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150B1 -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150B1
KR100545150B1 KR1020040046394A KR20040046394A KR100545150B1 KR 100545150 B1 KR100545150 B1 KR 100545150B1 KR 1020040046394 A KR1020040046394 A KR 1020040046394A KR 20040046394 A KR20040046394 A KR 20040046394A KR 100545150 B1 KR100545150 B1 KR 10054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witching
page
booklet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316A (ko
Inventor
곽재훈
이우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150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6Opened bookl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책자의 지편을 양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페이지 전환장치가 개시된다. 페이지 전환장치는 책자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로 및 이송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책자 이송부재, 이송로 상에 배치되며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제1 전환로울러를 포함하는 제1 전환부, 이송로 상에 배치되며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제2 전환로울러를 포함하는 제2 전환부, 지편을 넘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또는 제2 전환로울러를 선택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울러 변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울러 변경부는 구동부와 연동하는 제1 종동기어, 제1 종동기어와 제한된 마찰력으로 면접촉을 하는 변경 레버, 변경 레버에 장착되어 제1 종동기어와 맞물림을 유지하는 제2 종동기어, 변경 레버의 이동에 따라 제2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제1 전환기어 및 제2 전환기어를 포함한다.
책자, 통장정리, 페이지전환, 페이지이월, 변경 레버

Description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TURNING A PAGE OF A BOOK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페이진 전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1의 페이진 전환장치의 내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로울러 변경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와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진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로울러 회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페이지 전환장치 112:제1 브라켓
114:제2 브라켓 120:책자 이송부재
130:이송로 140:이송 구동장치
142a, 142b:구동로울러 144a, 144b:지지로울러
150:제1 전환부 152:제1 전환로울러
153:제1 로울러 회전축 154:제1 가이드 경사면
156:제1 매수 감지홈 158:제1 매수 감지센서
160:제2 전환부 162:제2 전환로울러
163:제2 로울러 회전축 164:제2 가이드 경사면
166:제2 매수 감지홈 168:제2 매수 감지센서
170:셔터부재 172:페이지 셔터
180:만곡부재 188:만곡캠
210:구동모터 212:구동기어
220:로울러 변경부 222:제1 종동기어
224:제2 종동기어 226:제1 전환기어
228:제2 전환기어 230:변경 레버
본 발명은 책자의 지편은 넘기기 위한 페이지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장 및 기타 책자의 지편(Leaf or Page)을 앞뒤 무관하게 의도된 방향으로 자동 전환하기 위한 페이지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은행의 업무가 은행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루트를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 내역 또한 그 개수가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래 내역을 통장에 기입하기 위해서 은행에서는 통장 정리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은행 직원 및 고객은 통장 정리기를 사용함으로써 수건의 금융거래 내역을 편리하게 인쇄할 수가 있다.
최초 투입된 통장 페이지에 더 이상 인쇄할 공란이 남아있지 않거나, 이미 투입된 통장 페이지의 인쇄가 완료되었으나 인쇄할 잔여분의 거래 내역이 남아있는 경우, 종래의 통장 정리기는 화면이나 음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음 페이지로 넘겨서 삽입할 것을 요청하면서 통장을 배출하고, 사용자는 배출된 통장의 페이지를 직접 넘겨서 재 투입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한 현금인출, 무통장 입금, 텔레뱅킹, 및 인터넷뱅킹 등의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 내역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고객이 직접 은행을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 들어 통장 정리기에 기입되어야 하는 내역이 계속 누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통장의 한 면에 기입되는 거래 내역은 약 22~25 라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래 내역을 인쇄하는 도중에 지면이 모자라서 사용자가 직접 페이지를 넘겨 재투입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고객을 불편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인쇄할 잔여분의 거래 내역이 아직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장을 다시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장 후 사후 처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계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들어, 통장 프린터에 페이지를 자동을 넘길 수 있는 페이지 전환장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통장의 배출 없이 통장의 페이지를 자동으로 넘길 수 있는 통장 정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페이지 전환장치는 통장정리 기능을 포함하는 현금인출기 등에도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보조하고 있다.
페이지 전환장치는 대체로 페이지 전환작업 수행여부의 판단, 페이지 전환을 위한 통장의 이송, 페이지 전환, 페이지 전환에 대한 오류여부의 판단, 오류발생시 재수행 등의 순서를 거친다.
먼저 페이지 전환작업 수행여부의 판단은 통장프린터에서 페이지에 최후로 인쇄된 부분을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페이지에 연속하여 인쇄할 공란이 없으면 페이지를 후방으로 전환하여야 하고, 2~3매 이상의 페이지가 과다 전환된 경우 페이지를 다시 전방으로 페이지 전환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각 상황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양방향 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페이지 전환작업을 위한 정위치로 통장을 이송을 하여야 하는데, 이송 시에는 페이지 접힘, 페이지 잼(jam)발생, 페이지 파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정위치로 이송된 통장의 페이지 넘김은 페이지 전환로울러에 의하게 되는데, 페이지 전환로울러가 페이지에 가하는 접촉압력, 페이지 전환로울러의 회전속도, 전환로울러의 재질 및 형상, 페이지의 재질 및 형상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페이지 전환이 되지 않거나 여러 매의 페이지가 함께 전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관련한 공지된 선행기술로는 특허공개번호 제2000-34539호의 "자동인자기의 페이지 넘김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는 전방전환 로울러와 후방전환 로울러가 각각의 승하강 장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전환장치가 있다. 각각의 승강모터에 의해서 승강링크를 다르게 회전시키며, 승강링크의 회전에 따라 통장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페이지 넘김 장치는 승강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구동장치를 포함하여야 하며, 각각 승강모터 외에 분리모터를 별도로 포함하여 통장의 페이지를 넘기게 된다. 즉, 통장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총 4개의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로써 페이지 넘김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사용되는 모터가 많을수록 오작동 또는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러치를 이용하여 지편 전환로울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페이지 전환장치도 있다. 상기 페이지 전환장치는 구동모 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기어, 구동기어와 맞물린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종동기어는 클러치가 부착된 전환로울러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통장의 지편을 넘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하나의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클러치가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작동되는 전환로울러를 선택할 수가 있다.
클러치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작동신호에 의해서 회전축을 단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논리 회로를 구성할 수가 있다. 하지만, 연결을 단속하는 클러치의 특성상 클러치를 작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력이 개별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러치의 단속이 의도한대로 제어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작동에 대한 신뢰성 저하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하나의 동력원으로부터 책자의 지편(leaf of a booklet)을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페이지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확실하여 페이지 전환방향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오작동의 염려가 적은 페이지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페이지 전환장치는 책자 이송부재, 제1 전환로울러(turning roller)를 포함 하는 제1 전환부(turning part), 제2 전환로울러를 포함하는 제2 전환부, 구동부 및 로울러 변경부를 포함하며, 책자의 페이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넘길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통장을 넘기기 위한 페이지 전환장치는 통장 프린터의 후면에 장착되어 통장 프린터로부터 인쇄가 완료된 통장을 이송 받아 지편을 넘긴 후, 다시 통장 프린터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책자 이송부재는 책자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로 및 책자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이송 구동장치는 구동 로울러 및 지지 로울러를 포함하며, 지지 로울러는 구동 로울러에 대향하게 책자의 이면을 가압하여 책자가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제1 전환부 및 제2 전환부는 이송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다. 제1 전환부는 캠 형상 또는 특별히 제작된 제1 전환로울러를 회전시켜 통장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기며, 제2 전환부 역시 제1 전환로울러와 유사한 제2 전환로울러를 회전시켜 책자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긴다. 제1 및 제2 전환로울러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제1 또는 제2 전환로울러에 의해서 책자의 지편이 분리된 후, 책자 이송부재는 지편을 옮기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책자를 이동시켜 상대적으로 지편을 의도한 방향으로 넘기게 된다.
다만, 제1 또는 제2 전환로울러가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로울러 변경부(Roller Changer or Roller Selector)를 통해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 받아야 하며, 로울러 변경부는 이를 이용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넘김을 조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울러 변경부는 별도의 넘김 신호를 수신 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부의 회전 방향으로부터 정방향 또는 역방향 넘김을 결정할 수 가 있다. 따라서, 페이지 전환장치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오작동에 대한 염려가 현저하게 줄어든다.
이를 위해서 로울러 변경부는 제1 종동기어, 변경 레버(changing lever), 제2 종동기어, 제1 전환기어 및 제2 전환기어를 포함한다. 제1 종동기어는 구동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같이 연동하여 회전한다. 변경 레버는 제1 종동기어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며 제1 종동기어와 제한된 마찰력으로 면접촉을 한다. 또한, 제2 종동기어는 변경 레버에 장착되어 변경 레버와 함께 같이 이동하며, 한편으로는 제1 종동기어와 맞물림을 유지하여 제1 종동기어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제1 전환기어는 제1 전환로울러의 회전축에 장착되거나 기어 등의 전달장치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같이 회전을 한다. 또한, 제2 전환기어 역시 제2 전환로울러의 회전축에 장착되거나 다른 기계적 연결 방식에 의해서 연결되어 같이 회전을 한다.
페이지를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해 구동부가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제1 종동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제1 종동기어와 일정한 마찰력을 유지하는 변경 레버도 같이 회전하여 제1 전환기어를 향해 회전한다. 제2 종동기어가 제1 전환기어에 맞물림으로써 <구동부-제1 종동기어-제2 종동기어-제1 전환기어-제1 전환로울러>로 이어지는 연결 관계가 형성되고 책자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길 수가 있다.
반대로 페이지를 역방향으로 넘기기 위해 구동부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제1 종동기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종동기어와 일정한 마찰력 을 유지하는 변경 레버도 같이 회전하여 제2 전환기어를 향해 회전한다. 제2 종동기어가 제2 전환기어에 맞물림으로써 <구동부-제1 종동기어-제2 종동기어-제2 전환기어-제2 전환로울러>로 이어지는 연결 관계가 형성되고 책자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길 수가 있다.
제2 종동기어는 제1 또는 제2 전환기어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책자의 지편을 넘기는 동안 변경 레버는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제1 종동기어 및 변경 레버는 일정한 마찰력을 갖고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변경 레버가 움직이지 않아도 제1 종동기어는 계속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제1 종동기어의 회전은 제2 종동기어를 통해 제1 또는 제2 전환기어로 전달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전환장치는 구동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페이지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넘김을 수행할 수가 있다. 종래의 전환장치가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 별도로 작동하는 4개의 구동모터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전자적 신호를 통해 클러치를 작동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본 발명의 페이지 전환장치는 단순히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꿈으로써 정방향 및 역방향의 넘김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단, 모터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력 전달 변수 및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함으로써 오작동 없이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작동할 수가 있다. 또한, 부품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한장치의 내부 구조를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페이진 전환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전환장치(100)는 책자 이송부재(120), 제1 전환부(150), 제2 전환부(160), 구동부(210) 및 로울러 변경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이지 전환장치(100)는 통장의 지편을 넘기기 위한 것으로서 통장 정리기 또는 통장 정리 기능을 겸함 현금인출기 등의 통장 프린터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책자 이송부재(120)는 이송로(130) 및 이송 구동장치(140)를 포함한다. 이송로(130)는 펼쳐진 책자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장 프린터(미도시)의 반송로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송로(130)는 하부 플레이트(132)와 하부 플레이트(132) 상에 위치한 제1 상부 플레이트(134)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6)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4, 136)는 하부 플레이트(132)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펼쳐진 책자가 의도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를 한다.
또한, 이송 구동장치(140)는 통장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로(13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1 구동로울러(142a) 및 제2 구동로울러(142b)를 포함하며, 제1 구동로울러(142a) 및 제2 구동로울러(142b) 각각에 대응하여 이송로(1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지지로울러(144a) 및 제2 지지로울러(144b)를 포함한다. 수개의 구동로울러(142a, 142b) 및 지지로울러(144a, 144b)가 상하로 배치되고 이송로(130)의 내측으로 부분 노출되어 통장의 상하면에 접한다. 제1 및 제2 구동로울러(142a, 142b)에 대향하여 제1 및 제2 지지로울러(144a, 144b)가 통장의 이면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 구동로울러(142a, 142b)의 회전에 따라 통장은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되어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로울러(142a, 142b) 및 지지로울러(144a, 144b)가 기어(148)에 의해서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회전하면서 통장을 이송할 수가 있으며, 이송모터(146)는 기어(148)를 통해서 구동로울러(142a, 142b) 및 지지로울러(144a, 144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로울러(144a) 및 제2 지지로울러(144b)는 회전축의 상측으로 설치된 가압용 판스프링이 회전축을 아래로 가압하여 이송되는 통장에 밀착하게 된다.
제1 상부 플레이트(134)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6)에는 각각 통장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위치감지부(138)가 장착된다. 정위치감지부(138)에 의해서 통장의 통과 여부 및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위치감지부(138)는 각각의 지지로울러(144a, 144b)와 구동로울러(142a, 142b)의 외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어 통장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이송시에 원하는 위치로 통장이 이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가 있다. 또한, 책자 이송부재(120)는 통장의 지편을 넘길 수 있는 최적의 위치로 통장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할 수가 있다.
제1 전환부(150)는 제1 지지로울러(144a)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책자 이송부재(120)와 협력하여 통장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기는 기능을 한다. 제1 전환부(150)는 제1 전환로울러(152), 제1 가이드 경사면(154), 제1 매수 감지홈(156) 및 제1 매수 감지센서(158)를 포함한다. 제1 전환로울러(152)는 제1 로울러 회전축(153)에 장착되며, 일부 돌출된 형상을 갖고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전환로울러(152)가 회전을 하면서 통장의 지편을 밀어 올릴 수 있으며, 밀어 올려진 지편은 통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가이드 경사면(15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 가이드 경사면(154)은 제1 전환로울러(15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정방향으로 전환된 지편을 안내한다. 또한, 제1 가이드 경사면(154)의 상단부에는 전환된 지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제1 매수 감지홈(156)이 형성되고, 제1 매수 감지홈(156)에는 전환된 지편의 매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매수 감지센서(158)가 장착된다.
제2 전환부(160)는 제2 지지로울러(144b)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책자 이송부재(120)와 협력하여 통장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기는 기능을 한다. 제2 전환부(160) 역시 제2 전환로울러(162), 제2 가이드 경사면(164), 제2 매수 감지홈(166) 및 제2 매수 감지센서(168)를 포함한다. 제2 전환로울러(162)는 제2 로울러 회전축(163)에 장착되며, 일부 돌출된 형상을 갖고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제1 전환로울러(152)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제2 전환로울러(162)가 회전을 하면서 통장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으며, 밀어 올려진 지편은 통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 가이드 경사면(16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2 가이드 경사면(164)은 제2 전환로울러(16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정방향으로 전환된 지편을 안내한다. 또한, 제2 가이드 경사면(164)의 상단부에는 전환된 지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제2 매수 감지홈(166)이 형성되고, 제2 매수 감지홈(166)에는 전환된 지편의 매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매수 감지센서(168)가 장착된다.
제1 상부 플레이트(134)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6) 사이에는 셔터부재(170)가 장착된다. 셔터부재(170)는 상부에 위치한 페이지셔터(172), 페이지셔터(172)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랙(178), 랙(178)과 맞물려 셔터부재(170)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피니언(174) 및 종동피니언(176)을 포함한다. 구동피니언(174)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받으며, 종동피니언(176)과 맞물려 랙(178)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통장을 이송하는 경우, 페이지셔터(172)는 하강 위치에 있어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4, 136) 사이를 덮는다. 페이지셔터(172)가 이송로(130) 중 개방된 상부를 덮기 때문에, 통장은 이탈 없이 이송로(130) 내부에서 이동할 수가 있다. 페이지셔터(172)는 통장의 상부 플레이트(134, 136) 간의 빈 공간을 없애 주므로, 펼쳐진 통장을 안내하여 페이지 접힘, 페이지 잼, 페이지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통장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한 다음에, 페이지셔터(172)는 랙(178)의 상승과 함께 상승 위치로 이동하고, 페이지 셔터(172)의 상승 이동에 의해서 이송로(130)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이송로(130)가 상부가 개방됨으로써 제1 또는 제2 전환부(150, 160)에 의해서 페이지가 전환될 때 전환된 지편은 페이지셔터(172)의 방해를 받지 않고 가이드 경사면 상에 위치할 수가 있다. 또한, 가이드 경사면(154, 164) 사이에는 페이지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각 전환용 중간가이드(155, 165)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통장의 지편이 정방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 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1의 페이진 전환장치의 내부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들이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면, 통장 프린터에서 인쇄된 면의 공란이 없거나 통장 프린터에 잘못된 면이 펼쳐진 상태로 삽입된 경우, 프린터는 이를 감지하고 통장을 펼쳐진 상태로 페이지 전환장치(100)로 이송한다. 통장의 이송 신호에 따라, 책자 이송부재(120)의 구동 이송장치()가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구동로울러(142a, 142b) 및 지지로울러(144a, 144b)가 통장을 이송하고, 정위치감지부(138)가 통장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펼쳐진 통장을 적절한 위치로 이송한다. 이때, 통장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페이지셔터(172)는 하강 위치에 있어 이송로(130)의 상부를 덮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통장이 정위치에 위치한 후, 셔터부재(170)가 작동을 시작하여 구동피니언(174) 및 종동피니언(176)이 회전하고, 이에 랙(178)이 피니언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페이지셔터(172)를 상승위치로 이송시킨다. 그와 동시에, 페이지 만곡부재(180) 역시 작동을 시작하여 만곡캠(188)의 일부가 하부 플레이트(132)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만곡캠(188)에 의해서 통장의 아래부분이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이는 제1 전환로울러(152) 및 통장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전환로울러(152)는 더욱 확실하게 통장의 지편을 밀어 올릴 수가 있다.
만곡부재(180)는 페이지 전환시 통장을 만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페이지셔 터(172) 하측에 설치된다. 만곡부재(180)는 솔레노이드(182), 솔레노이드(182)에 연결된 링크들(184, 186), 링크(186)의 끝단에 연결되어 통장을 만곡하는 만곡캠(188)을 포함한다. 만곡부재(180)는 통장의 저면을 밀어 올려 부분적으로 만곡시키고, 통장의 만곡부와 전환로울러(152, 162) 간의 접촉각을 조절하여 마찰력이 전환방향으로 보다 많이 전달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통장의 만곡부에 의해서 전환로울러(152, 162) 단면이 통장의 지편 상에서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전환로울러(152)가 1회전을 하면서 통장의 지편을 밀어 올린다. 밀어 올려진 지편(L)은 통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4, 136) 사이로 진입하게 되고, 제1 가이드 경사면(15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페이지셔터(172)가 상승위치에 있기 때문에 밀려 올려진 지편(L)는 페이지셔터(172)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제1 및 제2 상부 플레이트(134, 136) 사이로 진입할 수가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전환된 지편(L)이 제1 가이드 경사면(154) 상에 위치한 다음, 책자 이송부재(120)는 통장을 제1 구동로울러(142a) 및 제1 지지로울러(144a)가 있는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통장이 이송됨에 따라 전환된 지편(L)은 제1 가이드 경사면(154)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전환된 지편(L)의 단부는 제1 매수 감지홈(156)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1 매수 감지센서(158)는 제1 매수 감지홈(156)에 장착된 삽입된 지편의 매수를 측정한다.
그 다음, 책자 이송부재(120)는 통장을 더 이송시키게 되고, 전환된 지편(L) 은 상대적으로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통장의 중심부가 제1 상부 플레이트(134) 및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로 진입하면서, 전환된 지편(L) 역시 넘겨진 상태로 통장에 밀착하게 되고, 그 결과 지편(L)이 정방향으로 완전히 넘어간다.
만약, 제1 매수 감지센서(158)에 의해서 2매 이상의 지편이 감지되면, 페이지 전환장치(100)는, 도 3a 내지 도 3d에서 설명된 과정을 응용하여, 지편을 역방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때 제1 전환부(150) 대신 제2 전환부(160)가 사용된다. 제2 전환부(160)를 이용하여 지편을 역방향으로 전환하고, 제2 매수 감지센서(168)를 이용하여 지편의 매수를 검증할 수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하는 페이지 매수대로 정확히 전환될 때까지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살펴보면, 페이지 전환장치(100)는 양측의 제1 브라켓(112) 및 제2 브라켓(114)을 포함하며, 제1 브라켓(112) 및 제2 브라켓(114)의 사이에 책자 이송부재(120), 제1 전환부(150) 및 제2 전환부(160) 등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 브라켓(112, 114)는 지지바(116)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고정되며, 그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은 제1 및 제2 브라켓(112, 114)에 고정 또는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브라켓(112)의 외측으로는 로울러 변경부(220)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의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울러 변경부(220)는 구동부(210)로부터 동력 을 전달 받아 제1 전환로울러(152) 또는 제2 전환로울러(16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구동부(21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전환로울러(152, 162)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구동부(2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서, 로울러 변경부(220)는 제1 종동기어(222), 변경 레버(230), 제2 종동기어(224), 제1 전환기어(226) 및 제2 전환기어(228)를 포함한다.
제1 종동기어(222)는 구동부(210)에 장착된 구동기어(212)와 연결되며, 변경 레버(230)는 제1 종동기어(222) 및 제1 브라켓(112) 사이에 장착된다. 변경 레버(230)는 앞면은 제1 종동기어(222)의 후면과 맞닿아 있으며, 변경 레버(230)의 뒷면은 압축 스프링(234)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제1 종동기어(222) 및 변경 레버(230)는 동일한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마찰력에 의해서 같이 회전할 수가 있다.
제2 종동기어(224)는 변경 레버(230)에 장착되며, 제1 종동기어(222)와 항상 맞물림을 유지하고, 변경 레버(230)의 회동할 때 같이 움직인다. 제1 전환기어(226)는 제1 로울러 회전축(153)의 단부에 장착되며, 제2 전환기어(228)는 제2 로울러 회전축(163)의 단부에 장착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어(212) 및 제1 종동기어(222)는 면접촉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며, 제2 종동기어(224) 및 전환기어(226, 228)는 치차 간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어라 함은 치차를 이용한 기어 외에도 마찰을 이용한 마찰차나 벨트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한 전달장치도 포함 하는 개념을 사용될 수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로울러 변경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통장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해서 구동기어(2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①), 제1 종동기어(2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②). 제1 종동기어(2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변경 레버(230)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③), 제2 종동기어(224)는 제1 전환기어(226)에 접근하여 맞물리게 된다(④). 따라서, 구동기어(212)-제1 종동기어(222)-제2 종동기어(224)-제1 전환기어(226)를 잇는 연결이 형성되고(⑤), 구동부(210)의 동력이 제1 전환로울러(152)로 전달되어 통장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길 수가 있다(⑥). 이때, 제1 종동기어(222)는 계속 회전하여 제2 종동기어(224)를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지만, 변경 레버(230)는 변경 레버(230)의 굴곡된 홈(236) 또는 제2 종동기어(224)가 제1 전환기어(22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일정 각도 이상을 회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제1 종동기어(222)는 운동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반대도, 도 8을 참조하면, 통장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기기 위해서 구동기어(21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제1 종동기어(2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제1 종동기어(2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변경 레버(230)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2 종동기어(224)는 제2 전환기어(228)에 접근하여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212)-제1 종동기어(222)-제2 종동기어(224)-제2 전환기어(228)를 잇는 연결이 형성되고(ⓔ), 구동부(210)의 동력은 제2 전환로울러(162)로 전달되어 통장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길 수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동기어(222)가 회전을 하면서 변경 레버(23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제1 종동기어(222) 및 변경 레버(230) 간의 마찰력(F1)은 적어도 변경 레버(230) 및 압축 스프링(234) 간의 마찰력(F2)보다 큰 값을 가져야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울러 변경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종동기어(222) 및 변경 레버(230)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종동기어(222) 및 변경 레버(230)의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종동기어(222)에 돌기(238)를 형성하고, 변경 레버(230)는 홈(239)을 형성하여 상호 접촉면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도 10은 도 1의 페이지 전환장치와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진 전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로울러 회전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페이지 전환장치(101)는 로울러 회전센서부(2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그 외의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의 페이진 전환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로울러 회전센서부()에 대해서 설명하며, 기타 설명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환기어(226, 228)에 인접하게 제1 브라켓(112)에는 로울러 회전센서부(242)가 장착된다. 제1 전환기어(226)가 장착된 제1 로울러 회전축(153)의 단부에는 제1 통과편(227)이 장착되며, 제2 전환기어(228)가 장착된 제2 로울러 회전축(163)의 단부에는 제2 통과편(229)이 장착된다.
제1 로울러 회전축(153)이 회전하면서 제1 통과편(227)이 제1 회전센서(244)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전환로울러(152)의 회전여부를 감지할 수가 있다. 대체로 제1 전환로울러(152)가 1회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해진 회수만큼 통장의 페이지를 넘길 수도 있다. 역시 제2 로울러 회전축(163)이 회전하면서도 제2 통과편(229)이 제2 회전센서(246)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써 회전수의 감지는 회전수의 제어 등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전환장치는 마찰력에 의해서 제1 종동기어와 함께 움직이는 변경 레버를 포함하며, 변경 레버는 제1 종동기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전환로울러 또는 제2 전환로울러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동력장치나 솔레노이드 등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종동기어 및 변경 레버 간의 물리적 관계에 의해서 작동할 수가 있다.
제1 전환부 및 제2 전환부를 선택하기 위해서, 결과적으로 페이지 전환장치는 하나의 모터만 필요로 하며, 기계적 작동에 의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복잡한 전기적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에 대한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구조를 간단하게 유 지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 등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책자의 지편을 양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페이지 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책자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로 및 이송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책자 이송부재;
    상기 이송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책자의 지편을 정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제1 전환로울러를 포함하는 제1 전환부;
    상기 제1 전환부에 대향하게 상기 이송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책자의 지편을 역방향으로 넘기기 위한 제2 전환로울러를 포함하는 제2 전환부;
    상기 제1 및 제2 전환부에 상기 책자의 지편을 넘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 종동기어, 상기 제1 종동기어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1 종동기어와 제한된 마찰력으로 면접촉을 하는 변경 레버, 상기 변경 레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종동기어와 맞물림을 유지하는 제2 종동기어, 상기 제1 전환로울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경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제1 전환기어, 및 상기 제2 전환로울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변경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제2 전환기어를 포함하는 로울러 변경부; 를 구비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 이송부재에서 상기 이송 구동장치는 상기 이송로의 내부를 향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구동로울러 및 상기 구동로울러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책자의 이면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로울러 및 상기 지지로울러는 상기 이송로의 상하로 장착되며, 상기 구동로울러 및 상기 지지로울러의 회전축은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책자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자 이송부재는 이송된 상기 책자의 정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정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환로울러 사이에 페이지셔터가 장착되며, 상기 페이지셔터는 상기 책자의 이송하는 경우 하강 위치에 있어 상기 책자의 이송을 안내하고, 상기 책자의 지편을 전환하는 경우 상승 위치에 있어 전환된 지편이 통과할 수 있 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부는 상기 제1 전환로울러의 상부에 배치되어 정방향으로 전환된 지편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환된 지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제1 매수 감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매수 감지홈에는 상기 전환된 지편의 매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매수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환부는 상기 제2 전환로울러의 상부에 배치되어 역방향으로 전환된 지편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환된 지편의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제2 매수 감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매수 감지홈에는 상기 전환된 지편의 매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매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레버의 회전중심은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제1 종동기어에 밀착하고, 상기 종동기어 및 변경 레버 간의 마찰력은 상기 변경 레버 및 상기 스프링 간의 마찰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기어 및 상기 변경 레버 간의 접촉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환기어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변경 레버의 측면에는 굴곡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제1 종동기어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전환장치.
KR1020040046394A 2004-06-22 2004-06-22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KR10054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94A KR100545150B1 (ko) 2004-06-22 2004-06-22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94A KR100545150B1 (ko) 2004-06-22 2004-06-22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316A KR20050121316A (ko) 2005-12-27
KR100545150B1 true KR100545150B1 (ko) 2006-01-24

Family

ID=3729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394A KR100545150B1 (ko) 2004-06-22 2004-06-22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27B1 (ko) * 2007-11-06 2009-06-02 주식회사 한영넉스 모드 전환 구조체
KR102376401B1 (ko) * 2017-06-21 2022-03-18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의 게이트 온/오프 장치
KR101946712B1 (ko) * 2017-06-21 2019-02-12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316A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636B1 (ko) 스택롤러 및 스택가이드의 위치감지장치 및 그 방법
CN101378980B (zh) 用于有序储存纸币和/或纸张的设备
KR20090092212A (ko) 지엽반송 기구 및 지엽취급 장치
GB2104493A (en) Page turner in a printing apparatus
US20110156335A1 (en) Conveying direction-switching device for paper leaves, conveying direction control method, and paper leaves processor
US7975909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100545150B1 (ko)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KR20039231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6011246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3976449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幣入出金機
KR200361547Y1 (ko)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KR200202654Y1 (ko) 카드 디스펜서
US6626426B2 (en) Self-service terminal
KR101077322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37753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현금방출장치
KR10055223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픽업롤러 정위치감지장치
KR100586491B1 (ko) 통장 정리기용 페이지 자동 넘김장치
JP5261815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KR100307363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 및 그 방법
JPS6313577Y2 (ko)
KR100718916B1 (ko) 상품권 배출장치
KR100314433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
JP3931502B2 (ja) 貨幣入出金機
KR20060068821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현금방출장치 및 현금방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