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6422B1 -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 Google Patents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422B1
KR100546422B1 KR1020040002721A KR20040002721A KR100546422B1 KR 100546422 B1 KR100546422 B1 KR 100546422B1 KR 1020040002721 A KR1020040002721 A KR 1020040002721A KR 20040002721 A KR20040002721 A KR 20040002721A KR 100546422 B1 KR100546422 B1 KR 10054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operating body
pair
attachment memb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6200A (ko
Inventor
간자끼유끼오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3/205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using a compression spring between tumbler and an articulated contact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체의 빠짐방지가 확실하고, 소형이며 조립성이 양호한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제 1 스위치부 (P) 를 수용하는 케이싱 (1) 과, 이 케이싱 (1) 의 측벽 (1f)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운동 동작에 의해 제 1 스위치부 (P) 를 조작하는 조작체 (15) 를 구비하고, 조작체 (15) 는 회전운동 축선 (G1) 방향으로 연장되는 빠짐방지부 (15k) 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싱 (1) 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 (18) 를 가지며, 부착부재 (18) 는 빠짐방지부 (15k) 에 대해서 조작체 (15) 의 조작측인 전방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케이싱 (1) 으로부터의 조작체 (15) 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부착부재 (18) 에 의한 조작체 (15) 의 걸림이 확실해지고, 조작체 (15) 가 전방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거나, 혹은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조작체가 케이싱으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ELECTRONIC ELEMENT OF ROTATIONAL MOVEMENT OPERATION TYPE}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조작부재와 부착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 의 2-2 선에서의 단면도.
도 3 은 조작부재와 부착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 의 3-3 선에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케이싱의 상면도.
도 6 은 도 5 의 6-6 선에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체의 상면도.
도 8 은 도 7 의 8-8 선에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가동체의 하면도.
도 10 은 도 9 의 10-10 선에서의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 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부착부재와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 는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5 는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조작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6 은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 은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1a : 저벽
1b : 오목부 1c : 제 1 홈부
1d : 제 2 홈부 1e : 수납부
1f : 측벽 1g : 걸어맞춤 오목부
1h : 고정부 1k : 노출부
2 : 고정접점 2a : 중앙접점
2b : 주변접점 P :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3a : 제 1 고정접점 3b : 제 2 고정접점
S : 슬라이드 스위치 (제 1 스위치부) 4 : 돔 스프링
5 : 시트 6 : 코일 스프링
6a : 단부 10 : 가동체
10a : 본체부 10b : 접동자
10c : 베이스부 10d : 관통구멍
10e : 유지부 10f : 오목부
10g : 돌기 10h : 부착부
10k : 접동자편 10m : 가압부재
11 : 커버 11a : 판형부
11b : 제 1 통과구멍 11c : 제 2 통과구멍
11d : 레그부 15 : 조작체
15a : 베이스체 15b : 아암부
15c : 오목부 15d : 제 1 연통구멍
15e : 제 2 연통구멍 15f : 유지부
15g : 걸어맞춤 폴 (pawl) 15h : 축부
15k : 빠짐방지부 15m : 구멍
16 : 비틀림 스프링 17 : 조작부재
17a : 조작부 17b : 부착레그
17c : 걸림 돌기 18 : 부착부재
18a : 지지아암 18b : 연결부
18c : 걸림 구멍 18d : 탄성편
19 : 하우징 19a : 부착벽
19b : 수용부 G1 : 회전운동 축선
본 발명은 휴대전화, PHS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4 는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15 는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이고, 조작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6 은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 은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을 도 14 내지 도 17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박스형의 케이싱 (50) 은 직사각형의 저벽 (50a) 과, 이 저벽 (50a) 의 사방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측벽 (50b) 과, 대향하는 하나의 측벽 (50b) 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50c) 를 가진다.
그리고, 이 저벽 (50a) 의 중앙부에 접점 (51a, 51b) 이 배치됨과 동시에, 이 접점 (51a, 51b) 사이를 ON, OFF 하기 위한 돔 스프링 (52) 이 형성되고 푸쉬 스위치 (P)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접점 (51a, 51b) 의 양측에는 고정접점 (53a, 53b) 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고정접점 (53a, 53b) 의 외측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는 코일 스프링 (54) 이 배치되어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체 (55) 는 중앙부에 구멍 (55a) 을 가지는 본체부 (55b) 와, 본체부 (55b) 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하나의 지지부 (10c) 를 가지고 있고, 이 가동체 (55) 는 케이싱 (5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54) 의 단부에 맞닿아 배치되며, 가동체 (55) 는 코일 스프링 (54) 의 탄성에 대항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 (55b) 의 하면에는, 가동접점 (56) 이 부착되어 있고, 이 가동접점 (56) 은 고정접점 (53a, 53b) 에 접속 분리하여 슬라이드 스위치 (S) 가 구성되어 있다.
판형 커버 (57) 는 구멍 (57a) 으로부터 유지부 (55c) 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싱 (50) 에 부착되어 가동체 (55) 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가압부재 (58) 는 구멍 (55a) 내에 상하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돔 스프링 (54) 이 동작되게 됨과 동시에, 이 가압부재 (58) 상에는 비틀림 스프링 (59) 이 배치되어 비틀림 스프링 (59) 에 의해 가압부재 (58) 가 가압되게 되고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60) 는 축부 (60a) 를 형성한 베이스체 (60b) 와 베이스체 (60b) 의 양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 (60c) 와, 아암부 (60c) 의 단부에 형성되어 안쪽으로 돌출하는 걸림 폴 (60d) 과, 아암부 (60c) 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 (60e) 와 베이스체 (60b) 의 하면에 형성된 유지부 (60f) 를 가진다.
이 조작체 (60) 는 걸림 폴 (60d) 이 걸어맞춤 오목부 (50c) 에 걸려 회전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됨과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 (59) 이 유지부 (60f) 에 유지된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 (59) 의 양단부가 조작체 (60) 에 탄성 접촉되고, 동시에 축부 (60a) 가 유지부 (55c) 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 (60) 가 걸림 폴 (60d) 을 축으로 하여 비틀림 스프링 (59) 의 스프링성에 대항하여 회전운동했을 때,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60a) 는 가동체 (55) 를 걸어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그 결과 가동접점 (56) 이 이동하여 슬라이드 스위치 (S) 가 조작된다.
또한, 조작체 (60)의 회전운동력을 해제하면, 비틀림 스프링 (59) 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에, 도 17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조작체 (60) 를 가압하면, 비틀림 스프링 (59) 을 통하여 가압부재 (58) 가 가압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그러면 돔 스프링 (52) 이 눌려 반전 동작하여 접점 (51a, 51b) 이 ON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체 (60) 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돔 스프링 (52) 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가압부재 (58), 비틀림 스프링 (59) 및 조작체 (60) 도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 (61) 가 조작체 (60) 에 부착되어 조작되게 되고 있다.
조작부재 (61) 는 조작부 (61a) 와 이 조작부 (61a) 의 양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부착레그 (61b) 와, 부착레그 (61b) 에 형성된 구멍 (61c) 을 가지고, 이 조작부재 (61) 는 한 쌍의 부착레그 (61b) 가 조작체 (60) 의 아암 부 (60c) 의 외측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 (60e) 가 구멍 (61c) 에 걸려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 (61) 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체 (60) 를 가동하여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이 조작되게 되고 있지만, 이 조작부재 (61) 나 조작체 (60) 가 조작체 (60) 의 조작측인 전방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거나, 혹은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 걸림 폴 (60d) 이 걸어맞춤 오목부 (50c) 로부터 빠져 조작체 (60) 나 조작부재 (61) 가 케이싱 (50) 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13192호
종래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조작체 (60) 의 걸림 폴 (60d) 이 케이싱 (50) 의 걸어맞춤 오목부 (50c) 에 걸린된 것이기 때문에, 조작체 (60) 가 전방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거나, 혹은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 걸림 폴 (60d) 이 걸어맞춤 오목부 (50c) 로부터 빠져 조작체 (60) 가 케이싱 (50) 으로부터 빠져나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작부재 (61) 는 조작체 (60) 의 아암부 (60c) 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대형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조작체의 빠짐방지가 확실하고, 소형이며 조립성이 양호한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수단으로서, 제 1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측벽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운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는 회전운동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빠짐방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가지며,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빠짐방지부에 대해서 상기 조작체의 조작측인 전방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과 이 측벽의 각각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체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이 아암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리는 걸어맞춤 폴을 가지며, 상기 조작체는 상기 걸어맞춤 폴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어맞춤 폴이 걸림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상기 전방부로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빠짐방지부는 볼록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아암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아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부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아암과 이 한쌍의 지지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아암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를 걸기 위한 걸림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아암이 상기 아암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걸림 구멍 내에 위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부착부재가 금속판으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빠짐방지부와 상기 걸어맞춤 폴이 상기 조작체의 회전운동 축선 상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체는 상하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제 2 스위치부를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및 상기 걸림 구멍에는 상기 조작체의 상하운동을 허용하는 도피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8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부착부재는 탄성편을 가지고,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탄성편에 의해 전자기기에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9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부착벽을 형성한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을 상기 부착벽에 탄성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10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체에 부착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이 조작부재에는 한 쌍의 부착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레그가 상기 한 쌍의 아암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에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조작부재와 부착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 의 2-2 선에서의 단면도, 도 3 은 조작부재와 부착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도 1 의 3-3 선에서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케이싱의 상면도, 도 6 은 도 5 의 6-6 선에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체의 상면도, 도 8 은 도 7 의 8-8 선에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가동체의 하면도, 도 10 은 도 9 의 10-10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관한 것으로, 부착부재와 하우징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을 도 1 내지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박스형의 케이싱 (1) 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저벽 (1a) 과, 이 저벽 (1a) 의 사방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4 개의 측벽 (1f) 과, 저벽 (1a) 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오목부 (1b) 와, 상기 오목부 (1b) 의 양측 근방에 형성되어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홈부 (1c) 와, 상기 제 1 홈부 (1c) 의 외측에 형성되어 짧은 방향으로 연장 되는 한 쌍의 제 2 홈부 (1d) 와, 상기 제 2 홈부 (1d) 의 양벽부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단면 반원형을 나타내는 수납부 (1e) 를 가지며, 이 수납부 (1e) 는 오목부 (1b) 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이루고 있다.
또한,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 (1f) 의 외면의 중간에는 역 U 자 형의 돌기로 하방부를 개방한 걸어맞춤 오목부 (1g) 가 형성되어 있다.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용 고정접점 (2) 은 중앙접점 (2a) 과 활형상의 주변접점 (2b) 을 가지고, 이들 고정접점 (2) 은 오목부 (1b) 내에 매설되어 중앙접점 (2a) 의 선단이 노출됨과 동시에, 주변접점 (2b) 이 중앙접점 (2a) 을 둘러싸도록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1 고정접점 (3a) 은 띠형상을 나타내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홈부 (1c) 내에서 노출됨과 동시에, 단자가 매설되어 외부에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고정접점 (3b) 은 제 1 고정접점 (3a) 과 동일 폭을 가지는 짧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제 1 홈부 (1c) 의 단부 근방에 노출됨과 동시에, 단자가 매설되어 외부에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제 2 고정접점 (3a, 3b) 의 사이에는 저벽 (1a) 의 내저면이 노출하여 노출부 (1k) 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룬 제 1, 제 2 고정접점 (3a, 3b) 이 고정접점 (2) 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돔 스프링 (4) 은 돔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반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 며, 오목부 (1b) 내에 탑재되어 수납되고 있다.
그리고, 이 돔 스프링 (4) 과 고정접점 (2) 으로 푸쉬 스위치 (P) 가 구성되어 있다.
시트 (5) 는 절연성의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돔 스프링 (4) 을 케이싱 (1) 에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목부 (1b) 를 피복하도록 케이싱 (1) 에 점착되어 고정되고 있다.
코일 스프링 (6) 은 금속제 스프링으로서, 각각의 제 2 홈부 (1d) 의 양측벽에 형성된 수납부 (1e) 내에 수납되고, 양쪽의 단부 (6a) 의 각각이 수납부 (1e) 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1h) 에 탄성 접촉된 상태가 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하중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 (6) 은 일단 수축되고나서 수납부 (1e)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가동체 (10) 는 도 9,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10a) 와, 상기 본체부 (10a) 에 부착되어 있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접동자 (10b) 로 구성되고, 본체부 (10a) 는 평판형의 베이스부 (10c) 와, 상기 베이스부 (10c) 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 (10d) 과, 상기 관통 구멍 (10d) 을 사이에 둔 양측에 한 쌍 형성되며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대략 U 자형의 유지부 (10e) 와, 하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짧은 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외부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오목부 (10f) 와, 이 오목부 (10f) 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4 각으로 형성된 돌기 (10g) 를 가진다.
접동자 (10b) 는 평판형의 부착부 (10h) 와, 상기 부착부 (10h) 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2 개의 접동자편 (10k) 을 가지고, 부착부 (10h) 가 본체부 (10a) 의 베이스부 (10c) 에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접동자 (10b)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체 (10) 는 케이싱 (1) 에 짧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수납부 (1e) 와 동일한 길이인 오목부 (10f) 가 수납부 (1e) 와 대향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 (6) 이 그 공간에 수납되게 되고, 돌기 (10g) 는 제 2 홈부 (1d)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코일 스프핑 (6) 의 단부 (6a) 와 맞닿은 상태가 되어 있으며, 또한 그 때에 단부 (6a) 는 고정부 (1h) 를 탄성 가압하는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체 (10) 가 이동하면, 돌기 (10g) 가 제 2 홈부 (1d) 내를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 (10g) 가 코일 스프링 (6) 의 단부 (6a) 를 가압하여 코일 스프링 (6) 이 수축하게 되고 있다.
또한, 가동체 (10) 에 대한 조작력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 (6) 의 복귀력에 따라 단부 (6a) 에 의해 돌기 (10g) 가 탄성지지되어 가동체 (10) 가 중립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가동체 (10) 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관통 구멍 (10d) 과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가 높이 방향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있다.
접동자 (10b) 는 가동체 (10) 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동자편 (10k) 이 노출부 (1k) 상에 슬라이딩 접속하고 있고, 가동체 (10) 가 이동함으로써, 2 개의 접동자편 (10k) 이 이동하여 제 1, 제 2 고정접점 (3a, 3b) 사이를 도통하여 ON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가동체 (10) 가 코일 스프링 (6) 에 탄성지지되어 중립 위치로 복귀하면, 접동자편 (10K) 은 다시 노출부 (1K) 상에 슬라이드 접속하여 OFF 가 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1 세트의 슬라이드 스위치 (제 1 스위치부 : S) 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 (10m) 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 (10m) 는 가동체 (10) 의 관통 구멍 (10d) 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돔 스프링 (4) 을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 (11) 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한 후에 절곡 가공한 것으로 구성되고, 평판형의 판형부 (11a) 과, 상기 판형부 (11a) 의 중앙부에 형성된 정방형상의 제 1 통과구멍 (11b) 과, 이 제 1 통과구멍 (11b) 의 양측 근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제 2 통과구멍 (11c) 과, 판형부 (11a) 의 측가장자리에 복수개 형성된 L 자형의 레그부 (11d) 를 가진다.
이러한 커버 (11) 는 레그부 (11d) 가 케이싱 (1) 의 측벽 (1f) 에 스냅 고정됨으로써, 케이싱 (1) 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통과구멍 (11c) 을 유지부 (10e) 가 관통하여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커버 (11) 는 케이싱 (11) 과 협동하여 가동체 (10) 를 슬라이드 가능 하게 유지하고 있다.
조작체 (15) 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도 7, 도 8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고 가는 직사각형의 베이스체 (15a) 와, 이 베이스체 (15a) 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아래로 형성된 한 쌍의 아암부 (15b) 를 가지며, 베이스체 (15a) 는 상면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 (15c) 와, 이 오목부 (15c) 의 양측 근방에 한 쌍 형성된 짧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통구멍 (15d) 과, 이 제 1 연통구멍 (15d) 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 2 연통구멍 (15e) 을 가지고, 제 1 연통구멍 (15d) 의 중간부에는 베이스체 (15a)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환봉형의 축부 (15h)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체 (15a) 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2 개의 고리형의 돌기가 대향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유지부 (15f) 가 형성되고 있고, 아암부 (15b) 의 내측의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반원형의 걸어맞춤 폴 (15g)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암부 (15b) 의 외측에는 걸어맞춤 폴 (15g) 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부 (15k)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폴 (15g) 과 빠짐방지부 (15k) 는 회전 축선 (G1)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부 (15b) 의 각각에는 조작체 (15) 의 이면측에서 제 2 연통구멍 (15e) 과 통하는 위치에 구멍 (15m)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부 (15k) 는 회전운동 축선 (G1) 상에 위치하지 않고, 회전운동 축선 (G1) 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운동 축 선 (G1)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재인 비틀림 스프링 (16) 은 권회부 (16a) 와, 권회부 (16a) 의 양단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제 2 아암부 (16b, 16c) 를 가지고, 권회부 (16a) 가 조작체 (15) 의 유지부 (15f) 에 걸리며, 제 1, 제 2 아암부 (16b, 16c) 가 조작체 (15)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이 비틀림 스프링 (16) 은 조작체 (15) 에 유지되고 있다.
이렇게 비틀림 스프링 (16) 이 유지된 조작체 (15) 는 걸어맞춤 폴 (15g) 이 케이싱 (1) 의 걸어맞춤 오목부 (1g) 에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싱 (1) 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 (16) 은 권회부 (16a) 가 가압부재 (10m) 의 상면으로 눌린 상태가 되고, 제 1, 제 2 아암부 (16b, 16c) 에서 조작체 (15) 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즉, 가압부재 (10m) 가 돔 스프링 (5) 의 꼭대기부에서 탄성가압 유지되어 가압부가 되고 있다.
또한, 조작체 (15) 는 걸어맞춤 폴 (15g) 이 케이싱 (1) 의 걸어맞춤 오목부 (1g) 내에서 상하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 (1) 에 대해서 상하운동 가능하게 되고 있고, 이 조작체 (15) 는 비틀림 스프링 (16) 에 의해 상방으로 힘이 가해져 걸어맞춤 폴 (15g) 이 걸어맞춤 오목부 (1g) 의 꼭대기면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있다.
즉, 조작체 (15) 는 걸어맞춤 폴 (15g) 이 걸어맞춤 오목부 (1g) 에 걸어맞 춤으로써, 조작체 (15) 의 조작측인 전방부에 대한 움직임이 규제됨과 동시에, 걸어맞춤 오목부 (1g) 는 조작체 (15) 의 상하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도피부를 형성하여 걸어맞춤 오목부 (1g) 의 길이를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축부 (15h) 는 가동체 (10) 의 유지부 (10e) 에 가이드된 상태에서 삽입되지만, 비틀림 스프링 (16) 이 조작체 (15) 를 상하로 탄성지지하여 조작체 (15) 의 회전 반경이 결정되고 있기 때문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 (10e) 의 선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아래쪽에 이동 가능한 스페이스가 형성된 상태로 되고 있다.
이러한 조작체 (15) 가 회전운동되면, 조작체 (15) 는 걸어맞춤 폴 (15g) 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도 11, 12 를 참조하면 축부 (15h) 가 유지부 (10e) 를 수평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가동체 (10) 가 커버 (11) 와 케이싱 (1) 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드 이동하고, 접동자편 (10k) 이 제 1, 제 2 고정접점 (3a, 3b) 사이를 도통시켜 ON 신호가 출력되게 되고 있다.
이때, 돌기 (10g) 에 의해 코일 스프링 (6) 이 탄성지지되어 가동체 (10) 의 이동 방향으로 수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력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 (6) 이 복귀되고, 돌기 (10g) 가 가압되어 가동체 (10) 가 중립 위치에 복귀하게 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스위치 (제 1 스위치부 : S) 의 조작이 실시되게 되고 있다.
또한, 조작체 (15) 는 케이싱 (1) 에 대해서 상하운동 가능하게 되고 있기 때문에, 이 조작체 (15) 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축부 (15h) 가 유지부 (10e) 내에 서 가이드됨과 동시에, 걸어맞춤부 (15g) 가 케이싱 (1) 의 걸어맞춤 오목부 (1g) 내에서 가이드되어 아래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 (16) 이 가압부재 (10m) 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시트 (5) 를 통하여 돔 스프링 (4) 이 가압되어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가 조작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력이 해제되면, 돔 스프링 (4) 이 반전하여 가압부재 (10m) 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 (16) 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작체 (15) 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해서 도 11, 도 12 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조작체 (15) 가 회전운동 조작되면, 걸어맞춤 폴 (15g) 을 회전운동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축부 (15h) 에 의해 가동체 (10) 가 회전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접동자 (10b) 가 이동함으로써 전기 신호가 출력된다.
이렇게, 회전운동 중심을 축부 (15h) 와 유지부 (10e) 의 삽입 위치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함으로써 회전운동 반경을 확보하여 가동체 (10) 의 이동량을 크게 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또한, 조작체 (15) 는 비틀림 스프링 (16) 에 의해 위쪽으로 탄성지지된 상태가 되고 있기 때문에 흔들거림이 없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 (16) 은 조작체 (15) 에 추종하기 때문에, 양자간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비틀림 스프링 (16) 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력이 해제되면 코일 스프링 (6) 에 의해 가동체 (10) 자신이 가압 되고 가동체 (10) 가 중립 위치에 복귀하여 OFF 상태가 된다.
이렇게 코일 스프링 (6) 으로 가동체 (10) 그 자체를 복귀시키기 때문에, 확실하게 중립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가동체 (10) 가 이동함으로써, 가압부재 (10m) 가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연동하지만, 시트 (5)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돔 스프링 (4) 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작체 (15) 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가압부재 (10m) 가 가압되어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가 ON 상태가 된다.
또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돔 스프링 (4) 이 반전하여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가 OFF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15) 가 회전운동해도, 비틀림 스프링 (16) 은 가압부재 (10m) 에 맞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 동작을 이루지만, 상기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고, 상기 형태에서는 케이싱 (1) 에 도전 패턴인 고정접점 (3a, 3b) 이 형성되고 가동체 (10) 에 접동자 (10b) 가 부착되어 있지만, 케이싱 (1) 에 접동자를 형성하고 가동체 (10) 에 도전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푸쉬 스위치 (제 2 스위치부 : P) 가 없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에는, 가압부재는 상하운동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고, 혹은 가동체 (10) 의 본체부 (10a) 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도전 패턴을 저항체로 하여 가변 저항기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 에 나타내는 조작부재 (17) 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조작부재 (17) 는 손잡이 등으로 구성되고, 조작부 (17a) 와 이 조작부 (17a) 의 양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부착레그 (17b) 와, 이 부착레그 (17b) 의 선단에 형성된 바깥쪽으로 향하는 걸림 돌기 (17c) 를 가진다.
이 조작부재 (17) 는 부착레그 (17b) 가 조작체 (15) 의 제 2 연통 구멍 (15e) 에 삽입되고, 걸림 돌기 (17c) 가 아암부 (15b) 에 형성된 구멍 (15m) 에 걸려 부착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부착레그 (17b) 는 한 쌍의 아암부 (15b) 사이 내에 위치하여, 조작부재 (17) 의 부착 구조의 소형화 (횡방향의 치수의 소형화) 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 조작부재 (17) 의 조작부 (17a) 를 조작하면, 부착레그 (17b) 를 통하여 조작체 (25) 가 일체적으로 구동되게 되어 있고, 즉 조작부 (17a) 를 회전운동시키면 조작체 (15) 가 회전운동되고, 또한 조작부 (17a) 를 가압하면 그 이면부에 의해 조작체 (15) 를 가압하여 이들이 일체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재 (17) 에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는 아암부 (15b) 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걸리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 금속판이나 합성수지의 성형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ㄷ 자형의 부착부 재 (18) 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부착부재 (18) 는 도 1,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격을 두어 대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지지아암 (18a) 과, 이 한 쌍의 지지아암 (18a) 을 연결하는 연결부 (18b) 와, 한 쌍의 지지아암 (18a) 에 대향하여 형성된 걸림 구멍 (18c) 과, 한 쌍의 지지아암 (18a) 의 각각의 양측에 형성된 4 개의 탄성편 (18d) 을 가진다.
이 부착부재 (18) 는 연결부 (18b) 가 저벽 (1a) 의 하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아암 (18a) 이 아암부 (15b) 를 협지하거나, 혹은 아암부 (15b) 의 외면에 맞닿고, 동시에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부 (15k) 가 걸림 구멍 (18c)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싱 (1) 에 조합된다.
그리고, 빠짐방지부 (15k) 가 걸림 구멍 (18c) 내에 위치함으로써, 조작체 (15) 는 조작체 (15) 의 조작측인 전방부로의 움직임이 규제됨과 동시에, 걸림 구멍 (15c) 은 조작체 (15) 의 상하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도피부를 형성하여 걸림 구멍 (15c) 의 길이를 크게 하고 있다.
즉, 조작체 (15) 는 걸어맞춤 폴 (15g) 과 걸어맞춤 오목부 (1g) 의 걸어맞춤에 의한 전방부로의 빠짐방지에 더하여, 빠짐방지부 (15k) 와 걸림 구멍 (18c) 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작체 (15) 의 전방부로의 빠짐방지를 확실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의 하우징 (19) 은 부착벽 (19a) 을 가지는 수용부 (19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 (19b) 내에는 부착부재 (18) 의 탄성편 (18d) 과 함께 케이싱 (1) 의 저벽 (1a) 이 수용되며, 탄성편 (18d) 이 부착벽 (19a) 에 탄성 접촉하여 부착부재 (18) 및 케이싱 (1 :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이 부착된다.
한편, 부착벽 (19a) 에 의해 지지아암 (18a) 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걸림 구멍 (18c) 에 빠짐방지부 (15k) 를 걸어맞추어 전방부로 빼냈다고 해도 지지아암 (18a) 이 측방으로 벌어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어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부착부재 (18) 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을 하우징 (19) 에 부착하는 부재로서, 이 부착부재 (18) 가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에 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19) 에 부착하거나, 혹은 하우징 (19) 에 부착된 부착부재 (18) 에 대해서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이 부착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은, 제 1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측벽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운동 동작에 의해 제 1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조작체는 회전운동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빠짐방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가지며, 부착부재는 빠짐방지부에 대해서, 조작체의 조작측인 전방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케이싱으로부터의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부착부재에 의한 조작체의 걸림이 확실해지고, 이 때문에 조작체가 전방부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거나, 혹은 충격 등이 가해진 경우에도 조작체가 케이싱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케이싱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과, 이 측벽의 각각 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조작체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이 아암부의 각각에 형성되고,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리는 걸어맞춤 폴을 가지며, 조작체는 걸어맞춤 폴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 폴이 걸림으로써 조작체의 전방부로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조작체의 부착이 간단함과 동시에, 걸림 폴에 의해서도 빠짐방지 작용이 실시되어 조작체의 빠짐방지가 한층 확실해진다.
또한, 빠짐방지부는 볼록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볼록부는 아암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아암부에 형성되고, 볼록부는 부착부재에 의해 전방부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했기 때문에 그 구성이 간단함과 동시에, 부착부재가 조작체의 아암부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부착부재에 의해 아암부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어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아암과 이 한 쌍의 지지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한 쌍의 지지아암에 형성되고, 볼록부를 걸기 위한 걸림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한 쌍의 지지아암이 아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볼록부가 걸림 구멍 내에 위치했기 때문에, 부착부재와 조작체의 조합은 부착부재 내에 조작체를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좋아져, 조립성이 양호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부착부재가 금속판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저렴하고 생산성이 좋은 것이 얻어진다.
또한, 빠짐방지부와 걸어맞춤 폴이 조작체의 회전운동 축선상에 형성되었기 때문에, 조작체의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빠짐방지부와 걸림 폴의 제어를 동축선 상에서 할 수 있어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한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체는 상하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조작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제 2 스위치부를 가지고, 걸어맞춤 오목부 및 걸림 구멍에는 조작체의 상하운동을 허용하는 도피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제 2 스위치부가 조작가능한 것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한, 부착부재는 탄성편을 가지고, 부착부재가 탄성편에 의해 전자기기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의 부착이 간단함과 동시에, 부착부재가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겸하여 부품 수가 적고 저렴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전자부품은 부착벽을 형성한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를 구비하고, 케이싱이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편을 부착벽에 탄성 접촉시키기 때문에, 부착부재는 누름 동작으로 부착할 수 있어 그 부착이 한층 간단하다.
또한, 조작체에 부착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이 조작부재에는 한 쌍의 부착레그가 형성되며, 부착레그가 한 쌍의 아암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아암부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횡방향의 치수를 작게할 수 있고, 횡방향으로 소형인 것이 얻어진다.

Claims (10)

  1. 제 1 스위치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측벽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운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부를 조작하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는 회전운동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빠짐방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를 가지고, 상기 부착부재는 상기 빠짐방지부에 대해서 상기 조작체의 조작측인 전방부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기 케이싱으로부터의 상기 조작체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과 이 측벽의 각각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체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이 아암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리는 걸어맞춤 폴을 가지며, 상기 조작체는 상기 걸어맞춤 폴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어맞춤 폴이 걸림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상기 전방부로의 빠짐방지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는 볼록부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아암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아암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 록부는 상기 부착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부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아암과 이 한 쌍의 지지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아암에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를 걸기 위한 걸림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아암이 상기 아암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걸림 구멍 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가 금속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와 상기 걸어맞춤 폴이 상기 조작체의 회전운동 축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하운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조작되는 제 2 스위치부를 가지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및 상기 걸림 구멍에는 상기 조작체의 상하동작을 허용하는 도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탄성편을 가지고,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탄성편에 의해 전자기기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부착벽을 형성한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이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을 상기 부착벽에 탄성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 부착되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이 조작부재에는 한 쌍의 부착레그가 형성되며, 상기 부착레그가 상기 한 쌍의 아암부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KR1020040002721A 2003-02-24 2004-01-14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KR100546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6465A JP2004259489A (ja) 2003-02-24 2003-02-24 回動操作型電気部品
JPJP-P-2003-00046465 2003-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00A KR20040076200A (ko) 2004-08-31
KR100546422B1 true KR100546422B1 (ko) 2006-01-26

Family

ID=3311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721A KR100546422B1 (ko) 2003-02-24 2004-01-14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4259489A (ko)
KR (1) KR1005464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200A (ko) 2004-08-31
JP2004259489A (ja)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481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KR100335638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4342496A (ja) スイッチ装置
JP389086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546422B1 (ko) 회전운동 조작형 전기부품
KR100330849B1 (ko) 다방향 입력장치
EP2003670B1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JP4030735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033587B1 (ko) 반자동 슬라이드장치, 자동·반자동 겸용 슬라이드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05159662A (ja) 押しボタン構造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4030730B2 (ja) スイッチ装置
JP4443950B2 (ja) スイッチ装置
JP3853310B2 (ja) 多入力型電気部品
JP4079603B2 (ja) 回動操作型電気部品
KR200345352Y1 (ko) 휴대폰의플립도어스위치작동구조
JP20003574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44638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409032B2 (ja) スライダー機構
JP2858872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908837B2 (ja) スイッチ装置
JP3498048B2 (ja) 多入力スイッチ
KR20040086805A (ko) 스위치 장치
JP5722738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