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042B1 - 제어루프에서의지연과무관한타이밍을구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 Google Patents

제어루프에서의지연과무관한타이밍을구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042B1
KR100544042B1 KR1019980708886A KR19980708886A KR100544042B1 KR 100544042 B1 KR100544042 B1 KR 100544042B1 KR 1019980708886 A KR1019980708886 A KR 1019980708886A KR 19980708886 A KR19980708886 A KR 19980708886A KR 100544042 B1 KR100544042 B1 KR 100544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iming signal
interval
voltage
feedba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197A (ko
Inventor
요안 비챠드 스트리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0006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Abstract

플라이백 변환기는, 직렬로 배열된 1 차 권선(4)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구비한 변압기(6), 제어 신호(UC)에 응답하여, 1 차 간격(TP)동안에는 스위칭 소자 (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닫고 2 차 간격(TS) 동안에는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여는 제어 수단(예컨대, 구동기(14)), 피드백 신호(IFB)를 발생시키는 보조 권선(12), 피드백 신호(UFB)를 단방향으로 측정하는 측정 수단(예컨대, 전압-전류 변환기(20)), 피드백 신호(UFB)로부터 2차 간격을 나타내는 제 1 타이밍 신호(TM1)를 유도하는 논리 유닛(16) 및 비교기(16), 비교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UC)를 발생시키는 적분 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비교기 수단은 2 차 간격(TS) 동안에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IFB)와 기준신호(IR)를 비교한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1 차 간격(TP)내에 있는 시작 순간(t4)과, 2 차 간격(TS)의 끝 순간을 적어도 앞서지 않는 끝 순간을 갖는 제 2 타이밍 신호(TM2)를 발생시키는 수단(32)을 더 포함하며, 시간 선택 비교 수단은 제 1 타이밍 신호(TM1)에 응답하여 기준 신호(IR)를 이전하는 제 1 시간선택 소자(26), 및 제 2 타이밍 신호(TM2)에 응답하여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IFB)를 전달하는 제 2 시간 선택소자(30)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플라이백 변환기의 출력은 제 1 타이밍 신호(TM1)의 발생시에 지연에 의해 발생되는 에러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제어 루프에서의 지연과 무관한 타이밍을 구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본 발명은, 공급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서 직렬로 배열된 유도 소자 및 스위칭 소자(an inductive element and a switching elemnt),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1차 간격 동안에는 스위칭 소자를 닫고 2 차 간격 동안에는 스위칭 소자를 여는 제어수단(control means), 스위칭 소자가 열리고 닫히는 결과로서 유도 소자 양단에발생된 신호 전압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단방향으로 측정하는 측정 수단(measurement means), 피드백 신호로부터 2 차 간격을 나타내는 제 1 타이밍 신호를 유도하는 수단(means for deriving), 적어도 2 차 간격 동안에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시간 선택 비교 수단(time-selective comparison means), 및 비교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적분 수단(integration means)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제 0 420 997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는 유도 소자가 변압기의 1 차 권선이며, 스위칭 소자가 턴 온(turn on) 및 턴 오프(turn off)되는 트랜지스터인 자체 발진 플라이백 변환기(self-oscillating flyback converter)를 개시하고 있다. 1 차 간격에서는,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며, 자기 에너지가 변압기에서 증가된다. 1 차 간격 뒤에 오는 2차 간격에서는,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되며, 증가된 에너지가 부하에 공급되고, 상기 부하는 다이오드를 통해서, 변압기의 2 차 권선에 접속되어 있다. 2 차 권선 양단의 전압 변화는 보조 권선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보조 권선은 2 차 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권선은 필요하지 않다. 2 차 권선 자체 또는 1 차 권선까지도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보조 권선 양단의 전압에서의 신호 반전들은 제 1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상기 타이밍 신호는 2 차 간격의 시작과 끝을 표시한다. 보조 권선 양단의 전압은 약 0의 값에서 변동된다. 2 차 간격 동안, 이러한 전압은 이를테면 음이 된다. 이러한 음의 전압의 크기는 부하 양단의 전압 측정값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보조 권선 양단의 전압이 단방향으로 측정된다. 즉 단지 음의 성분만이 통과되도록 허용되며, 제 1 타이밍 신호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 윈도우에서의 기준 신호와 비교된다. 그러므로 제 1 타이밍 신호에 의해 규정된 2 차 간격 동안에만 비교가 실시된다. 비교의 결과는 적분되고, 결과로서 생긴 제어 신호는 적분된 신호의 평균값이 최종적으로 0이 될 때까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오프 시간을 변화시킨다.
보조 권선 양단의 피드백 신호로부터 제 1 타이밍 신호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지연들의 소스가 되는 전자 회로들이 필요하다. 결과는 제 1 타이밍 신호의 에지들이 피드백 신호에서의 신호 반전들보다 지체되는 것이다. 이 후, 좀 더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이것은 기준 신호와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 사이의 시간 선택적으로 측정된 차에서의 2 차 간격의 끝에서 생성되는 에러 신호가 결과로서 생긴다. 이러한 에러 신호는 또한 적분되며, 그 결과로서, 부하 양단의 전압은 예측했던 것이 아닌 다른 값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지연에 의존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서 나타나는 신호 파형들을 도시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 나타나는 신호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서 이용되는 제 1 전압-전류 변환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서 이용되는 제 2 전압-전류 변환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전압의 지연 의존성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서두에 규정된 형태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1 차 간격 내에 있는 시작 순간과, 2 차 간격의 끝 순간을 적어도 앞서지 않는 끝 순간을 갖는 제 2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시간 선택 비교 수단은 제 1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기준 신호를 이전(transfer)하는 제 1 시간 선택 소자, 및 제 2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를 이전하는 제 2 시간 선택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 신호와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는 동일한 타이밍 신호, 즉 제 1 타이밍 신호에 의해 더 이상 이전, 비교 및 시간 선택적으로 적분이 되지 않고, 다른 타임 신호들에 의해 실행된다. 기준 신호는 제 1 타이밍 신호에 의해 시간 선택적으로 이전되며,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의 선행 에지(leading edge)와 후미 에지(trial edge)는 지연을 하게 된다.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는 제 2 타이밍신호에 의해 시간 선택적으로 이전되며,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의 후미 에지는 실질적으로 제 1 타이밍 신호의 그것과 일치하지만 제 1 타이밍 신호의 선행 에지는 1 차 간격에서의 어느 곳에서 발생한다. 이 후, 더욱 상세히 설명이 되겠지만, 이러한 결과는 차 신호의 적분 동안 보상된 에러 신호와, 시간 선택적으로 이전된 단 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의 손실 부분을 유발한다. 제 2 타이밍 신호의 선행 에지는 스위칭 소자가 1 차 간격 동안에 턴 온됨에 의해 상기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이러한 유도는 지연이 동반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지연이 1 차 간격보다 더 작을 동안에는, 이러한 지연은 아무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경우에서, N형 FET 스위칭 트랜지스터(2)와 같은 스위칭 소자가 다이오드(10)를 통해 부하(도시 안 됨)에 접속된 2 차 권선(8)을 가진 변압기(6)의 1 차 권선(4)과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 변압기(6)는 보조 권선(12)을 더 포함한다. 2 차 권선(8)과 보조 권선(12)은 한 쪽을 접지에 접속시킨다. 1 차 권선(4)은 한 쪽을 양의 전압에 접속시킨다. 1 차 권선(4)의 다른 쪽은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통해 접지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로서 트랜지스터의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대안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이 명백할 것이다. 원한다면,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반대의 도전형일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공급 전압이 접지에 대해 음이어야 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구동기(14)에 의해 공급된 제어 신호(UD)에 의해 턴온 및 턴 오프된다. 보조 권선(12) 양단의 전압(UFB)은 비교기(16)에서의 접지 전위와 비교되며 상기 비교기는 논리 유닛(18)를 제어한다. 상기 논리 유닛은 차례대로, 제 1 타이밍 신호(TM1)를 발생시킨다. 전압(UFB)의 음의 부분들은 단방향의 전압-전류 변환기(20)에 의해 전류(IFB)로 변환된다. 전류(IFB)는 피드백 신호로서 기능하며 차이 단(difference stage)(22)에서 기준 전류(IR)와 비교된다. 상기 기준 전류는 전압-전류 변환기(24)에 의해 기준전압(UR)으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전류들 (IR 및 IFB)의 차(IE)는 제 1 타이밍 신호(TM1)의 명령 하에서 닫혀지는 스위치로 나타나는 시간 선택 소자(26)에 의해 샘플링된다. 샘플링된 차 신호(I* E)는 제어 신호(UC)를 형성하기 위해 적분기(28)내에서 적분된다. 제어신호(UC)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가 구동기(14)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되는 동안에, 시간 간격들 간의 비율을 제어한다. 전압들(UFB UR)의 전류로의 변환은 단지 예의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며 원한다면, 삭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알려진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의 동작은,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에 나타나는 신호 파형들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순간(t1)에서 턴 온되며, 순간(t2)에서 턴 오프된다. 순간들(t1 t2) 사이의 간격은 1 차 간격(Tp)이며, 이 간격에서는 공급 전압이 1 차 권선(4) 양단에 인가되며 에너지가 변압기(6)에서 증가된다. 그 후, 다이오드(10)가 차단되며, 어떤 전류도부하로 흐르지 않는다. 보조 권선(12) 양단의 전압(UFB)은 접지에 대해 양이다. 순간(t2)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2)가 턴 오프되며, 저장된 에너지가 2 차 권선(8)으로 이전된다. 그 후, 변압기들의 권선들 양단에 나타나는 전압들은 부호가 바뀌게 된다. 이제 2 차 간격(TS)이 시작되며, 전류가 다이오드(10)를 통해 부하로 흐른다. 이러한 전류는 감소하며, 순간(T3)에서 0이 된다. 이것은 2 차 간격(TS)의 종료를 표시한다. 그 후, 전압(UFB)은 단순성을 위해 직선으로 도시된 사인 라인(sinusoidal line)에 따라 주어진 음의 값에서 0으로 뛰어 오른다. 다이오드(10)를 흐르는 전류가 0이 된 후, 그 결과, 2 차 권선(8) 양단의 전압과 또한 보조 권선(12) 양단의 전압은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다시 턴 온될 때까지 발진한다.
신호(UFB)에서, 순간(t2)에서 음의 전압 과도상태와 순간(t3)에서 양의 전압과도상태가 비교기(16)에 의해 검출되며, 논리 유닛(18)에서 제 1 타이밍 신호로 변환된다. 이상적인 경우, 상기 검출 및 변환은 어떠한 지연 없이 진행된다. 도 2에서는,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와 대응하는 신호 파형들은 TM1i, I* Ri, I* FBi,I* Ei로 표시되며 각각, 시간 선택소자(26)에 대한 제 1 타이밍 신호, 샘플링된 기준 전류,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 및 샘플링된 에러 전류를 나타낸다. 최종 상태에서, 샘플링 된 기준 전류(I* Ei)의 평균값이 0이 되며, 부하 양단의 출력 전압은 기준 전압(UR)에 대한 고정적인 비율로 되어 있는 값을 갖는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제 1 타이밍 신호(TM1)의 에지들의 발생은 비교기(16)및 논리 유닛(18)에서 지연하기 쉽고, 제 1 타이밍 신호의 선행 및 후미 에지들은각각 시간들(D1 및 D2)만큼 지연된다. 도 2에서는, 실제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파형들이 TM1, I* R, I* FB 및 I* E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시간 선택 소자(26)에 대한 지연된 제 1 타이밍 신호, 마찬가지로 지연된 샘플링된 기준 전류,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 및 샘플링된 에러 전류를 나타낸다. 순간(t2)후에 지연 시간(D1)에서 발생하는 신호 부분은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I* FB)에 존재하지 않는다. 순간(t3)에서, 즉, 샘플링된 기준 전류(I* R)가 0으로 돌아가기 전에,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I* FB)는 다시 0으로 된다. 지금 샘플링된 차 전류(I* E)는 순간(t3)후에 지연 시간(D2) 동안 불필요한 양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또한 성분은 적분이 되고, 그 결과로서, 샘플링된 차 전류(I* E)의 평균값이 0이 되는 최종 상태에서의 출력 전압은 예측된 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값을 갖는다. 출력 전압은 결과적으로 지연 시간들(D1 및 D2)에 의존한다. 이것은 짧은 2 차 간격들의 경우, 즉 작은 부하들이 있는 경우, 특히 문제가 된다.
도 3은 지연에 대한 의존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연관된 신호 파형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기준 전류(IR)는 지연된 제 1 타이밍 신호(TM1)의 명령 하에서, 시간 선택 소자(26)에 의해 이전된다. 이것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링된 기준 전류(I* R)를 유발한다. 그러나 피드백 전류(IFB)는 제 2 타이밍 신호(TM2)의 명령 하에서, 제 2 시간 선택 소자(30)에 의해 이전된다.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의 선행 에지는 1 차 간격(Tp)에서의 순간(t4)에서 발생하며, 후미 에지는 제 1 타이밍 신호(TM1)의 후미 에지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 2 타이밍 신호(TM2)의 후미 에지는 순간(t3)에서, 2 차 간격(TS)의 끝과 일치하거나, 전압(UFB)의 제 1 양의 반 사이클 내에서 순간(t3)후 임의의 순간과 일치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1* FB)는 순간(t2)후에, 지연 시간(D1) 동안 발생하는 음의 신호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의 신호 부분은 순간(t3)후 지연 시간(D2)동안에 발생하는 샘플링된 에어 전류(1* E)에서의 양의 신호 부분에 대해 보상한다. 샘플링된 기준 전류(l* R)에서의 에러 부분(error contribution)은 지연들(D1 및 D2)사이의 차에 의해 야기된다.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1* FB)에서의 에러 부분은 지연(D1)의 절대값에 의해 야기된다. 두 개의 별도의 시간 선택 소자들과 추가의 제 2 타이밍 신호로 된 구조는 샘플링된 피드백 전류에서의 에러 부분을 제거한다.
제 2 타이밍 신호(TM2)는 논리 유닛(32)에서 형성된다. 상기 논리 유닛은 제2 타이밍 신호(TM2)의 후미 에지를 규정하기 위해 제 1 타이밍 신호(TM1)를 수신한다. 제 2 타이밍 신호(TM2)의 후미 에지를 규정하기 위해, 논리 유닛(32)은 구동기(14)로부터 제어 신호(Ud)를 수신한다. 순간(t1)에서의 이러한 신호의 선행 에지는순간(t4)에서의 제 2 타이밍 신호(TM2)의 선행 에지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된다. 순간들(t1 및 t4) 사이의 가능한 지연(D3)은 순간(t4)이 1 차 간격(TP)에 있는 동안에는 어떠한 구실(part)도 하지 않는다.
단방향의 전압-전류 변환기(20)의 지연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지연은 비교적 간단한 수단에 의해 비교적 중요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이미터가 변환 저항기(36)를 통해 피드백 전압(UFB)에 접속되게 한 NPN 트랜지스터(34)를 도시하고 있다. 트랜지스터(34)는 알맞게 선택된 직류 전압원(38)에 접속된 그 베이스를 가지고, 제 2 시간 선택 소자(30)에 접속된 그 컬렉터를 가진다. 트랜지스터(34)는 단지 음으로 가는 신호에 대해서만 도전하며, 결과적으로 단방향이 된다. 전압-전류 변환은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며, 단지 트랜지스터(34)의 전이 주파수(FT)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대신에, 유니폴라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대안적 장치를·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접지에 비반전 입력, 트랜지스터(34)의 이미터에 반전 입력, 및 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에 출력을 접속시킨 연산 증폭기(40)에 의해서, 트랜지스터(34)의 이미터가 접지 전위에서 유지되고 있다. 다이오드(42) 및 전압원(44)을 포함하는 클램프는 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 바이어스를 제공한다.

Claims (7)

  1. 공급 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직렬로 배열된 유도 소자(예컨대, 1차 권선(4))및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 제어 신호(UC)에 응답하여 1 차 간격(TP) 동안 상기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닫고, 2 차 간격(TS) 동안 상기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를 여는 제어 수단(예컨대, 구동기(14)); 상기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가 열리고 닫히는 결과로서 상기 유도 소자(예컨대, 1차 권선(4)) 양단에 생성된 신호 전압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UFB)를 단방향으로 측정하는 측정 수단(예컨대, 전압-전류 변환기(20)); 상기 피드백 신호(UFB)로부터 상기 2 차 간격(TS)을 나타내는 제 1 타이밍신호(TM1)를 유도하는 수단(예컨대, 비교기(16) 및 논리 유닛(18)), 적어도 상기 2차 간격(TS) 동안 기준 신호(IR)와 상기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IFB)를 비교하는 시간 선택 비교 수단(예컨대, 차이 단(22) 및 시간 선택 소자(26)), 및 상기비교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UC)를 발생하는 적분 수단(28)을 포함하는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는 상기 1 차 간격(TP)내에 있는 시작 순간(t4)과, 상기 2 차 간격(TS)의 끝 순간을 적어도 앞서지 않는 끝 순간을 갖는 제 2 타이밍 신호(TM2)를 발생시키는 수단(예컨대, 논리 유닛(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선택 비교 수단은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TM1)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 신호(IR)를 이전(transfer)하는 제 1 시간 선택 소자(26), 및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TM2)에 응답하여 상기 단방향으로 측정된 피드백 신호(IFB)를 이전하는 제 2 시간 선택 소자(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 신호(TM2)를 발생시키는 수단(예컨대, 논리 유닛(32))은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TM1), 및 상기 스위칭 소자(예컨대, 스위칭 트랜지스터(2)) 에 대한 제어 신호(UD)를 수신하는 입력들을 갖는 논리 유닛(32)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으로 피드백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예컨대, 전압-전류 변환기(20))은 단방향 전압-전류 변환기의 형태를 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전압-전류 변환기는 저항기(36)를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UFB)를 수신하도록 접속된 이미터와, 상기 제 2 시간 선택 소자(30)에 접속된 컬렉터와, 바이어스 전압원(38)에 접속된 베이스를 갖는 트랜지스터(34)를 포함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34)는 그 베이스가 다이오드(42)를 통해 바이어스 전압원 (44)에 결합되고, 그 이미터가 차동 증폭기(40)의 반전 입력에 접속되며, 상기 차동 증폭기(40)는 신호 접지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과 상기 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기.
  6.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소자(예컨대, 1차 권선(4))는, 상기 피드백 신호(UFB)를 발생시키기 위한 보조 권선(12)을 갖는 변압기(6)의 1 차 권선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밍 신호(TM1)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상기 피드백 신호(UFB)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보조 권선(12)에 접속된 입력들을 갖는 비교기(16)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기.
KR1019980708886A 1997-03-05 1998-02-23 제어루프에서의지연과무관한타이밍을구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KR100544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648.0 1997-03-05
EP97200648 1997-03-05
PCT/IB1998/000216 WO1998039837A1 (en) 1997-03-05 1998-02-23 Switched-mode power supply having a delay-insensitive timing in the control loo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197A KR20000065197A (ko) 2000-11-06
KR100544042B1 true KR100544042B1 (ko) 2006-04-17

Family

ID=822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886A KR100544042B1 (ko) 1997-03-05 1998-02-23 제어루프에서의지연과무관한타이밍을구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01052A (ko)
EP (1) EP0901712B1 (ko)
JP (1) JP2000509958A (ko)
KR (1) KR100544042B1 (ko)
DE (1) DE69815971T2 (ko)
WO (1) WO1998039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9034B2 (en) 1997-01-24 2007-09-11 Synqor, Inc. High efficiency power converter
US6314010B1 (en) 2000-02-25 2001-11-0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lope-based primary feedback to control the off-time of a power supply
ATE488044T1 (de) 2000-09-22 2010-11-15 Ime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ochspannungserzeugung
US6531852B2 (en) 2000-09-22 2003-03-11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Ime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high voltage
US20060133115A1 (en) * 2004-12-22 2006-06-22 Phadke Vijay G Adaptive blanking of transformer primary-side feedback winding signals
GB2438463A (en) * 2006-05-23 2007-11-28 Cambridge Semiconductor Ltd Regulating the output of a switch mode power supply
GB2438465B (en) * 2006-05-23 2008-05-21 Cambridge Semiconductor Ltd Switch mode power supply controllers
US8446746B2 (en) * 2006-05-23 2013-05-21 Cambridge Semiconductor Limited Switch mode power supply controller with feedback signal decay sensing
WO2007135454A1 (en) * 2006-05-23 2007-11-29 Cambridge Semiconductor Limited Switch mode power supply controllers
US7583120B2 (en) * 2006-11-21 2009-09-01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Power supply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TWI374602B (en) * 2008-12-29 2012-10-11 Richtek Technology Corp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sensing voltage in th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CN102931819B (zh) * 2012-11-21 2014-04-16 清华大学 基于瞬态电磁能量平衡的电力电子变换器控制方法
US10199950B1 (en) 2013-07-02 2019-02-05 Vlt, Inc. Power distribution architecture with series-connected bus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802A (en) * 1979-08-08 1981-11-24 Hewlett-Packard Company Flyback power supply regulator
ES2051950T3 (es) * 1989-09-29 1994-07-01 Siemens Ag Disposicion de circuito para una fuente de alimentacion de conexion de transformador de bloqueo.
JPH0680385U (ja) * 1993-04-27 1994-11-0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424933A (en) * 1994-01-03 1995-06-13 Avionic Instruments, Inc. Resonant forward converter circuit with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switching transistor on and off times
DE69603697T2 (de) * 1995-10-02 2000-02-1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chaltnetzteil mit transformator und rückkopplung durch primärwicklung
US5831839A (en) * 1997-03-21 1998-11-03 U.S. Philips Corporation Switched-mod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9958A (ja) 2000-08-02
EP0901712A1 (en) 1999-03-17
EP0901712B1 (en) 2003-07-02
KR20000065197A (ko) 2000-11-06
US5901052A (en) 1999-05-04
WO1998039837A1 (en) 1998-09-11
DE69815971D1 (de) 2003-08-07
DE69815971T2 (de)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042B1 (ko) 제어루프에서의지연과무관한타이밍을구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기
US111083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precision and/or low loss regulation of output currents of power conversion systems
US1195589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resonant circuit signals to enhance control in a resonant converter
EP0636889B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with output current estimating circuit
JP3690814B2 (ja) 変成器及び1次巻線を介した帰還を有する切替モード電源
JP319894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817447B2 (en) Accurate voltage regulation of a primary-side regulation power supply in continuous conduction mode operation
US6356466B1 (en) Multimode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output stabilization
US9391523B2 (en) Controller with constant current limit
US5097403A (en) Current sensing synchronous rectifier apparatus
CN115389808B (zh) 电流检测电路及降压变换器
US64694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C load current of a switching power supply
JPH06189528A (ja) 電流モード制御式コンバータ回路
JPH0759150B2 (ja) ブロツキング発振式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ータ
US11817791B2 (en) Synchronous rectifier driver circuit, related integrated circuit, electronic resonant converter and method
EP0883230A2 (en) Switch control in quantized power converters
US5388041A (en) Method and a circuit for controlling an inverter to switch in the sliding mode and by PWM with a three-level output voltage
JPH0755045B2 (ja) Dc‐dc変換器の出力電流の間接検出及び制御回路
JPS6126304B2 (ko)
US7138731B2 (en) Switching converter having a controllable load element
US57104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verage motor current
CN219093931U (zh) 逆变焊机输出控制电路
JP2005049152A (ja) 電流検出回路
JP3953531B2 (ja) スイッチモード電源
JPH0545196A (ja) 電磁流量計の励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