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474B1 -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474B1
KR100525474B1 KR10-2003-0069685A KR20030069685A KR100525474B1 KR 100525474 B1 KR100525474 B1 KR 100525474B1 KR 20030069685 A KR20030069685 A KR 20030069685A KR 100525474 B1 KR100525474 B1 KR 10052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g
extract
stress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906A (ko
Inventor
윤원주
이재호
박형환
권익부
심인섭
Original Assignee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4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생약제로 구성된 사군자탕에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최적 함량으로 가미하여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을 제조함으로써, 스트레스 모델,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치매모델, 그리고 뇌졸중(뇌허혈) 동물실험 모델에서 기억력, 학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이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증상 개선용, 치매 증상 개선용, 그리고 뇌졸중 증상 개선용 등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modified SAGUNZA-TANG which i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anti-stress and brain function}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생약제로 구성된 사군자탕에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최적 함량으로 가미하여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을 제조함으로써, 스트레스 모델,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 손상에 의한 치매모델, 그리고 뇌졸중(뇌허혈) 동물실험 모델에서 기억력, 학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이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스트레스 증상 개선용, 치매 증상 개선용, 그리고 뇌졸중 증상 개선용 등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와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스트레스성 질환, 노화 및 노화와 관련된 노인성 뇌질환(치매), 뇌졸중 등의 발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질환은 발병율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뚜렷한 치료제 및 예방제가 없어 막대한 사회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스트레스는 모든 병의 근원으로 인체의 부조화와 순환장애 등을 유발하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인체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ypothalamus-Pituitary-Adrenal, HPA axis) 및 부신수질 및 교감신경계의 항진으로 에피네프린(epinephrine) 및 노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분비를 증강시키며 시상하부에서 코티코트로핀 분비인자(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분비 증가,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분비증가, 부신수질에서 코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알도스테론(aldosterone) 등의 분비를 증가시켜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낸다. 스트레스 반응에는 혈압상승, 심박동수 증가, 행동변화, 위장관으로부터 골격근으로의 혈액 이동, 비장무게의 감소, 백혈구수 감소로 인한 면역력 감소 등이 있다. 스트레스의 정도가 크고 오랫동안 받게 되거나 우리인체의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에 결함이 있으면 병으로 연결된다. 스트레스 반응을 수행하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계(HPA axia) 및 교감신경의 항진은 심각한 만성질환, 우울증, 신경성 식욕감퇴, 망상-강박장애, 공황장애,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 중심성 비만, 고혈압, 심장병 같은 질병을 초래한다.
소음, 공해, 불안상태나 억울 등 과도한 스트레스는 면역능력에 영향을 미쳐 생체에 저항능력을 억제하여 감염, 자가면역 및 뇌의 퇴행성 질환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스트레스의 발병기전에 심혈관계, 내분비계와 더불어 면역계의 역할에 연구의 촛점이 모아지고 있다.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킨(cytokine)이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여 스트레스성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시상하부(hypothalamus)와 해마(hippocampus)를 비롯한 중추신경계 내에서 사이토킨의 방출은 국소 염증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매우 해로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해마 내 신경세포의 소실이 오며 학습과 기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사이토킨의 방출과 학습, 기억소실 및 불안 등의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아직 그 기전과 역할이 잘 알려져 있진 않고 있다. 유기체가 살아가면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인 스트레스를 통제한다는 것이 실제로 불가능하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여러 질환이 급등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행동증상의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스트레스의 중추성 면역학적 기전을 밝혀 새로운 약물 및 치료방법의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제공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할 수 있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노인성 치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발병요인은 베타아밀로이드(Ab1-42)의 뇌내 축적과 그로 인한 신경독성이 발병의 매우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Selkoe, Annu. Rev. Neurosci., 17, 489-517(1994)], 기타 다른 요인들도 거론되고 있다. 결국, 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은 노화와 더불어서 발생되는 각종 세포 내 독성에 의한 신경세포의 활성저하 및 사멸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치매 치료제(tacrine, Cognex; Donepezil, Aricept)들은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작용을 증진시키는 것들로서 치매의 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될 수는 있지만 여러 가지 부작용(간독성, 구토, 설사 등)이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뇌졸중은 암 다음으로 많은 사망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단일 질환으로서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밝혀져 있고 뇌졸중에 걸려 사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반신 마비, 언어 장애 등의 후유증으로 고생하게 되는 무서운 질병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졸중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흡연 등의 위험성을 잘 모르고 지내다가 한창 일할 나이에 뇌졸중에 희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뇌졸중이 발병되어도 이에 대한 과학적인 치료를 외면하고, 그릇된 자가치료 또는 비과학적인 민간요법 등에 의존하여 심한 후유증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뇌졸중 환자와 그 가족들이 자포자기하여 치료를 안 받거나 재발의 예방을 게을리 하여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뇌졸중의 기전은 뇌혈관에 혈전(Thrombosis), 전색증(Embolism)과 출혈(Hemorrhage)이며,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병, 동정맥기형 또는 동맥류 등에 기인한다. 뇌졸중의 80%는 색전증(Thromboembolism)에 의한 경색(Infarction)이며, 이중 59% 전색증(Embolism)이고, 41%는 혈전(Thrombosis)이 원인이 된다. 뇌졸중의 정도와 회복은 손상부위와 손상 뇌반구의 위치, 경색의 크기와 부차적 순환(Collateral circulation)과 연령에 따르게 된다.
뇌졸중의 약물학적 치료방법은 항응고제(헤파린,와파린 등), 항혈소판제(아스피린, 티클로피딘 등), 혈전용해제(스트렙토키나제, 유로키나제, 티-피에이 등)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발병 이후, 단기간내에 처치하여야 하며, 한번 손상받은 신경세포는 다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약물학적 치료 방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들어서는 예방의약과 대체의약이 강조되면서 천연물 또는 한약재의 의한 예방이 중요시되고 있다
앞서 말한 급격한 사회변화, 노령화와 관련된 질병(스트레스, 치매, 뇌졸중 등)을 효율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비록 과학적으로 검증이 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부작용이 극히 적으며 때로는 기존의 치료방법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천연물 치료제제 및 새로운 치료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또한 이들 새로운 치료법의 과학적인 검증, 한의학적 치료제제 개발 및 임상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통 한의학 서적을 참고로 하여 이런 질환들에게 가장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는 한약(천연물)처방의 효과를 직접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그 중 아직까지 뇌기능 증진 및 뇌보호 효능에 대해 연구가 없는 처방(소재)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질환들에 대한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효과에 대한 발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발명은 궁극적으로 과학적 근거를 가진 임상에 적용 가능한 한방(천연물) 신치료법을 개발하여 국민보건 증진에 기여하며, 의료시장에 국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성 확보 및 부작용의 최소화를 위하여 전통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는 천연 한약재에서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증진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재를 찾아내고자 연구한 결과, 전통 한의서(동의보감 등)에 많이 수록되어 있는 사군자탕을 바탕으로 하여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최적 함량으로 가미하여 가미사군자탕을 제조하였으며, 이 물질이 동물질환(스트레스, 치매, 뇌졸중) 모델에서 기억력 및 학습력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가미사군자탕,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군자탕 1 ∼ 10 중량부에 매실 추출물 0.05 ∼ 0.5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1 ∼ 1 중량부, 갈근 추출물 0.01 ∼ 0.1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 1 중량부가 함유된 가미사군자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통 한의서(동의보감 등)에 나오는 사군자탕의 조성에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가감하여 얻은 가미사군자탕으로, 뇌질환과 관련된 동물실험 모델(스트레스, 치매, 뇌졸중)에서 기억, 학습력을 증진시키고 관련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스트레스, 치매,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 약제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미사군자탕은 사군자탕 1 ∼ 10 중량부에 매실 추출물 0.0.5 ∼ 0.5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1 ∼ 1 중량부, 갈근 추출물 0.01 ∼ 0.1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 1 중량부가 함유되어 있으며, 각 성분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군자탕은 보기제의 기본처방으로 처방으로는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사군자탕은 일반적으로 모든 건중제와 마찬가지로 우선적으로는 소화기질환에 응용되지만 평활근(平滑筋) 무력으로 인한 모든 질환에 거의 처방된다. 서병, 기허혈, 양허, 악한, 허로, 소기, 위무력, 보진기허약, 차기단기소에 사용되면, 본방은 원기가 쇠약한자, 위장의 기능이 몹시 허약한자와 빈혈을 목표로 하여 여러 질환에 쓰인다. 소화기관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소화기의 무력증상을 개선하고 소화흡수를 촉진하여 만성소화불량, 식욕부진, 무기력, 만성하리, 만성위염에 효과가 있고 부족해진 원기를 보충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군자탕은 세포에 영양이 부족하여 에너지대사가 원활하지 못하여 기운이 없을 때,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에너지대사를 활성화시키며, 소화기계의 연동운동에 관계하는 작용이 약하여 소화관무력증상이 있어서 소화관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때, 소화관의 연동 운동능을 촉진 하므로써 소화기계의 무력증상을 개선한다. 이러한, 사군자탕은 인삼(당삼)이 주약이며 보기건비, 삼습이수, 고표지한 작용이 있는 백출과 삼습이수, 보중건비의 작용이 있는 백복령이 보좌하고 보중익기 작용이 있으면서 각종약물의 작용을 완화키는 감초가 배합되어 처방된 평보의 방제이다. 즉 인삼은 근육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사포닌이 조건반사능을 강화하여 기운을 강화하고, 비특이적 면역능을 증강하여 강장작용을 하며, 백복령은 아미노산, 단백질, 레시틴, 칼륨 등의 영양소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백출은 비타민 A, D 등을, 감초는 당류를 공급하여 세포에 영양을 강화한다. 다시말하면, 인삼, 백출, 백복령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 흡수를 증진시키고, 백출, 백복령은 소화관에 정체된 수독의 배출을 촉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군자탕은 원료인 인삼, 백복령, 백출, 감초를 동 비율로 잘게 분쇄한 후, 물 또는 주정(70%)에 넣고 70 ∼ 100 ℃에서 2 ∼ 7 시간동안 환류냉각하면서 2 ∼ 3회 용매 추출한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원료 부피의 3 ∼ 5 배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40 ∼ 60 ℃의 조건하에서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 상태로 만들거나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사군자탕)을 분말 상태로 만든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사군자탕은 함유량이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에 1 중량부 미만 함유되면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용량에 대한 효능증가비율이 포화(saturation)되어 추가적인 약효상승을 기재할 수 없으며,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에서 매실 추출물은 상기 사군자탕에 대하여 0.05 ∼ 0.5 중량부 함유하며, 소화기능 및 당질대사를 촉진하여 뇌로 가는 에너지(포도당_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뇌활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또한 특유의 신맛으로 미감을 좋게 한다. 만일 그 함유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효능과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매실은 둥근 모양이고 5월 말에서 6월 중순에 녹색으로 익으며, 중국 원산이며 3,000년 전부터 건강보조 식품이나 약재로 써왔다. 이러한, 매실은 열매 중 과육이 약 80%인데, 그 중에서 약 85%가 수분이며 당질이 약 10%이며, 무기질·비타민·유기산(시트르산·사과산·호박산·주석산)이 풍부하고 칼슘·인·칼륨 등의 무기질과 카로틴도 들어 있다. 그 중 시트르산은 당질의 대사를 촉진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유기산은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식욕을 돋구는 작용을 한다. 또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피로회복에 좋고 체질개선 효과가 있다. 특히 해독작용이 뛰어나 배탈이나 식중독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맛은 위액을 분비하고 소화기관을 정상화하여 소화불량과 위장 장애를 없애 준다. 변비와 피부미용에도 좋고 산도가 높아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최근에는 항암식품으로도 알려졌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매실을 상기 사군자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매실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에서 둥글레 추출물은 상기 사군자탕에 대하여 0.1 ∼ 1 중량부 함유하며, 독특한 향으로 사군자탕의 쓴맛을 보완하며 한방음료로서 개발시 자양강장 성분으로서 원방사군자탕의 보기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그 함유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효능과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둥글레는 신선들이 먹는 음식 이라 했을 만큼 좋은 향과 효능을 가지고 있다. 강장, 자양 성분이 많이 함유돼 있는 만큼 몸이 허약한 사람에게 좋다. 남녀를 불문하고 허약증상을 호소하면서 팔, 다리가 쑤신다거나 원인 모르게 식은땀과 열이 나며, 입안이 마르면서 갈증이 있고 소변을 붉게 보면서 시원함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에 둥굴레차를 꾸준히 복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인삼과 달리 체질에 상관없이 잘 어울린다는 것 또한 둥글레에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그밖에 치한,해열에 효험이 있으며, 혈압,혈당,강심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장기간 복용하면 안색과 혈색을 좋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둥글레를 상기 사군자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둥글레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에서 갈근 추출물은 상기 사군자탕에 대하여 0.01 ∼ 0.1 중량부 함유하며, 특유의 맛으로 사군자탕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근육의 긴장(피로) 상태를 완화시켜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만일 그 함유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효능과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0.1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갈근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등본이 칡(Pueraria thusbergiana BENTH.)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승향해기, 제번지갈의 효능이 있으며 두통, 항강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갈근을 상기 사군자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갈근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에서 계피 추출물은 상기 사군자탕에 대하여 0.1 ∼ 1 중량부 함유하며, 특유의 향으로 사군자탕의 미감을 개선시키며, 정신적인 진정작용을 나타냅으로써 학습,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만일 그 함유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효능과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감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피는 방향성(芳香性)의 건위제(健胃劑)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제(散劑)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 ·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 ·급성열병 ·노인병 등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장운동운동을 촉진하고 구풍작용이 있으며, 해열, 진정작용도 합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계피를 상기 사군자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은 계피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상기 성분 이외에 향료 및 부형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상기 사군자탕에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 향료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가미사군자탕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가미사군자탕을 농축하거나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미사군자탕은 동물실험에서 스트레스 모델(난소절제 및 구속 스트레스), 치매모델(뇌손상 :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를 파괴시키는 192-사포린, 이보텐산: ibotenic acid), 그리고 뇌졸중모델(중대 뇌동맥 폐색)에 의한 기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콜린 아세틸 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등 관련 효소의 활성을 증강시킴으로써, 뇌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및 건강식품을 포함하며, 특히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용도의 예방,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식품으로 사용 가능하다.
특히, 의약품으로는 항스트레스 제제, 뇌기능 개선제, 치매에 의한 학습, 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제, 뇌졸중에 의한 학습, 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식품으로는 스트레스 개선용, 뇌기능 개선용, 치매에 의한 학습/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용, 뇌졸중에 의한 학습, 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용 건강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식품이란, 가미사군자탕 추출물을 일반 식품에 첨가하거나, 캅셀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의약품으로 제조시,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리그난과 락톤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제제 내 함유량은 체내에서의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배설속도,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 추출물의 경우, 100 ∼ 7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00 ∼ 500 ㎎/㎏이며, 하루 1 ∼ 3회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가미사군자탕의 제조
우선, 사군자탕의 원료인 인삼, 백복령, 백출, 감초를 동 비율로 잘게 분쇄한 후, 물 또는 주정(70%)에 넣고 70 ∼ 100 ℃에서 2 ∼ 7 시간동안 환류냉각하면서 2 ∼ 3회 용매 추출하였다. 이때 수용액의 사용량은 원료 부피의 3 ∼ 5 배 정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분리된 추출액을 40 ∼ 60 ℃의 조건하에서 증발 농축한 후, 농축액 상태로 만들거나 가열 또는 동결건조하여 추출액(사군자탕)을 분말 상태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사군자탕 5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사군자탕과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된 매실 추출물 0.2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5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중량부, 계피 추출물 0.5 중량부, 향료(한불) 0.02 중량부 및 부형제(액상 과당)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가미사군자탕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가미사군자탕을 농축하거나 분말화하였다.
이하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가미사군자탕을 사용하여 동물(쥐)실험 모델에서 스트레스 증상 개선, 치매 증상 개선 및 뇌졸중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흰쥐는 Sprague-Dawley계(SD 랫트)로 생후 5주령(220 ±10 g)의 수컷(샘타코, 한국)을 구입하여 온도 23 ±3 ℃, 상대습도 50 ±10%의 환경을 유지하면서 쥐용 고형사료(삼양사료, 한국)와 물을 공급하였으며,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동물실험 (스트레스 모델)
1) 난소절제(ovariectomy) 후, 구속 스트레스 유발 모델
흰쥐에 소디움 펜토바르비탈(sodium pentobarbital, 50 mg/kg)을 복강 내 주사(i.p)하여 마취시킨 후, 척추의 가운데 부위 정중선에 1 cm를 절개하였다. 난소를 노출시키고 혈관은 봉합사로 결찰한 다음 난소를 절제하였다. 쥐는 검사기간 동안 매일 아침 8시30분경 동물실에서 실험실로 옮겨져 9시부터 2시간동안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스트레스 유발 방법은 비닐구속, 팔다리 구속, 그리고 구속상자를 이용한 구속 등이 있지만 기존실험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비닐을 이용한 구속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속비닐은 삼각뿔 모양이며 실험용 쥐의 머리가 삼각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투입시킨 후, 꼬리만 밖으로 나오게 한 뒤, 테이프로 고정시켰으며 삼각뿔쪽 비닐은 호흡이 가능할 정도만 개봉하였다.
2) 실험군의 구성
① 정상군 :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실험개시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saline)를 경구투여하면서, 구속 스트레스(2시간)를 가한군 (n=6)
② 모의시술군 : 난소절제 모의시술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하면서, 구속 스트레스(2시간)를 가한 군 (n=6)
③ 난소절제군(ovariectomy) : 난소를 절제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생리식염수를 경구투여 하면서, 구속 스트레스(2시간)를 가한 군 (n=6)
④ + 가미사군자탕 : 난소를 절제 후, 1주일 후부터 14일간 가미사군자탕(120 mg/kg)을 매일 경구투여 하면서, 구속 스트레스(2시간)를 가한 군 (n=6)
3) 수중 미로 검사(Morris-water maze test) : 학습 기억력 검사
수중미로로 이용되는 수조는 직경이 180 cm 높이가 50 cm인 원형 통으로 온도가 22 ±2 ℃ 되는 물이 30 cm 높이로 채워지게 하였다. 수중 미로의 주변은 비디오 카메라, 실험대, 그리고 실험대 위에 있는 수온 조절용 장치 등 공간단서들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도피대는 직경이 12 cm인 원형 투명 아크릴에 받침대를 부착하고, 수면보다 1.5 cm 낮게 위치시켰다. 수중미로는 4개의 동일한 사분원으로 나누어져서 북동(NE), 북서(NW), 남동(SE), 남서(SW)로 구분되고 이중 북동 사분원의 중심부에 도피대가 놓여지고, 나머지 중 하나가 출발위치로 사용되었다. 쥐는 하루에 4행씩 7일간 훈련을 받으며(acquisition test), 8일째 마지막 시행이 끝나면 자유수영 검사가 시행되었는데(retention test) 이때 동물들은 도피대가 제거된 채로 60초간 수영을 하게 되었다. 모든 동물들의 행동은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되는데, 훈련 시행에서는 출발에서부터 도피대에 올라가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습득(학습) 검사(acquisition test)와 기억 검사(retention test)에서 가미사군자탕을 투여한 군에서 난소절제 및 구속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학습, 기억력 저하를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단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표 1 및 도 1 참조].
학습력 검사에서 6일동안 도피하는데 소요된 시간의 변화
구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정상군 110.2 ±18.9 84.8 ±19.1 50.3 ±13.0 41.6 ±19.5 31.9 ±10.9 22.2 ±2.9
모의시술군 134.1 ±22.4 68.7 ±21.0 17.6 ±2.9 40.5 ±9.6 42.3 ±12.8 22.1 ±7.3
난소절제군 115.3 ±24.5 73.4 ±11.8 38.0 ±9.6 23.3 ±6.0 29.3 ±3.2 22.7 ±4.4
+가미사군자탕 126.8 ±23.8 75.7 ±26.2 43.2 ±9.8 41.6 ±12.4 28.3 ±4.2 19.2 ±4.9
* 평균 ±표준오차
4)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Choline-acetyl trasferase,ChAT) 활성 측정
모든 행동 실험이 끝난 직후 실험동물을 소듐 펜토바르비탈(100 mg/kg, i.p.)로 마취시키고 식염수 100 ㎖에 이어 인산염 완충액(PBS)으로 준비한 4% 포르말린 용액(fixative) 900 ㎖로 심장을 통해 관류하였다. 그 다음 뇌를 꺼내 같은 고정액으로 2 ∼ 3 시간동안 고정시키고 20% 수크로오스가 함유된 PBS에 넣어 4 ℃에서 하루동안 보관하였다. 다음날 뇌를 급속 냉동한 후 뇌 조직을 배측(dorsal)과 복측(ventral)의 해마(hippocampus)와 미디얼 셉텀(medial septum) 부위에서 30 ㎛의 두께로 잘랐다. PBS로 조직을 몇 차례 씻고 초기 양의 다클론성 ChAT 일차항체(primary sheep polyclonal ChAT antibody, Cambridge Research Biochemicals, Wilmington, DE)를 사용하였다. 1차 항체는 PBS에 0.3% 트리톤 X-100 첨가한 PBST에서 2% 토끼 혈청과 0.1% 소듐 아지드(sodium azid)[Sigma, St. Louis, MO]로 2000배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뇌 조직은 1차 항혈청에 4 ℃에서 72시간동안 지속적으로 흔들어 주면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3번 이상 조직을 PBST로 씻고, 2시간동안 실온에서 2% 토끼 혈청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양의 이차 항체(biotinylated anti-sheep secondary antibody)[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에 반응시켰다. 그 후 3번 이상 조직을 PBST로 씻은 다음,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2% 정상 염소 혈청(normal goat serum)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토끼의 이차 항체(biotinylated anti-rabbit secondary antibody)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에 반응시켰다. PBST로 3번 씻은 다음, 뇌 조직은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벡타스테인 엘리트 ABC 시약(Vectastain Elite ABC reagent, Vector)에 담궜다. PBS로 헹군 다음 조직을 니켈 클로라이드(nickel chloride)로 강화시키고 착색제로서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을 사용하여 발현시켰다.
모든 처리를 거친 뇌 조직을 젤라틴으로 코팅된 슬라이드 유리판(gelatine-coated slide glass)에 고정하고 커버글라스를 덮은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200 ×200 ㎛ 크기의 현미경 4각 격자(rectangle grid)를 사용하여 200배로 확대하여 해마(hippocampus)내 ChAT-면역반응성의(immunoreactive) 신경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미사군자탕을 투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ChAT의 활성을 증가시켰다[도 2].
5)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 (Tyrosine hydroxylase, TH) 활성 측정
뇌조직을 인산완충용액(PBS)로 몇 차례 씻고, TH 발현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마우스 항-TH 항체(mouse anti-TH antibody, Zymed Laboratories, Sanfrancisco, CA)에 담구었다. 일차항체(primary antibody)는 0.3% 트리톤 X-100(PBST)에서 2% 염소혈청(goat serum)과 0.001% 헤모시아닌(kehole limpet hemocyanin, sigma)으로 2000배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뇌조직은 일차 항혈청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뇌조직을 PBST로 씻은 다음, 2시간동안 실온에서 2% 염소혈청을 함유하는 PBST에서 200배로 희석한 바이오틴이 결합된 염소의 항마우스 혈청(biotinylated goat anti-mouse serum, Santa Cruz Biotechnology)에 반응시켰다. 다시 PBST로 씻은 다음 뇌조직은 실온에서 1시간동안 ABC 용액[Santa Cruz Biotechnology]에 담구어 반응시켰다. PBST로 몇 번 헹군 다음 뇌조직을 착색제인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을 사용하여 발색시켰다. 발색이 끝난 조직은 슬라이드 유리판(slide glass)에 올려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자일렌(xylen)으로 투명화시켜 폴리마운트(polymount)로 봉입하였다. 뇌조직의 각 부위는 염색성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였다. 뇌의 각 부위의 위치와 명칭은 Franklin & Paninos의 부도를 참고하였다. 현상된 사진에서 격자(2 ×2 cm)를 이용하여 동일한 지역에서 일정한 영역에 반응되어 나타난 염색성의 정도를 측정(counting)하였다. 기존의 문헌에 의하면 스트레스 유발시 배측피개영역(Ventral tegmental area, VTA)과 청반(Locus coeruleus, LC)부분에서 도파민(dopamine)의 활성을 조절하는 TH의 활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도 스트레스 부과시 이 영역에서 TH의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가미사군자탕 투여군에서는 이를 억제하였다[도 3 및 도 4].
실험예 2 : 동물실험 (치매모델-뇌손상)
1) 뇌손상 유발 : 192-사포린(saporin)
실험군은 쥐에 소듐 펜토바르비탈(sodium pentobarbital 50 mg/kg, i.p.)로 마취시킨 후 정위방법의 기술(stereotaxic technique)을 이용하여 미디얼 셉텀(medial septum, AP:-0.2, L: ±0.3, H:-6.2)위치에 192-사포린 1 ㎍(ATS)을 양쪽으로 주입하였다. 미세주입은 1 ㎖ 가스-타이트 유리 주사기(gas-tight glass syringe)[Hamilton, Reno, NV]에 폴리에틸렌 튜브(polyethylene tubing)로 연결하여 관류용 펌프(perfusion pump, Pump 22, Harvard Apparatus, South Natick, MA)를 이용하여 0.2 ㎕/min 유속으로 주입 후에 5분간 방치한 다음 주사기(syringe)를 제거하였다. 각각 손상군에 대한 약물처치는 그 다음날부터 시행하였다. 모의시술군은 손상약물 대신 145 mM NaCl, 2.7 mM KCl, 1.2 mM CaCl2, 1.0 mM MgCl2로 만든 인공뇌척수액(artificial CSF)을 같은 방식으로 주입하였다.
2) 뇌손상 유발 : Ibotenic acid
상기 192-사포린에 의한 뇌손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디얼 셉텀(medial septum) 내에 이보텐산(ibotenic acid)를 주입하였다.
3) 실험군의 구성
① 정상군 : 뇌손상 모의시술 후, 식염수를 매일 투여한 군 (n=6)
② 뇌손상군 : 미디얼 셉텀(medial septum) 내에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를 손상시키는 192-사포린(또는 Ibotenic acid)를 투요한 후, 식염수를 매일 투여한 군 (n=6)
③ + 가미사군자탕 : 192-사포린(또는 Ibotenic acid)을 투여한 후, 가미사군자탕을 매일 투여한 군 (n=6)
4) 수중 미로 검사(Morris-water maze test) : 학습, 기억력 검사
위 실험예 1의 수중미로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92-사포린에 의한 뇌손상모델에서 학습력 검사(Acquisition test)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5) 학습력 저하를 개선하였다[도 5 및 표 2 참조]. 반면, 기억력검사(retention test)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표 3]. 그리고, 이보텐산에 의한 뇌손상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학습력, 기억력 모두를 개선하였다[표 4, 도 6, 표 5 및 도 7]
구분 학습력 검사/도피에 소요된 시간(초)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정상군 131.6 ±19 91.6 ±12.1 56.8 ±11.9 54.3 ±15.4 32.7 ±9.3* 27.3 ±7.7 14.7 ±4.0*
뇌손상(사포린) 155.0 ±8.6 117.1 ±21.0 102.3 ±28.9 93.8 ±22.4 77.0 ±25.1# 54.9 ±25.8 54.8 ±27#
+가미사군자탕 123.9 ±41.1 100.6 ±7.1 71.3 ±35.4 67.0 ±35.3 48.6 ±23.1 41.8 ±19.6 34.8 ±11.5
*: 뇌손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구분 기억력검사/플랫폼 영역에서 머무른 정도(%)
8일
정상군 4.0 ±0.9
뇌손상(사포린) 3.6 ±0.6
+가미사군자탕 3.7 ±1.6
구분 학습력 검사/도피에 소요된 시간(초)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정상군 96.3 ±5.9** 85.6 ±20.6 67.8 ±22.5* 49.8 ±13.5 39.3 ±14.1 21.2 ±6.3
뇌손상(사포린) 172.0 ±4.2## 106.8 ±16.0 114.7 ±11.1# 70.2 ±10.1 58.7 ±4.7 33.7 ±10.3
+가미사군자탕 145.2 ±11.7## 91.5 ±14.8 53.0 ±15.7* 38.9 ±5.88* 26.5 ±5.9* 27.3 ±4.2
*: 뇌손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 ##: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P<0.01)
구분 기억력검사/플랫폼 영역(2배)에서 머무른 정도(%)
7일
정상군 28.6 ±2.3
뇌손상(IBO) 24.8 ±2.1
+가미사군자탕 28.1 ±1.2#
#: 뇌손상군(IBO)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5)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Choline-acetyl trasferase,ChAT) 활성 측정
위 실험예 1의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의 활성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가미사군자탕은 미디얼 셉텀(medial septum)과 해마(hippocampus, CA1, CA3) 부위에서 192-사포린에 의한 활성저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개선하였다[도 8, 9, 10].
6)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Acetylcholinesterase, AChE) 발현 측정
배양배지(incubation medium) 500 ㎖에는 소듐 시트레이트(sodium citrate,0.1M, 0.735g/25㎖), 무수 황산구리(copper sulfate anhydrous, 30 mM, 0.374g/25㎖), 칼륨(potassium, 5 mM, 0.082/25㎖), 아세틸티오콜린 요오다이드(Acetylthiocholine Iodide) 250 mg/인산 버퍼 325 ㎖, 증류수 50 ㎖을 넣었다. 고정액이 푸른색이 될 때까지 상온에서 흔들었다. 자른 조직을 정착액(fixer)에 넣고 상온에서 2시간 가량 염색하였다. 그 결과, 가미사군자탕은 해마(hippocampus, CA1,CA3) 부위에서 192-사포린에 의한 활성저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1) 개선하였다[도 11, 12].
실험예 3 : 동물실험(뇌졸중 모델)
1) 뇌졸중 유발(MCA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중대 뇌동맥 폐색)
일시적인 뇌허혈은 Zea Longam 등의 방법에 따라 중대뇌동맥을 폐색시켜 만들었다. 70% N2/30% O2와 혼합된 5% 마취약(isoflurane)을 이용하여 흡입마취 유도를 한 후, 2%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상태를 계속 유지시켰다. 흰쥐의 직장에 체온측정기를 삽입하고 가온등과 가온 메트리스를 이용하여 실험기간 동안 체온을 38 ℃로 유지하였다.
중대뇌동맥을 폐색하기 위하여 경부 정중선을 따라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혀근과 흉골저작근 사이에 총경동맥을 노출한 후 내경동맥내로 가는 실(intraluminal filament,¢0.28mm, rounded tip)을 삽입하여 그 끝이 중대뇌동맥의 기시부를 지나 전대뇌동맥의 근위부까지 도달하도록 하였다.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은 결찰하고 혈류차단 2시간이 지난 후 필라멘트(filament)를 제거하고 우측 총경동맥을 결찰하여 측부 순환을 통하여 재관류 하도록 하였다.
2) 실험군의 구성
① 정상군: 중대 뇌동맥 폐색 (MCAO) 모의시술 후, 식염수를 매일 투여환 군 (n=5)
② 뇌졸중군 : 중대 뇌동맥 폐색 (MCAO)을 통하여 뇌졸중(뇌허혈)을 유도한 후, 매일 식염수를 투여한 군 (n=6)
③ + 가미사군자탕 : 중대 뇌동맥 폐색 (MCAO)을 통하여 뇌졸중(뇌허혈)을 유도한 후, 매일 가미사군자탕 투여한 군 (n=5)
3) 수중 미로 검사(Morris-water maze test) : 학습, 기억력 검사
위 실험예 1의 수중미로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중대 뇌동맥 폐색(MCAO)에 의한 뇌졸중(뇌허혈)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P<0.05) 학습력 저하를 개선하였다(Acquisition test)[표 6 및 도 13]. 반면, 기억력검사(retention test)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4].
구분 학습력 검사/도피에 소요된 시간(초)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정상군 120.9 ±20.0 55.7 ±8.2 31.7 ±5.1 15.3 ±1.6 10.2 ±1.7 22.9 ±3.4 6.4 ±0.9
뇌졸중(MCAO) 152.0 ±8.5 117.6 ±18.2* 73.8 ±24.3 53.7 ±11.2* 45.3 ±15.7 59.9 ±17.1 34 ±0.8
+가미사군자탕 118.4 ±13.9 70.5 ±17.2# 58.5 ±15.1 45.5 ±14.4 75.5 ±19.3 46.0 ±19.7 5.3 ±2.2
#: 뇌졸중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4) 방사형 미로 검사 (Radial arm maze) : 학습, 기억력 검사
나무로 제작된 8개의 통로가 중앙의 출발영역(central platform)을 중심으로 매 45도 각도(방사형)로 뻗어 나온 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였다. 중앙 출발 영역은 직경 50 ㎝인 원에 내접하는 정팔각형 상자로 높이는 25 ㎝이다. 주로는 출발 상자의 각 면에 뚫린 10 ×25 ㎝ 크기의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길이는 70 ㎝이고 동물이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였다. 주로의 끝에는 보상으로 제공하는 먹이나 물을 담을 수 있는 7 ×5 ×3 ㎝ 크기의 용기(음식 접시)를 설치하였다. 실험동물이 주로를 출입하는 행동을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여 쥐가 각 주로를 방문한 횟수와 오류 여부를 계산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 전 36시간 동안 사육 상자에서 먹이를 박탈하고 배고픔을 유발시킨 쥐를 행동 관찰실로 옮겨와 30분간 환경에 적응시켰다. 쥐를 미로의 출발 상자에 넣고 1분간 두어 상황에 적응시킨 후 1분이 지나면 각 주로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하여 쥐가 자유롭게 미로 속을 돌아다니게 하였다. 쥐가 주로를 방문하여 끝까지 달리면 보상 용기에서 먹이를 먹게 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주로를 반복해서 방문하면 두 번째 방문부터는 먹이를 제공하지 않고 반응은 오류로 기록하였다. 쥐가 5분 동안에 8개의 주로를 모두 방문하지 못하면 시행을 중지시키고, 그 시행은 실패로 간주하였다. 쥐가 학습 준거에 도달하는 경우 6일 동안 기억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미사군자탕을 투여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공간 인지에 대한 학습능력과 기억력의 증진효과가 관찰되었다[표 7 및 도 15].
구분 방사형 미로 학습(오선택)
1일 2일 3일 4일 5일
정상군 3.07 ±0.44 3.87 ±0.37 3.27 ±0.73 2.40 ±0.29 2.40 ±1.3
뇌졸중(MCAO) 3.80 ±0.34 5.07 ±0.59 5.47 ±0.53 6.00 ±0.36** 5.08 ±1.24
+가미사군자탕 3.50 ±0.38 3.61 ±0.80 4.06 ±0.64 3.33 ±0.49# 1.80 ±0.98
**: 정상군과의 차이(P<0.01) #: 뇌졸중군과의 차이(P<0.05)
상기 실험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동물실험에서 스트레스 모델(난소절제 및 구속 스트레스), 치매모델(뇌손상 :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를 파괴시키는 192-사포린, 이보텐산: ibotenic acid), 그리고 뇌졸중모델(중대 뇌동맥 폐색)에 의한 기억력 저하를 현저히 줄이고, 콜린 아세틸 트랜스퍼라제(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등 관련 효소의 활성을 증강시킴으로써, 뇌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실험)에서 사용한 가미사군자탕의 투여농도는 원방사군자탕에 비하여 훨씬 낮은 농도(1/8배)로서, 매실 추출물, 둥글레 추출물, 갈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을 가미함으로써 효능면에서 원방사군자탕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독성시험
가미사군자탕의 구성성분은 모두 식품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생약재(천연물)로서 그 안전성은 이미 입증된 상태로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가미사군자탕을 2 ∼ 5 g/kg으로 랫트에 투여하여 살펴본 결과, 치사 및 행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해부하여 내부 장기를 살펴본 결과 변화가 없었다.
제조예 1: 분말 및 캅셀제의 제조
가미사군자탕 추출물(분말) 250 ㎎을 락토오스 17.5 ㎎, 결정성 셀룰로오스 1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5 ㎎과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No.0 경질 캅셀에 채웠다.
상기 분말 및 캅셀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가미사군자탕 추출물(실시예) ·········· 250 ㎎
락토오스 ···················· 17.5 ㎎
결정성 셀룰로오스················ 1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2.5 ㎎
제조예 2: 액제 제조
가미사군자탕 농축액, 분말비타민 E, 젓산철, 산화아연, 니코틴산 아미드, 비타민 A, 비타민 B1 및 비타민 B2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액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가미사군자탕 농축액(실시예) ············ 200 mg
비타민 C ······················ 100 mg
젓산철 ······················· 2 mg
비타민 A ······················ 5 mg
비타민 B1 ······················ 2 mg
비타민 B2 ······················ 2 mg
물 ······················· 적량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미사군자탕은 동물질환(스트레스, 치매, 뇌졸중) 모델에서 기억, 학습력의 증진효과가 우수하며,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줌으로써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및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가미사군자탕의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저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스트레스 모델에서 가미사군자탕의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 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군과의 통계적 유의성(**: p<0.01, ***: p<0.001); # 모의시술군과의 통계적 유의성(# : p<0.05); + 난소절제군과의 통계적 유의성(+: p<0.05)].
도 3, 4는 스트레스 모델에서 가미사군자탕의 티로신 하이드록실라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가미사군자탕의 뇌손상치매모델(사포린)에 의한 학습력 저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 뇌손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도 6은 뇌손상치매모델(이보테닉 산) 가미사군자탕의 학습력 저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P<0.01); *: 뇌손상군(IBO)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도 7은 뇌손상치매모델(이보테닉 산) 가미사군자탕의 기억력 저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뇌손상군(IBO)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도 8, 9, 10은 뇌손상치매모델(사포린)에서 가미사군자탕의 콜린아세틸 트랜스퍼라아제 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P<0.01); #,##: 뇌손상군(사포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P<0.01)].
도 11, 12는 뇌손상치매모델(사포린)에서 가미사군자탕의 신경세포 내의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활성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뇌손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1); **: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1)].
도 13, 14, 15는 뇌졸중모델에서 가미사군자탕의 학습, 기억력 저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정상군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P<0.01); #: 뇌졸중군(MCAO)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P<0.05)].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군자탕 1 ∼ 10 중량부, 매실 추출물 0.05 ∼ 0.5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1 ∼ 1 중량부, 갈근 추출물 0.01 ∼ 0.1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 1 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가미사군자탕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기능 개선제.
  5. 삭제
  6. 사군자탕 1 ∼ 10 중량부, 매실 추출물 0.05 ∼ 0.5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1 ∼ 1 중량부, 갈근 추출물 0.01 ∼ 0.1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 1 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가미사군자탕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에 의한 학습력 및 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제.
  7. 삭제
  8. 사군자탕 1 ∼ 10 중량부, 매실 추출물 0.05 ∼ 0.5 중량부, 둥글레 추출물 0.1 ∼ 1 중량부, 갈근 추출물 0.01 ∼ 0.1 중량부 및 계피 추출물 0.1 ∼ 1 중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가미사군자탕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에 의한 학습력 및 기억력 저하 증상 개선제.
  9. 삭제
KR10-2003-0069685A 2003-10-07 2003-10-07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KR10052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85A KR100525474B1 (ko) 2003-10-07 2003-10-07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85A KR100525474B1 (ko) 2003-10-07 2003-10-07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865A Division KR100559257B1 (ko) 2005-07-08 2005-07-08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함유 건강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906A KR20050035906A (ko) 2005-04-20
KR100525474B1 true KR100525474B1 (ko) 2005-11-02

Family

ID=3723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85A KR100525474B1 (ko) 2003-10-07 2003-10-07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6993A2 (ko) * 2010-10-04 2012-04-12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4464B1 (ko) * 2010-10-04 2014-08-2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0967B1 (ko) * 2013-12-10 2020-01-29 한국한의학연구원 사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의 유도만능줄기세포로의 리프로그래밍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조방법
KR101951402B1 (ko) * 2017-04-18 2019-02-22 한국한의학연구원 뇌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사군자탕 유산균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037944B1 (ko) * 2018-03-27 2019-10-29 한국한의학연구원 무메푸랄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4777A (ko) * 2022-06-21 2023-12-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육군자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906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39255A1 (zh) 一种治疗癌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525474B1 (ko)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 함유 의약품
KR100559257B1 (ko) 항스트레스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가미사군자탕함유 건강식품
WO2021093090A1 (zh) 一种具有调节抑郁情绪作用的中药提取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中药制剂
CN103977390B (zh) 一种生姜洋葱药酒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WO2013004177A1 (zh) 一种中药活性成分组合物及其用途
Abascal et al. Increasing vitality with adaptogens: multifaceted herbs for treating physical and mental stress
KR20040108512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7606A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WO2021169682A1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415281C (zh) 一种治疗荨麻疹的中药制剂
KR100629199B1 (ko)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의 생식 기능을개선하는 조성물
CN104623068B (zh) 治疗小儿发热惊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9718304A (zh) 改善人体心脑血管功能微循环及预防血栓的中药组合物
JPH0733676A (ja) 血糖値降下のための組成物
CN107412385A (zh) 一种用于治疗荨麻疹的中药组合物及其制作方法
CN108785649B (zh) 一种用于压力型肥胖体重控制的组合物
CN106236825A (zh) 牛大力与其提取物在抗抑郁上的应用及抗抑郁药物
KR100545382B1 (ko)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는 갈화 추출물
CN105535429A (zh) 一种治疗帕金森病的中药及其制备方法
SOWUNMI NEUROBEHAVIOURAL AND BIOCHEMICAL EVIDENCE OF ANTIDEPRESSANT ACTIVITY OF TROXERUTIN IN MICE
BETA et al. WORLD JOURNAL OF ADVANCE HEALTHCARE RESEARCH
ANJORIN ANTIDIABETIC AND HEPATO-RENAL PROTECTIVE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METHANOL LEAF EXTRACT OF Solanum macrocarpon Lin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ALE WISTAR RATS
WO2023236762A1 (zh) 高剂量藏红花素在制备快速抗抑郁药物中的应用
Kishore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Yogaraja Rasayana and Dhatriloha in Panduroga with Special Reference to Iron Deficiency Ana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