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339B1 - 메모리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메모리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339B1
KR100542339B1 KR1020000007991A KR20000007991A KR100542339B1 KR 100542339 B1 KR100542339 B1 KR 100542339B1 KR 1020000007991 A KR1020000007991 A KR 1020000007991A KR 20000007991 A KR20000007991 A KR 20000007991A KR 100542339 B1 KR100542339 B1 KR 10054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mories
memory
controll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827A (ko
Inventor
서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3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2Group selection circuits, e.g. for memory block selection, chip selection, array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6Addressing a physical block of locations, e.g. base addressing, module addressing, memory dedication
    • G06F12/0615Address space extension
    • G06F12/0623Address space extension for memor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91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using clearing, invalidating or rese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를 사용하는 컴퓨터 및 전기/전자시스템에 있어서, 부품의 위치 변경과 확장하려는 메모리의 교체만으로도 용이하게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리셋신호가 제1 접속수단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신호 입력단자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제2 접속수단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단자에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에서의 비접속단자 또는 한 쌍의 제1 메모리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하위 어드레스를 컨트롤하도록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상위 어드레스를 컨트롤하도록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의 논리 연산결과가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도록 접속되어, 한 쌍의 제1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로 작용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하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상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하위 데이터를 읽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상위 데이터를 읽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한 쌍의 제1 메모리를 실장할 때, 제2 접속수단만을 실장하고; 한 쌍의 제2 메모리를 실장할 때, 제1 접속수단만을 실장하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은 128[Kbyte] 메모리로부터 512[Kbyte] 메모리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저항접속단자에 실장된 저항의 실장위치를 변경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해당 위치에 실장함으로써, 해당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계변경이 필요치 않아 편리한 이점이 있다.
메모리, 확장, 저항접속단자, 메모리 교체, 저항 위치변경

Description

메모리 확장장치{APPARATUS FOR EXPANDING A MEMORY}
도 1은 종래의 128[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512[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확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128[Kbyte] 메모리
200a, 200b: 512[Kbyte] 메모리
101: 제1 저항접속단자 201: 제2 저항접속단자
본 발명은 메모리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를 사용하는 컴퓨터 및 전기/전자시스템에 있어서, 부품의 위치 변경과 확장하려는 메모리의 교체만으로도 용이하게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확장장치에 관 한 것이다.
종래에는 8비트의 메모리에 16비트의 데이터버스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는 작업(Word Operation)을 수행하고자 할 때, 일정한 용량을 갖는 2개의 메모리를 병렬 접속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상이한 용량을 갖는 메모리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회로를 적용하여 메모리를 구동시켰다.
즉, 128[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A17은 어드레스 입력이고, CS2는 하이 액티브(High-Active)로 동작하는 칩 셀렉트(Chip Select)신호이며, 이때 도 1에서는 /RESET신호가 인가된다. CS1은 로우 액티브(Low-Active)로 동작하는 칩 셀렉트신호이고, 이때 도 1에서는 /RAMEN1신호가 인가된다. /W_LDS신호는 하위 데이터(D0~D7)를 메모리(예를 들면, SRAM)에 기록하는 신호이고, /W_UDS신호는 상위 데이터(D8~D15)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신호이며, /R-LDS신호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하위 데이터 버스로 전송하는 신호이고, /R-UDS신호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상위 데이터 버스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여기서, /RAMEN1신호는 시스템의 메모리 맵에서 메모리에 할당된 주소를 컨트롤할 때 발생하는 신호로서, 적용중인 시스템의 메모리 맵에선 512[Kbyte]의 영역(A00000H~A7FFFFH)을 억세스할 때 /RAMEN1신호가 로우 액티브되고, 128[Kbyte]의 메모리를 2개 사용하여 동작되도록 하였다. 결국, 할당된 512[Kbyte]의 영역 중 256[Kbyte]의 메모리를 사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512[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1~A19는 어드레스 입력이고, CS2는 로우 액티브(Low-Active)로 동작하는 칩 셀렉트(Chip Select)신호이며, 이때 도 2에서는 /RAMEN1신호와 RAMEN2신호의 논리곱 연산한 신호가 인가된다. /W_LDS신호는 하위 데이터(D0~D7)를 메모리(예를 들면, SRAM)에 기록하는 신호이고, /W_UDS신호는 상위 데이터(D8~D15)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신호이며, /R-LDS신호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하위 데이터 버스로 전송하는 신호이고, /R-UDS신호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 상위 데이터 버스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여기서, /RAMEN1 및 RAMEN2신호는 시스템의 메모리 맵에서 메모리에 할당된 주소를 컨트롤할 때 발생하는 신호로서, 적용중인 시스템의 메모리 맵에선 512[Kbyte]의 영역(A00000H~A7FFFFH)을 억세스할 때 /RAMEN1신호가 로우 액티브되고, 다음 512[Kbyte]영역(A80000H~AFFFFFH)을 억세스할 때 /RAMEN2신호가 로우 액티브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128[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하는 경우와 512[Kbyte] 메모리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회로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다. 즉, 메모리의 각 포트는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할당되므로, 이에 따라 메모리의 각 포트에 입력되는 신호가 상이하게 된다. 결국, 128[Kbyte]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를 512[Kbyte] 메모리로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주변회로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부품의 장착위치를 변경함과 동시에 확장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교체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작업만으로 메모리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메모리 확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리셋신호가 제1 접속수단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신호 입력단자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제2 접속수단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단자에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에서의 비접속단자 또는 한 쌍의 제1 메모리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하위 어드레 스를 컨트롤하도록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상위 어드레스를 컨트롤하도록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의 논리 연산결과가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도록 접속되어, 한 쌍의 제1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로 작용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하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상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하위 데이터를 읽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상위 데이터를 읽도록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한 쌍의 제1 메모리를 실장할 때, 제2 접속수단만을 실장하고; 한 쌍의 제2 메모리를 실장할 때, 제1 접속수단만을 실장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제1 메모리는 512[Kbyte] 메모리이고, 제2 메모리는 218[Kbyte] 메모리이다.
또한, 제1 접속수단과 제2 접속수단은 통전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통전소자는 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칩 셀 렉트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메모리 선택신호는, 로우 액티브상태에서 메모리를 선택하는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로우 액티브상태에서 메모리를 선택하는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셋신호는, 파워-온 리셋 상태와 워치 독 회로에 의한 리셋 상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리셋 상태에서 액티브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확장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았음)로부터 출력된 리셋신호(/RESET)는 제1 저항접속단자(101)를 통하여 512[Kbyte] 메모 리(200a, 200b)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A17) 혹은 128[Kbyte] 메모리(100a, 100b)에서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CS2)에 공급되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A18)는 제2 저항접속단자(201)를 통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512[Kbyte] 메모리(200a, 200b)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A17) 혹은 128[Kbyte] 메모리(100a, 100b)에서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CS2)에 공급되도록 제1 저항접속단자(101)와 공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는 128[Kbyte]와 512[Kbyte]가 선택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하위 어드레스 제어신호(A1~A17)는 메모리(200a, 200b, 100a, 100b)의 어드레스단자(Add)에 접속되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A19)는 128[Kbyte] 메모리(100a, 100b)에서의 비접속단자(NC) 혹은 512[Kbyte] 메모리(200a, 200b)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A18)에 접속된다.
또한, D0~D7은 하위 데이터 버스이고, D8~D15는 상위 데이터 버스이다.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1)는 A00000H~A7FFFFH의 어드레스를 컨트롤할 때 발생되는 신호이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2)는 A80000H~AFFFFFH의 어드레스를 컨트롤할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이때,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1, /RAMEN2)의 논리곱 연산결과가 128[Kbyte] 메모리(100a, 100b)에서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CS1) 혹은 512[Kbyte] 메모리(200a, 200b)에서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CS)에 공급된다.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하위 데이터 기록신호(/W_LDS)는 하위 데이터를 메모리(200a, 200b, 100a, 100b)에 기록하기 위한 신호이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상위 데이터 기록신호(/W_UDS)는 상위 데이터를 메모리(200a, 200b, 100a, 100b)에 기록하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하위 데이터 리드신호(/R_LDS)는 메모리(200a, 200b, 100a, 100b)에서 하위 데이터를 읽는 신호이고,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상위 데이터 리드신호(/R_UDS)는 메모리(200a, 200b, 100a, 100b)에서 상위 데이터를 읽는 신호이다. 리셋신호(/RESET)는 하드웨어적인 리셋 상태(예를 들면, 파워-온 리셋, 워치 독 회로(Watch-dog Circuit)에 의한 리셋)에 액티브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128[Kbyte] 메모리(100a, 100b)를 실장하는 경우, 제1 저항접속단자(101)에 저항을 실장하고, 제2 저항접속단자(201)에는 저항을 실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셋신호(/RESET)는 128[Kbyte] 메모리(100a, 100b)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CS2)에 공급된다. 이때, 128[Kbyte] 메모리(100a, 100b)의 비접속단자는 사용하지 않는 단자이므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A19)가 인가되더라도 128[Kbyte] 메모리(100a, 100b)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2)는 항상 논리 "하이"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1)에 의해 메모리(200a, 200b, 100a, 100b)가 선택된다 따라서, 128[Kbyte] 메모리(100a, 100b)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512[Kbyte]의 메모리(200a, 200b)를 실장하는 경우, 제2 저항접속단자(201)에 저항을 실장하고, 제1 저항접속단자(101)에는 저항을 실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셋신호(RESET/)는 512[Kbyte] 메모리(200a, 200b)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A17)에 공급된다. 이때, 512[Kbyte] 메모리(200a, 200b)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A18)에는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A19)가 입력된다. 이로 인하여 4배의 용량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제어신호(/RAMEN1, /RAMEN2)에 의해 메모리(200a, 200b, 100a, 100b)가 선택되어 할당된 1[Mbyte]의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128[Kbyte] 메모리(100a, 100b)로부터 512[Kbyte] 메모리(200a, 200b)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저항접속단자(101, 201)에 실장된 저항의 실장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해당 메모리(200a, 200b, 100a, 100b)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계변경이 필요치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메모리 확장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128[Kbyte] 메모리로부터 512[Kbyte] 메모리를 확장하고자 하는 경우,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저항접속단자에 실장된 저항의 실장위치를 변경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메모리를 해당 위치에 실장함으로써, 해당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계변경이 필요치 않아 편리하다.

Claims (6)

  1.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리셋신호가 제1 접속수단을 통하여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신호 입력단자 또는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제2 접속수단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어드레스 제어신호가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에서의 비접속단자 또는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에서의 상위 어드레스 제어신호 입력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하위 어드레스를 컨트롤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상위 어드레스를 컨트롤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서 출력된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의 논리 연산결과가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도록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로 작용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하위 데이터를 메모리 에 기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기록신호는 상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하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하위 데이터를 읽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며;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상위 데이터 리드신호는 메모리에서 상위 데이터를 읽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접속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를 실장할 때, 상기 제2 접속수단만을 실장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를 실장할 때, 상기 제1 접속수단만을 실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512[Kbyte] 메모리이고, 상기 제2 메모리는 218[Kbyte]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수단과 상기 제2 접속수단은 통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소자는,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메모리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의 칩 셀렉트신호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메모리 선택신호는,
    로우 액티브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를 선택하는 상기 제1 어드레스 제어신호와 로우 액티브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를 선택하는 상기 제2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신호는,
    파워-온 리셋 상태와 워치 독 회로에 의한 리셋 상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 인 리셋 상태에서 액티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확장장치.
KR1020000007991A 2000-02-19 2000-02-19 메모리 확장장치 KR100542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991A KR100542339B1 (ko) 2000-02-19 2000-02-19 메모리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991A KR100542339B1 (ko) 2000-02-19 2000-02-19 메모리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827A KR20010081827A (ko) 2001-08-29
KR100542339B1 true KR100542339B1 (ko) 2006-01-10

Family

ID=1964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991A KR100542339B1 (ko) 2000-02-19 2000-02-19 메모리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3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49A (ko) * 1986-08-16 1988-05-14 이재연, 아인츠 디터 케루트 롬(rom)메모리 확장회로
KR920006850A (ko) * 1990-09-28 1992-04-28 정몽헌 메모리 확장회로 및 방법
KR930005010A (ko) * 1991-08-14 1993-03-23 정용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액세스 메모리 영역 확장 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249A (ko) * 1986-08-16 1988-05-14 이재연, 아인츠 디터 케루트 롬(rom)메모리 확장회로
KR920006850A (ko) * 1990-09-28 1992-04-28 정몽헌 메모리 확장회로 및 방법
KR930005010A (ko) * 1991-08-14 1993-03-23 정용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액세스 메모리 영역 확장 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827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367B1 (en) Data bus structure for use with multiple memory storage and driver receiver technologies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structures
US5966727A (en) Combination flash memory and dram memory board interleave-bypass memory access method, and memory access device incorporating both the same
US5038320A (en) Computer system with automatic initialization of pluggable option cards
US5963463A (en) Method for on-board programming of PRD serial EEPROMS
US6771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CA1335843C (en) Programmable option select
KR910000958B1 (ko) 메모리 식별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메모리 시스템
US5535368A (en) Automatically-configuring memory subsystem
US5920512A (en) Dynamic address remapping decoder
JPH06131257A (ja) 動的に構成可能なメモリサイズ可変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
CN112099856A (zh) 嵌入式系统及系统的启动方法
KR100542339B1 (ko) 메모리 확장장치
EP0440445B1 (en) System memory initialization with presence detect encoding
JP3078048B2 (ja) メモリモジュール
US20020108018A1 (en) Memory module control and status
JPS6211749B2 (ko)
JP2932392B2 (ja) メモリカード
JPH07334415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KR900009212Y1 (ko) 어드레스 제어장치
JPH11328089A (ja) Pciバスインタフェース用デバイスにおけるid情報書き込み回路
JPH0883217A (ja) 記憶装置
KR940022289A (ko) 이사(isa) 버스용 입출력 어드레스의 자기할당 장치 및 방법
JP2001075745A (ja) 情報処理装置、半導体メモリ装着用アダプタ
JPH03160542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装置
GB2240643A (en) Magnetic disc apparatus with dual control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