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306B1 -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306B1
KR100544306B1 KR1020030019705A KR20030019705A KR100544306B1 KR 100544306 B1 KR100544306 B1 KR 100544306B1 KR 1020030019705 A KR1020030019705 A KR 1020030019705A KR 20030019705 A KR20030019705 A KR 20030019705A KR 100544306 B1 KR100544306 B1 KR 10054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tyl acrylate
ethylene
normal 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555A (ko
Inventor
남진호
박도현
이건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30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부 포함하는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아크릴레이트를 10~200중량부; 또는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를 10~200중량부; 또는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부 포함하는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아크릴레이트 5~100중량부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 5~100중량부;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가 없고, 무독성을 만족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폴리에틸렌,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아크릴릭에시드, 난연성, 무독성

Description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for cable sheath}
본 발명은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히 고전압 직류 케이블에 주로 사용되는, 가연성 물질의 발화로부터의 보호가 가능한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및 전자 장치의 직류 고전압부에 사용되는 절연 전선에 있어서, 연성 또는 단선 도체 위에 올레핀계의 절연체로서 수십 kV의 고전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올레핀계 고분자를 사용였는데, 이러한 고분자들은 난연성이 나쁜 단점이 있었기 때문에 난연성 개선을 위해, 올레핀계 고분자에 난연성 충전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절연체 자체의 내전압 특성을 악화시켜 고전압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 수지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EVA-VC), 염소화 폴리에틸렌(CPE)이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즉,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EEA), 에틸렌 메틸 메타크 릴레이트(EMMA),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EMA)등을 사용하고, 이에 난연성을 증가하기 위한 난연성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고, 모노머나 유기 규소 화합물과 같은 실란 계면결합제(silane coupling agent)등을 첨가하여 난연성을 부가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베이스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나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이용하는 방법은, 높은 산소지수를 얻을 수는 있어도, 모두 할로겐 원소 즉 염소를 함유하므로 발화중에 독성 가스가 발생하여, 연기밀도가 높고, 연소가스 부식성이 높으며, 독성지수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절연층을 보호하는 피복용 재료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등을 사용하고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여 난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5473007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염화비닐 함량이 25~75중량%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와 염소 함량 25~45중량%의 염소화 폴리에틸렌, 난연성 충전제 즉 금속 수산화물 10~80중량%, 삼산 안티몬 10~30중량%, 붕산 아연 10~30중량%, 다작용기 모노머 즉 아크릴레이트계, 이소시아네이트계로 이루어진 것으로,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인 산소지수에서 42라는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수지중에 할로겐 원소 즉, 염소를 포함하므로 연소중에 염화수소의 방출등 독성 가스 방출의 문제가 있다.
한편, 충전제와 수지간의 상용성을 좋게 하기 위해, 유기 규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할로겐 원소를 함유하지 않아 환경적 측면에서 우수하고, 동시에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nBA : normal Butyl acrylate)를 5~40중량부 포함하는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아크릴레이트(EnBA : Ethylene normal Butyl acrylate) 10~200중량부;가 블렌딩된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EAA : Ethylene Acrylic Acid) 10~200중량부;가 블렌딩된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부 포함하는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아크릴레이트 5~100중량부;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 5~100중량부;가 블렌딩된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지 조성물들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을 160~20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수지 조성물들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 입도 10~500nm의 클레이를 5~5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수지 조성물들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삼산화 안티몬을 2~1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수지 조성물들은,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 아연을 2~1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한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는 시스체를 포함하는 전선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 할로겐 특히, 염소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소정 난연성 및 무독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블렌딩하거나,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를 블렌딩하거나, 또는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를 블레딩한 수지를 전체 수지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로 사용한다.
즉, 제1베이스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인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 함유하고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중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충전재 함침이 어려워 상온 신장률과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난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된다.
용융지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필러 로딩(filler loading)성, 가공성, 난연성이 저하되고, 용융지수가 50을 초과하는 경우에 또한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필러 로딩성, 난연성이 저하되고, 4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5의 경우와 같이 연기밀도값이 낮고, 연소가스 부식성에서의 전도도값, 독성지수값이 낮아진다.
제2베이스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인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를 10~200중량부로 포함한다.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가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필러 로딩성, 난연성이 저하되고, 2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의 충전 보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난연성이 저하되고 인장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제3베이스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인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 함유하고 용융지수가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100중량부, 및 아크릴릭 에시드를 5~100중량부로 포함한다.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나 아크릴릭 에시드를 각각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러 로딩성, 난연성이 저하되고, 각각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되고 인장강도도 감소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수지들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등을 모 두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 자체의 충전 보유 능력이 낮기 때문에,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나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의 함량은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특히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수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베이스 수지의 경우, 폴리 에틸렌 40중량부,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 30중량부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성 증대를 위한 난연성 충전제로서, 금속 수산화물 예를 들어,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을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의 금속수산화물마다 80~100중량으로 함유한다.
하기 비교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금속 수산화물이 80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이 저하되고, 금속 수산화물이 10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타조성물의 첨가 효과를 저해할 우려가 있고, 더욱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러 로딩성이 떨어지고, 인장 강도 및 연신율이 낮게 나올 우려가 있다.
상기 난연성 충전제로는, 평균 입도가 10nm~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도가 10nm 미만인 경우에는 실제 획득이 어려우며, 수지내에 함침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연성 개선의 효과가 없다.
부가적 난연성 충전제로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삼산화 안티몬을 2~1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비교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삼산화 안티몬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 개선을 위한 첨가 효과가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타 조성물의 첨가로 인한 특성을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부가적 난연성 충전제로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붕산 아연을 2~1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비교예들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붕산 아연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 개선을 위해 첨가한 효과가 없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타조성물의 첨가로 인한 특성을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기본적인 기계적 물성의 증대와 난연성에 부가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나노크기 즉 평균입도 10~500nm 크기의 클레이 즉 Al2O3·4SiO2·H2O의 클레이를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5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레이가 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하기 실시예1, 3, 5 및 7의 경우, 산소지수가 낮고 연기밀도값이 낮게 된다. 그리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향상을 위해서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계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빔 조사에 의한 가교의 경우 가교 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출중의 내열성 증가와 사용중의 내열성 증대를 위해서는 아민계와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밖에 힌더드 페놀계, 티오에스테르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표 1은 본 실시예들의 처방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고,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30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였고, 산화 방지제는 아민계와 페놀계 산화방지제가 중량비 3:2로 적용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올레핀계 저분자량 왁스인 폴리올레핀 왁스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PE 90 60 60 60 40 40 40 40 40
EnBA 10 40 20 - 60 - 30 20 40
EAA - - 20 40 - 60 30 40 20
Al(OH)3 80 80 80 80 90 90 90 90 90
Mg(OH)2 80 80 80 80 90 90 90 90 90
Clay - 5 - 10 - 5 - 10 10
Sb2O3 8 8 8 8 8 8 8 8 8
Zinc Borate 5 5 5 5 5 5 5 5 5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폴리올레핀 왁스 2 2 2 2 2 2 2 2 2
가교조제 2 2 2 2 2 2 2 2 2
*PE : 폴리에틸렌
*EnBA : 에틸렌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EEA : 에틸렌 아크릴릭 에시드
[비교예]
표 2는 본 실시예에 대비되는 비교예들의 처방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의 경우 비닐 클로라이드의 함량이 50중량%인 것을 사용하였고,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경우, 염소의 함량이 36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2 3 4 5 6 7
EVA-VC 100 100 100 100 - - -
염소화 폴리에틸렌 30 20 10 50 - - -
PVC - - - - 100 100 100
Al(OH)3 - - 80 - 50 - -
Mg(OH)2 40 60 - 20 - - -
Clay - - - - - - -
Sb2O3 20 15 10 30 10 10 10
Zinc Borate 20 15 10 30 10 10 10
산화방지제 2 2 2 2 2 2 2
Polyolefin wax 2 2 2 2 2 2 2
가교조제 2 2 2 2 2 2 2
*EVA-VC :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CPE : 염소화 폴리에틸렌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에 있어서, 산소지수, 할로겐 함량 정도에 따른 무독성, 연기 밀도, 연소가스 부식성, 독성지수를 각각 평가하였다.
표 3은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비교예들에 있어서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평가항 목 실시예
1 2 3 4 5 6 7 8 9
산소지수(%) (ASTM D2868) 36 38 36 38 40 42 40 43 43
무독성 시험(IEC60754-1)할로겐 함량(%) 0.1 0.1 0.1 0.1 0.1 0.1 0.1 0.1 0.1
연기밀도 (ASTM E662)Flamming mode 64 65 65 64 35 40 36 43 43
연소가스 부식성(㎲/mm)(IEC 60754-2) 7 6 7 7 5 5 5 5 5
독성지수(NES713) 1.1 1.1 1.2 1.2 0.9 0.9 0.8 0.8 0.9
평가항목 비교예
1 2 3 4 5 6 7
산소지수(%) (ASTM D2868) 42 42 41 44 32 33 35
무독성 시험(IEC60754-1)할로겐 함량(%) 5 5 4 6 7 8 8
연기밀도 (ASTM E662)Flamming mode 200 250 300 250 300 300 300
연소가스 부식성(㎲/mm)(IEC 60754-2) 30 32 35 31 40 42 44
독성지수(NES713) 5 5 5 5 5 5 5
표 3 및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ASTM D2868에 의한 산소지수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사용한 비교예 5 내지 7의 경우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수지가 기존의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대체할 수 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한편, 난연성에 관련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전 구매시방서의 시스체 관련에서 무독성 시험은 염화수소 함량이 0.5% 이하, 연소가스 부식성이 전도도 10㎲/mm이하, 연기밀도는 150 이하를 요하며, 독성지수는 NES713 규격에서 1.5 이하를 요한다.
이와 대비 평가할 때, 본 실시예들의 경우는 무독성 시험, 연기밀도, 연소가스 부식성에서의 전도도 값, 독성지수가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들의 경우는 무독성 시험, 연기밀도, 연소가스 부식성에서의 전도도 값, 독성지수 모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따라서 본 실시예들이 난연성은 물론 무독성도 동시에 만족한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할로겐을 포함하지 않아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가 없고, 무독성을 만족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8)

  1.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5~40중량% 포함하며, 용융지수 1.0~50인 에틸렌 노말 부틸아크릴레이트 10~200중량부가 블렌딩된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평균 입도가 10nm~50㎛인 수산화 알루미늄 80 내지 100중량부;
    평균 입도가 10nm~50㎛인 수산화 마그네슘 80 내지 100중량부;
    평균 입도가 10~500nm의 클레이 5~50중량부; 및
    삼산화 안티몬 2~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붕산 아연 2~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20030019705A 2003-03-28 2003-03-28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4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705A KR100544306B1 (ko) 2003-03-28 2003-03-28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705A KR100544306B1 (ko) 2003-03-28 2003-03-28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55A KR20040084555A (ko) 2004-10-06
KR100544306B1 true KR100544306B1 (ko) 2006-01-23

Family

ID=3736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705A KR100544306B1 (ko) 2003-03-28 2003-03-28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3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237A (ko) * 1995-10-09 1997-05-28 황선두 전선피복용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JP2000021242A (ja) * 1998-06-30 2000-01-21 Yazaki Corp 難燃性被覆ケーブル
KR20000060307A (ko) * 1999-03-13 2000-10-16 권문구 무독성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전선
KR20010001126A (ko) * 1999-06-02 2001-01-05 남창우 저발연성 및 저독성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237A (ko) * 1995-10-09 1997-05-28 황선두 전선피복용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JP2000021242A (ja) * 1998-06-30 2000-01-21 Yazaki Corp 難燃性被覆ケーブル
KR20000060307A (ko) * 1999-03-13 2000-10-16 권문구 무독성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전선
KR20010001126A (ko) * 1999-06-02 2001-01-05 남창우 저발연성 및 저독성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55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7713B2 (ja) 難燃性の重合体組成物
US9115273B2 (en) Composition for low smoke, flame retardant, halogen-free, thermoplastic insulation showing good electrical, properties in water
AU2017421247B2 (en) Flame retardant, low smoke, cold resistant electric cable
US6936655B2 (en) Crosslinkable flame retardant wire and cabl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CA2156816A1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curability
US8268911B2 (en) Bimodal filler systems for enhanced flame retardancy
JP4255368B2 (ja) 架橋型難燃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8699282B (zh) 具有改进的拉伸性能的无卤阻燃剂组合物
CA2388393A1 (e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AU2020202318A1 (en) Flame- retardant electrical cable
CA1221188A (en) Flame retardant crosslinked ethylene copolymer electrical insulation
WO2010005147A1 (en) Halogen-free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with nanoclay and zinc borate secondary flame-retardants
KR100544306B1 (ko) 전선 피복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US10923246B2 (en) Flame retardant electrical cable
ES2954249T3 (es) Cable eléctrico ignífugo
KR100563653B1 (ko) 고용량 옥외 전력케이블 절연전선 피복용 가교 폴리올레핀수지조성물
JP2869817B2 (ja) 難燃性組成物
JP3953694B2 (ja) 絶縁電線・ケーブル
JP2003277633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源コード
US20230207154A1 (en) Flame-retardant cable with self-extinguishing layer
JP2000265011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4339317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3268250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源コード
JP2003160709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
JPS61252255A (ja) 難燃性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