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382B1 -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382B1
KR100545382B1 KR1020030041212A KR20030041212A KR100545382B1 KR 100545382 B1 KR100545382 B1 KR 100545382B1 KR 1020030041212 A KR1020030041212 A KR 1020030041212A KR 20030041212 A KR20030041212 A KR 20030041212A KR 100545382 B1 KR100545382 B1 KR 10054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extract
activity
galli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716A (ko
Inventor
윤원주
설석환
박형환
권익부
심인섭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3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학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의 활성을 증강시키며,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스트레스에 의한 비장(spleen)무게의 감소와 백혈구수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스트레스 예방 및 스트레스 증상 개선용 치료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갈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항스트레스 효과, 갈화 추출물

Description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The extracts of Pueraria flos which i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stress symptoms}
도 1은 갈화 추출물의 난소절제와 비닐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학습력 저하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갈화 추출물의 난소절제와 비닐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기억력 저하를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갈화 추출물의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choline acetyltransferase) 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갈화 추출물의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tyrosine hydroxylase) 활성을 억제라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학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콜린아세틸 트랜스 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의 활성을 증강시키며,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스트레스에 의한 비장(spleen)무게의 감소와 백혈구수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스트레스 예방 및 스트레스 증상 개선용 치료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갈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모든 병의 근원으로 인체의 부조화와 순환장애 등을 유발하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인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ypothalamus-Pituitary-Adrenal, HPA axis) 및 부신수질 및 교감신경계의 항진으로 에피네프린(epinephrine) 및 노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분비를 증강시키며 시상하부에서 코티코트로핀 분비인자(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분비 증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분비증가, 부신수질에서 코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알도스테론(aldosterone) 등의 분비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낸다. 스트레스 반응에는 혈압상승, 심박동수 증가, 행동변화, 위장관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혈액 이동, 비장무게의 감소, 백혈구수 감소로 인한 면역력 감소 등이 있다. 스트레스의 정도가 크고 오랫동안 받게 되거나 우리인체의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에 결함이 있으면 병으로 연결된다. 스트레스 반응을 수행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PA axia) 및 교감신경의 항진은 심각한 만성질환, 우울증, 신경성 식욕감퇴, 망상-강박장애, 공황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중심성 비만, 고혈압, 심장병 같은 질병을 초래한다.
소음, 공해, 불안상태나 억울 등 과도한 스트레스는 면역능력에 영향을 미쳐 생체에 저항능력을 억제하여 감염, 자가면역 및 뇌의 퇴행성 질환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스트레스의 발병기전에 심혈관계, 내분비계와 더불어 면역계의 역할에 연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킨(cytokine)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여 스트레스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시상하부(hypothalamus)와 해마(hippocampus)를 비롯한 중추신경계 내에서 사이토킨의 방출은 국소 염증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매우 해로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해마 내 신경세포의 소실이 오며 학습과 기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사이토킨의 방출과 학습, 기억소실 및 불안 등의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아직 그 기전과 역할이 잘 알려져 있진 않고 있다. 유기체가 살아가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통제한다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여러 질환이 급등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동증상의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스트레스의 중추성 면역학적 기전을 밝혀 새로운 약물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비록 과학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부작용이 극히 적으며 때로는 기존의 치료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천연물 치료제제 및 새로운 치료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스트레스에 의한 행동장애의 면역학적 및 신경기전 연구와 한의학적 치료제제 개발 및 임상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학습 및 기억장애에 미치는 천연물 제제의 효과를 직접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선 출원된 특허[국내특허 출원 제2003-24418호]에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갈화 추출물의 스트레스, 기억력 증진효과를 검증하고, 난치성 스트레스 질환에 대한 치료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발명은 궁극적으로 과학적 근거를 가진 임상에 적용 가능한 한방(천연물) 신치료법을 개발하여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하며, 의료시장에 국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갈화(칡꽃, Pueraria flos)는 식품공전 및 대한약전 한약(생약) 규격집에 등재된 식물로서,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am)의 꽃봉우리에 해당하며 기존의 한의학 처방에서 주해독(解酒毒)의 주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숙취해소 또는 음주 후 위장관 기능이상의 개선 용도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갈화 속의 유효성분으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치료제[국내 특허등록 제341146호], 골다공증, 관절통, 관절염 치료제[국내 특허 공개 제2001-67023호], 그리고 구강구취 제거, 잇몸질환 치료, 체내 노폐물 제거, 간기능 강화[국내 특허 공개 제2001-107032호] 등의 용도로 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갈화 추출물의 항 스트레스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 확보 및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는 천연 한약재에서 항 스트레스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재를 찾아내고자 연구한 결과,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어 오던 천연 한약재에서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뇌세포의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갈화(칡꽃, Pueraria flos) 추출물이 치매모델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모델에서도 기억력 및 학습력 개선 효과를 있으며, 또한 스트레스에 의한 일반적인 증상인 체중감소, 비장(spleen)의 무게감소, 백혈구수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의약품 및 건강식품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갈화(칡꽃, Pueraria flos)로부터 얻은 추출물이 랫트 동물실험에서 스트레스(난소절제 및 비닐구속)에 의한 학습력, 기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의 활성을 증강시키며,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며, 또한 스트레스에 의한 비장(spleen)무게의 감소와 백혈구수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상기한 갈화로부터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단순 추출하거나, 보다 활성이 우수한 갈화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제시된 갈화를 잘게 분쇄한 후, 물,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톤(Acetone) 수용액에 넣고 30 ∼ 70 ℃에서 1 ∼ 4 시간동안 환류 냉각하면서 2 ∼ 3회 용매 추출한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갈화 부피의 3 ∼ 5 배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30 ∼ 70 ℃의 조건 하에서 증발 농축한 후,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을 분말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이 추출 분말을 물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DMSO)에 녹여서 직접 실험에 사용하거나, 아세톤 추출물은 이중 아세톤 농축액 또는 분말을 메탄올과 n-헥산으로 각각 분획한 후 메탄올 분획층을 다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출, 농축, 정제 과정을 수행하여 각 과정에서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기억력, 학습력 검사를 위한 수중미로 검사와 신경세포의 활성 측정을 위한 면역조직검사를 수행한 결과, 아래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하다.
의약품으로 제조시, 본 발명의 갈화 추출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화 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리그난과 락톤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트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제제 내 함유량은 체내에서의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배설속도,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화 추출물의 경우, 20 ∼ 500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200 ㎎/㎏이며, 하루 1 ∼ 3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들의 이상 증가와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세포들의 이상 증가와 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치료 보조용 건강식품을 포함한다.
건강식품이란, 상기 갈화 추출물을 일반 식품에 첨가하거나, 캅셀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갈화 추출물의 제조
잘게 분쇄한 갈화의 건조중량 500 g에 증류수, 70% 에탄올 수용액, 50% 메탄올 수용액 또는 40% 아세톤 수용액을 약 5배가 되도록 넣고 60 ℃에서 2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면서 2회 추출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추출액들을 45 ℃에서 증발 농축하였고, 그 농축액을 일부 취하여,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이 중 아세톤 농축액 또는 분말을 메탄올과 n-헥산으로 각각 분획한 후 메탄올 분획층을 다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각각 분획하였다.
실험예 2: SD 랫트에서 동물실험
1)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한 흰쥐는 Sprague-Dawley계로 생후 5주령(220 ±10 g)의 수컷(샘타코, 한국)을 구입하여 온도 23 ±3 ℃, 상대습도 50 ±10%의 환경을 유지하면서 쥐용 고형사료(삼양사료, 한국)와 물을 공급하였으며,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2) 난소절제(ovariectomy) 후, 구속 스트레스 유발 모델
흰쥐에 소디움 펜토바르비탈(sodium pentobarbital, 50 mg/kg)을 복강 내 주사(i.p)하여 마취시킨 후, 척추의 가운데 부위 정중선에 1 cm를 절개하였다. 난소를 노출시키고 혈관은 봉합사로 결찰한 다음 난소를 절제하였다. 쥐는 검사기간 동안 매일 아침 8시30분경 동물실에서 실험실로 옮겨져 9시부터 2시간동안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스트레스 유발 방법은 비닐구속, 팔다리 구속, 그리고 구속상자를 이용한 구속 등이 있지만 기존실험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비닐을 이용한 구속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속비닐은 삼각뿔 모양이며 실험용 쥐의 머리가 삼각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투입시킨 후, 꼬리만 밖으로 나오게 한 뒤, 테이프로 고정시켰으며 삼각뿔쪽 비닐은 호흡이 가능할 정도만 개봉하였다.
3) 실험군의 구성
① 정상군(Normal-untreated) :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saline)를 경구투여하면서,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군 (n=6)
② 모의시술-대조군(sham-stress) : 난소절제 모의시술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면서,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군 (n=6)
③ 난소절제-대조군(ovariectomy-stress-control) : 난소를 절제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면서,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군 (n=6)
④ 갈화 투여군(ovariectomy-stress-갈화) : 난소를 절제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갈화(120 mg/kg)를 매일 경구투여 하면서, 구속 스트레스를 가한 군 (n=6)
실시예 1: 행동학적 검사, 수중 미로 검사(Morris-water maze test)
수중미로로 이용되는 수조는 직경이 180 cm 높이가 50 cm인 원형 통으로 온도가 22 ±2 ℃ 되는 물이 30 cm 높이로 채워지게 하였다. 수중 미로의 주변은 비디오 카메라, 실험대, 그리고 실험대 위에 있는 수온 조절용 장치 등 공간단서들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도피대는 직경이 12 cm인 원형 투명 아크릴에 받침대를 부착하고, 수면보다 1.5 cm 낮게 위치시켰다. 수중미로는 4개의 동일한 사분원으로 나누어져서 북동(NE), 북서(NW), 남동(SE), 남서(SW)로 구분되고 이중 북동 사분원의 중심부에 도피대가 놓여지고, 나머지 중 하나가 출발위치로 사용되었다. 쥐는 하루에 4행씩 6일간 훈련을 받으며(acquisition test), 7일째 마지막 시행이 끝나면 자유수영 검사가 시행되었는데(retention test), 이때 동물들은 도피대가 제거된 채로 60초간 수영을 하게 되었다. 모든 동물들의 행동은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되는데, 훈련 시행에서는 출발에서부터 도피대에 올라가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습득 테스트(acquisition test)와 기억 테스트(retention test)에서 갈화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난소절제 및 비닐구속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학습력, 기억력 저하를 유의하게 저해하였다. 습득 테스트에서는 5일째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 p < 0.05), 기억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유의성을 가지지는 않았다[도 1 및 도 2].
실시예 2: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Choline-acetyl trasferase, ChAT) 활성 측정
모든 행동 실험이 끝난 직후 실험동물을 소듐 펜토바르비탈(100 mg/kg, i.p.)로 마취시키고 식염수 100 ㎖에 이어 인산 완충용액(PBS)으로 준비한 4% 포르말린 용액(fixative) 900 ㎖로 심장을 통해 관류하였다. 그 다음 뇌를 꺼내 같은 고정액으로 2 ∼ 3 시간동안 고정시키고 20% 수크로오스(sucrose)가 함유된 PBS에 넣어 4 ℃에서 하루동안 보관하였다. 다음날 뇌를 급속 냉동한 후 뇌 조직을 배측(dorsal)과 복측(ventral)의 해마(hippocampus)와 매디알 셉텀(medial septum) 부위에서 30 ㎛의 두께로 자랐다. PBS로 조직을 몇 차례 씻고 양의 다클론성 ChAT 일차항체(primary sheep polyclonal ChAT antibody, Cambridge Research Biochemicals, Wilmington, DE)를 사용하였다. 1차 항체는 PBS에 0.3% 트리톤(Triton) X-100 첨가한 PBST에서 2% 토끼 혈청과 0.1% 소듐 아지드(sodium azid)[Sigma, St. Louis, MO]로 2000배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뇌 조직은 1차 항혈청에 4 ℃에서 72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흔들어 주면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3번 이상 조직을 PBST로 씻고, 2시간동안 실온에서 2% 토끼 혈 청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양의 이차 항체(biotinylated anti-sheep secondary antibody)[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에 반응시켰다. 그 후 3번 이상 조직을 PBST로 씻은 다음,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2% 정상 염소 혈청(normal goat serum)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토끼의 이차 항체(biotinylated anti-rabbit secondary antibody)[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에 반응시켰다. PBST로 3번 씻은 다음, 뇌 조직은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벡타스테인 엘리트 ABC 시약(Vectastain Elite ABC reagent, Vector)에 담궜다. PBS로 헹군 다음 조직을 니켈 클로라이드(nickel chloride)로 강화시키고 착색제로서 디아미노벤자딘(diaminobenzadine)을 사용하여 발현시켰다.
모든 처리를 거친 뇌 조직을 젤라틴(gelatin)으로 코팅된 슬라이드 유리판(gelatine-coated slide glass)에 고정하고 커버글라스를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00 ×200 ㎛ 크기의 현미경 4각 격자(rectangle grid)를 사용하여 200배로 확대하여 해마(hippocampus)내 CA1, CA3 부분에서 ChAT-면역반응성의(immunoreactive) 신경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갈화를 투여한 군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한 ChAT의 활성저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5) 회복하였다[도 3].
실시예 3 :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Tyrosine hydroxylase, TH)
상기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준비된 뇌조직을 인산완충용액(PBS)로 몇 차례 씻고, TH 발현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 항-TH 항체(mouse anti-TH antibody, Zymed Laboratories, Sanfrancisco, CA)에 담구었다. 일차항체(primary antibody)는 0.3% 트리톤 X-100(PBST)에서 2% 염소혈청(goat serum)과 0.001% 헤모시아닌(kehole limpet hemocyanin, sigma)으로 2000배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뇌조직은 일차 항혈청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뇌조직을 PBST로 씻은 다음, 2시간동안 실온에서 2% 염소혈청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로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염소의 항마우스 혈청(biotinylated goat anti-mouse serum, Santa Cruz Biotechnology)에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씻은 다음 뇌조직은 실온에서 1시간동안 ABC 용액[Santa Cruz Biotechnology]에 담구어 반응시켰다. PBST로 몇 번 헹군 다음 뇌조직을 착색제인 디아미노벤자딘 (diaminobenzidine)을 사용하여 발색시켰다. 발색이 끝난 조직은 슬라이드 유리판(slide glass)에 올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자일렌(xylen)으로 투명화시켜 폴리마운트(polymount)로 봉입하였다. 뇌조직의 각 부위는 염색성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뇌의 각 부위의 위치와 명칭은 Franklin & Paninos의 부도를 참고하였다. 현상된 사진에서 격자(2 ×2 cm)를 이용하여 동일한 지역에서 일정한 영역에 반응되어 나타난 염색성의 정도를 측정(counting)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의하면 스트레스 유발시 배측피개영역(Ventral tegmental area, VTA)과 청반(Locus coeruleus, LC)부분에서 도파민(dopamine)의 활성을 조절하는 TH의 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도 스트레스 부과시 이 영역에서 TH의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 며, 갈화 투여군에서는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 < 0.05) 억제하였다[도 4].
실시예 4: 독성시험
갈화 추출물은 모두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생약재(천연물)로서 그 안전성은 이미 입증된 상태로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갈화 추출물을 2 ∼ 5 g/kg으로 투여하여 살펴본 결과, 치사 및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해부하여 내부 장기를 살펴본 결과 변화가 없었다.
제조예 1: 분말 및 캅셀제의 제조
갈화 추출물 10 ㎎을 락토오스 14.8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과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No.5 젤라틴 캅셀에 채웠다.
상기 분말 및 캅셀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갈화 추출물 · ············ · 10 ㎎
락토오스 ··················14.8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
제조예 2 : 주사액제의 제조
갈화 추출물 10 ㎎, 만니톨 180 ㎎, Na2HPO4ㆍ12H2O 26 ㎎ 및 증류수 2974 ㎎을 혼합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병에 넣고 20 ℃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 처리하였다.
갈화 추출물 ················ 10 ㎎
만니톨 ··················· 180 ㎎
Na2HPO4ㆍ12H2O ·· ············· 26 ㎎
증류수 ·················· 2974 ㎎
제조예 3: 건강식품(정제, 캅셀 또는 음료)의 제조
1일 복용 기준으로 갈화 추출물 0.2 g, 분말비타민 E, 젖산철, 산화아연, 니코틴산 아미드, 비타민 A, 비타민 B1 및 비타민 B2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건강식품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사람 1일복용량 기준).
갈화 추출물 ················· 300 mg
인삼 추출물 ················· 100 mg
녹차 추출물 ················· 100 mg
비타민 C ·················· 100 mg
분말비타민 E ·············· 120 mg
젖산철 ···················· 2 mg
산화아연 ··················· 2 mg
니코틴산아미드 ·················20 mg
비타민 A ·········· ········ 5 mg
비타민 B1 ··················· 2 mg
비타민 B2 ··················· 2 mg
옥수수전분···················2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0 mg
실시예 5: 일반적인 스트레스의 지표 측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화 추출물을 매일 1회씩(120 mg/kg) 랫트에 경구투여 후, 비닐구속법을 이용하여 하루 2시간씩 1주일간 스트레스를 가하였다. 스트레스 부과기간동안 매일 1회씩 몸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1주일 후, 부검하여 스트레스 지표로 비장(spleen)의 무게와 혈액내 백혈구 수와 림프구(lymphocyte) 수 등을 측정하였다. 치료율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화 투여군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비장무게의 감소와 백혈구수 감소를 우수하게 억제하였다.
Figure 112003022631089-pat00001
구분 체중증가율(%) 비장무게(mg) 치료율(%) 백혈구수(개) 치료율(%)
정상군 121.83 ±2.51 706.38 ±22.27 - 7150 ±125 -
스트레스군 118.40 ±2.23 568.03 ±30.54 - 5125 ±430 -
갈화투여군 122.76 ±3.52 619.41*±26.29 37.13 5420 ±389 14.56
제조예 3 125.28 ±3.14 631.25*±48.29 45.69 5932*±106 39.85
주) 각수치는 평균 ±평균오차로 나타냄(n=10) *: 스트레스군과의 통계적인 차이(p < 0.0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화 추출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학습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하며, 이와 관련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스트레스와 관련된 도파민성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스트레스에 의한 체중감소, 백혈구수 감소로 인한 면역력 저하, 비장(spleen) 무게의 감소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스트레스 개선용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Claims (2)

  1. 삭제
  2. 갈화(칡꽃, Pueraria flos)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및 학습력 증진용 건강식품.
KR1020030041212A 2003-06-24 2003-06-24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KR10054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12A KR100545382B1 (ko) 2003-06-24 2003-06-24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12A KR100545382B1 (ko) 2003-06-24 2003-06-24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16A KR20050000716A (ko) 2005-01-06
KR100545382B1 true KR100545382B1 (ko) 2006-01-24

Family

ID=3721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212A KR100545382B1 (ko) 2003-06-24 2003-06-24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3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16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ón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alpha-asarone on spatial memory and nitric oxide levels in rats injected with amyloid-β (25–35)
Toyin et al. Antidiarrheal activity of aqueous leaf extract of Ceratotheca sesamoides in rats
JP2008511540A (ja) 神経保護作用を有する栄養補助食品
JP2002541194A (ja) ハイドロキシシンナム酸誘導体又はこれを含むトウキ抽出物を含有する痴呆予防及び治療用の組成物
Ekweogu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Solanum aethiopicum on phenylhydrazine-induced anaemia and toxicity in rats
JP5058799B2 (ja) グラプトペタルム属および近親植物の医薬的使用
Buddhakala et al. Toxicity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Sphagneticola trilobata (L.) Pruski flower in rats
Okumura et al. Inhibition of gastric pepsin secretion by peripherally or centrally injected interleukin-1 in rats
Ugbaja et al. Ameliorative effects of aloe vera gel extract on circulatory and tissue lipid profile sta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100678519B1 (ko) 다슬기, 유황오리, 유근피, 송화가루, 산청목, 죽염,인진쑥, 도라지 및 흑두로 구성되는 복합제 추출물을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Prabhu et al. Evaluation of anti-fibrotic effect of lagerstroemia speciosa (L) pers.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fibrosis
KR100545382B1 (ko)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KR100525474B1 (ko)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RU2744268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НИКОТИНОВОЙ ЗАВИСИМОСТИ, ВКЛЮЧАЮЩАЯ ЭКСТРАКТ Liriope platyphylla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CN110613712B (zh) 中药组合物及其在治疗血管炎症和内皮损伤中的应用
KR100552995B1 (ko)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14209A (zh) 一种中药组合物在制备预防和/或治疗心肌缺血再灌注损伤的药物中的应用
KR100540788B1 (ko) 갈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WO2007026185A2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a medicinal herb belonging to the order of violales
EP1928482A2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a solidago species
CN113164540A (zh) 包含朝鲜当归提取物或朝鲜当归和西兰花的混合提取物的预防或治疗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EP2845589B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graine or neuropathic pain
Tagne et al. Effects of hydroethanolic extract of Cameroonian propolis (Promax-c) on castor oil-induced diarrhea in mice
US11850257B2 (en) Method for enhancing beta-adrenergic response
KR102478582B1 (ko) 에버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