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712B1 -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 Google Patents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712B1
KR101946712B1 KR1020170078692A KR20170078692A KR101946712B1 KR 101946712 B1 KR101946712 B1 KR 101946712B1 KR 1020170078692 A KR1020170078692 A KR 1020170078692A KR 20170078692 A KR20170078692 A KR 20170078692A KR 101946712 B1 KR101946712 B1 KR 10194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ssbook
base plate
gate
turn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021A (ko
Inventor
최원규
박현수
강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기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기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기그룹
Priority to KR102017007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7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B42D9/08Leaf turners having radial arms, one per leaf, operated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Abstract

본 발명은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매의 통장이 저장된 통장 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되는 상기 낱장의 겉지와 내지를 부풀려서 휘어지게 하는 보조롤러; 한 쌍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이 사이에 개재되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이송롤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롤러와 동일한 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연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넘김롤러;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넘김롤러의 사이에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이웃하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넘김롤러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부풀려 휘어진 상기 통장의 겉지로 인해 열리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대향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넘김롤러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거나 상기 통장의 겉지 넘김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계되어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된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통장을 휘어지도록 부풀려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통장의 겉지만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PASSBOOK COVER TURN APPARATUS}
본 발명은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된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통장을 휘어지도록 부풀려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통장의 겉지만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시중 은행에는 자동 입출금장치나 통장 정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무인 자동화기기를 설치 및 운영함에 따라 업무효율의 향상은 물론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은행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은행의 업무가 은행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루트를 통해 다양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통장에 기입되는 거래내용 또한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은행영업점 단말장치, 자동예금 입출금기(ATM), 통장 기장기 및 통장 발행기 등에 있어서는 그 내부에 페이지 넘김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이지 넘김 기구는 통장마다 낱장의 강성, 두께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낱장을 확실하게 넘기는 것이 더욱 곤란하다. 낱장을 넘길 수 없는 상황이란, 예를 들면 낱장을 넘길 수 없거나 낱장을 지나치게 넘겼거나(2장씩 넘김 등)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재시도하면 해결할 수 있으나, 어중간하게 넘겨버린 경우에는 2장씩 넘긴 경우의 통장과 넘김 롤러의 모식도와 같이, 최악의 경우 넘겨졌다고 해도 반송시에 낱장이 반송로에 걸려 접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569039호(발명의 명칭: 지면 넘김 장치, 등록일자: 2006년 04월 03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424225호(발명의 명칭: 페이지 넘김 장치 및 페이지 넘김 방법, 등록일자: 2004년 03월 1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된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통장을 휘어지도록 부풀려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통장의 겉지만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는, 복수 매의 통장이 저장된 통장 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되는 상기 낱장의 겉지와 내지를 부풀려서 휘어지게 하는 보조롤러; 한 쌍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이 사이에 개재되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이송롤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롤러와 동일한 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연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넘김롤러;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넘김롤러의 사이에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이웃하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넘김롤러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부풀려 휘어진 상기 통장의 겉지로 인해 열리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에 대향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넘김롤러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거나 상기 통장의 겉지 넘김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계되어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넘김롤러의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의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는 캠(CAM)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두 개로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에 각각 구비되어 동시나 개별적으로 구동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복수매의 통장이 저장된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통장을 휘어지도록 부풀려 통장의 겉지와 내지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통장의 겉지만 넘길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센서를 통해 게이트의 열림과 닫힘을 그리고 통장 겉지넘김 작업을 확인이 가능하여 통장 겉지 넘김의 실패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송롤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부풀려서 휘어지는 통장의 겉지로 인해 게이트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의 겉지가 넘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이송롤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부풀려서 휘어지는 통장의 겉지로 인해 게이트가 열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통장의 겉지가 넘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복수 매의 통장이 저장된 통장 카세트와 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100)는 도면을 기준으로 통장 카세트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자동으로 넘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10), 보조롤러(120), 이송롤러(130), 넘김롤러(140), 게이트(150), 감지센서(160), 구동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P/B)을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시킨다.
보조롤러(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관통구(111)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되는 낱장의 통장(P/B) 겉지와 내지를 부풀려서 휘어지게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보조롤러(120)의 일부를 상부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관통구(111)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형성되되, 이송롤러(130)와 넘김롤러(140)의 사이에 형성된다.
보조롤러(120)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관통구(111)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통장(P/B)을 용이하게 부풀려서 휘어지게 한다.
보조롤러(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관통구(111)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이웃하게 고정되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보조롤러(120)는 통장(P/B)의 겉지와 내지를 용이하게 휘어지게 하는 외주면 둘레가 이송시 발생되는 통장(P/B)의 부하를 막으면서 마찰력을 저하시킨다.
보조롤러(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관통구(111)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이웃하게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상, 하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이송시 통장(P/B)의 파손을 방지한다.
이송롤러(130)는 한 쌍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고, 낱장의 통장(P/B)이 사이에 개재되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통장(P/B)을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넘김롤러(140)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롤러(130)는 도면을 기준으로 넘김롤러(140)방향으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낱장의 통장(P/B)이 넘김롤러(140)에 충돌되어 게이트(150)방향으로 부풀려 휘어지게 된다.
게이트(150)방향으로 휘어지는 낱장의 통장(P/B)의 겉지와 내지는 이송롤러(130)의 반복적인 회전으로 인해 겉지와 내지가 분리된다.
넘김롤러(14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되되, 이송롤러(130)와 동일한 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연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게이트(150)방향으로 회전되어 낱장의 통장(P/B) 겉지를 넘긴다.
넘김롤러(140)는 일단부 즉, 통장(P/B)의 겉지에 밀착되어 넘기는 부분이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갖고 마찰 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이송롤러(130)를 통해 휘어진 통장(P/B)의 겉지가 용이하게 넘겨진다.
넘김롤러(140)는 이송롤러(130)로부터 이송되는 통장(P/B)이 넘김롤러(140)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롤러(130)의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반복 회전으로 인해 통장(P/B)이 조금씩 이송되면서 저절로 부풀려 휘어짐과 동시에 통장(P/B)의 겉지와 내지가 분리된다.
게이트(150)는 이송롤러(130)와 넘김롤러(140)의 사이에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부는 이송롤러(130)에 이웃하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넘김롤러(140)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부풀려 휘어진 통장(P/B)의 겉지로 인해 열린다.
게이트(150)는 통장(P/B)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송롤러(130)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게이트(150)의 일단부는 힌지와 같은 수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일단부를 기준으로 통장(P/B)의 휨으로 인해 용이하게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게이트(150)는 휘어지는 통장(P/B)이 닿는 일면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감지센서(160)는 게이트(150)에 대향되게 구비되거나 넘김롤러(140)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게이트(150)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거나 통장(P/B)의 겉지 넘김여부를 감지한다.
감지센서(160)는 도면을 기준으로 두 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서로 간에 수신과 발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신과 발신을 통해 게이트(150)의 열림과 닫힘 또는 통장(P/B)의 겉지 넘김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구동부(170)는 이송롤러(130)의 회전축(131)에 연계되어 구동력에 의해 이송롤러(130)를 회전시킨다.
구동부(170)는 한 쌍의 이송롤러(130) 사이에 개재된 통장(P/B)이 게이트(150)방향으로 부풀려 휘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이송롤러(13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한다.
이송롤러(130)의 회전축(131)에 연계되는 구동부(170)는 이송롤러(130)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여 통장(P/B)을 전면부 즉, 넘김롤러(140)방향으로 조금씩 이동시킨다.
구동부(170)는 하나로 구비되어 한 쌍의 이송롤러(130)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구동부(170)는 두 개로 구비되되, 한 쌍의 이송롤러(130)에 각각 구비되어 동시나 개별적으로 구동시킨다.
캠(CAM, 180)은 넘김롤러(140)의 회전축(141) 일단에 구비되어 게이트(150)의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한다.
캠(180)은 휘어지는 통장(P/B)으로 인해 열리게 되는 게이트(150)가 휘어지는 통장(P/B)과는 상관없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110 : 베이스플레이트
111 : 관통구
120 : 보조롤러
130 : 이송롤러
131 : 회전축
140 : 넘김롤러
141 : 회전축
150 : 게이트
160 : 감지센서
170 : 구동부
180 : 캠
P/B : 통장

Claims (4)

  1. 복수 매의 통장이 저장된 통장 카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낱장의 통장을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겉지 넘김장치로 인입되는 상기 낱장의 겉지와 내지를 부풀려서 휘어지게 하는 보조롤러;
    한 쌍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낱장의 통장이 사이에 개재되면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회전하는 이송롤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롤러와 동일한 선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연계된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낱장의 통장 겉지를 넘기는 넘김롤러;
    상기 이송롤러와 상기 넘김롤러의 사이에 열림과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단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이웃하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부는 상기 넘김롤러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부풀려 휘어진 상기 통장의 겉지로 인해 열리는 게이트;
    상기 넘김롤러의 회전축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의 자동으로 열림을 방지하는 캠(CAM);
    상기 게이트에 대향되게 구비되거나 상기 넘김롤러에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게이트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거나 상기 통장의 겉지 넘김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축에 연계되어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를 동시에 구동시키거나, 상기 구동부는 두 개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78692A 2017-06-21 2017-06-21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KR10194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92A KR101946712B1 (ko) 2017-06-21 2017-06-21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692A KR101946712B1 (ko) 2017-06-21 2017-06-21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21A KR20190000021A (ko) 2019-01-02
KR101946712B1 true KR101946712B1 (ko) 2019-02-12

Family

ID=6502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692A KR101946712B1 (ko) 2017-06-21 2017-06-21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7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318B1 (ko) 2020-02-18 2021-11-24 이승길 서랍이 부설된 거울
KR102464699B1 (ko) 2020-02-18 2022-11-07 이승길 내충격성을 갖는 거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95B1 (ko) * 2011-07-07 2012-01-10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 페이지 자동 넘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150B1 (ko) * 2004-06-22 2006-01-2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책자의 페이지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895B1 (ko) * 2011-07-07 2012-01-10 주식회사 신기그룹 통장 페이지 자동 넘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021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1318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KR101946712B1 (ko) 통장의 겉지 넘김장치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KR101102895B1 (ko) 통장 페이지 자동 넘김 장치
KR102376401B1 (ko) 통장의 게이트 온/오프 장치
US20190300311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US6601842B2 (en) Sheet transfer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8590887B2 (en)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sheet roller portion with different friction forces
KR1010773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JP3658268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収納庫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KR10131438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KR200411492Y1 (ko) 잼 방지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JP3266405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1133857A (ja) 現金処理機の紙幣収納機構
JP5182107B2 (ja) 紙幣収納装置
JPH026013Y2 (ko)
JP2850176B2 (ja) 紙葉材給送装置
JP2001261225A (ja) 画像形成装置の後処理装置
JPS61241177A (ja) 通帳印字装置
KR20070072257A (ko) 축 고정용 후크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2002347368A (ja) 頁めくり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現金自動預け払い機
JP2003025765A (ja) 冊子状媒体処理機構
JPS6016596Y2 (ja) 紙葉類識別機の紙葉送出装置
US20100230894A1 (en) Printing apparatus
JP2507928Y2 (ja) シ―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