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425B1 -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425B1
KR100540425B1 KR1019990004644A KR19990004644A KR100540425B1 KR 100540425 B1 KR100540425 B1 KR 100540425B1 KR 1019990004644 A KR1019990004644 A KR 1019990004644A KR 19990004644 A KR19990004644 A KR 19990004644A KR 100540425 B1 KR100540425 B1 KR 10054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imchi
refrigerator
cham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804A (ko
Inventor
강호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90004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4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전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서랍식으로 열리는 도어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가 앞으로 흔들거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전용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서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것에 의하여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와 같이 인출되는 김치저장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시, 그 반대방향으로의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그 양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레일과 챔버의 양측면에 설치된 안내레일에 의하여 수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웨이트는 연결선에 의하여 상기 도어레일과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웨이트는 도어가 최대로 인출되기 직전에,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김치전용 냉장고

Description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exclusive use of kimchee with balanc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김치전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김치전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도어 인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인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어 인출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챔버12a ..... 저면
12b ..... 경사면20 ..... 도어
21 ..... 측벽22 ..... 도어레일
24 ..... 안내레일30, 40 ..... 웨이트
32 ..... 도르레R ..... 연결선
본 발명은 김치전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인출과 동시에 냉장고 내부의 김치저장고가 인출되는 김치전용 냉장고에서 도어의 인출시 냉장고가 앞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밸런싱 기능을 구비하는 김치전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김치보관기기는,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버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보관용기의 내부에 김치를 넣거나 꺼낼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김치의 숙성시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을 제공하는 히터와, 김치의 보관시 일정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증발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 김치를 담근 후에는, 김치보관기기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를 열고, 그 내부에 김치를 넣은 후, 일정한 숙성과정을 진행시킨다. 이러한 숙성과정은 히터를 발열시키는 것에 의하여 김치의 숙성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하여 김치의 숙성과정이 완료되면 증발기 내부에 설치된 증발기가 동작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를 보관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보관과정은 냉동싸이클을 이용하여 증발기를 저온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김치의 보관에 적절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김치저장기기에 있어서는 커버가 상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동작이 상당히 불편해진다. 즉 김치를 넣거나 꺼내는 모든 사용동작이 허리를 숙이지 않으면 안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고 96-4503에는 김치의 저장공간을 특성화시킨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에는 이러한 냉장고를 도시 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보관 기능을 구비하는 냉장고는, 냉동실(2)과 냉장실(4)로 구분되고, 그 내부에서 김치의 숙성 및 보관 사용하는 히터(2a,4a)와, 상기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부재(2b,4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김치의 숙성시에는 상기 히터(2a,4a)에서 발생하는 열이, 송풍부재(2b,4b)에 의하여 냉동실(2) 및 냉장실(4)의 내부를 순환하는 것에 의하여 숙성을 위한 상대적인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는 없지만, 김치의 보관시 저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증발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동싸이클에서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된 한쌍의 증발기로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냉장실로 냉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냉동싸이클의 냉매의 순환경로를 냉장실 증발기 측으로 안내하고, 냉동실로 냉기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냉매의 순환경로를 냉장실의 증발기 측으로 안내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냉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하여 복잡한 냉매관의 배치는 물론 솔레노이드 밸브라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김치전용 냉장고는, 실질적으로 일반 냉장고와의 구성과 거의 대등 소이하나, 다만 히터가 추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더욱이 김치전용 냉장고로써의 충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못한 단점이 대두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김치전용 냉장고가 제안된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된 김치전용 냉장고에 의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 베리어(10)에 의하여 상하로 구분되는 제1챔버(12)와 제2챔버(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챔버(12)와 제2챔버(14)의 각각의 저면에는 김치의 숙성에 요구되는 열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히터(12b,14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12b,14b)에 의한 열이, 제1챔버(12) 및 제2챔버(14)의 내부에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김치저장고(12a,14a)에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김치의 숙성을 위한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12) 및 제2챔버(14)의 후면에는 증발기(12c,14c)가 설치되어 있어서, 숙성된 김치의 저장을 위한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김치전용 냉장고에서의 도어의 인출구조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저장고(12a)는 도어(20)와 같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어(20)의 후방으로는 도어레일(22)이 연설되어 있고, 상기 김치저장고(12a)는 상기 도어레일(22)에 결합되어 있어서, 도어(20)를 열면 상기 김치저장고(12a)도 같이 앞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레일(22)은 도어(2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도어레일(22)의 후단부에는 도어롤러(2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롤러(22a)는, 챔버(12)의 양측벽(21)에 설치된 안내레일(24)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벽(21)의 전방측에는 지지롤러(24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레일(22)과 안내레일(24)은 서로 대향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 도어롤러(22a) 및 지지롤러(24a)가 그 내부에 수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레일(22)의 후단부에 설치된 도어롤러(22a)는, 챔버(12)의 양측벽(21)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24) 속에 수납된 상태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면, 상기 도어롤러(22a)는 안내레일(24)의 내측 상면 또는 하면을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양측벽(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롤러(24a)는, 도어레일(2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인출시에는, 상기 도어레일(22)의 상측면이 상기 지지롤러(24a)와 접촉하면서, 도어레일(22)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롤러(24a)가 회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김치전용 냉장고에서, 상기 김치저장고(12a)의 내부에는 김치가 보관된 상태로, 챔버(12) 내에서 숙성되거나 저온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김치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0)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김치저장고(12a)가 앞으로 인출된다.
그러나 김치저장고(12a)의 내부에 보관중인 김치는 전체적으로 무거운 하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앞으로 당겨지면 김치전용 냉장고의 하중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특히 상부에 있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김치저장고(12a)의 중심이 냉장고 자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더욱이 도어(20)를 여는 과정에 있어서, 도어(20)가 최대로 인출되어 정지하는 순간 냉장고 본체에는 도어(20)의 열림 동작에 의한 충격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충격하 중은, 냉장고를 전방으로 기울게 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냉장고가 앞으로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실제로 도어(20)의 최대 인출시 도어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가해지는 동하중(충격하중)은 적어도 정하중의 2배 이상의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의 최대인출시 냉장고 본체에 가해지는 힘이 커서 냉장고를 안정한 상태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같이 김치저장고가 인출되는 서랍식 냉장고에서, 도어가 열리는 경우에 냉장고 전체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김치전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인출되는 과정에 있어서, 최대로 인출되기 전에 도어에 열리는 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일정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최대로 도어가 열리기 전에 도어의 열림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하중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도어가 최대로 열리면서, 냉장고 본체에 가하는 충격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치전용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서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것에 의하여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와 같이 인출되는 김치저장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시, 그 반대방향으로의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웨이트에 의한 하중이 도어가 열리는 반대방향으로의 반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가 완전하게 열리면서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리는 순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가 앞으로 쏠리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는, 그 양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레일과 챔버의 양측면에 설치된 안내레일에 의하여 수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웨이트는 연결선에 의하여 상기 도어레일과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웨이트는 도어가 최대로 인출되기 직전에,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가 최대로 열리면서 정지하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처음 열리는 순간에는 부드럽게 열릴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웨이트는 챔버의 양측면에 성형된 경사면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의 인출과 같이 웨이트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본체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더욱 안정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12)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챔버(12)는 도어(20)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도어(20)에 연설되어 있는 도어레일(22)의 후단부에는 연결선(R)에 의하여 웨이트(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R)의 중간에는 도르레(32)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웨이트(30)는 도어(20)의 열림 및 닫힘에 따라서 상하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웨이트(30)를, 도어(20)와 연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20)를 여는 과정에서는 상기 웨이트(30)의 자중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여는데 필요한 힘은 최소한 상기 웨이트(30)의 자중에 의한 힘 보다는 커야 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30)의 동작시작 시점과, 연결선(R)의 길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연결선(R)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웨이트(30)가 놓여질 수 있는 지지부를 챔버(12)의 일측면에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웨이트(30)의 자중이 작용하게 되는 시점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연결선(R)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본다. 연결선(R)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20)가 닫힌 상태 및 일정 간격 열린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30)를 챔버(12)의 저면(12a)에 올려져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 게 챔버(12)의 저면(12a)에 올려진 상태의 웨이트(30)는, 상기 도어(20)가 거의 대부분 열렸을 경우, 즉 도어(20)가 최대한 앞으로 인출되기 직전의 상태에서 들리면서, 그 자중에 의한 하중이 도어(20)를 여는 힘에 대하여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여는 사용자는, 처음에는 웨이트(30)에 의한 하중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도어(20)를 잡아당기면서 열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도어(20)를 거의 다 열었을 경우에는, 상기 웨이트(30)가 들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때 웨이트(30)에 의한 힘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도어(20)를 거의 다 열었을 때, 웨이트(30)가 작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20)가 최대한 열리기 직전의 순간에 웨이트(30)의 하중에 의한 반력이 작용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도어가 열리는 속도가 충분하게 늦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도어가 거의 대부분 열렸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어(20)가 최대로 인출되면서, 멈추는 순간의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도어가 멈추는 순간의 충격하중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 상기 웨이트(30)가 올려지는 지지면을 챔버(12)의 일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웨이트(30)가 상기 실시예에서는 챔버(12)의 바닥면(12a)에 올려지는 것임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챔버(12)의 일측면(양측면 또는 후면 등)에 성형되는 지지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시작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웨이트(30)는 도어(20)가 최대로 열리기 전에 들어올려지면서, 도어를 여는 힘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웨이트를 일정한 경사면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고, 도 3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20)에 연결된 도어레일(22)의 후단부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연결선(R)을 통하여 웨이트(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R)은, 도르레(4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음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웨이트(40)가 챔버(12)의 양측벽에 형성된 경사면(12b)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12b)은, 챔버(12)의 양측벽(21)의 하부에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챔버(12) 내에 수납되는 김치저장고(12a)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20)를 여는 동작에 의하여 웨이트(40)는 경사면(12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R)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20)가 완전히 열려서 멈추기 전에 웨이트(40)가 도어(20)의 열림 동작에 의하여, 경사면(12b)의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12b)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 웨이트(40)가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도어(20)를 여는 동작에 의하여 웨이트(4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웨이트(4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의 무게 중심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20)가 열리면서 정지하는 순간의 동하중이 작용하는 냉장고에 작용하는 순간, 상기 웨이트(40)에 의하여 냉장고의 무게중심이 더욱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잇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서랍식으로 수납되는 김치전용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가 최대로 열려서 멈추는 순간에 냉장고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최소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여는 동작에 의하여 냉장고가 앞으로 쏠리거나, 심지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챔버에서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것에 의하여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와 같이 인출되는 김치저장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시, 그 반대방향으로의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김치전용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그 양측면에 설치되는 도어레일과 챔버의 양측면에 설치된 안내레일에 의하여 수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웨이트는 연결선에 의하여 상기 도어레일과 연결되어,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김치전용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도어가 최대로 인출되기 직전에, 도어의 인출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김치전용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챔버의 양측면에 성형된 경사면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김치전용 냉장고.
KR1019990004644A 1999-02-10 1999-02-10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KR100540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644A KR100540425B1 (ko) 1999-02-10 1999-02-10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644A KR100540425B1 (ko) 1999-02-10 1999-02-10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804A KR20000055804A (ko) 2000-09-15
KR100540425B1 true KR100540425B1 (ko) 2006-01-10

Family

ID=1957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644A KR100540425B1 (ko) 1999-02-10 1999-02-10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4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44B1 (ko) * 2001-06-26 2003-09-1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승강식 서랍장치
KR100873020B1 (ko) * 2002-09-14 2008-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804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6903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02472387B1 (ko) 냉장고
KR20220100566A (ko) 냉장고
KR20170093602A (ko) 냉장고
JP2726581B2 (ja) 貯蔵庫
US20220307763A1 (en) Refrigerator
JP2001280824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KR100540425B1 (ko) 밸런싱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JPH06257935A (ja) 貯蔵庫
KR100804272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구조
JP4044400B2 (ja) 冷蔵庫のカン収納装置
JP2001091152A (ja) 引き出し型冷蔵庫
KR20000060145A (ko) 김치전용 냉장고의 도어개폐장치
JP2903508B2 (ja) 冷蔵庫
KR20040082699A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JP2000046465A (ja) 貯蔵庫
KR100572872B1 (ko) 김치전용 냉장고
KR100222987B1 (ko)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 조절 장치
KR100518427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00700784B1 (ko)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KR100584850B1 (ko) 냉기 누설방지 기능을 구비한 김치전용 냉장고
KR0128920Y1 (ko) 냉장고
KR100834107B1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20000074252A (ko) 서랍형 냉장고
KR100381786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