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607B1 -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607B1
KR100541607B1 KR1020030046804A KR20030046804A KR100541607B1 KR 100541607 B1 KR100541607 B1 KR 100541607B1 KR 1020030046804 A KR1020030046804 A KR 1020030046804A KR 20030046804 A KR20030046804 A KR 20030046804A KR 100541607 B1 KR100541607 B1 KR 10054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gnal
hot
show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837A (ko
Inventor
서기석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6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with special means for preventing the self-cl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온도조절 핸들의 온도조절 카트리지에 의해 벽체의 온/냉수 급수관에 연결된 조절암을 통해 체결바디로 유입된 온/냉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고, 센서부의 인체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혼합수의 토수 및 지수가 제어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있어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버튼과, 상기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토수신호를 지속출력하고 토수중 재 터치신호가 입력되거나 인체 미감지시 지수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에 조종구를 갖는 볼 밸브를 고정용 슬리이브로 이탈방지되게 내설하고, 상기 조절암의 일단을 체결바디에 결합되는 고정구로 체결바디에 설치하되, 상기 조절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의 걸림턱에 의해 이탈방지되고 상기 체결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합되며 씰러를 가진 보정용 니플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이에 따라 샤워시에만 토수가 됨으로써 절수효과의 향상, 구동장치의 내구성 향상, 샤워헤드 및 구동장치 사이의 파이프 연결부위의 누수현상 방지효과가 있다.
샤워기, 전자감지식, 절수, 작동버튼, 적외선 센서, 전지, 조절암

Description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Electronic driving apparatus for water saving of automatic shower appliance}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도로서, 샤워헤드와의 연결 파이프가 벽체에 매설 및 노출한 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구성부품이 상부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되어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4a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조절암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조절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는 온/냉수 급수관이 벽체에서 돌설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구동장치가 벽체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조절암에 내설된 보정용 니플에 의해 구동장치가 벽면에 밀착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5c는 온/냉수 급수관이 벽체에 매설되었을 경우, 구동장치의 조절암에 내설된 보정용 니플에 의해 구동장치가 벽면에 밀착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구동장치 110 : 상부 케이스
120 ; 하부 케이스 130 : 전자밸브
140 : 체결바디 150 ; 조절암 어셈블리
151 : 보정용 니플 151a,155 : 오링
152 : 고정구 153 : 패킹
154 : 슬리이브 157 : 볼 밸브
158 : 조종구 159 : 조절암
160 : 제어박스 161a : 적외선 센서
161b : LED 162 : 콘트롤러
163 : 전지 170 : 작동버튼
180 : 온도조절 핸들
본 발명은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워시에만 토수가 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벽체에 밀착설치될 수 있도록 한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중 화장실에 설치되는 세면기나 소변기는 절수를 위해서 전자감지식의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는데, 통상 세면기는 인체 감지시 미용수를 토수하고 인체 미감지시 지수토록 되어있고, 소변기는 사용자 감지시 토수한 후에 사용자가 감지영역에서 벗어나면 그때에도 토수토록 하여 소변기를 세척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공중 화장실의 세면기나 소변기는 절수가 전자제어 방식으로 되어있지만, 공중 목욕탕에 설치되는 자폐식 샤워기는 토수버튼을 누르면 일정시간이 지난 후 물의 급수가 차단되는 기구제어 방식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자폐식 샤워기는 본체인 구동장치와 샤워헤드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토수버튼, 온도조절 핸들, 온도조절 카트리지, 역류 방지변, 조절암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온도조절 핸들은 온도조절 샤프트를 통해서 온도조절 카트리지와 연결되어 있고, 온도조절 핸들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표시 눈금 40℃를 기준으로 "COLD" 쪽으로 점차적으로 돌리면 40℃이하의 물이 토출되고 "HOT" 쪽으로 점차적으로 돌리면 40℃이상의 물이 토출된다.
그리고 온도조절 핸들에는 안전버튼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 중에 오조작에 의한 화상방지를 위하여 40℃이상의 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40℃ 이상의 물을 사용시에는 안전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온도조절 핸들을 "HOT" 쪽으로 돌리면 된다.
상기 온도조절 카트리지는 온수/냉수의 입수구가 따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온도조절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황동 핀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황동 핀은 왁스(WAX)타입으로 왁스가 상/하로 부피팽창할 수 있도록 위 치되어 있어 온수 압이 높아져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황동 핀이 상/하로 팽창하여 황동 핀과 연결된 밸브를 밀어 상기 온수 입수구의 단면적을 줄이고 상기 냉수 입수구의 단면적을 넓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반대로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황동 핀의 부피가 줄어들어 황동 핀 반대편에 있는 스프링의 하중으로 밸브를 밀어 상기 냉수 입수구의 단면적을 줄이고 상기 온수 입수구의 단면적을 늘려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역류 방지변은 상기 온/냉수 급수관의 수압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온수압이 냉수압보다 세다면 온수가 냉수쪽으로 흘러 들어가서 온수가 냉수를 차단하거나 온수가 냉수보다 먼저 토출되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역류 방지변에는 걸름망이 설치되어 있어 온/냉수 급수관으로부터 들어오는 물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온도조절 카트리지 안의 황동 핀의 상/하 동작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하게 한다.
상기 조절암은 그 일단은 벽체에 매립된 온/냉수 급수관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체결바디에 원통형의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상세히 기술하면, 상기 타단이 너트에 내설되는 슬리이브와 체결되어 너트와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슬리이브 상면에 누수방지용 패킹이 설치되어 체결바디와 꽉 조여져 나선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자폐식 샤워기에 의한 토수 및 지수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냉수 급수관에 연결된 조절암을 통해서 온/냉수가 공급되어 역류 방지변과 온도조절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있는 체결바디로 유입되고, 이어서 온도조절 카트리지로 유입되어 혼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샤워를 위해서, 온도조절 핸들을 사용하여 온도를 설정하면 그 온도조절 샤프트가 회전되면서 온도조절 카트리지의 내부에 있는 황동핀을 밀고 황동 핀은 다시 밸브를 밀어 온/냉수의 입수구의 단면적이 조절되어 온/냉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된다.
즉, 사용자가 온/냉 혼합수의 온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온도조절 핸들을 돌리면 상기 온도조절 샤프트도 같이 회전되면서 온/냉수의 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가 황동 핀에 의해 움직여서 온수의 단면적이 넓혀지고 반대로 냉수의 입수구 단면적이축소되어 혼합수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온도가 조절된 샤워수는 온도조절 카트리지로부터 토출되어 피스톤 내부로 유입된다.
피스톤 내부로 유입된 샤워수는 피스톤 상단부의 홀을 통해 압력실에 채워지고 피스톤으로 유입되는 수압과 압력실의 압은 평행을 이루게 되어 더 이상 샤워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온도가 조절된 샤워수는 사용자가 토수버튼을 누르면 상기 피스톤의 압력실의 압이 빠지면서 상기 샤워수를 차단하고 있던 피스톤이 들리면서 샤워수가 외부로 토출된다. 피스톤 외부로 토출된 샤워수는 파이프를 통하여 샤워헤드로부터 토출된다.
이렇게 샤워수가 토출됨과 동시에 피스톤의 압력실에 서서히 혼합수가 차면서 피스톤을 아래로 눌러 일정시간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파이프로 통하는 토수구를 막게되어 지수된다.
이러한 자폐식 샤워기의 구동장치는 기구제어 방식이어서 상기 했듯이 사용자가 쓰고 난 후에도 일정시간이 지나야 급수가 차단되므로 샤워수가 쓸데없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샤워수의 토/지수 수단인 피스톤은 그 가공공차로 인하여 급수가 차단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고, 장시간 사용시 마모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상 온/냉수 급수관은 벽체에 매설되거나 돌설되는데, 상기한 조절암을 상기 매설 또는 돌설된 온/냉수 급수관에 나선결합하여 연결 시, 온/냉수 급수관의 돌설길이가 일정치보다 길거나 시공자가 완전히 나선결합하지 않고 설치하였을 경우 및 온/냉수 급수관의 매설깊이가 일정치보다 깊거나 시공자가 나선결합 부위 이상으로 너무 조여서 결합한 후 설치를 마치었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구동장치와 샤워헤드를 연결하는 파이프가 일직선으로 설치되어야 하지만 상기처럼 온/냉수 급수관이 너무 돌설 또는 매설되거나 덜 결합 또는 나선결합 부위보다 더 조이게 되면 상기 파이프가 약간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결국은 샤워헤드, 구동장치 및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약간의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편, 온도조절 카트리지는 금속 가공물로 되어있어 무겁고 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토수를 인체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의 터치신호에 의해, 지수를 토수중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인체 미감지시 그리고 작동버튼의 재 터치에 의해 제어토록 하여 샤워시에만 토수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온/냉수 급수관의 매설깊이와 돌설길이 그리고 온/냉수급수관에 조절암의 결합정도에 관계없이 벽체에 구동장치가 완전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전자감지식 자동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조절 핸들의 온도조절 카트리지에 의해 벽체의 온/냉수 급수관에 연결된 조절암을 통해 체결바디로 유입된 온/냉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고, 센서부의 인체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혼합수의 토수 및 지수가 제어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있어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버튼과, 상기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토수신호를 지속출력하고 토수중 재 터치신호가 입력되거나 인체 미감지시 지수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에 조종구를 갖는 볼 밸브를 고정용 슬리이브로 이탈방지되게 내설하고, 상기 조절암의 일단을 체결바디에 결합되는 고정구로 체결바디에 설치하되, 상기 조절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의 걸림턱에 의해 이탈방지되고 상기 체결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합되며 씰러를 가진 보정용 니플로 설치한 전자감지식 자동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설치상태도로서, 샤워헤드와의 연결 파이프가 벽체에 매설 및 노출한 상태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구성부품이 상부와 하부 케이스로 분리되어 설치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4a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조절암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조절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는 온/냉수 급수관이 벽체에서 돌설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구동장치가 벽체에서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상태에서 구동장치의 조절암에 내설된 보정용 니플에 의해 구동장치가 벽면에 밀착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5c는 온/냉수 급수관이 벽체에 매설되었을 경우, 구동장치의 조절암에 내설된 보정용 니플에 의해 구동장치가 벽면에 밀착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는 온도조절 핸들(180)의 온도조절 카트리지에 의해 벽체의 온/냉수 급수관(2)에 연결된 조절암(159)을 통해 체결바디(140)로 유입된 온/냉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고, 센서부(161)의 인체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밸브(130)가 개폐되어 상기 혼합수의 토수 및 지수가 제어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있어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버튼(170)과; 상기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170)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토수신호를 지속출력하고, 토수중 재 터치신호가 입력되거나 인체 미감지시 지 수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16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159)에 볼트형 조종구(158)를 갖는 볼 밸브(157)를 내설하되, 고정용 슬리이브(154)에 의해 이탈방지되게 내설하고, 상기 조절암(159)의 일단을 상기 체결바디(140)에 나선결합되는 원통형의 너트형 고정구(152)로 체결바디(140)에 설치하되, 상기 조절암(159)의 일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고정구(152)의 걸림턱(152a)에 의해 이탈방지되고 상기 체결바디(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합되며 외주연에 오링(o-ring)(151a)으로 된 씰러를 가진 보정용 니플(151)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볼 밸브(157)와 보정용 니플(151)이 설치된 조절암 어셈블리(150)는 도 4a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바디(140)에 나선결합되는 고정구(152)가 조절암(159)과 형합된 후, 조절암(159)과 슬리이브(154) 및 보정용 니플(151)이 나선결합되어 고정구(152)의 걸림턱(152a)이 보정용 니플(151)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됨에 따라 도 4b처럼 단품화된다.
도 4a의 미설명 부호 155는 오링, 156은 워셔(washer)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볼 밸브(157)는 샤워수의 유량조절 및 지수제어용이고, 전자밸브(130)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보정용 니플(151)과 조절암(159)의 일단 사이에는 누수방지용 패킹(1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러(162)는 절수를 위해서 토수중 일정시간 경과후 지수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샤워시 사용자가 샤워수의 차가움 또는 뜨거움 정도를 손으로 판별하여 적정한 온도를 세팅하기 위해서 인체 미감지시, 즉 감지신호의 입력없이도 작동버튼(170)의 터치신호만으로 약 5초동안 토수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조절 카트리지(도시 안됨)는 온도조절 핸들(180)에 의해 작동되어 온/냉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이 플라스틱인 사출물로 형성하되, 특히 내구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고, 사출시 그 치수 정밀도가 높고, 경량이며 단가가 저렴한 피피에스(PPS:POLYPHENYLENE SULFIDE)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도 1, 2, 3에 나타낸 바처럼, 그 구성부품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 나뉘어져 설치되는데, 상부 케이스(110)에는 온도조절 카트리지가 설치된 온도조절 핸들(180), 체결바디(140), 전자밸브(130) 및 조절암(159)으로 된 급수수단이 설치되고, 하부 케이스(120)에는 작동버튼(170) 그리고 전지교환시 그 경보용 LED(161b)와 인체 감지용 적외선 센서(161a)가 설치된 센서부(161)와 상기 작동버튼(170)과 센서부(161)의 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162) 및 전원공급용 전지(163)가 구비된 제어박스(160)로 된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즉, 도 2와 3에서 처럼, LED(161b), 적외선 센서(161a), 콘트롤러(162) 및 전지(163)는 제어박스(160)에 수납되어 모듈화되어 하부 케이스(12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하부 케이스(110)(120)는 지지 브라켓(19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상부 케이스(110)의 온도조절 핸들(180)은 그 전면에 돌설되고, 하부 케이스(120)의 전면에는 작동버튼(170)과 센서부(16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부품이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상/하부 케이스(110)(120)로 된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의 구조는 특히 전지교환시 유용한 것으로서, 전지의 교환시기가 된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러(162)가 지수신호를 전자밸브(130)에 출력하여 클로즈시키고,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센서부(161)에서 LED(161b)에 의한 경보등이 점멸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점멸표시를 보고 하부 케이스(120)만 별도로 분리하여 제어박스(160)내에 설치된 전지(163)를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동버튼(170)은 특히 절수에 효과적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가 벽체에 매설되어 구동장치(100)의 위에 거울(3)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토수중 감지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작동버튼(170)을 재 터치하여 지수한 후에 감지영역내에서 거울(3)을 통하여 용무를 본 후에 다시 재 터치하여 토수시킬 수 있으므로 절수뿐만아니라 사용자의 동선이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의한 동작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벽체의 온/냉수 급수관(2)에 각각 연결된 조절암(159)을 통하여 온/냉수가 공급되는데, 이때 조절암(159)에 내설된 볼 밸브(157)를 그 볼트형 조종구(158)로 조절하여 공급되는 온/냉수의 유량조절 및 토수와 지수를 하게된다.
상기 온/냉수는 조절암(159)을 통해 체결바디(140)에 각각 공급되고 체결바디(140)의 내부에 형성된 역류방지변의 걸름망을 통해 온/냉수의 이물질이 걸러진다. 체결바디(140)내로 유입된 온수압이 냉수압보다 세거나 그 반대일 경우 어느 한쪽이 차단될 수 있지만 상기 역류방지변에 의해 방지된다.
역류방지변을 통해 들어온 온/냉수는 각각의 유로를 통해 온도조절 핸들(180)과 연결된 온도조절 카트리지의 온/냉수 입수구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온도조절 카트리지의 온/냉수 입수구로 온/냉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샤워시에 샤워수의 적정한 온도를 세팅하기 위해 사용자가 구동장치(100)의 옆으로 비켜서서 작동버튼(170)을 터치하면 그 터치신호가 콘트롤러(162)로 입력되고, 콘트롤러(162)는 전자밸브(130)를 개방시키기 위한 토수신호를 약 5초동안 출력하게 된다.
토수신호를 입력받은 전자밸브(130)는 그 솔레노이드의 전자력이 플런저를 후퇴시켜 다이아후램이 막고있던 온/냉수의 입구와 출구를 오픈시켜 연통시킴에 따라 온도조절 핸들(180)에 의해 온도조절 카트리지에서 그 온도가 조절되는 샤워수가 전자밸브(130)의 출수구에 연결된 파이프(1)를 통해 샤워헤드에서 토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토출되는 샤워수의 온도를 손으로 감지하여 판별한 후, 온도조절 핸들(180)로 온도를 세팅하면 되는데, 온도는 온도조절 핸들(180)에 의한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세팅되게 된다.
즉, 온도조절 핸들(180)을 "COLD" 쪽으로 돌리면 온도조절 핸들(180)과 연결된 온도조절 카트리지의 샤프트(도시 안됨)도 함께 돌면서 온도조절 카트리지 내부의 황동 핀(도시 안됨)을 밀게되고 황동 핀은 밸브(도시 안됨)를 밀어 온수측의 입수구 단면적을 줄이고 냉수측의 입수구 단면적을 넓혀 샤워수의 온도가 차갑게 된다. 그 반대로 온도조절 핸들(180)을 "HOT" 쪽으로 돌리면 온도조절 카트리지의 샤 프트도 나사가 풀리듯 바깥쪽으로 밀려나오고 밸브를 밀고 있던 황동 핀도 밀려나오게 된다. 이때 황동 핀 반대편에 있는 스프링의 하중에 의해 밸브가 밀려 온수측 입수구의 단면적이 넓혀지고 동시에 냉수측 입수구의 단면적이 좁혀져 샤워수가 뜨겁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온도조절 카트리지에서 적정한 온도로 세팅된 샤워수는 전자밸브(130)의 입수구를 통해 내부의 압력실로 유입되어 상기 전자밸브(130)의 출수구와 연결된 파이프(1)를 통해 샤워헤드에서 토출되게 된다.
그런데 약 5초 동안만 샤워수가 토출된 후에 자동지수되므로 세팅 시간이 부족한 경우는 작동버튼(170)을 재 터치하여 세팅하면 된다.
사용자가 상기 5초내에 온도 세팅을 한 후에 구동장치(100) 앞에 서면 도 3에 도시된 바처럼, 적외선 센서(161a)에 의한 센서부(161)에서 감지된 사용자 감지신호가 콘트롤러(162)에 입력되어 콘트롤러(162)는 터치신호와 더불어 감지신호도 함께 입력받는 것이 되므로 적정한 온도로 세팅된 샤워수가 자동지수되지 않고 계속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약 5초가 지나면 자동지수되므로 사용자가 적정한 온도로 세팅된 샤워수를 샤워를 위해 지속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작동버튼의 터치신호와 더불어 감지신호도 함께 콘트롤러로 지속입력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팅된 온도로 샤워를 하기 위해서 구동장치(100) 앞에 서서 작동버튼(170)을 터치하면 사용자 감지신호와 더불어 터치신호가 콘트롤러(162)로 입력되므로 콘트롤러(162)는 토수신호를 전자밸브(130)에 지속출력하여 상기한 바처럼 샤워수를 토출시키게 된다.
토수중 사용자가 상기 센서부(161)의 감지영역에서 벗어나거나 센서부(161)의 감지상태에서 작동버튼(170)을 재 터치하면 콘트롤러(162)가 전자밸브(130)에 지수신호를 출력하여 클로즈시키게 된다.
그리고 콘트롤러(162)는 그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 토수신호 출력후 지수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약 3분후에 자동으로 지수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지수는 적외선 센서(161a)의 오작동으로 인해 지수가 되지않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지의 교환시기가 된 경우는 콘트롤러(162)에서 지수신호를 전자밸브(130)에 출력하고 센서부(161)의 LED(161b)에 의한 적색 경보등이 5회정도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경보하게 된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처럼, 온/냉수 급수관(2)이 벽체에서 돌설된 상태에서 조절암(159)을 상기 온/냉수 급수관(2)에 완전히 나선결합하여 구동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더라도 그 돌설길이가 일정치보다 길면 구동장치(100)와 벽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 d1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샤워헤드와 연결된 파이프(1)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결합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온/냉수 급수관(2)의 돌설길이가 일정치로 유지되더라도 시공자가 조절암(159)을 상기 온/냉수 급수관(2)에 완전히 나선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조절암 어셈블리(150)의 보정용 니플(151)이 체결바디(1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합되어 상기처럼 이격공간이 발생되더라도 보정공간 d2에 의해 도 5b처럼 구동장치가 벽면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1)가 일직선이 된다.
즉, 도 5b처럼 구동장치(100)를 밀면 보정용 니플(151)이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보정공간 d2를 차지함에 따라 상기 이격공간 d1이 없어지면서 구동장치(100)가 벽면에 밀착설치되게 된다.
이어서 너트형 고정구(152)를 완전히 돌려 조여서 구동장치(100)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만약 너트형 고정구(152)를 완전히 결합하지 않으면 보정용 니플(151)의 후단과 너트형 고정구(152)의 걸림턱(152a) 사이에 상기 이격공간 d1 만큼의 공간이 발생되어 구동장치(100)가 전후방으로 유동되게 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처럼, 벽면에 구동장치(100)가 밀착설치되어야 하지만 온/냉수 급수관(2)이 벽체에서 매설된 상태에서 조절암(159)을 상기 온/냉수 급수관(2)에 나선결합하게 되는데, 그 매설깊이가 일정치보다 깊거나 나선결합 부위 이상으로 너무 조여 결합하게 되면 구동장치(100)가 벽체를 뚫고 들어가야만 설치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즉, 구동장치(100)를 아예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조절암 어셈블리(150)의 보정용 니플(151)이 체결바디(1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너트형 고정구(152)를 체결바디(140)에서 약간 풀어서 보정용 니플(151)의 후단과 너트형 고정구(152) 사이에 공간을 확보한 다음에 구동장치(100)를 뒤로 당겨서 보정용 니플(151)을 상기 공간을 향해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보정공간을 d3 만큼 확보하면 구동장치(100)를 벽면에 밀착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5a,5b,5c를 통해 기술한 바처럼, 온/냉수 급수관(2)의 돌설길이가 일정치보다 길거나 완전히 나선결합하지 않았을 경우 및 온/냉수 급수관(2)의 매설깊이가 일정치보다 깊거나 나선결합 부위 이상으로 너무 조여 결합하였을 경우에 상기처럼 체결바디(140)에서 보정용 니플(151)과 너트형 고정구(152)의 조절을 통하여 구동장치(100)를 벽면에 완전밀착하여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상/하부 케이스의 급수수단과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작동버튼과 콘트롤러, 적외선 센서, LED 및 전지로 된 제어수단의 구성에 의해 인체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의 터치신호에 의해서토수가 지속되고, 토수중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인체 미감지시 그리고 작동버튼의 재 터치에 의해서만 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샤워시에만 토수가 됨에 따라 절수효과가 탁월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급수수단의 보정용 니플과 볼 밸브가 설치된 조절암 어셈블리에 의해 벽체에 구동장치를 완전밀착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파이프가 일직선으로 설치되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조절 카트리지를 피피에스(PPS)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구동장치의 경량 및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온도조절 핸들의 온도조절 카트리지에 의해 벽체의 온/냉수 급수관에 연결된 조절암을 통해 체결바디로 유입된 온/냉 혼합수의 온도가 조절되고, 센서부의 인체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밸브가 개폐되어 상기 혼합수의 토수 및 지수가 제어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에 있어서,
    토수 및 지수를 제어하는 작동버튼과, 상기 감지신호와 더불어 작동버튼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토수신호를 지속출력하고 토수중 재 터치신호가 입력되거나 인체 미감지시 지수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암에 조종구를 갖는 볼 밸브를 고정용 슬리이브로 이탈방지되게 내설하고, 상기 조절암의 일단을 체결바디에 결합되는 고정구로 체결바디에 설치하되, 상기 조절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구의 걸림턱에 의해 이탈방지되고 상기 체결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합되며 씰러를 가진 보정용 니플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토수중 일정시간 경과후 지수신호를 출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인체 미감지시 작동버튼의 터치신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토수신호를 출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 전지교환 경보용 LED와 센서로 된 센서부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전지를 함께 제어박스에 수납시켜 모듈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지의 교환시기가 된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러가 지수신호를 전자밸브에 출력하여 클로즈시키고, 경보신호를 상기 LED에 출력하여 점멸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온도조절 카트리지가 설치된 온도조절 핸들, 체결바디, 전자밸브 및 조절암으로 된 급수수단을 상부 케이스에 설치하고, 작동버튼 및 제어박스로 된 제어수단을 상기 상부케이스에서 분리가능한 하부 케이스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 카트리지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KR1020030046804A 2003-07-10 2003-07-10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KR10054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04A KR100541607B1 (ko) 2003-07-10 2003-07-10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804A KR100541607B1 (ko) 2003-07-10 2003-07-10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196U Division KR200329483Y1 (ko) 2003-07-10 2003-07-10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37A KR20050006837A (ko) 2005-01-17
KR100541607B1 true KR100541607B1 (ko) 2006-01-11

Family

ID=3722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804A KR100541607B1 (ko) 2003-07-10 2003-07-10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337B1 (ko) 2015-10-06 2016-11-17 김현 절수형 샤워장치
CN108223903A (zh) * 2018-01-25 2018-06-29 珠海普乐美厨卫有限公司 一种多功能快速加热龙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837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6516B2 (en) Toilet with overflow protection
KR200382786Y1 (ko) 오토 샤워기
US6681418B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US8522814B2 (en) Water control valve assembly
US8127782B2 (en)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US7475703B2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bypass valve
KR100541607B1 (ko)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US20200109542A1 (en) Electromechanical valve system and method for shower assembly
KR200329483Y1 (ko) 전자감지식 자동 샤워기의 절수형 구동장치
CN107152558B (zh) 一种恒温洁身器及其冷水预排方法
US6612540B2 (en) Retrofit for mechanical combination plumbing fixture
KR200415760Y1 (ko) 자동수도전
KR100917103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JPS59155666A (ja) 自動水栓
CN220378989U (zh) 龙头及净水机
JP2003003536A (ja) バルブ装置
JP3052752B2 (ja) 自動水栓
KR101216346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JP2005232831A (ja) 自動水栓
JP2005232830A (ja) 自動水栓
JPH02217533A (ja) 自動水道栓
JP4527504B2 (ja) 水栓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JP2534204Y2 (ja) 吐水装置
JP2005232829A (ja) 水抜栓付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