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160B1 -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 Google Patents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160B1
KR100545160B1 KR1020050014981A KR20050014981A KR100545160B1 KR 100545160 B1 KR100545160 B1 KR 100545160B1 KR 1020050014981 A KR1020050014981 A KR 1020050014981A KR 20050014981 A KR20050014981 A KR 20050014981A KR 100545160 B1 KR100545160 B1 KR 100545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ushioning material
bed
lower mol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2268A (ko
Inventor
서성록
Original Assignee
(주)아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아산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01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16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된 쿠션재를 이형할 때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재의 규격에 따라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에 다수개의 성형핀(22)이 직립 설치된 하형(20)과, 이 하형(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형(20)과 마주하는 저면에는 다수개의 성형핀(32,36)이 직립 설치된 상형(30)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원료를 주입하여 쿠션재(1)를 성형하고, 상기 성형핀(22,32,36)에 의해 쿠션재(1)의 양면에 구멍(3,5)을 형성하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성형핀(22,32,36) 중에서 상형(30) 또는 하형(20)의 외곽 부분에 설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22,3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Mold for a bed cushion and a bed cushion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쿠션재를 이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하형 30. 상형
22, 26. 하부성형핀 32, 36. 상부성형핀
본 발명은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 및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된 쿠션재를 이형할 때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재의 규격에 따라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메트리스는 내부에 쿠션 기능을 하도록 다수개의 코일 스프링을 내장하여 제작한다. 그런데, 이처럼 코일스프링에 의해 침대 메트리스를 제작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쿠션 기능이 저하되거나 사용자의 안락감이 좋지 못한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라텍스와 같은 고탄력의 재료로 쿠션재를 제조하고 있으며, 이 쿠션재의 쿠션 기능을 높이기 위해 쿠션재의 양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쿠션재는 상형과 하형으로 된 성형몰드에 의해 성형된다. 즉, 성형몰드는 내부에 쿠션재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부가 마련된 하형과, 이 하형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형으로 구성되고, 이 상형과 하형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성형핀이 직립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형과 하형 사이의 공간부에 라텍스와 같은 액상의 원료를 주입 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쿠션재를 성형하며, 상기 성형핀에 의해 쿠션재의 양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쿠션재가 성형되면, 쿠션재를 성형몰드에서 이형시키게 된다. 이때, 쿠션재 전체를 한꺼번에 금형에서 이형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쿠션재를 외곽 부분부터 들어내게 된다.
그런데, 종래 성형몰드는 쿠션재의 외곽 부분을 잡고 쿠션재를 들어내는 초기 이형단계에 쿠션재가 성형핀에 부착된 상태로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쿠션재를 잡은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제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성형된 쿠션재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아 강도가 취약한 상태일 때 이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은 더욱 심화된다. 이와 같은 쿠션재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핀에 파라핀 등의 이형재를 다량으로 도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이형재는 인체에 매우 해롭고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침대용 쿠션재는 대부분 그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성형몰드도 쿠션재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사이즈가 크게 제작된다. 그래서, 성형몰드를 제작할 때, 다수개의 금형유닛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침대 쿠션재의 사이즈에 따라 규격이 다른 별도의 성형몰드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각 금형유닛의 용접 부위에서 쿠션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성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성형된 쿠션재를 이형할 때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쿠션재의 규격에 따라 사이즈를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에 다수개의 성형핀(22)이 직립 설치된 하형(20)과, 이 하형(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형(20)과 마주하는 저면에는 다수개의 성형핀(32,36)이 직립 설치된 상형(30)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원료를 주입하여 쿠션재(1)를 성형하고, 상기 성형핀(22,26,32,36)에 의해 쿠션재(1)의 양면에 구멍(3,5)을 형성하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성형핀(22,26,32,3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설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외곽 부분의 성형핀(26,3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의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은 다수개로 분 할된 금형유닛(38,28)을 체결수단(4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의 성형핀(32,36,22,26)이 직립 설치된 사각형태의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주입 경화되어, 상기 성형핀(32,36,22,26)에 의해 그 상면과 저면에 다수개의 구멍(3,5)이 형성되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1)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각 성형핀(32,36,22,2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의 성형핀(36)의 길이와 두께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의 길이와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고 얇게 형성된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주입 경화되어, 상기 성형핀(36,26)에 의해 그 외곽 부분의 구멍(5)의 깊이와 직경이 다른 부분의 구멍(3)의 깊이와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고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1)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쿠션재를 이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면에 다수개의 하부성형핀(22,26)이 직립 설치된 하형(20)과, 이 하형(20)에 그 일측이 힌지부(5)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형(20)과 마주하는 저면에는 다수개의 상부성형핀(32,36)이 직립 설치된 상형(3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성형핀 (22,26,32,3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설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핀(36)은 상형(30)의 전후 좌우 외곽 부분에 대략 5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서,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을 금형 표면으로부터 들어낼 때, 쿠션재(1) 외곽 부분의 각 구멍(5)이 성형핀(36)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 따라서,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을 몰드에서 들어내는 이형의 초기 단계에서 이 쿠션재(1)의 외곽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처럼 이형의 초기 단계에서 쿠션재(1)의 외곽 부분, 즉, 쿠션재(1)의 단부 부분이 찢어지지 않고 이형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쿠션재(1)의 나머지 중간 부분을 이형시키기 때문에,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된 성형핀(36)이 아닌 나머지 부분에 배치된 성형핀(32)이 상대적으로 길거나 두껍더라도 쿠션재(1)의 중간 부분도 별다른 문제없이 원활하게 이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형(30)의 부분에 설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쿠션재(1) 외곽 부분에 형성된 각 구멍(5) 사이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서 두께가 더 확보되기 때문에, 쿠션재(1)를 이형시킬 때,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처럼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이 성형핀(36)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므로, 성형핀(32,36)에 다량의 이형재를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된 성형핀(36)이 다른 부분의 성형핀(3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형(20)의 외곽 부분에 배치된 성형핀(26)도 다른 부분의 성형핀(2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쿠션재(1)의 외곽 부분이 보다 원활하게 하형(20)으로부터 이형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은 다수개로 분할된 금형유닛(38,28)을 체결수단(4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분할된 금형유닛(38,28)의 둘레부가 서로 맞닿도록 하여 각 금형유닛(38,28)의 상면과 저면에 별도의 브라켓을 대고, 볼트부재와 같은 체결수단(45)을 상기 브라켓과 각 금형유닛(38,28)을 관통하도록 체결함으로써, 상형(30) 및 하형(20)을 착탈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형 및 상형(20,30)을 금형유닛을 용접하여 제작했던 종래와 달리, 쿠션재(1)의 사이즈에 따라,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용접열에 의해 상형(30)과 하형(2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각 금형유닛(38,28)의 접합 부위가 용접에 의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쿠션재(1)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성형몰드에 의해 성형된 쿠션재(1)의 구멍(3,5) 중에서 쿠션재(1)의 외곽 부분에 형성된 구멍(5)은 다른 부분의 구멍(3)보다 상대적 으로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쿠션재(1) 외곽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보강되어 형태가 유지되는 한편, 나머지 부분은 외곽 부분보다 쿠션 작용이 더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쿠션재(1)의 외곽에 형성된 구멍(5)은 다른 부분의 구멍(3)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쿠션재(1) 외곽 부분의 강도가 다른 부분의 강도보다 보강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쿠션재의 외곽 부분을 성형몰드의 표면으로부터 들어낼 때, 쿠션재 외곽 부분의 각 구멍이 성형핀으로부터 쉽게 빠지면서 쿠션재의 외곽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쿠션재의 외곽 부분에 형성된 구멍의 직경이 다른 부분의 구멍의 직경보다 얇게 형성되어, 각 구멍 사이의 단면적이 더 넓어지면서 두께가 더 확보되기 때문에, 쿠션재 이형시, 이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쿠션재의 외곽 부분이 금형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형되므로, 상기 성형핀에 이형재를 다량으로 도포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 오염 등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분할된 금형유닛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쿠션재의 규격에 따라 자유롭게 분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간편한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용접열에 의해 각 금형유닛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각 금형유닛의 접합 부위가 용접에 의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쿠션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쿠션재는 그 외곽 부분의 구멍이 다른 부분의 구멍보다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므로, 쿠션재의 외곽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강도가 보강되어 형태가 유지되는 한편, 나머지 부분은 외곽 부분보다 쿠션 작용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침대용 쿠션재는 그 외곽 부분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나머지 부분은 쿠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상면에 다수개의 성형핀(22)이 직립 설치된 하형(20)과, 이 하형(2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형(20)과 마주하는 저면에는 다수개의 성형핀(32,36)이 직립 설치된 상형(30)을 포함하며, 상기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원료를 주입하여 쿠션재(1)를 성형하고, 상기 성형핀(22,26,32,36)에 의해 쿠션재(1)의 양면에 구멍(3,5)을 형성하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성형핀(22,26,32,3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에 설치된 성형핀(36)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두께는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은 다수개로 분할된 금형유닛(38,28)을 체결수단(45)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
  3.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의 성형핀(32,36,22,26)이 직립 설치된 사각형태의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주입 경화되어, 상기 성형핀(32,36,22,26)에 의해 그 상면과 저면에 다수개의 구멍(3,5)이 형성되도록 된 침대용 쿠션재(1)에 있어서, 상기 상형(30)과 하형(20)의 각 성형핀(32,36,22,26) 중에서 적어도 상형(30)의 외곽 부분의 성형핀(36)의 길이와 두께가 다른 부분의 성형핀(32)의 길이와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고 얇게 형성된 상형(30)과 하형(20) 사이에 주입 경화되어, 상기 성형핀(36,26)에 의해 그 외곽 부분의 구멍(5)의 깊이와 직경이 다른 부분의 구멍(3)의 깊이와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얕고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쿠션재(1).
  4. 삭제
KR1020050014981A 2005-02-23 2005-02-23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KR10054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81A KR100545160B1 (ko) 2005-02-23 2005-02-23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981A KR100545160B1 (ko) 2005-02-23 2005-02-23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68A KR20050042268A (ko) 2005-05-06
KR100545160B1 true KR100545160B1 (ko) 2006-01-24

Family

ID=3724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981A KR100545160B1 (ko) 2005-02-23 2005-02-23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1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6B1 (ko) * 2009-04-28 2009-07-31 주성기 라텍스 쿠션물 제조설비의 예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268A (ko) 200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291B1 (ko) 블로우 성형용기
USD653893S1 (en) Molded mat
USD620601S1 (en) Personal vibratory massager
TW200727806A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TWI341185B (en) Article of footwear
JP2008142574A (ja) おしゃぶり保護板を備えたおしゃぶり及びおしゃぶり保護板の製造方法
TW20071366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0545160B1 (ko) 침대용 쿠션재 성형몰드와 이에 의해 성형된 침대용 쿠션재
US7998551B2 (en) Unitary molded, shaped and sized protective edge made of elastomeric material
CA2783735C (en) Injection moulding soft elastomers
JP4171292B2 (ja) 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D969424S1 (en) Pet shock training mat
JP2001096571A (ja) 表皮層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3897927B2 (ja) パレット用滑り止め部材
JP5543158B2 (ja) シートパッド用発泡成形体及びシートパッド製造方法
JP4745781B2 (ja) シート用パッド、並びにそ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
EP1978174A3 (en) Method for obtaining a modular covering element, particularly for providing ventilated floors or floor slabs of buildings
US20080193708A1 (en) Method for producing sucker elements, sucker element produced with the method, and article with sucker
KR101571749B1 (ko) 쿠션체 고정시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갖춘 쿠션조립체
JP2007098776A5 (ko)
JP6030868B2 (ja) 静音面ファスナー
CN207901600U (zh) 一种用于生产具有卡扣孔产品的模具
JP4219757B2 (ja) ゴム製防舷材の製造方法
KR100797657B1 (ko) 인서트몰딩 방식의 테이블 상판 및 그 제조방법
JPH0732016Y2 (ja) 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