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702B1 -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702B1
KR100542702B1 KR1019980052627A KR19980052627A KR100542702B1 KR 100542702 B1 KR100542702 B1 KR 100542702B1 KR 1019980052627 A KR1019980052627 A KR 1019980052627A KR 19980052627 A KR19980052627 A KR 19980052627A KR 100542702 B1 KR100542702 B1 KR 10054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base station
level value
terminal
soli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848A (ko
Inventor
이재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7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오버(Handover) 권유 방식의 트래픽(Traffic) 분산을 이용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트래픽이 집중된 경우에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을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도록 한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에서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통화가 가능한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본 발명은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오버(Handover) 권유 방식의 트래픽(Traffic) 분산을 이용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트래픽이 집중된 경우에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을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키도록 한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선 시스템(Radio System) 중에서 무선 채널이 무한한 존재하는 시스템은 없다. 특히, 기지국과 통화할 수 있는 반경이 100 ~ 수백(m) 정도인 피코-셀(Pico-cell) 무선 시스템인 경우는 하나의 기지국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통화 수는 최소 4 ~ 5 개에서 최대 수십 개 정도에 불과하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x Access) 시스템인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communication) 시스템인 경우는 반경이 100 ~ 300(m) 정도이며, 하나의 기지국이 최대 12 개의 통화가 가능한데, 통상 6 개 정도의 통화만을 가능하게 한다.
해당 DECT 시스템의 경우에 모든 통화 또는 핸드오버 등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즉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다른 단말이 통화하고 있지 않은 조용(Quiet)한 상태의 빈 채널로 기지국에 통화를 요구한다.
또한, 모든 단말이 항상 현재 통화하고 있는 무선 신호의 크기(Radio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와 무선 채널의 품질(Quality)을 모니터(Monitor)하고 있으면서 무선 채널의 품질이 어떤 기준치(Threshold) 이하인 경우,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게 된다.
이 때,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시도가 적절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 해당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시도가 적절한 응답이 있는 경우에 해당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종래 무선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기지국(11, 12)과, 해당 기지국(11, 12)의 무선 서비스를 받는 다수 개의 단말(13)과, 해당 기지국(11, 12) 간을 연결시켜 주는 무선 교환 시스템(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무선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모든 채널의 통화 시도와 핸드오버의 결정 권한이 모두 단말(13)에게 주어지므로 기지국(11, 12)과 무선 교환 시스템(14)은 단지 해당 단말(13)의 시도에 대해서 빈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에 응답을 받아 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응답을 할 수 없게 된다.
무선 채널이 모두 사용 중인 경우에는 기지국(11, 12)은 단말(13)이 통화 요구 또는 핸드오버 요구를 했는지 아니면 안 했는지도 알 수 없게 된다. 즉, 하나의 제2기지국(12)이 최대 5 통화를 지원한다고 가정하면 현재 5 개의 단말(13)이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런데 만약 5 개의 단말(13)이 모두 통화 중이라고 할 경우에 새로운 단말(13-1)이 제2기지국(12)으로 통화 요구를 할 수 있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가 성립되지 않는다.
결국, 해당 새로운 단말(13-1)은 다른 단말(13)의 통화가 완료된 다음에 채널이 빌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복잡한 사무실과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단말이 동시에 통화를 하는 경우가 존재하는데, 이런 경우에 새로 통화를 시도하는 단말은 채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복잡한 기지국으로 이동하고 있는 단말의 경우는 핸드오버를 해야만 하는데, 빈 채널이 없는 경우에 통화가 끊어질 수밖에 없었다.
결국, 새로 통화하려는 단말은 채널이 빌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고 핸드오버를 해야 하는 단말은 통화할 수 있는 영역으로 벗어났음을 경고(Warning)하는 정도밖에 제공해 줄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시스템은 단말이 통화 시도를 하는 경우에 비어 있는 통화 채널이 없으면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으며, 특히 특정 트래픽이 많은 기지국으로 이동 중인 단말의 경우에 핸드오버해야 하는데, 해당 기지국에 빈 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훨씬 품질이 좋지 않은 먼 기지국과 통화를 해야만 하고 심하면 통화가 끊어질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DECT 시스템과 같은 피코-셀 무선 시스템에서 한정된 무선 채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오버 권유 방식의 트래픽 분산을 통한 효과적인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트래픽이 집중된 경우에 해당 무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에게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킴으로써, 무선 채널의 집중을 방지하여 해당 기지국 내에서의 신규 통화 및 그 기지국 내로의 접근 단말기에게 원활하게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은 기지국에서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통화가 가능한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은 기지국에서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RSSI 레벨 값을 설정하여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각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래픽이 특정 기지국에 집중되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당 트래픽을 분산시켜 주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DECT와 같은 피코-셀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나의 기지국이 지원할 수 있는 최대 통화 수는 최소 4 ~ 5 개에서 최대 수십 개 정도로 한정되어 있고 또한 사무실이나 빌딩 내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기지국 설치 시에 중첩 지역(Area)을 효과적으로 감안하여 해당 기지국을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통화, 즉 트래픽이 집중되는 경우에 해당 기지국과 통화하고 있는 단말의 수가 최대 허용 가능 통화 수에 근접한 어떤 기준치(Threshold)를 넘어서면, 해당 기지국은 모든 단말에게 인접한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라는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전송해 준다. 그리고, 해당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현재의 무선 채널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접한 기지국 중에 어느 정도 이상의 RSSI와 무선 채널 품질을 가지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현재 통화하고 있는 기지국과 계속 통화를 지속하도록 하는데, 즉 해당 기지국으로만 통화해야 하는 단말은 계속 통화를 지속하며 다른 기지국으로 통화를 해도 영향을 적게 받는 단말은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킨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트래픽이 집중되는 경우에 이를 인접 기지국으로 분산시켜 해당 기지국과 통화하고 있는 단말의 수를 줄여 통화할 수 있는 여유 채널을 확보함으로써, 다른 신규 트래픽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4는 도 3에 있어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기지국(20)과, 제2기지국(30)과, 해당 제1기지국(20)의 무선 서비스를 받는 다수 개의 단말(21 ~ 26)과, 해당 제2기지국(30)의 무선 서비스를 받는 단말(31)과, 해당 기지국(20, 30) 간을 연결시켜 주는 교환 시스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기지국(20)은 최대 통화 수가 5 개인 경우를 나타내는데, 최대 통화 수인 제1에서 제5단말(21 ~ 25)까지의 모두가 통화에 이르는 경우에,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인접한 제2기지국(30)으로 핸드오버하라는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전송해 준다. 그럼으로써, 해당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21 ~ 25)은 각각 자기가 핸드오버할 수 있는지를 스스로 체킹(Checking)하는데, 즉 인접한 제2기지국(20)이 가까이 있는지를 체킹한 결과로, 상기 제2기지국(30)과 통화가 가능한 제5단말(25)은 상기 제2기지국(30)으로 핸드오버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제1기지국(20)은 통화 중인 채널이 4 개로 되며, 통화가 가능한 비어 있는 여유 채널이 하나 생겨 새로운 제6단말(26)이 통화를 요구할 경우에 제1기지국(20)은 해당 통화 요구에 응답하며, 해당 제6단말(26)은 제1기지국(20)에 로킹(Locking)되어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DECT 시스템인 경우에는 단말이 모든 통화나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단말의 핸드오버 권유를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받아들이지 말 것인지를 해당 단말이 결정하나, 셀룰라(Cellular)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이 자기의 정보를 기지국에 발송하여 기지국이 단말의 정보를 보고 적절한 단말을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도 3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고정(Fixed) RSSI 레벨의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기지국에서는 신규로 어떤 트래픽이 새로 발생하는 경우, 즉 신규 통화 요구 또는 핸드오버된 통화 요구로 새로운 트래픽이 형성되는 경우를 확인하며(단계 S1), 현재의 기지국에서 처리하고 있는 통화 수를 체킹하여 위험 기준치(Danger Threshold)에 이른 경우, 즉 통화하고 있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2).
만약, 상기 제2단계(S2)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종래와 동일하게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며(단계 S3), 상기 제2단계(S2)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핸드오버를 권유하라는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시킨다(단계 S4).
상기 고정된 RSSI 레벨의 핸드오버 알고리즘은 상기 기지국에서는 단말에게 단지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만을 각 단말에 송출해 주며 실제 핸드오버의 결정은 해당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한 모든 단말에서 정하게 된다.
즉, 모든 단말에서는 상기 기지국 측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5), 상기 기지국이 고정된 RSSI 레벨 이상의 레벨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핸드오버가 상기 기지국으로 가능한지를 스스로 체킹한다(단계 S6).
여기서, 상기 제6단계(S6)에서 체킹한 결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현재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하며(단계 S7), 상기 제6단계(S6)에서 체킹한 결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면 통화가 가능한 다른 기지국 측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여 해당 다른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한다(단계 S8).
상기 제4단계(S4)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는 타이머 인터럽트(Timer Interrupt)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트래픽의 상황을 다시 조회하고 통화 채널이 줄어들어 비교적 여유 채널이 존재할 때까지 단말에게 핸드오버를 권유하는데, 도 4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가 활성화되었는지를 확인하며(단계 S4-1), 해당 제4-1단계(S4-1)에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면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송출해 준다(단계 S4-2).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지났는지를 확인한 후에(단계 S4-3),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Safe Threshold) 이하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4). 그리고, 만약 해당 제4-4단계(S4-4)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상이면, 계속해서 상기 제4-2단계(S4-2)의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송출하게 한다. 반면에 해당 제4-4단계(S4-4)에서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통화 채널이 줄어들어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하이면, 해당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수행을 종료하게 한다(단계 S4-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는 RSSI 값을 줄여가면서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감소 가능(Reducible) RSSI 레벨의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즉, 기지국에서 미리 핸드오버할 변수인 RSSI 값을 전송하여 해당 RSSI 레벨 이상인 단말들만 핸드오버시키는데, 초기에는 해당 RSSI 값을 큰 값으로 설정하여 인접 기지국과 가까운 단말을 우선적으로 핸드오버시키고 정차 해당 RSSI 레벨 값을 감소시키면서 기지국이 약간의 여유 채널을 확보할 만큼만 단말들을 핸드오버시켜 주며, 너무 안 좋은 단말까지 핸드오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한 적정 레벨 이상의 RSSI 레벨 값을 설정하여 두도록 한다.
기지국에서는 새로운 트래픽의 형성이 요구되는 경우를 확인하며(단계 T1), 현재의 기지국에서 처리하고 있는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한다(단계 T2).
만약, 상기 제2단계(T2)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종래와 동일하게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며(단계 T3), 상기 제2단계(T2)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활성화시켜 기지국에서는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송출할 때에 인접 기지국이 얼마 정도 이상의 RSSI 레벨 값을 가질 때만 수신하도록 RSSI 레벨 값도 함께 송출하게 된다(단계 T4). 이때, 해당 RSSI 레벨 값은 최초 크게 설정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각 단말에서는 상기 기지국 측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하며(단계 T5),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 중 RSSI 레벨 값을 조사(Scanning)하는데, 인접 기지국의 RSSI 레벨 값이 허용할 만한 허용 레벨 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단계 T6).
여기서, 상기 제6단계(T6)에서 인접 기지국의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하이면, 즉 인접 기지국이 너무 머리 떨어져 있어 RSSI 레벨 값이 작은 경우에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고 계속해서 현재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하며(단계 T7), 상기 제6단계(T6)에서 인접 기지국의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이면 해당 인접 기지국 측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여 해당 인접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한다(단계 T8).
한편, 상기 기지국에서는 상기 RSSI 레벨 값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송출해 준 후에 상기 단말들의 첫 번째 핸드오버 수행 종료 완료 정도의 소정 시간이 지났는지를 확인하며(단계 T9),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한다(단계 T10).
만약, 상기 제10단계(T10)에서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할 만한 최저 레벨 값(Permissible Level)인지를 확인하는데(단계 T11), 이때 해당 제11단계(T11)에서 상기 RSSI 레벨 값이 최저 레벨 값이 아니라면 상기 RSSI 레벨 값을 미리 설정해 둔 일정한 레벨 간격으로 감소시켜(단계 T12) 상기 제4단계(T4)를 다시 수행하며, 해당 제11단계(T11)에서 상기 RSSI 레벨 값이 최저 레벨 값이면 기존의 RSSI 레벨 값으로 상기 제4단계(T4)를 다시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제10단계(T10)에서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여 통화 채널이 줄어들어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하가 되면, 해당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수행을 종료시켜 정상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단계 T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기지국이 처리하고 있는 통화 채널 수를 체킹하다가 위험 기준치 이상이 되면 핸드오버를 권유하며, 위험 기준치와 안전 기준치를 다른 값으로 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isis) 방식으로 통화량 유지시켜 주며, 단말의 핸드오버 기준을 고정 RSSI 레벨 또는 감소 가능 RSSI 레벨로 정할 수 있으며, 기지국이 단말에게 핸드오버 권유 방식 외에 기지국이 이를 재취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강제 및 권유 핸드오버하도록 한다. 또한,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식에서는 우선 순위에 따라 강제적으로 핸드오버를 할 수 있으며 핸드오버를 권유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트래픽 채널의 수가 제한적인 시스템에서는 매우 효과적으로 채널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DECT과 같이 단말기가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셀룰라와 같이 기존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방식에서도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항상 핸드오버의 채널들을 약간의 여유 채널이 필요한 시스템은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핸드오버의 결정의 변수인 RSSI 레벨을 점차 줄여가며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때문에 가장 핸드오버해도 통화 품질에 영향을 덜 받는 단말이 효과적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또한, DECT 시스템에서의 적정 통화 유지, 즉 트래픽 집중 방지뿐만 아니라, 다르게는 셀룰라 또는 기타 멀티-셀 시스템에서의 한 기지국의 적정 통화량 유지가 가능하며, 특정 단말기의 강제 핸드오버 또는 권유 핸드오버 구현도 가능하며, 핸드오버의 권유 방식 외에 핸드세트(Handset)의 우선권(Priority)에 따라 우선 순위가 낮은 핸디(Handy)의 강제 핸드오버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핸드오버 권유 방식의 트래픽 분산을 통한 효과적인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기지국에 많은 트래픽이 집중된 경우에 해당 무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가 가능한 단말에게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시킴으로써, 무선 채널의 집중을 방지하여 해당 기지국 내에서의 신규 통화 및 그 기지국 내로의 접근 단말기에게 원활하게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교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3에 있어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30 : 기지국 21 ~ 26, 31 : 단말
40 : 교환 시스템

Claims (13)

  1. 기지국에서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각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통화가 가능한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계속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3. 기지국에서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RSSI 레벨 값을 설정하여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각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에서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상기 RSSI 레벨 값이 최저 레벨 값 이상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RSSI 레벨 값이 최저 레벨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RSSI 레벨 값을 소정 레벨 간격으로 감소시킨 후에, 해당 감소된 RSSI 레벨 값을 상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상기 단말에 다시 전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상기 RSSI 레벨 값이 최저 레벨 값임을 확인하여 이전의 RSSI 레벨 값을 상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상기 단말에 다시 전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활성화를 감지하여 상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안전 기준치 이하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수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 수행 과정은 상기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의 활성화를 감지하여 상기 RSSI 레벨 값을 상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상기 단말에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10.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현재의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11.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통화 가능한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한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핸드오버가 가능한 경우에 상기 통화 가능한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여 상기 통화 가능한 인접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12. 새로운 트래픽 형성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현재의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지를 체킹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 트래픽 채널 수가 위험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RSSI 레벨 값을 설정한 후에, 해당 RSSI 레벨 값을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와 함께 단말에 전송시켜 핸드오버 권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13.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핸드오버 권유 메시지 내의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RSSI 레벨 값이 허용 레벨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인접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실시하여 상기 인접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KR1019980052627A 1998-12-02 1998-12-02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KR10054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627A KR100542702B1 (ko) 1998-12-02 1998-12-02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627A KR100542702B1 (ko) 1998-12-02 1998-12-02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48A KR20000037848A (ko) 2000-07-05
KR100542702B1 true KR100542702B1 (ko) 2006-04-21

Family

ID=1956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627A KR100542702B1 (ko) 1998-12-02 1998-12-02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649A (ko) * 2001-07-13 2003-01-23 이스텔시스템즈 주식회사 차세대 무선 망에서 트래픽에 따른 제어채널 조정 방법
KR100569246B1 (ko) * 2003-12-17 2006-04-07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통신망에서 적응적 핸드오프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99A (en) * 1985-05-31 1987-06-02 Northern Telecom Limited Load balancing for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JPH05327598A (ja) * 1992-05-14 1993-12-10 Nec Corp 自動車電話方式
JPH06164477A (ja) * 1992-11-27 1994-06-10 Nec Commun Syst Ltd 無線基地局の呼量制御方式
KR19980029651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코드분할 다중 접근 이동 시스템 제어국에서 프레임 에러 비율을 이용한 트래픽 부하 분산 방법
KR19980074411A (ko) * 1997-03-25 1998-11-05 양승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셀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셀의 위치 정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99A (en) * 1985-05-31 1987-06-02 Northern Telecom Limited Load balancing for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JPH05327598A (ja) * 1992-05-14 1993-12-10 Nec Corp 自動車電話方式
JPH06164477A (ja) * 1992-11-27 1994-06-10 Nec Commun Syst Ltd 無線基地局の呼量制御方式
KR19980029651A (ko) * 1996-10-28 1998-07-25 양승택 코드분할 다중 접근 이동 시스템 제어국에서 프레임 에러 비율을 이용한 트래픽 부하 분산 방법
KR19980074411A (ko) * 1997-03-25 1998-11-05 양승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셀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셀의 위치 정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4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66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신호강도측정장치및그방법
EP0782366B1 (en) Multiple access handling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757550B1 (en)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
JP3776942B2 (ja) 移動局装置
JP273985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WO199701426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hyperband cell interoperability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050234A (en) Method for connecting a channel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JPH112771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H06284466A (ja) 移動無線電話通信装置
JP38887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切替方式
JPH02190039A (ja) 分散無線システムの回線接続方法
US642483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hand-off method thereof
US20040209621A1 (en) Base statio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EP0986274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raffics are equalized
US7006476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rate selecting method thereof
JPH02274131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伝送制御方式
KR100542702B1 (ko) 무선 교환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사용 방법
US6018664A (en) Method of balancing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links in communication systems
JP2006005412A (ja) 通信規制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
US7450956B1 (en) Paging system
JP2001258057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通話路のハンドオフの方法
KR970011695B1 (ko) Cdma 방식의 셀룰라폰 시스템에서 cdma-to-cdma 이종주파수 핸드오프 시점결정 방법
JP386089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装置
KR100675149B1 (ko) 덱트 시스템의 긴급 핸드오버 방법
JP2000324553A (ja) 通信用チャネ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