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344B1 -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344B1
KR100545344B1 KR1020050097823A KR20050097823A KR100545344B1 KR 100545344 B1 KR100545344 B1 KR 100545344B1 KR 1020050097823 A KR1020050097823 A KR 1020050097823A KR 20050097823 A KR20050097823 A KR 20050097823A KR 100545344 B1 KR100545344 B1 KR 10054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living room
window
low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수
Original Assignee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거실창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부 거실창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 거실창에 있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400)과 내부 벽체(420)의 사이에 상,하부 수평틀(441)과 수직틀(443)이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부 수평틀(441)과 좌,우측 수직틀(443)을 형성하는 사각틀체의 일측에 ㄷ홈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벽체(420)에 밀착되고, 하부 수평틀(441)이 콘크리트 바닥(400)의 시멘트를 타설한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되며, 수평틀(441)의 길이방향 중앙에 체결홀(442)이 형성된 일체형 외측틀(440)과;
상기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평틀(441)의 체결홀(442)을 관통해 돌설되는 한편,
내부 벽체(420)와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힌지 앵커(460)와;
상기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수직틀(443)의 내측면에 반원 돌턱(44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반원 돌턱(444)의 외주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실링재(450)와;
상기 외측틀(440)의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 앵커(460)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부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홀(472)이 형성되어 외측틀(440)의 힌지 앵커(460)와 삽입체결되어 힌지작동되는 창문틀(4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을 제공한다.
건축물, 거실창, 실링재

Description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WINDOW FRAME OF LIVING ROOM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내부 거실창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콘크리트 바닥 410: 바닥 마감층
420: 내부 벽체 430: 미장 몰탈층
440: 외측틀 450: 실링재
460: 힌지 앵커 470: 창문틀
본 발명은 건축물 내부 거실창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내부 거실창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거실에는 베란다를 통하기 위한 거실창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거실창은 창문이 설치되어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이 창문을 개폐하여 베란다를 통하게 된다.
즉, 상기 거실창은 창문틀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창문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창문을 개폐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내부 거실창의 도면으로, 건축물의 수직한 내부 벽체(10)에는 창문틀(20)이 설치되고, 상기 창문틀(20)에는 창문(30)이 설치되어 개폐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술한 거실창은 이사를 하는 때, 창문틀(20) 내부에 설치된 창문(30)을 해체한 후 창문(30)을 내부에 위치시킨 뒤 이사짐을 베란다를 통해 외부로 옮기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창문틀(20)에서 해체된 창문(30)은 이사짐을 옮기는 작업시 작업자들의 부주위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거실창을 통해 베란다에 짐을 적재하는 등 작업을 진행함에 해체된 창문(30)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외측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창문틀 구조를 제공하므로 간편하게 창문틀을 회전시켜 이사짐 등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과 내부 벽체의 사이에 상,하부 수평틀과 수직틀이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일체형 외측틀과;
상기 외측틀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평틀의 체결홀을 관통해 돌설되는 힌지 앵커와;
상기 외측틀을 구성하는 수직틀의 내측면에 반원 돌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반원 돌턱의 외주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실링재와;
상기 외측틀의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 앵커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창문틀;이 제시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내부 거실창의 작동 상태도이다.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400)과 내부 벽체(420)의 사이에는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평틀(441)과 수직틀(443)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틀(440)에는 내부에 창문틀(470)이 힌지 앵커(460)로 상,하부에 결합되어 힌지작동된다.
상기 외측틀(440)은, 상부 수평틀(441)과 좌,우측 수직틀(443)을 형성하는 사각틀체의 일측에 ㄷ홈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벽체(420)에 밀착되고, 하부 수평틀(441)이 콘크리트 바닥(400)의 시멘트를 타설한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 되며, 한편 상기 수평틀(441)은 길이방향 중앙에 체결홀(4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평틀(441)의 체결홀(442)을 통해 힌지 앵커(460)가 체결되어 하나는 내부 벽체(420)에, 다른 하나는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되어 유지되며, 상기 외측틀(440)에는 창문틀(470)이 힌지 앵커(460)를 통해 삽입고정된다.
상기 수직틀(443)은 창문틀(470)과 접하는 내측면에 반원 돌턱(44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반원 돌턱(444)의 외주에 실링재(450)가 밀착된다.
즉, 상기 수직틀(443)에는 창문틀(470)의 수직 프레임이 밀착되어 설치되는 한편, 이때 상기 수직틀(443)과 밀착되는 창문틀(470)의 수직 프레임이 힌지 앵커(460)를 통해 회전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수직틀(443)에 반원 돌턱(444)이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재(450)는 수직틀(443)의 반원 돌턱(444)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수직틀(443)의 폭 방향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창문틀(470)에는 상,하부 수평 프레임에 체결홀(472)이 일측에 형성되어 외측틀(440)과 체결되어 힌지작동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측틀(440)의 상,하부 수평틀(441)과 좌,우측 수직틀(443)을 내부 벽체(420)와 콘크리트 바닥(400)에 밀착고정한다.
즉, 상기 상부 수평틀(441)과 좌,우측 수직틀(443)은 내부 벽체(4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평틀(441)은 콘크리트 바닥(400)에 위치된 상태에서 기포 콘크리트 등과 같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한 마감 바닥층(410)을 형성시 매설되며, 이때 상기 상,하부 수평틀(441)에는 체결홀(442)을 통해 힌지 앵커(460)가 외부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측틀(440)의 내부에 창문틀(470)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즉, 상기 창문틀(470)에는 상,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체결홀(472)이 형성되어 힌지 앵커(460)와 삽입밀착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수직 프레임이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측틀(440)에는 고무 부재로 제작된 실링재(450)가 반원 돌턱(444)에 삽입밀착된다. 상기 실링재(450)를 설치함에 있어 수직틀(443)과 밀착되는 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창문틀(470)에 대한 직사각형 틀체를 구성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사항이라 순서를 따로 설명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된 창문틀(470)에 대한 설명만 하였다.
특히, 상기 외측틀(4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창문틀(470)에는 도면상 길이방향 중앙에 체결홀(47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창문틀(470)의 상,하부 수평 프레임에 체결홀 형성시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체결홀이 형성되면 창문틀(470)에 대한 회전 각도가 커져 이사짐 등을 베란다로 이동시키기에 더욱 원활하다 할 것이다.
또한, 도면상 종래 도면은 창문이 여러개를 도시하고 있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 3과 같이 온통창을 도시하였는데, 이는 도면의 설명을 위함으로 일반적 인 건축물의 창문틀 내부에 여러개의 창문이 설치된 상태가 본 발명에서도 이용된다 할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내부 거실창 개량구조는, 외측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창문틀 구조를 제공하므로 간편하게 창문틀을 회전시켜 이사짐 등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창문틀이 외측틀 내부에서 회전되므로 기존과 다른 창문틀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그에 의해 작업자는 창문을 해체하지 않고 곧 바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해체된 창문이 전도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건축물의 내부 거실창에 있어서,
    건축물의 콘크리트 바닥(400)과 내부 벽체(420)의 사이에 상,하부 수평틀(441)과 수직틀(443)이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부 수평틀(441)과 좌,우측 수직틀(443)을 형성하는 사각틀체의 일측에 ㄷ홈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내부 벽체(420)에 밀착되고, 하부 수평틀(441)이 콘크리트 바닥(400)의 시멘트를 타설한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되며, 수평틀(441)의 길이방향 중앙에 체결홀(442)이 형성된 일체형 외측틀(440)과;
    상기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상,하부 수평틀(441)의 체결홀(442)을 관통해 돌설되는 한편,
    내부 벽체(420)와 마감 바닥층(410)에 고정되어 유지되는 힌지 앵커(460)와;
    상기 외측틀(440)을 구성하는 수직틀(443)의 내측면에 반원 돌턱(444)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반원 돌턱(444)의 외주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실링재(450)와;
    상기 외측틀(440)의 외측으로 돌출된 힌지 앵커(460)를 통해 삽입고정되는 한편,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부 수평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홀(472)이 형성되어 외측틀(440)의 힌지 앵커(460)와 삽입체결되어 힌지작동되는 창문틀(4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KR1020050097823A 2005-10-17 2005-10-17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KR10054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23A KR100545344B1 (ko) 2005-10-17 2005-10-17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823A KR100545344B1 (ko) 2005-10-17 2005-10-17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344B1 true KR100545344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823A KR100545344B1 (ko) 2005-10-17 2005-10-17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201A (zh) * 2011-07-04 2012-01-18 张书成 易清洁旋转窗
CN104179425A (zh) * 2014-08-12 2014-12-03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窗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2201A (zh) * 2011-07-04 2012-01-18 张书成 易清洁旋转窗
CN104179425A (zh) * 2014-08-12 2014-12-03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窗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480B1 (ko) 지하철 및 건물 외부 출입구용 차수판
JP6399870B2 (ja) 止水板及び止水板を備える開口部の防水装置
KR101166218B1 (ko)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
KR100545344B1 (ko) 건축물의 개량된 내부 거실창
RU2323318C1 (ru) Окно
US8201368B2 (en) Blind frame for a window or a door
KR101180620B1 (ko) 슬라이딩 도어용 트랙구조
KR100970496B1 (ko) 방수 기능이 향상된 창호 설치구조
KR100893573B1 (ko) 건축물의 습식형 층간 바닥구조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JPS6128872Y2 (ko)
KR200198526Y1 (ko) 건축 공사에 있어서 방진프레임 현수장치
JP2002188279A (ja) リフォーム時における開口部周り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開口部周り化粧部材
CA2518937A1 (en) Base for a building structure
KR101208474B1 (ko) 바닥매립식 피난 사다리의 설치공법
KR10069417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구조
JP3932481B2 (ja) 改装サッシ
KR102486620B1 (ko) 화재방지를 위한 데크로드
JP2004225461A (ja) 基礎上の空隙構造
JP4413392B2 (ja) 建物用付設物の取付具及び建物用付設物の取付構造
KR100634877B1 (ko) 건축물 창문틀 받침판 구조
KR200461828Y1 (ko) 피난구의 프레임 구조
JP3123846U (ja) 外壁への石材パネルの取付構造
JP4868420B2 (ja) 建具を備えた建物
JPH0765360B2 (ja) 外壁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