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243B1 -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1243B1
KR100541243B1 KR1020040037189A KR20040037189A KR100541243B1 KR 100541243 B1 KR100541243 B1 KR 100541243B1 KR 1020040037189 A KR1020040037189 A KR 1020040037189A KR 20040037189 A KR20040037189 A KR 20040037189A KR 100541243 B1 KR100541243 B1 KR 10054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etwork
vehicle
accident
network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255A (ko
Inventor
이민구
안태원
강정훈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37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24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4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build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종종 발생하는 교통사고나 뺑소니 사고에 대해 대비책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자동차 블랙박스(Black Box) 서비스 제공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블랙 박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격 센서와, 상기 충격 센서와 연결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며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어 적어도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사고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그 정보를 도로변에 설치된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조건하에서 도로 운전 중 사고가 난다면, 각각의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네트워크 노드 또는 도로변에 설치된 센서네트워크노드들의 기록을 살핌으로 향상된 교통사고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센서네트워크, 차량, 교통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Vehicle Black Box Service Through Sensor Networ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무선 통신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장착한 경우 사고 발생시의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교통사고 발생 확인 및 원인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또는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사고 발생 판단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서네트워크 단말기 110: 충격 센서
120: 메모리 130: 외부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
140: 외부 비콘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일종으로서, 교통사고 처리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각종 사고에 대한 기록 저장 장치, 즉 블랙박스는 비행기와 같은 고가의 교통 서비스에 한해서 제공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이유는 블랙박스에 요구되는 높은 내구성, 안전성, 신뢰성으로 인하여 제조 및 설치 단가가 매우 높다는 것이 그 주요한 원인이다. 또한, 이와 같은 비행기에 대한 블랙박스 서비스는 비행기 운행 정보에 대한 기록등과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 처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가의 교통 서비스에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었다.
현재 차량은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운송수단이지만, 교통사고 발생시 원인 분석을 위한 블랙박스같은 장치가 장착되지 못하고 있고, 사고 발생의 통지도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각종 교통사고에서 시비가 끊이질 않으며, 특히 주/정차 중 접촉 사고나 주행중 사고를 야기한 차량이 뺑소니를 친 경우에는 목격자 진술외에는 가해 차량을 추적할 아무런 단서도 없어 많은 뺑소니 사고가 미궁에 빠지고 있다.
한편, 1990년대부터 미국 자동차 메이커를 중심으로 차량과 센터와의 전송을 통해 도난이나 긴급 상황시의 무선 호출과 같은 서비스[예컨대, General Motors(GM) 사에서 온스타 프로젝트(On Star project)]가 도입된 예가 있고, 국내에서도 ITS(Intelligent Transport Service)의 일환으로 유사 서비스가 소개되거나 제안되고 있으나, 교통사고시의 즉각적 통지 및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이나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항공기에 채택되는 블랙박스 시스템을 대중용 일반 차량에 도입하는 것도 현재로서는 현실성이 없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렴한 가격으로 차량용 교통사고 발생 통지 및 원인 분석을 위한 현실적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재 주목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일 구현례를 가장 대중과 밀접한 교통 분야에 적용하여 제시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활성화 및 관련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격 센서와, 상기 충격 센서와 연결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며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어 적어도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일정 개소에 설치되며,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자신이 감지한 데이터를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소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값이 수신되거나 트리기 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사고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 및/또는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라, 차량내 설치된 충격 센서와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상 교통사고 발생 감지 및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충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데이터로부터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적어도 상기 충격 데이터와,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저장 및/또는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무선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사고 발생 및 원인 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수집하고, 이를 저장 및/또는 전송함으로써, 저비용으로서 사고 발생 사실 통지와 원인 분석에 도움이 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며, 위 최소한의 데이터는 다른 차량에 장착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실시되는 환경은 모든 차량이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를 장착하고, 아울러 각 단말기가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예컨대 휴대전화나 PDA, 스마트 카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유의 식 별자가 부여된 제반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나 무선 랜, RF 방식의 무선 채널 기반하의 통신채널을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사고 판단 및 그 처리에 관련된 소정을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충격 센서(110)는 차량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며, 센서 네트워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 데이터를 지속적 및/또는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충격 센서(110)는 통상의 센서일 수 있으며, 자체 프로세서를 보유한 지능형 센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지능형 충격 센서를 채택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여부를 센서 자체가 판단하여 사고 발생 사실을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메모리(120)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센서네트워크 단말기가 전송하는 각종 데이터를 일정량 저장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는 예컨대, 충격 데이터, 다른 차량에 부착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사고 발생 추정 시각(충격 감지 시각) 및 매 데이터 수집 시각 또는 저장 시각과 같은 시각 정보 등이며, 이들 데이터는 수 바이트의 적은 사이즈이고, 사고 분석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량은 대략 5분 내지 10분 내외의 수집량이면 충분하므로, 예컨대 1 Mbyte 이하의 소용량 메모리(120)가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메모리(120)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정상 주행 또는 정상 주/정차 중에는 용량이 허용하는 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새로운 데이터 저장과 동시에 용량이 초과되는 부분의 가장 이전 데이터를 소거하 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사고 발생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예상 시점 전후의 일정량의 데이터는 소거되어서는 아니되므로, 사고 관련 데이터에 대하여는 태그 부착 또는 별도의 저장 영역 구비를 통하여 이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별도의 충전식 전원을 구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블랙박스 장치는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자동차의 장기 운행 중단 등으로 자동차 배터리가 소진되었을 때에도 블랙박스는 동작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자체 전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블랙박스의 자체 전원을 충전식 전원으로 함으로써 자동차 운행 중에 부족량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사고에 대비한 것이므로 내구력이 높게 설계되고 각 구성 요소의 배치도 이를 감안하여 정하여야 할 것이다. 충격 센서(10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민감하게 감지하여야 하므로 기본적으로는 차체 외곽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므로, 충격 센서 자체의 내구력이 높은 것을 택하는 것이 좋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 및 메모리(120)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더라도 가능한 한 파손되지 않아야 할 것이므로, 될 수록 차량 내부 쪽에 배치하고 견고한 하우징을 채택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가 외부와의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안테나를 차체 외부에 설치하고 안테나와 전기적 접속을 하면 되므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 본체의 차량내 배치에 있어서 통신 문제를 크게 고려할 필요는 없다.
도 1의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30)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만 다른 차량에 탑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각 차량에 탑재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 130)는 도로 주행 중 상호 통신하며 서로의 식별자를 주고 받아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비콘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40)은 도로변에 고정 설치되어 주변을 통과하는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를 자체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비콘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40)는 사고 차량이 전소되어 차량내 블랙박스 장치가 파손되는 경우라도 사고 발생시 사고 차량 및 인근 차량의 식별자와 시각 정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고 원인 분석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콘형 단말기(140)는 선택적 장치로서 비콘형 단말기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 및 방법을 수행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도 1에 도시된 각 장치의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주행 또는 주/정차 중을 막론하고 충격 센서(110)로부터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충격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상호 통신 범위에 위치한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그 식별자를 수신 받아 시각 정보와 함께 이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대안으로서, 평상시에는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저장하지 않고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사고 발생 시점부터 일정 시간(예컨대, 5분)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든, 사고가 발생한 직후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일정 시간 모두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들 데이터에는 태그 부착이나 메모리내 별도 저장 영역에 저장하여 유실되지 않도록 한다. 평상시에도 메모리(120)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사고 시점 전후의 일정 시간동안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2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를 탑재한 차량의 통신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 130)를 탑재한 복수 개의 차량이 도로 주행할 시의 통신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에서, 차량(No.2)와 차량(No.3)사이에 추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차량(No.2)는 차량(No.3), 차량(No.1)의 센서네트워크 식별자를 충격 데이터 및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할 것이고, 차량(No.3)는 차량(No.2), 차량(No.1)의 센서네트워크 식별자를 충격 데이터 및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할 것이다. 따라서, 실제 사고와 무관하지만 사고 발생을 목격했을 가능성이 높은 차량(No.1 및 No.4))의 파악할 수 있어서 이들 운전자의 진술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No. 1 또는 No. 4)이 급발진 또는 급제동 동작을 통하여 차량(No.2 및 No. 3)의 추돌사고에 대한 직접적 원인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직접 원인 제공자인 차량(No.1 또는 No.4)를 용이하게 조회, 추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블랙박스 장치 및 시스템이 수행하는 교통 사고 발생 감지 및 원인 분석에 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S400)에서, 충격 센서(110)는 차량의 충격을 상시 감시하며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충격 데이터를 전송하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충격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120)에 FIFO 방식으로 모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평상시에는 저장 동작을 수행하지 아니하여 전력 소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30)로부터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또는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런데,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30)의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호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각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 130)가 항상 자신의 식별자를 담은 무선 신호를 방출하여야 할 것이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30)의 식별자를 수신하지 않고, 사고 발생으로 판단된 경우에만 사고 발상 예상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다른 단말기(130)의 식별자를 수집, 저장하는 방법을 택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는 충격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과정을 수행한다. 판단 방식에는 크게 3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가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충격 센서는 동작을 개시한 후부터(S500), 지속적으로 충격 데이터를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 전송한다(S511). 단계(S512)에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충격 데이터를 계속 판독하다가 그 값이 사전에 설정한 일정 값 이상이면,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다(S513).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고 발생 여부를 지능형 충격 센서가 수행하는 경우이다. 즉, 충격 센서가 동작을 개시하면(S520), 감지된 충격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판독하다가(S521), 단계(S522)에서 일정량 이상의 충격을 감지한 경우 단계(S523)으로 진입하여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에게 충격 데이터 및 사고 처리 과정을 수행하라는 트리거 신호를 전송한다.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충격 센서로부터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사고가 발생했음을 인지한다(S524).
한편, 충격량이 매우 커서 충격 센서(110) 자체가 파손되거나 충격 센서와 센서네트워크와의 전기적 연결이 단락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판단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했음에도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가 이를 전혀 감지하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없다.
위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a 및 도 5b의 판단 방법과 병행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도 5c에 도시된 판단 방법을 취할 수 있다.
단계(S500)에서 충격 센서(110)가 동작하기 시작하면, 충격 센서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동작 신호를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에게 전송한다(S501). 동작 신호는 충격 데이터일 수 있고 이와는 다른 별도의 신호일 수 있다. 어떤 충격에 의해서 충격 센서가 파손되거나 충격 센서(110)와 단말기(100)사이의 연결이 단락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신호 전송이 중단될 것이므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단계(502)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동작 신호 전송이 중단된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다(S503).
이하, 다시 도 4를 참조하며 사고 발생시의 처리 단계를 설명한다.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센서네트워크(100)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S420), 사고 발생시 처리 단계로 진입하여 충격 데이터 및 인근 센서네트워크 단말기 식별자를 수집하고 저장한다(S430). 사고 발생 시점 및 그 후의 일정 시간(예컨대, 5분)동안의 인근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는 가해 차량 추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자료이므로, 블랙박스 장치의 데이터 저장 방식이 평상시에도 식별자를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방식이건 그렇지 않은 방식이건 간에 사고 발생 시점 및 그 이후의 일정 시간 동안의 수집 가능한 데이터는 수집하여 이를 메모리(120)에 안전하게 저장한다.
한편, 사고 발생 후 상당 시간 경과한 후의 데이터(식별자)는 사고 원인 분석 등에 별다른 도움이 안 되는 것들이므로 더 이상의 수집 및 저장을 중단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단계(S440)는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가 수집한 데이터를 외부의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4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즉, 비콘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40)가 도로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가 사고 발생을 감지하면, 자신이 수집한 충격 데이터 및 인근 차량의 단말기(130) 식별자를 비콘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이럴 경우, 차량이 사고 발생 후 일정 시간 후에 전소되어 메모리(120)가 완전히 소각되더라도, 일정량의 데이터가 인근의 비콘형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므로,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교통사고 발생 파악 및 그 원인 분석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이 비콘형 단말기(140)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관리관청 또는 별도의 센터에 연결된 경우라면, 사고를 인지한 즉시 사고 발생 사실을 전송함 으로써 신속한 구조 및/또는 사고 처리 인력 파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콘형 단말기(140)를 채택할 경우, 사고 발생을 사실을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인지하게 된 경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이외에 스스로 인근의 다른 차량용 센세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정확한 사고 원인 분석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에 의해 수집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사고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정차중인 차량에 대해 다른 차량이 접촉 사고를 일으켰을 경우, 주차 차량내의 센서 네트워크 단말기(100)는 내부의 메모리(120)에 사고 추정 시간을 전후하여 인근 차량의 단말기(140) 식별자를 저장하게 된다. 인근 차량은 가해 차량을 포함해서 주변에 주차 또는 주행중인 다른 차량도 포함된다.
주/정차중인 다른 차량의 단말기 식별자는 사고 전과 후의 일정 시간(예컨대, 수분) 동안은 동일하게 저장되어 있을 것이므로, 가해 차량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사고 발생시 사고 차량 인근을 정상적으로 주행 중인 차량에 부착된 단말기 식별자는 극히 적은 시간(예컨대, 수초) 동안만 저장될 것이다. 그런데 가해 차량이 접촉 후 곧바로 도주한 경우에도 수초의 적은 시간만 그 식별자가 저장될 것이므로 사고 발생시 주행하던 차량과 구별하기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사고를 일으킨 가해 차량은 접촉후 통상 자신의 차 상태라도 살펴보는 것이 통례이므로 정상 주행한 차보다는 조금 더 많은 시간(예컨대, 수초) 기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확실히 주/정차 중이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인근 차량을 제외하고 가장 오래 시간 기록된 차량을 가해 차량으로 추정하여 조사 대상으로 삼는다.
이런 식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거나 가해 추정 차량이 실제 가해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정되면 기록된 다른 차량에 대해 조사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가해 차량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사고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인근의 정상 주행하고 있는 차량은 극히 적은 시간(예컨대, 수초) 동안만 그 단말기의 식별자가 기록될 것이고, 사고 차량과 추돌/또는 충돌한 차량은 뺑소니 차량이라 하더라도 적어도 10초 이상의 기간 동안 그 단말기 식별자가 저장될 것이므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추돌/충돌 후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통신 범위를 벗어날 정도로 튕겨져서 정상 주행 차량과 구별이 안 되는 경우나 사고를 발견하고 도움을 주기 위한 차량 또는 일정 시간 구경하기 위한 차량의 단말기 식별자가 기록되어 사고 차량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기준에 따라 가해 차량으로 추정된 차량이 실제 사고와 무관한 차량으로 판명된 경우에는 기록된 다른 차량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하여 추적함으로써 가해 차량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주행 중 사고에 관한 분석 방법 설명에서 피해 차량, 가해 차량으로 양분하여 표기한 것은 이해의 증진과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사고 차량 각각에는 상대측 사고 차량과 인근의 차량이 기록되어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100)는 전술한 충격 데이터, 다른 차량의 단말기 식별자 및 시각 정보 이외에, 자신의 차량의 속 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타 정보도 수집하여 저장하나. 충격 데이터도 충격량 데이터 이외에 충격 방향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충격 방향 데이터 및 속도 데이터까지 수집되어 저장된 경우, 주행 중 사고시의 가해 차량 또는 과실 차량(예컨대, 과속 차량)의 판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저장 되어진 사고시 관련 주변 운행 정보는, 경찰의 교통사고 처리시 하나의 유력한 증거물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교통사고 시간과 이때 주변에 있던 차량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가해 차량은 물론이고 목격자의 존재 여부와 목격자를 확보 할 수 있는데 용이하다. 특히 뺑소니 사건의 경우 도주 차량을 판별하고 이를 추적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사고시 보다 신속하고 타당한 사고 처리를 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장치 및 시스템은 사고 처리에만 한하여 이용되고 주변 차량에 대해서는 식별 정보만을 기록하고 이용하게 되므로, 사생활 침해와 같이 첨예한 사회문제에도 저촉이 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이 고려되어지게 된 근원적인 이유인 뺑소니 차량에 대한 방지가 이루어져서 차량 운전자들로 하여금 더욱 양심적인 운전과 매너 있는 양보 운전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즉, 성숙된 교통 문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차 운행 정보 중 주변 차량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기록 저장한 후, 사고 처리시 이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여 가해 차량을 찾아내는 데 활용함과 동시에, 목격자가 없어 미궁에 빠지기 쉬운 뺑소니 사고에 대해서도 가해 용의 차량과 교통사고 목격자들을 용이하게 확보 할 수 있어서 이들의 진술을 교통사고 수사에 활용할 수 있어 증거에 입각한 과학 수사에도 이바지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는 서비스는 현재 핫-이슈가 되어지고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터(Ubiquitous Computing) 환경에 대한 초기 준비 단계의 적용 가능한 응용례를 제공한다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 하겠다.

Claims (17)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격 센서와,
    상기 충격 센서와 연결되고,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며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는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와,
    상기 센서네트워크 노드에 연결되어 적어도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일정 개소에 설치되며,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자신이 감지한 데이터를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서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일정 개소에 설치되며, 소정량 이상의 충격에 반응하여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로 충격 데이터 및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고시, 차량에 대한 소정 기준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로 인지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소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값이 수신될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의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사고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사고 발생으로 판단한 경우, 다른 고정형 또는 이동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에 인근 차량에 부착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의 데 이터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정보를 소정 시간 동안 전송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대비한 자체의 충전식 전원을 보유하는 것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10. 도로상 교통사고 발생 감지 및 원인 분석을 위한 감시 및 분석 시스템으로서,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고정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와,
    상기 고정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에 연결되는 저장용 메모리와,
    각각이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며 상기 도로를 주행하는 각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와,
    상기 각 차량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충격 센서 및 차량용 메모리
    를 포함하는 센서네트워크를 활용한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차량용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직후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사고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되는 인근의 다른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데이터를 상기 차량용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상기 차량용 충격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교통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직후 상기 고정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에게 교통사고 발생 통지 데이터, 자신의 식별자, 인근에 있는 다른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충격 데이터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전송하는 것인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는
    교통사고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면, 인근의 수신 가능한 모든 차량용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고 발생 차량으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시스템.
  14. 차량내 설치된 충격 센서와 센서네트워크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로상 교통사고 발생 감지 및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격 센서로부터 충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격 데이터로부터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적어도 상기 충격 데이터와, 사고 발생 시 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인근의 다른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사고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
    다른 고정형 또는 이동형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에 인근 차량에 부착된 센서네트워크 단말기의 식별자와 상기 충격센서로부터의 데이터 및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데이터를 소정 시간 동안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주/정차 중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기에 기록되어져 있는 센서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차량을 가해 차량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주행 중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발생 시점으로부터 가장 오래 동안 기록된 센서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차량을 가해 차량으로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사고 감시 및 분석 방법.
KR1020040037189A 2004-05-25 2004-05-25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KR10054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89A KR100541243B1 (ko) 2004-05-25 2004-05-25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89A KR100541243B1 (ko) 2004-05-25 2004-05-25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55A KR20050112255A (ko) 2005-11-30
KR100541243B1 true KR100541243B1 (ko) 2006-01-12

Family

ID=3728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89A KR100541243B1 (ko) 2004-05-25 2004-05-25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455B1 (ko) * 2006-05-02 2008-0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퍼지 기반의 전달 영역 제한시스템 및 그 제한 방법
KR100925785B1 (ko) * 2007-12-27 2009-11-1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용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150051407A (ko) * 2013-11-04 2015-05-13 안상준 블랙박스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교통사고 정보 수집 및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86948Y1 (ko) 2017-07-27 2018-07-17 이태희 내시경 적용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711Y1 (ko) * 2000-12-22 2001-07-19 이승철 자동차 블랙박스
JP2001266291A (ja) * 2000-01-21 2001-09-28 Lucent Technol Inc 自動車対話型通信システム
KR100307137B1 (ko) * 1996-12-17 2001-12-28 이계안 차량사고발생시다중충돌방지장치
JP2002031544A (ja) * 2000-07-17 2002-01-31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3346297A (ja) * 2002-05-30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タグ、路側無線送受信装置、車載無線送受信装置及び交通安全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137B1 (ko) * 1996-12-17 2001-12-28 이계안 차량사고발생시다중충돌방지장치
JP2001266291A (ja) * 2000-01-21 2001-09-28 Lucent Technol Inc 自動車対話型通信システム
JP2002031544A (ja) * 2000-07-17 2002-01-31 Omr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200229711Y1 (ko) * 2000-12-22 2001-07-19 이승철 자동차 블랙박스
JP2003346297A (ja) * 2002-05-30 2003-1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タグ、路側無線送受信装置、車載無線送受信装置及び交通安全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55A (ko)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6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livery of event data
US74304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vehicle
EP13200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transfer of collision information
US9508201B2 (en) Identifying the origins of a vehicular impact and the selective exchange of data pertaining to the impact
JP2009516290A (ja) ユビキタスセンサー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道路危険情報のリアルタイム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699414B1 (ko) 차량의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5319B1 (ko) 지능형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07195201A (zh) 高速公路上防止连环撞车预警系统
CN105916753B (zh) 用于监控铁路车厢性能的系统和方法
CN105387963A (zh) 高速公路边坡压力检测和预警装置
CN203825447U (zh) 一种乘用车辆obd监控平台
CN101676153A (zh) 车辆安全系统
KR100541243B1 (ko)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동차 블랙박스 서비스
US11749100B2 (en) System and methods to provide emergency support using lighting infrastructure
KR20070030862A (ko) 원격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차량용 보안 및 관리 시스템및 방법
JP2006199088A (ja) 車輌事故情報伝達装置および車輌事故情報伝達方法
KR200315560Y1 (ko) 자동차 과속 감시 시스템
KR20220112043A (ko) 모빌리티 공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135262A (ja) 車両情報収集装置
CN114212041A (zh) 一种车辆的监控方法及系统
EP1758066B1 (en) Arrangement of an vehicle unit OBU with an identification protection unit to prevent unauthorized use
KR200404832Y1 (ko) 자동차 운행기록장치
KR100952459B1 (ko) Usn 기반의 차량 사고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JP2005321888A (ja) 盗難車両発見システム、車両盗難防止装置、盗難車両発見装置及び盗難車両発見方法
NO344614B1 (en) System for detection of vehicle body da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