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946B1 - 부트스트랩 회로 - Google Patents

부트스트랩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946B1
KR100542946B1 KR1019980045486A KR19980045486A KR100542946B1 KR 100542946 B1 KR100542946 B1 KR 100542946B1 KR 1019980045486 A KR1019980045486 A KR 1019980045486A KR 19980045486 A KR19980045486 A KR 19980045486A KR 100542946 B1 KR100542946 B1 KR 10054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node
signal
power supply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534A (ko
Inventor
서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4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94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부트스트랩 회로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부트스트랩 회로에서 전달 트랜지스터로 사용되는 NMOS 트랜지스터에 의한 전달 지연 시간 및 부트스트래핑 전위의 강하없이 출력되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서는 부트스트랩 회로의 전달 트랜지스터로서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이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회로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부트스트랩 회로
본 발명은 부트스트랩 회로(bootstrap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달 트랜지스터에 의한 전압 강하없이 부트스트래핑 전위를 출력할 수 있는 부트스트랩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저전압(low voltage)용 제품에서는 셀의 데이터를 독출할 때 안정적인 독출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공급된 전원 전압(VCC)보다 높은 전위가 셀의 게이트에 인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높은 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해 부트스트랩 회로가 필요하다.
종래의 부트스트랩 회로를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를 예로 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회로도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프리차지부(1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에 따라 전원 전압(VCC)을 제 1 노드(Q1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3 노드(Q1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3 노드(Q13)와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는 제 3 노드(Q13)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프리차지부(12)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에 따라 전원 전압(VCC)을 제 2 노드(Q12)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N13)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4 노드(Q14)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다. 제 3 PMOS 트랜지스터(P13)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4 노드(Q14)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된다. 제 4 PMOS 트랜지스터(P14)는 제 4 노드(Q14)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된다. 제 4 NMOS 트랜지스터(N14)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된다.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는 제 5 노드(Q15)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1 노드(Q11)과 제 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되어 전달 트랜지스터로 작용한다.
구동부(13)는 제 2 신호(CLK2)와 제 2 노드(Q12)의 전위에 따라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6 NMOS 트랜지스터(N16)는 제 2 노드(Q12)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2 신호(CLK2)를 제 1 노드(Q11)에 전달한다. 제 5 PMOS 트랜지스터(P15)는 제 2 신호(CLK2)의 전위를 유지하는 제 5 노드(Q15)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3 신호 입력단과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된다.
한편, 제 1 캐패시터(C11)는 제 1 신호(CLK1)가 입력되는 제 1 신호 입력단과 제 1 노드(Q11) 사이에 접속되고, 제 2 캐패시터(C12)는 제 3 신호(CLK3)가 입력되는 제 3 신호 입력단과 제 2 노드(Q12) 사이에 접속되며, 제 3 캐패시터(C13)는 제 2 신호(CLK2)가 입력되는 제 2 신호 입력단과 구동부(13)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구동 방법을 각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1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제 2 및 제 3 신호(CLK1, CLK2 및 CLK3)가 로우 상태를 유지할 경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프리차지부(11)의 제 2 NMOS 트랜지스터(N12)는 입력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전원 전압(VCC)에서 문턱 전압(VT)만큼 뺀 전압을 제 1 노드(Q11)에 공급하므로 제 1 노드(Q11)는 {VCC-VT}의 전위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반전된 제 1 신호(CLK1b), 즉 하이 상태의 신호가 제 1 프리차지부(11)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가 턴온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가 턴오프되어 제 3 노드(Q13)의 전위를 접지 전위(VSS)로 강하시킨다. 접지 전위(VSS)로 강하된, 즉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13)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가 턴온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CC)이 제 1 노드(Q11)로 공급되어 제 1 노드(Q11)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 전위는 제 1 캐패시터(C11)에 차지되고, 제 1 신호(CLK1)이 로우 상태로 입력되므로 제 1 노드(Q11)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제 2 프리차지부(12)는 제 1 프리차지부(11)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프리차지부(11)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따라서, 제 2 노드(Q12)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되고, 이 전위가 제 2 캐패시터(C12)에 차지된다. 한편, 제 3 신호(CLK3)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 2 노드(Q12)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12)의 전위에 의해 구동부(13)의 제 6 NMOS 트랜지스터(N16)가 턴온되어 제 2 신호(CLK2)의 전위가 제 1 노드(Q11)로 공급되지만, 제 2 신호(CLK2)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1 노드(Q11)의 전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로우 상태의 제 2 신호(CLK2)에 의해 제 5 PMOS 트랜지스터(P15)가 턴온되어 제 1 노드(Q11)에 제 2 신호(CLK2)의 전위를 공급하지만 마찬가지로 제 1 노드(Q11)의 전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로우 상태로 인가되는 제 2 신호(CLK2)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가 턴오프된다.
T2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신호(CLK1)가 하이 상태로 천이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노드(Q11)가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반전된 제 1 신호(CLK1b), 즉 로우 상태의 신호가 제 1 프리차지부(11)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NMOS 트랜지스터(N11)가 턴오프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가 턴온되어 제 3 노드(Q13)의 전위는 제 1 노드(Q11)의 전위와 같은 전원 전압(VCC)의 전위로 된다.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즉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13)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1 노드(Q11)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신호(CLK1)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므로 제 1 노드(Q11)는 전원 전압(VCC)에 제 1 신호(CLK1)의 전위가 더해진 전위(이하, 편의상 부팅 전위라 칭함)를 유지하게 된다.
제 2 프리차지부(12)는 제 1 프리차지부(11)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프리차지부(11)와 동일하게 동작되고, 제 3 신호(CLK3)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 2 노드(Q12)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12)의 전위에 의해 구동부(13)의 제 6 NMOS 트랜지스터(N16)가 턴온되어 제 2 신호(CLK2)의 전위가 제 1 노드(Q11)로 공급되지만, 제 2 신호(CLK2)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1 노드(Q11)의 전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로우 상태의 제 2 신호(CLK2)에 의해 제 5 PMOS 트랜지스터(P15)가 턴온되어 제 1 노드(Q11)에 제 2 신호(CLK2)의 전위를 공급하지만 마찬가지로 제 1 노드(Q11)의 전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로우 상태로 인가되는 제 2 신호(CLK2)에 의해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가 턴오프된다.
T3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신호(CLK1 및 CLK2)가 하이 상태를 유지할 경우의 회로 구동을 설명한다. 상기 T2 구간에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1 노드(Q11)는 부팅 전위(전원 전압(VCC)에 제 1 신호(CLK1)의 전위가 더해진 전위)로 유지되고, 제 2 노드(Q12)는 제 3 신호(CLK3)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13)에 인가되는 제 2 신호(CLK2)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면,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가 턴온되어 제 1 노드(Q11)의 전위가 제 2 노드(Q12)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 2 노드(Q12)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에 제 1 노드로부터 전달받은 전위를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제 2 노드(Q12)는 부팅 전위(전원 전압의 전위(VCC)+제 1 신호의 전위)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제 1 노드(Q11)의 전위가 공급될 때, 제 5 NMOS 트랜지스터(N15)의 문턱 전압을 뺀 전위가 공급되고, 문턱 전압이 상대적으로 큰 NMOS 트랜지스터를 전달 트랜지스터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달 시간이 지연된다.
T4 구간에서와 같이, 제 3 신호(CLK3)가 하이 상태로 인가될 경우, 제 2 노드(Q12)의 전위가 {부팅 전위+제 3 신호의 전위-제 5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으로 되고, 이 전위가 워드라인으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종래의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는 전달 트랜지스터로서,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 1 노드(Q11)의 전위가 전달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만큼 강하되어 제 2 노드(Q12)에 공급된다. 또한, 문턱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전달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트스트래핑 전위를 전압 강하 및 지연 시간없이 출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트스트랩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신호 및 반전된 제 1 신호에 따라 입력 노드의 전위를 제 1 전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제 1 수단과, 제 2 신호 및 반전된 제 1 신호에 따라 출력 노드의 전위를 제 1 전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제 2 수단과, 상기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간에 접속된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P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상기 출력 노드의 전위를 제 2 전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제 3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회로도이고, 도 4는 상기 회로에 인가되는 각 신호의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프리차지부(2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에 따라 전원 전압(VCC)을 제 1 노드(Q21)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3 노드(Q23)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다.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3 노드(Q23)와 제 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는 제 3 노드(Q23)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NMOS 트랜지스터(N22)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된다.
제 2 프리차지부(22)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에 따라 전원 전압(VCC)을 제 2 노드(Q22)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3 NMOS 트랜지스터(N23)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4 노드(Q24)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된다. 제 3 PMOS 트랜지스터(P23)는 반전된 제 1 신호(CLK1b)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4 노드(Q24)와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된다. 제 4 PMOS 트랜지스터(P24)는 제 4 노드(Q24)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된다. 제 4 NMOS 트랜지스터(N24)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전원 단자와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된다.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는 제 5 노드(Q15)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하며, 제 1 노드(Q21)와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되어 전달 트랜지스터로 작용한다.
구동부(23)는 제 2 신호(CLK2)와 제 2 노드(Q22)의 전위에 따라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 6 PMOS 트랜지스터(P26)는 제 2 노드(Q22)와 제 6 노드(Q26) 사이에 접속되며, 제 5 노드(Q25)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한다. 제 7 PMOS 트랜지스터(P27)는 제 2 노드(Q22)와 제 6 노드(Q26) 사이에 접속되며, 제 6 노드(Q26)의 전위를 게이트 입력으로 한다. 제 8 및 제 9 NMOS 트랜지스터(N28 및 N29)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여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며, 제 6 및 제 5 노드(Q26 및 Q25)의 전위를 패스시킨다.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는 제 8 NMOS 트랜지스터(N28)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고, 제 2 신호(CLK2)를 게이트 입력으로 한다. 제 7 NMOS 트랜지스터(N27)는 제 9 NMOS 트랜지스터(N29)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고, 인버터(I)에 의해 반전된 제 2 신호(CLK2)를 게이트 입력으로 한다.
한편, 제 1 캐패시터(C21)는 제 1 신호(CLK1)가 입력되는 제 1 신호 입력단과 제 1 노드(Q21) 사이에 접속되고, 제 2 캐패시터(C22)는 제 2 신호(CLK2)가 입력되는 제 2 신호 입력단과 제 2 노드(Q22)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구동 방법을 각 신호의 출력 파형을 도시한 도 4를 참고로 설명한다.
T1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신호(CLK1 및 CLK2)가 로우 상태를 유지할 경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프리차지부(21)의 제 2 NMOS 트랜지스터(N22)는 입력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전원 전압(VCC)에서 문턱 전압(VT)만큼 뺀 전압을 제 1 노드(Q21)에 공급하므로 제 1 노드(Q21)는 {VCC-VT}의 전위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반전된 제 1 신호(CLK1b), 즉 하이 상태의 신호가 제 1 프리차지부(21)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가 턴온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오프되어 제 3 노드(Q23)의 전위를 접지 전위(VSS)로 강하시킨다. 접지 전위(VSS)로 강하된, 즉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23)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가 턴온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CC)이 제 1 노드(Q21)로 공급되어 제 1 노드(Q21)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 전위는 제 1 캐패시터(C21)에 차지되고, 제 1 신호(CLK1)가 로우 상태로 입력되므로 제 1 노드(Q21)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제 2 프리차지부(22)는 제 1 프리차지부(21)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프리차지부(21)와 동일하게 동작된다. 따라서, 제 2 노드(Q22)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되고, 이 전위가 제 2 캐패시터(C22)에 차지된다. 한편, 제 2 신호(CLK2)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 2 노드(Q22)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의 제 2 신호(CLK2)가 구동부(23)의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에 인가되어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을 턴오프시키고, 인버터(I)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7 NMOS 트랜지스터(N27)을 턴온시킨다. 제 8 및 제 9 NMOS 트랜지스터(N28 및 N29)는 전원 전압(VCC)을 게이트 입력으로 하여 항상 턴온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턴온된 제 7 및 제 9 NMOS 트랜지스터(N27 및 N29)에 의해 제 5 노드(Q25)의 전위가 접지 전위(VSS), 즉 로우 상태의 전위로 된다. 로우 상태의 제 5 노드(Q25)의 전위에 의해 제 6 PMOS 트랜지스터(P26)가 턴온되어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2)의 전위가 인가되어 제 6 노드(Q26)은 하이 상태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6 노드(Q26)의 전위에 의해 제 7 PMOS 트랜지스터(P27)가 턴오프된다. 한편, 로우 상태의 제 5 노드(Q25)의 전위에 의해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가 턴온되지만, 제 1 노드(Q21)의 전위와 제 2 노드(Q22)의 전위는 같기 때문에 전하는 이동되지 않는다.
T2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신호(CLK1)가 하이 상태로 천이할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 노드(Q21)가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반전된 제 1 신호(CLK1b), 즉 로우 상태의 신호가 제 1 프리차지부(21)의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 및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가 턴오프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온되어 제 3 노드(Q23)의 전위는 제 1 노드(Q21)의 전위와 같은 전원 전압(VCC)의 전위로 된다.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는, 즉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제 3 노드(Q23)의 전위에 의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2)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1 노드(Q21)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신호(CLK1)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므로 제 1 노드(Q11)는 전원 전압(VCC)에 제 1 신호(CLK1)의 전위가 더해진 전위(이하, 편의상 부팅 전위라 함)를 유지하게 된다.
제 2 프리차지부(22)는 제 1 프리차지부(21)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프리차지부(21)와 동일하게 동작되고, 제 2 신호(CLK2)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기 때문에 제 2 노드(Q22)는 계속해서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로우 상태의 제 2 신호(CLK2)에 의해 구동부(23)는 상술한 T1 구간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를 턴온시킨다. 이때, 제 1 노드(Q21)의 전위는 부팅 전위를 유지하고, 제 2 노드(Q22)의 전위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 1 노드(Q21)의 전위가 제 2 노드(Q22)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노드(Q22)는 전원 전압(VCC)의 전위에 제 1 신호(CLK1)의 전위가 더해진 부트스트래핑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전달 트랜지스터로 사용되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는 문턱 전압이 작기 때문에 전달 지연 시간이 거의 없이 제 1 노드(Q21)의 전위가 제 2 노드(Q22)로 전달된다.
T3 구간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신호(CLK1 및 CLK2)가 하이 상태를 유지할 경우의 회로 구동을 설명한다. 상기 T2 구간에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 1 노드(Q11)는 턴온된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를 통해 제 1 신호(CLK1)의 전위만큼이 제 2 노드(Q22)로 전달되어 전원 전압(VCC)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 2 노드(Q22)는 하이 상태의 제 2 신호(CLK2)가 인가되어 부팅 전위에 제 2 신호(CLK2)의 전위가 더해진 브트스트래핑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하이 상태의 제 2 신호(CLK2)에 의해 구동부(23)의 제 6 NMOS 트랜지스터(N26)가 턴온되고, 인버터(I)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7 NMOS 트랜지스터(N27)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5 노드(Q25)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 6 노드(Q26)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가 턴오프되어, 부팅 전위를 유지하는 제 1 노드(Q21)보다 높은 전위, 즉 부팅 전위에 제 2 신호(CLK2)의 전위가 더해진 전위(편의상 부트스트래핑 전위)를 유지하는 제 2 노드(Q22)의 전위가 제 1 노드(Q21)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부트스트래핑 전위가 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달 트랜지스터에 의한 전압 강하없이 부트스트래핑 전위를 워드라인에 시간 지연없이 전달할 수 있어 액세스(access) 시간 감소와 센스 증폭기의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인가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드라인 부트스트랩 회로에 인가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21 : 제 1 프리차지부 12, 22 : 제 2 프리차지부
13, 23 : 구동부
P11 내지 P15 : 제 1 내지 제 5 PMOS 트랜지스터
N11 내지 N16 : 제 1 내지 제 6 NMOS 트랜지스터
C11 내지 C13 : 제 1 내지 제 3 캐패시터
Q11 내지 Q15 : 제 1 내지 제 5 노드
P21 내지 P27 : 제 1 내지 제 7 PMOS 트랜지스터
N21 내지 N29 : 제 1 내지 제 9 NMOS 트랜지스터
C21 및 C22 : 제 1 및 제 2 캐패시터
Q21 내지 Q26 : 제 1 내지 제 6 노드
I : 인버터

Claims (3)

  1. 제 1 신호 및 반전된 제 1 신호에 따라 입력 노드의 전위를 제 1 전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제 1 수단과,
    상기 제 1 신호의 전위를 상기 입력 노드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전위를 제 2 전위로 상승시키는 제 1 캐피시터부와,
    상기 반전된 제 1 신호에 따라 출력 노드의 전위를 제 1 전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제 2 수단과,
    상기 제 2 신호의 전위를 상기 출력 노드에 전달하여 상기 제 1 전위를 제 3 전위로 상승시키는 제 2 캐피시터부와,
    상기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를 연결시켜 상기 입력 노드의 전위를 상기 출력 노드로 전달하기 위한 P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출력 노드의 전위에 따라 상기 PNMOS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3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스트랩 회로.
  2. 제 1 항에 이Tdj서,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출력 노드와 제 1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1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에 접속된 제 2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노드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된 제 2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스트랩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PMOS 트랜지스터는 교차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스트랩 회로.
KR1019980045486A 1998-10-28 1998-10-28 부트스트랩 회로 KR10054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86A KR100542946B1 (ko) 1998-10-28 1998-10-28 부트스트랩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86A KR100542946B1 (ko) 1998-10-28 1998-10-28 부트스트랩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34A KR20000027534A (ko) 2000-05-15
KR100542946B1 true KR100542946B1 (ko) 2006-09-13

Family

ID=1955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486A KR100542946B1 (ko) 1998-10-28 1998-10-28 부트스트랩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9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645A (ko) * 1990-07-14 1992-02-29 문정환 더미워드선 부트스트랩 회로
KR950030341A (ko) * 1994-04-29 1995-11-24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부스트랩 회로
KR980004932A (ko) * 1996-06-01 1998-03-30 문정환 독립적인 웰 바이어스 전압을 가진 전압 펌프 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645A (ko) * 1990-07-14 1992-02-29 문정환 더미워드선 부트스트랩 회로
KR950030341A (ko) * 1994-04-29 1995-11-24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부스트랩 회로
KR980004932A (ko) * 1996-06-01 1998-03-30 문정환 독립적인 웰 바이어스 전압을 가진 전압 펌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34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5904B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tri-state logic gate circuit
KR960001107B1 (ko) 메모리 장치
KR100328161B1 (ko) 집적 회로 메모리
US5798972A (en) High-speed main amplifier with reduced access and output disable time periods
GB2287112A (en) Auto-precharg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KR0146387B1 (ko) 플립플롭형 증폭 회로
JPH06150648A (ja) カラム選択回路
US5708607A (en) Data read circuit of a memory
US681320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circuit for precharging data line
JPS63188887A (ja) 半導体メモリ
US6031769A (en) Data read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40013021A1 (en) Bus interface circuit and receiver circuit
US5305272A (en) Sense amplifier circuit
US629241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724299A (en) Multiport register file memory using small voltage swing for write operation
US5051955A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improved data readout scheme
KR950006300B1 (ko) 반도체 메모리 회로
KR100328322B1 (ko) 버스 구동 회로 및 이 버스 구동 회로를 갖는 메모리 장치
KR980011464A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타라인 등화 제어회로
KR100542946B1 (ko) 부트스트랩 회로
US5644547A (en) Multiport memory cell
KR100291120B1 (ko) 3v/5v허용출력드라이버회로를구비한반도체장치
JP2002056681A (ja) メモリ装置
JP3599963B2 (ja) 半導体集積回路
JP2557337B2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