 역방향이 되고 전송신호가 SRn+1, SRn, SRn-1, ···의 순서로 출력되는 경우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로서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1)가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선에 대한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선택회로」를 구비한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회로(140)와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 선택회로(600)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9 를 참조하여, 특히 n-1번째, n 번째 및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한 부분에 대해 선택회로(600)의 상세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n-1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과 n 번째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 사이에 선택회로(600)를 구비하며, 그 선택회로(600) 는 음논리회로로서 나타낸 NAND 회로의 등가회로(601 ; 이하 적절히 "NAND 회로"라 함), NAND 회로(602 및 60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NAND 회로(601)는 프리차지 스위치(201)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NAND 회로(602) 중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전송방향 제어신호(D)가 입력되어 있고, 다른 쪽 입력단자는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에 접속되어 있다. NAND 회로(603) 중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전송방향 제어신호의 반전신호(DINV)가 입력되어 있고, 다른 쪽 입력단자는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142)이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n 번째 데이터선군에 관해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전송방향이 A 에서 B 방향(전송방향 제어신호(D)가 「ON(즉, 하이 레벨)」, 또한 반전신호(DINV)가 「OFF(즉, 로우 레벨)」)인 경우는 샘플링신호(Sn-1)가 「ON」인 경우에만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ON」이 되고, 한편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전송방향이 B 에서 A 방향(전송방향 제어신호(D)가 「OFF」, 또한 반전신호(DINV)가 「ON」)인 경우는 샘플링신호(Sn+1)가 「ON」인 경우에만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가 「ON」이 된다. 즉, 전송방향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Pn)로서 샘플링신호(Sn-1 또는 Sn)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프리차지 회로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160)의 전송방향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에 입력되는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근원이 되는 신호가 선택되기 때문에, 어느 쪽 전송방향에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순차 프리차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가 사용되고, 또한 그 전송방향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입력이 선택되는 것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며, 프리차지 회로 및 인에이블회로의 동작 및 작용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해 달성되는 순차 프리차지로부터 얻어지는 이득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에 관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도 10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트리밍 회로(204)와 선택회로(600)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 4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서로 인접하는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선 사이의 회로 구성 및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공급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및 인에이블회로의 회로 구성, 이들의 동작 및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와 공통된 개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 3 실시형태의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한 데이터선 구동회로의 구성에 더하여 제 2 실시형태에서 구비된 「트리밍 수단」이 부가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을 참조하여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한 프리차지 회로 구 동신호(Pn)의 공급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회로(600)에서의 NAND 회로(602)의 한 입력단자에는 트리밍 회로(204a)가 접속되고,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전송방향 제어신호(D)가 입력된다. 한편, NAND 회로(603)의 한 입력단자에는 동일하게 트리밍 회로(204b)가 접속되고,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반전신호(DINV)가 입력된다. 여기서, 2개의 트리밍 회로(204)는 이들의 구성요소인 인버터(207)에 관해 그 하나를 서로 공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밍 회로(204a)의 NAND 회로(205a)에서, 그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1)가 입력되고,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n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의 반전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트리밍 회로(204b)의 NAND 회로(206b)에서 그 하나의 입력단자에 n+1 번째 데이터선군에 대응하는 샘플링신호(Sn+1)가 입력되고, 다른 쪽 입력단자에는 마찬가지로 샘플링신호(Sn)의 반전신호가 입력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하며, 또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트리밍 수단」을 구비한 순차 프리차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에 「쌍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이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며, 프리차지 회로 및 인에이블회로의 동작 및 작용효과는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구성 및 동작에 의 해 달성되는 순차 프리차지로부터 얻어지는 이득도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의 액정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해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 은 TFT 어레이기판(10)을 그 위에 형성된 각 구성요소와 함께 대향기판(20) 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H-H'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 에 있어서, TFT 어레이기판(10) 위에는 복수의 화소전극(118)에 의해 규정되는 화상표시영역(즉, 실제로 액정층(50)의 배향상태 변화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장치의 영역) 주위에서 양 기판을 맞붙여 액정층(50)을 둘러싸는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일재(52)가 화상표시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기판(20) 위에서의 화상표시영역과 시일재(52) 사이에는 차광성의 액자형 차광막(53)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성의 액자형 차광막(53)이나 차광층(23)을 TFT 어레이기판(10) 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
화상표시영역(110)의 좌우 두 변을 따라가는 부분에는 주사선 구동회로(130)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주사선(112)의 구동지연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 주사선 구동회로(130)는 주사선(112)에 대하여 한 쪽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시일재(52)의 외측 영역에는 화상표시영역의 밑 변을 따라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및 외부에서의 신호입력 등을 하는 외부회로접속용 단자(102)가 형성되어 있고, 화상표시영역의 좌우 두 변을 따라 주사선 구동회로(130)가 화상표시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회로(150)를 화상표시영역의 상하 두 변을 따라 양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한 쪽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에는 홀수열의 데이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 다른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에는 짝수열의 데이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하로부터 빗살모양으로 구동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표시영역의 윗 변에는 주사선 구동회로(130)에 전원이나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기판(20)의 코너부 중 적어도 한 곳에서 TFT 어레이기판(10)과 대향기판(20) 사이에서 전기적 도통을 구하기 위한 상하 도통재(10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재(52)와 거의 같은 윤곽을 갖는 대향기판(20)이 해당 시일재(52)에 의해 TFT 어레이기판(10)에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및 주사선 구동회로(130)에 대하여 클럭신호 또는 화상신호 등을 출력하는 외부제어회로를 액정장치의 외부에 형성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제어회로를 액정장치 내에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클럭신호에 관해서는, 클럭신호만을 외부제어회로에서 공급시켜 액정장치용 기판 위에서 역위상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정장치는 컬러 액정 프로젝터 등에 적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3 개의 액정장치가 RGB 용 라이트 벌브로서 각각 사용되고, 각 패널에는 각기 RGB 색분해용 다이크로익 거울(dichroic mirror)을 통하여 분해된 각 색의 광 이 입사광으로서 각각 입사되게 된다. 따라서, 각 실시형태에서는 대향기판(20)에 컬러필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액정장치에서도 차광층(2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화소전극(11)에 대향하는 소정영역에 RGB 의 컬러필터를 그 보호막과 함께 대향기판(20) 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액정 프로젝터 이외의 직시형이나 반사형 컬러 액정 텔레비전 등의 컬러액정장치에 본 실시형태의 액정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액정장치에 사용하는 스위칭소자는 정스태거형 또는 코플라나형 폴리규소콘 TFT 일 수도 있고, 역스태거형 TFT 나 아몰퍼스규소 TFT 등의 다른 형식의 TFT 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는 유효하다.
또한, 액정장치에서는 일례로서 액정층(50)을 네마틱 액정으로 구성하였지만, 액정을 고분자 중에 미소입자로서 분산시킨 고분자분산형 액정을 사용하면 배향막 및 상기 서술한 편광필름, 편광판 등이 불필요해져, 광이용효율이 높아짐으로 인한 액정장치의 고휘도화나 저소비전력화의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데이터선 구동회로(150) 및 주사선 구동회로(130)는 TFT 어레이기판(10) 위에 형성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TAB(Tape Automated Bonding) 기판 위에 형성된 구동용 LSI 에 TFT 어레이기판(10)의 주변부에 형성된 이방성 도전필름을 통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주사선 구동회로(130)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지 않으나, 특히 시프트 레지스터 부분에 관해서는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자기기)
다음으로,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액정장치(1)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 13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 에 이렇게 액정장치(1)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다.
도 13 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표시정보 출력원(1000), 상기 서술한 외부표시정보처리회로(1002), 상기 서술한 주사선 구동회로(130)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150)를 포함하는 표시구동회로(1004), 액정장치(1), 클럭발생회로(1008) 및 전원회로(10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정보 출력원(1000)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광디스크장치 등의 메모리, 텔레비전 신호를 동조하여 출력하는 동조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클럭발생회로(1008)로부터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포맷의 화상신호 등의 표시정보를 표시정보처리회로(1002)에 출력한다. 표시정보처리회로(1002)는 증폭·극성 반전회로, 상 전개 회로, 로테이션회로, 감마보정회로, 클램프회로 등의 주지의 각종 처리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클럭발생회로(1008)로부터의 클럭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된 표시정보로부터 디지털신호를 차례로 생성하여 클럭신호(CLK)와 함께 표시구동회로(1004)로 출력한다. 표시구동회로(1004)는 주사선 구동회로(130)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150)에 의해 상기 서술한 구동방법에 의해 액정장치(1)를 구동한다. 전원회로(1010)는 상기 서술한 각 회로에 소정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액정장치(1)를 구성하는 액정장치용 기판 위에 표시구동회로(1004)를 탑재할 수도 있고, 여기에 더하여 표시정보처리회로(1002)를 탑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기기로서, 도 14 에 나타내는 액정 프로젝터, 도 15 에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대응 PC 및 엔지니어링·워크스테이션(EWS) 또는 휴대전화, 워드프로세서,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전자수첩, 전자탁상계산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POS 단말기, 터치패널을 구비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 에 이렇게 구성된 전자기기의 구체예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 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일례인 액정 프로젝터(1100)는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이며, 광원(1110)과, 다이크로익 거울(1113, 1114)과, 반사미러(1115, 1116, 1117)와, 입사렌즈(1118), 릴레이렌즈(1119), 출사렌즈(1120)와, 액정 라이트 벌브(1122, 1123, 1124)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1125)과, 투사렌즈(11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정 라이트 벌브(1122, 1123, 1124)는 상기 서술한 구동회로(1004)가 액정장치용 기판 상에 탑재된 액정장치(1)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을 3 개 준비하여 각각 액정 라이트 벌브로서 사용한 것이다. 또한, 광원(1110)은 메탈할라이드 등의 램프(1111)와 램프(1111)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112)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액정 프로젝터(1100)에서는, 청색광·녹색광 반사의 다이크로익 거울(1113)은 광원(1110)으로부터의 백색광속 중 적색광을 투과시키는 동시에 청색광과 녹색광을 반사한다. 투과한 적색광은 반사미러(1117)로 반사 되어 적색광용 액정 라이트 벌브(1122)에 입사된다. 한편, 다이크로익 거울(1113)로 반사된 색광 중 녹색광은 녹색광 반사의 다이크로익 거울(1114)에 의해 반사되어 녹색광용 액정 라이트 벌브(1123)에 입사된다. 또한, 청색광은 제 2 다이크로익 거울(1114)도 투과한다. 청색광에 대해서는, 긴 광로에 의한 광손실을 막기 위해 입사렌즈(1118), 릴레이렌즈(1119), 출사렌즈(1120)를 포함하는 릴레이렌즈계로 이루어지는 도광수단(1121)이 형성되고, 이것을 통하여 청색광이 청색광용 액정 라이트 벌브(1124)에 입사된다. 각 라이트 벌브에 의해 변조된 3 개의 색광은 크로스다이크로익 프리즘(1125)에 입사한다. 이 프리즘은 4 개의 직각 프리즘이 맞붙여져 그 내면에 적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과 청색광을 반사하는 유전체 다층막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전체 다층막에 의해 3 개의 색광이 합성되어, 컬러화상을 나타내는 광이 형성된다. 합성된 광은 투사광학계인 투사렌즈(1126)에 의해 스크린(1127) 상에 투사되고 화상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15 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다른 예인 랩톱형 PC(1200)는 상기 서술한 액정장치(1)가 톱 커버 케이스 내에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1206)와, CPU, 메모리, 모뎀 등을 수용하는 동시에 키보드(1202)가 장착된 본체부(1204)를 갖는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장치용 기판(1304)을 구성하는 2 장의 투명기판(1304a, 1304b) 중 하나에, 금속의 도전막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테이프(1322)에 IC 칩(1324)을 실장한 TCP(Tape Carrier Package ; 1320)를 접속하여 전자기기용 한 부품인 액정장치로서 생산, 판매,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도 14 내지 도 16 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기기 외에도, 액정 텔레비전, 뷰파인더형 또는 모니터 직시형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카 내비게이션 장치, 전자수첩, 전자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휴대전화, 텔레비전전화, POS 단말, 터치패널을 구비한 장치 등을 도 13 에 나타낸 전자기기의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을 동반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 및 전자기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는 기판이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또는 기판 위에서의 장치구성이나 제어형태를 간략화하면서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실행할 수 있게 되며, 고속표시 모드 채용시에도 충분하고 적절한 프리차지를 가능하게 하여 고품위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광학장치는 본 발명의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를 구비하기 때문에, 기판이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또는 기판 위에서의 장치 구성이나 제어형태를 간략화하면서 전송 프리차지 또는 순차 프리차지를 실행함으로써 고품위의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Claims (14)

  1.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로서,
    기판 위에 형성된 화소전극;
    상기 화소전극을 스위칭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상기 화소전극에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화상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선;
    전송신호를 순차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순차 출력된 n (단, n 은 2 이상의 자연수) 번째 전송신호를 샘플링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샘플링하고, 상기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샘플링 회로; 및
    상기 순차 출력된 n-1 번째 전송신호를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 하여, 상기 데이터선에 대한 상기 화상신호의 공급에 앞서, 소정 전위의 프리차지 신호를 상기 데이터선에 기록하는 프리차지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구동회로, 상기 샘플링 회로 및 상기 프리차지 회로는 상기 기판 위에서 상기 데이터선의 일단측 (一端側) 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화상신호 및 상기 프리차지 신호는 상기 데이터선의 일단측으로부터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나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하나의 데이터선 다음에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다른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는 m (단, m은 2 이상의 자연수) 상 (phase) 으로 시리얼-패러렐 전개되어 (serial-to-parallel converted) 있고,
    상기 데이터선은 상기 데이터선을 m 개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동일한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동시에 기록되는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 (group) 으로 나뉘어져 있고,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상기 시간축 위에서 겹쳐져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상기 동시구동 데이터선 군에 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은, 상기 시간축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선 구동회로는,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인에이블 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인에이블 펄스끼리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인에이블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와 상기 샘플링 회로 사이에,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대하여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기록되는 기간과 상기 화상신호가 기록되는 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전송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에 제한을 가하는 트리밍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수단은, 동일한 상기 데이터선에 접속된 상기 프리차지 회로 및 상기 샘플링 회로에 관하여, 상기 n-1 번째 전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프리차지 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프리차지 신호에 대하여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의해 트리밍함으로써 상기 프리차지 신호가 트리거 레벨이 되는 기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는 쌍방향성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이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의 복수의 출력단 배열에서의 상기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방향인 전송방향은, 공통된 방향제어신호부로부터의 전송방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되며,
    상기 전송방향에 따라 상기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의 공급원을 선택하는 선택회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회로는, 상기 전송방향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차지 회로 구동신호로서 상기 n 번째 전송신호에 대하여 선행하는 n+1 번째 전송신호와 n-1 번째 전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광학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광학장치.
  14. 제 13 항에 기재된 전기광학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40033292A 2003-05-12 2004-05-12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및 전자기기 KR100546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3279A JP2004334115A (ja) 2003-05-12 2003-05-12 電気光学パネルの駆動回路並びにこれ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03-00133279 2003-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28A KR20040097928A (ko) 2004-11-18
KR100546428B1 true KR100546428B1 (ko) 2006-01-26

Family

ID=3350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292A KR100546428B1 (ko) 2003-05-12 2004-05-12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77091B2 (ko)
JP (1) JP2004334115A (ko)
KR (1) KR100546428B1 (ko)
CN (1) CN1551092A (ko)
TW (1) TWI2770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24B1 (ko) * 2006-02-13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2853B2 (en) 2004-10-25 2013-04-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wo pin serial bus communication interface
JP2006091845A (ja) * 2004-08-27 2006-04-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072078A (ja) * 2004-09-03 2006-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85817B1 (ko) * 2005-02-18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드순차방식 액정표시장치
CN101587684B (zh) * 2005-02-28 2012-10-3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电泳显示装置的驱动方法
JP5011788B2 (ja) * 2005-06-17 2012-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263932B1 (ko) * 2005-11-30 2013-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의 데이터 구동 방법 및 장치
US7324098B1 (en) * 2006-07-26 2008-01-29 Chunghwa Picture Tubes, Ltd.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JP4773928B2 (ja) * 2006-11-16 2011-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ソース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216425A (ja) * 2007-03-01 2008-09-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242111B2 (ja) * 2007-10-02 2013-07-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
JP2010145802A (ja) * 2008-12-19 2010-07-01 Panasonic Corp 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TWI433089B (zh) 2010-10-29 2014-04-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顯示器的削角系統及其時序削角控制方法
TWI440003B (zh) 2010-12-09 2014-06-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液晶面板之時序控制器及其時序控制方法
JP6525547B2 (ja) * 2014-10-23 2019-06-05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704545B (zh) * 2019-07-22 2020-09-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器及其驅動電路
TWI796138B (zh) * 2021-03-08 2023-03-1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低功耗的顯示驅動裝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2683B2 (ja) * 1994-04-22 2003-12-22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424387B2 (ja) * 1995-04-11 2003-07-07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
JP3832125B2 (ja) * 1998-01-23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520756B2 (ja) 1998-02-03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206491A (ja) 1999-01-11 2000-07-28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3893819B2 (ja) 1999-12-07 2007-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データ線駆動回路、走査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524B1 (ko) * 2006-02-13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1092A (zh) 2004-12-01
JP2004334115A (ja) 2004-11-25
TW200504672A (en) 2005-02-01
TWI277050B (en) 2007-03-21
US7277091B2 (en) 2007-10-02
US20040257351A1 (en) 2004-12-23
KR20040097928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6428B1 (ko) 전기광학패널의 구동회로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광학장치및 전자기기
US7224341B2 (en) Driving circuit system for use i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optical device
US6377235B1 (en) Drive circuit for electro-optic apparatus,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optic apparatus, electro-opt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3846057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0310963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6091845A (ja) 電気光学装置用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69189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520756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242237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843658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3484963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4047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3781019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電気光学装置
KR100637642B1 (ko)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그리고 전자 기기
JP2000235372A (ja) シフトレジスタ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6163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228831A (ja) 電気光学装置
JP200507748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061631A (ja) 電気光学装置、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JP3767599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137205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
JP4720654B2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5345879A (ja)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6235282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08122747A (ja) 電気光学装置用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