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302B1 -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302B1
KR100538302B1 KR10-2003-0057502A KR20030057502A KR100538302B1 KR 100538302 B1 KR100538302 B1 KR 100538302B1 KR 20030057502 A KR20030057502 A KR 20030057502A KR 100538302 B1 KR100538302 B1 KR 10053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oilet seat
button
lower plat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811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리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리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리오텍
Publication of KR2004010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기 좌변기용 시트장치는,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장치로서,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변기에 접촉지지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로드버튼; 상기 로드버튼들 중 적어도 2개의 로드버튼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로드버튼을 통해 가해지면 그 체중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트레인게이지식 로드셀; 상기 각 로드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사용자의 체중으로 연산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연산표시부; 및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Toilet seat device and bidet device using the toilet seat device}
본 발명은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앉으면 사용자의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건강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중의 하나는 체중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반인은 모두 자신의 체중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비만인 사람은 물론이고, 저체중인 사람도 자신의 체중을 계속적으로 관찰하기를 원하는 것이다. 일반인들은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체중계가 구비되어 있는 대중목욕탕을 가거나, 혹은 자신의 집에 체중계를 마련하여 자신의 체중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목욕탕에서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대중목욕탕을 자주 가는 사람은 그리 흔치않아 자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대중목욕탕의 체중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프라이버시와 관계된 자신의 체중을 타인이 알게 될 것이 꺼려지는 불편함도 있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 마련된 체중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가정용으로 나온 체중계가 보통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또한 옷을 입고 체중을 측정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체중을 측정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보통 좌변기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욕실에서 체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정확한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편하게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옷을 입지 않고 정확히 자신의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넓지 않은 것이 대부분인 욕실에 별도의 체중계를 마련하는 것은 번거롭다. 따라서, 좌변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대단히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용 시트는 좌변기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 위에 안락하게 앉을 수 있는 기능을 할 뿐,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리고, 근래 들어 보급률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비데장치는, 좌변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좌변기용 시트에 비데기능 만을 위한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타입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자의 용변을 본 부위를 세척하는 비데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좌변기용 시트를 따뜻하게 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기 위해, 좌변기용 시트까지를 포함한 타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어떠한 타입의 비데장치도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모든 사람이 거의 하루에 한 번 이상은 사용하는 좌변기용 시트를 이용하여 정확한 체중의 측정할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 혹은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좌변기용 시트에 앉는 것만으로 정확한 체중의 측정이 가능한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시트장치는,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장치로서,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변기에 접촉지지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로드버튼; 상기 로드버튼들 중 적어도 2개의 로드버튼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로드버튼을 통해 가해지면 그 체중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트레인게이지식 로드셀; 상기 각 로드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사용자의 체중으로 연산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연산표시부; 및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그에 대응되는 로드셀에 고정되고 제2단부는 상기 하판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버튼들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상판하부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판에는, 그 하판에 대한 상기 로드버튼의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진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탄성복원되어서 상기 직경확대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입구부와, 상기 직경확대부가 진입한 후에 상기 직경확대부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바닥부를 갖는 로드버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는 구형이고, 상기 하판의 로드버튼결합부의 내부면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판은, 하판본체와, 상기 하판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버튼결합부를 구성하는 로드버튼결합부재와,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좌변기에 접촉하는 댐퍼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상기 하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대응하는 로드셀이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에는, 그 상판에 대한 상기 로드버튼의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진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탄성복원되어서 상기 직경확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직경확대부가 진입한 후에 상기 직경확대부의 상부면에 올려져 지지되는 지지면을 갖는 로드버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는 구형이고, 상기 상판의 로드버튼결합부의 내부면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상기 하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대응하는 로드셀이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하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단부는 대응하는 상기 로드셀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산표시부에는, 상기 상판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복수의 로드셀에 분산되어 작용할 때, 상기 복수의 로드셀이 서로 다른 값들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다른 출력값들을 하나의 동일한 값으로 보정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 보정회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산표시부에는,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표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식별표시와, 그 식별표시에 해당하는 체중 및 용변 전후의 체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한 용변량을 기억하는 기억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장치는, 사용자의 용변 본 부위를 세척하는 비데기능을 갖는 비데장치로서, 상술한 좌변기용 시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판과 하판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좌변기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보면서 자신의 체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판(10), 상판(20), 로드셀(30), 로드버튼(40), 연산표시부(50) 및 덮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판(10)은,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좌변기(1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좌변기(1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으로서, 하판본체(11)와 로드버튼결합부재(13)와 댐퍼부재(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판본체(11)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19)가 좌변기(1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록(미도시)에 힌지핀(11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변기(100)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는 하판(10)을 필요에 따라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키며 상방으로 젖혀 올릴 수 있다. 한편, 하판본체(11)에는 대략 서로간의 거리가 균등하도록 위치한 4개의 관통공(1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13)는 모두 4개가 마련되는데 각각은 후술할 로드버튼결합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판본체(11)의 관통공(17)에 결합되어 있다, 로드버튼결합부재(13)를 관통공(17)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나사를 사용하거나, 접촉부분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드버튼결합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버튼결합부재(13)의 상부 중앙부위에 마련되며, 입구부(120)와 내부면(124)을 갖는다.
상기 입구부(120)는, 구형의 형상을 한 후술할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에 형성된 직경확대부(440)가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구형의 직경확대부(440)의 진입을 허용한다. 또한, 입구부(120)는 직경확대부(440)가 입구부(120)를 통과하여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다시 탄성복원되어서 직경확대부(4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만, 직경확대부(440)가 입구부(120)를 완전히 진입한 이후에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면, 직경확대부(440)가 다시 입구부(120)를 탄성변형시키며 입구부(120)로부터 이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면(124)은 입구부(120)의 안쪽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부(122)를 연결하며, 구형의 직경확대부(4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구면을 하고 있다. 내부면(124)의 바닥부(122)는 입구부(120)를 통과한 직경확대부(440)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상기 댐퍼부재(15) 로드버튼결합부재(13)의 하면에 접착제나 나사 등에 의해서 결합된다. 댐퍼부재(15)의 하면은 좌변기(100)의 상면에 직접 접촉한다. 이 댐퍼부재(15)는 위로 젖혀졌던 하판(10)이 좌변기(100)를 향해 빠른 속도로 접히며 좌변기(100)의 상면에 부딪힐 때,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상판(20)은 후술할 로드버튼(40)을 통해 하판(10)에 올려져 지지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된다. 상판(20)의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13)의 상측에 로드셀고정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1실시예의 경우, 로드셀고정부(22)가 상판(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상판(20)의 하면에 접착제나 나사 등의 방법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상판(20)의 하부에는 상판하부커버(2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판하부커버(2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의 하부에 결합되며, 후술할 로드버튼(40)을 통과시켜 로드버튼(4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관통공(250)을 4개 구비한다.
상기 로드셀(30)은, 본 제1실시예의 경우 모두 4개가 마련되며, 하중이 가해질 때 그 하중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34)와 이 스트레인케이지(34)가 부착된 탄성부재(32)로 구성된 스트레인케이지식 로드셀이다.
각 로드셀(30)의 탄성부재(3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로드버튼고정홈(36)과 결합공(3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로드버튼고정홈(36)은 탄성부재(32)의 중앙부위에 마련되며 여기에는 후술할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가 고정된다. 상기 결합공(38)은 탄성부재(32)의 네 귀퉁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로드셀(30)은 결합공(38)들을 관통한 결합나사(미도시)들이 상판(20) 하부의 로드셀고정부(22)에 체결되며 상판(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스트레인케이지(34)는 4개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2)의 후면에 부착된다. 각 스트레인케이지(34)는, 로드버튼고정홈(36)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34)가 탄성변형이 되며, 그 탄성변형량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다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34)들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를 이루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로드셀을 다루는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로드셀(30)은 방수 등의 목적으로 외부커버가 씌워져 있는 상태로 사용이 되는 데, 도 4에 도시된 로드셀(30)은 이러한 외부커버가 없다고 가정하고 도시된 상태이다.
상기 로드버튼(40)은, 상판(20)을 하판(10)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고, 상판(20)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각 로드셀(30)에 가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판(20)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은 복수의 로드버튼(4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이다. 로드버튼(40)은 상기 로드셀(30)에 대응되도록 모두 4개가 마련되며, 각각은 제1단부(42)와 제2단부(44)를 구비하며, 제1단부(42)와 제2단부(44)의 사이는 몸체(43)를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단부(42)는 로드버튼(40)의 상단부로서, 몸체(43)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있어서, 로드셀(30)에 마련된 로드버튼고정홈(36)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제2단부(44)는 로드버튼(40)의 하단부로서 하판(10)에 마련된 로드버튼결합부(12)의 바닥부(122)에 올려져 지지된다. 제2단부(44)에는 몸체(43)보다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직경확대부(440)는 대략 구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직경은 상기 하판(10)의 로드버튼결합부(12)의 입구부(120)의 직경과 내부면(124)이 형성하는 구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연산표시부(50)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판(20)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로드버튼(40)에 의해 로드셀(30)들로 전달되어 로드셀(30)들로부터 전기신호가 출력되면, 그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의 체중으로 연산하고, 연산된 체중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연산표시부(50)의 연산부(51)에서는 로드셀(30)들로부터 나오는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먼저 증폭하며, 증폭된 신호를 A/D변환을 거치게 한다. 다만, 증폭과 A/D변환하는 구체적인 방법, 그리고 A/D변환된 신호를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하여 사용자가 체중으로 인식할 수 있는 숫자로 산출하고, 그 숫자를 외부에 LCD화면 등의 표시부(54)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이 분야에 공지된 사실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연산표시부(50)는 보정회로(52)와 입력부(56)와 기억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정회로(52)는, 상기 상판(20)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4개의 로드셀(30)에 분산되어 작용할 때, 상기 복수의 로드셀(30)이 서로 다른 값들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출력값들을 하나의 동일한 값으로 보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4개의 로드셀(30)은 모두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각 로드셀(30)로부터 나오는 출력도 같아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로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제작하게 되면, 로드셀(30)들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신호들은 서로 같지 않다. 출력값들이 서로 같지 않은 이유는 주로, 스트레인게이지(34)들을 탄성부재(32)에 부착하고 로드셀(3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로드셀(30)들 자체의 미세한 차이와, 상판(20)의 하부에 로드셀(30)이 장착되는 조건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차이에 기인한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즉, 로드셀(30)들로부터 동일한 출력을 얻기 위해서, 로드셀(30) 제작이나 상판(20)의 하부에 로드셀(30)을 장착하는 단계를 많은 노력을 들여 정밀하게 하는 것보다는, 로드셀(30)들의 제작이나 상판(20)의 하부에 장착하는 것은 통상의 노력을 들여 하고, 본 제1실시예와 같이, 로드셀(30)들이 장착된 후에 서로 다른 출력값들을 같도록 보정하여 주는 보정회로(52)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알려진 많은 회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제1실시예의 경우,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로드셀(30)들로부터 동일한 출력전압(VO)을 얻기 위해서 각 로드셀(30)에 걸리는 입력전압(VI)에 볼륨저항(VR)을 사용한 소위 정션박스(junction box)나 써밍박스(sumiming box)라 불리는 보정회로(52)를 사용한다.
상기 입력부(56)는, 본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여러 명이 사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를 나타내는 식별표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입력받는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키패드와 입력버튼을 구비하여, 숫자를 눌려 자신을 나타내는 숫자가 표시되면,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상기 기억부(58)는, 입력부(56)를 통해 입력받은 식별표시를 기억한다. 또한, 각 사용자의 측정된 체중과 각 사용자의 용변 전후의 체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한 용변량을 각 식별표시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기억한다. 이렇게 기억된 식별표시에 따른 체중과 용변량 등은, 사용자가 자신에 해당하는 표시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연산표시부(50)의 표시부(54)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연산표시부(50)의 기억부(58)에서 기억하고 있는 식별표시, 체중 및 용변량 등은 외부단자(미도시)를 이용하여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덮개(60)는 좌변기(1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그것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62)가 좌변기(10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블록(미도시)에 힌지핀(112)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변기(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60)를 필요에 따라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시키며 하방으로 접어 내릴 수 있다.
이하, 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조립하는 방법 및 좌변기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하판(10)과 덮개(60)가 좌변기(1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판(20)의 하부에는 4개의 로드셀(30)이 고정되고, 각 로드셀(30)의 하면에는 로드버튼(40) 결합된다. 또한, 로드버튼(30)의 제2단부(4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4개의 관통공(250)을 가지는 상판하부커버(25)가 상판(2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 상판하부커버(25)의 관통공(250)들을 통해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는 제2단부(44)의 직경확대부(440)를 하판(10)의 로드버튼결합부(12)의 입구부(120)로 접근시킨다. 그리고, 상기 직경확대부(44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120)를 통과하도록 상판(20)을 잡고 힘을 가한다. 한편, 로드버튼(40)의 직경확대부(440)가 하판(10)에 마련된 로드버튼결합부(12)의 내부면(124)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직경확대부(440)의 원치 않는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하판(10)과 상판(20)을 좌변기(100)에 대해 회동하여도 상호간의 분리는 되지 않는다.
직경확대부(440)가 로드버튼결합부(12)의 내부로 완전히 집입되게 되면, 직경확대부(440)의 하단면은 로드버튼결합부(12)의 내부의 바닥부(122)에 접촉되어 지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로드셀(30)들과 연결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연산표시부(50)는,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0)의 주변 정당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좌변기용 시트장치(1)의 조립과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상판(20)에 걸터앉는다. 상판(20)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은 다른 곳의 간섭을 받지 않고 순전히 로드버튼(40)을 통해 로드셀(30)에 전달된다. 하중이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를 통해 로드셀(30)에 전달되면, 각 로드셀(30)은 탄성부재(32)가 탄성변형을 하게되고, 이러한 변형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각 로드셀(30)의 출력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회로(52)에 의해 상호 동일하도록 조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출력값을 이용하여 연산표시부(50)의 연산부(51)에서는 사용자의 체중으로 연산하고 표시부(54)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는 연산표시부(50)의 입력부(56)를 통해 자신에 해당하는 식별표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식별표시는 연산부(51)를 거쳐 기억부(58)에 기억되며, 각 식별표시에 해당하는 기억장소에 체중 및 배변량이 기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사용자가 걸터앉는 상판(20)이, 좌변기(100)에 힌지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지 있지 않고, 상판(20)의 하부에 고정된 복수의 로드버튼(40) 만에 의해 하판(10) 상에 올려져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는 점이다. 즉, 로드버튼(40)의 직경확대부(440)의 직경이 로드버튼결합부(440)의 내부면(124)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버튼결합부(12)의 내부에서 직경확대부(440)는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 가능한 상태로 로드버튼결합부(12)의 바닥부(122)에 단순히 올려져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확한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용변 전후의 체중의 변화를 계산하여 정확한 용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용변량은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한편, 연산표시부(50)에는 입력부(56)와 기억부(58)를 구비하고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정보를 입력하고 기억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사용자가 자신을 표시하는 식별표시, 예컨대 자신을 나타내는 숫자를 입력한 후 용변을 시작하면, 체중은 물론이고 용변량이 기억부(58)의 식별표시에 해당하는 곳에 저장되어, 각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의 변화 및 용변량의 변화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포트를 구비하면, 기억부(58)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의 장치, 예컨대, 컴퓨터 등에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로드셀(30)과 로드버튼(40)이 각각 모두 4개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로드버튼(40)의 경우에는 3개, 5개 혹은 그 이상으로 필요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로드셀(30)의 경우에는 2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드버튼(40)이 제1실시예와 같이 4개가 구비되어 있어도, 로드셀(30)은 4개의 로드버튼(40)중 2개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판(20)의 하부에는 로드셀(30)과 크기가 비슷한 지지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로드셀(30)이 2개인 경우에도 2개의 로드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적절히 연산하면, 사용장의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상판하부커버(25)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판하부커버(25)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하고 다른 효과들은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로드버튼(40)의 직경확대부(440)와 로드버튼결합부(12)의 내부면(124)이 구형인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제1실시예에 의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연산표시부(50)에 보정회로(52), 입력부 및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중에 어느 하나 내지는 전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그로 인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한 다른 효과들은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 각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제2,3,4 실시예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참조한 도3의 하판(10)과 상판(20)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에 각각 해당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는 상호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설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되는 부분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한 설명 및 작용효과가 그대로 적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a)는,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와 비교하여 보면, 로드셀(30)과 로드버튼(40)이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은 상호 동일하지만, 이들의 상하 배치가 다르다.
상기 각 로드셀(30)은 하판(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하판(10)의 하판본체(11)에 마련된 관통공(17a)에는 지지부(13a)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3a)의 하면에는 댐퍼부재(15)가 결합되고, 그 상면에는 로드셀(30)이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면 변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로드셀(30)의 대략 중앙부위에 형성된 로드버튼고정홈(36)에는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가 고정된다. 하판(10)의 상부에는 로드버튼(40)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관통공(150a)을 복수 개 가진 하판덮개(19a)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덮개(19a)의 상부로 돌출된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에는 상판(20)이 올려져 지지되고 있다.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확대된 구형의 직경확대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상판(20)의 하면에 모두 4개 마련된 로드버튼결합부재(22a)의 각각에는, 상기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가 결합되는 로드버튼결합부(24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버튼결합부(24a)는 입구부(220a)와 내부면(224a)을 갖는다.
상기 입구부(220a)는, 제1실시예의 입구부(120)와 마찬가지로, 구형의 형상을 한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에 형성된 직경확대부(440)가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구형의 직경확대부(440)의 진입을 허용한다. 또한, 입구부(220a)는 직경확대부(440)가 입구부(220a)를 통과하여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다시 탄성복원되어서 직경확대부(4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만, 직경확대부(440)가 입구부(220a)를 완전히 진입한 이후에 소정의 힘 이상의 힘을 가하면, 직경확대부(440)가 다시 입구부(220a)를 탄성변형시키며 입구부(220a)로부터 이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면(224a)은, 입구부(220a)의 안쪽면으로부터 지지면(222a)을 연결하며, 구형의 직경확대부(44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는 구면을 하고 있다. 내부면(224a)의 지지면(222a)은 입구부(220a)를 통과한 직경확대부(440)의 상부면에 올려져 지지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b)는,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와 비교하여 보면, 로드셀(30)과 로드버튼(40)이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은 상호 동일하지만, 로드버튼(40)의 상하방향 배치가 다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각 로드셀(30)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판(20)의 하부에 마련된 로드셀고정부(2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로드셀(30)을 제1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면, 로드버튼고정홈(36)이 마련되었던 위치에, 로드버튼결합부재(22b)가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결합되는 방법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거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22b)는 로드버튼결합부(24b)를 구비한다. 로드버튼결합부(24b)는 제1실시예의 로드버튼결합부(12)와 같이 입구부(220b)와 내부면을 갖는 것은 거의 유사하다. 다만, 내부면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입구부(220b)를 통과하여 결합된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의 상면이 로드셀(30)에 마련된 홈(36b)에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판(20)의 하부에는 로드버튼결합부재(22b)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하부커버(25)가 결합되어 있다.
하판(10)은 하판본체(11)와, 상기 하판본체(11)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13b)와, 그 지지부(13b)의 하면에 결합된 댐퍼부재(15)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3b)의 상부에는 로드버트고정홈(17b)이 마련되어 있어서,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가 고정된다.
상기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는 로드버튼결합부(24b)에 결합된다. 결합된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의 상면에는 대응하는 로드셀(30)이 올려져 지지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c)는,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와 비교하여 보면, 로드셀(30)과 로드버튼(40)이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은 상호 동일하지만, 로드셀(40)의 결합위치가 다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각 로드셀(30)은 하판(10)의 상부에 결합고정된다. 즉, 하판(10)의 하판본체(11)에 마련된 관통공(18c)에는 지지부(13c)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3c)의 하면에는 댐퍼부재(15)가 결합되고, 그 상면에는 로드셀(30)이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면 변형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로드셀(30)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하면, 로드버튼고정홈(36)이 마련되었던 위치에 로드버튼결합부재(17c)가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17c)는 로드버튼결합부(12c)를 구비한다. 로드버튼결합부(12c)는 제1실시예의 로드버튼결합부(12)와 같이 입구부(220c)와 내부면을 갖는 것은 거의 유사하다. 다만, 내부면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입구부(220b)를 통과하여 결합된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4)의 하면이 로드셀(30)에 마련된 홈(36c)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드버튼(40)의 제1단부(42)는 상기 상판(20)의 하부에 마련된 로드버튼지지부(22c)의 로드버튼고정홈(24c)에 고정된다. 로드버튼(40)의 제2단부(42)는 로드버튼결합부(12c)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대응하는 로드셀(30)의 홈(36c)에 올려져 지지된다.
상판(20)의 하부에는 로드버튼지지부(22c)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판하부커버(25)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2,3,4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a,1b, 1c) 각각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로드셀(30)과 로드버튼(40) 등의 배치에 있어 설치위치 및 방향이 일부 변형되었지만, 여전히 사용자가 걸터앉는 상판(20)이 로드버튼(40)들만에 의해 하판(10)위에 올려져 하판(10)과 이격되어 지지되고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즉, 사용자의 체중이 다른 곳의 간섭을 받지 않고, 순수하게 로드버튼(40)들만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이 복수의 로드버튼(40)을 통해 각각의 대응하는 로드셀(30)에 가해지면, 로드셀(30)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이용해 사용자의 체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점도 동일하다.
도 10에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데장치(2)는, 사용자의 용변 본 부위를 세척하는 일반적인 비데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좌변기용 시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비데장치(2)는 세척부와,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척부는, 직접 물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용변 본 부위에 물을 뿜는 분사부와 이러한 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물을 뿜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이나 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등은 이미 알려진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주요 내용을 이루는 것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제시는 생략한다.
상기 좌변기용 시트장치(1)는, 상술한 바 있는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사용한다. 다만, 덮개(60)의 힌지결합위치가 좌변기(100)에 직접 결합되어 있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좌변기(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비데장치(2)는, 연산표시부(50)를 연결선에 연결하여 별도로 설치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와는 달리 연산표시부(50)를 제어부(70)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함께 내장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그 수행하는 기능에는 변화가 없다.
본 실시예의 비데장치(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채용함으로써, 비데효과 이외에도 상술한 좌변기용 시트장치(1)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모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데장치(2)는, 상기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이것 대신에 제2, 3, 4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1a, 1b, 1c)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시트장치와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중이 복수의 로드버튼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다른 곳의 간섭 없이 로드셀에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체중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판과 하판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드셀의 개략적인 배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연산표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연산표시부의 개략적인 보정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좌변기용 시트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적 단면도,
도 10은 도 1 내지 도 9의 좌변기용 시트장치를 사용한 비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 좌변기용 시트장치 2 ... 비데장치
10 ... 하판 11 ... 하판본체
13 ... 로드버튼결합부재 15 ... 댐퍼부재
20 ... 상판 25 ... 상판하부커버
30 ... 로드셀 40 ... 로드버튼
42 ... 제1단부 44 ... 제2단부
50 ... 연산표시부 52 ... 보정회로
60 ... 덮개

Claims (14)

  1.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장치로서,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좌변기에 접촉지지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둔부에 접촉되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을 상기 하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적어도 3개의 로드버튼;
    상기 로드버튼들 중 적어도 2개의 로드버튼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상판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로드버튼을 통해 가해지면 그 체중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트레인게이지식 로드셀;
    상기 각 로드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사용자의 체중으로 연산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연산표시부; 및
    상기 좌변기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그에 대응되는 로드셀에 고정되고 제2단부는 상기 하판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버튼들을 통과시킬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을 가지는 상판하부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판에는, 그 하판에 대한 상기 로드버튼의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진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탄성복원되어서 상기 직경확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직경확대부가 진입한 후에 상기 직경확대부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바닥부를 갖는 로드버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는 구형이고,
    상기 하판의 로드버튼결합부의 내부면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하판본체와, 상기 하판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버튼결합부를 구성하는 로드버튼결합부재와, 상기 로드버튼결합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좌변기에 접촉하는 댐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그에 대응되는 로드셀에 고정되고 제2단부에는 상기 상판이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판에는, 그 상판에 대한 상기 로드버튼의 접근시에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진입이 이루어진 후에는 탄성복원되어서 상기 직경확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입구부와 상기 직경확대부가 진입한 후에 상기 직경확대부의 상부면에 올려져 지지되는 지지면을 갖는 로드버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버튼의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는 구형이고,
    상기 상판의 로드버튼결합부의 내부면은 상기 제2단부의 직경확대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상기 하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로드버튼의 제2단부에는 대응하는 로드셀이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과 로드버튼은 서로 같은 수로 마련되며,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하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각 로드버튼의 제1단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2단부는 대응하는 상기 로드셀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표시부에는,
    상기 상판에 앉은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복수의 로드셀에 분산되어 작용할 때, 상기 복수의 로드셀이 서로 다른 값들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출력값들을 하나의 동일한 값으로 보정하여 주는 보정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표시부에는,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표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식별표시와, 그 식별표시에 해당하는 체중 및 용변 전후의 체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한 용변량을 기억하는 기억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시트장치.
  14. 사용자가 걸터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시트장치와, 사용자의 용변 본 부위를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데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용 시트장치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기재된 좌변기용 시트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장치.
KR10-2003-0057502A 2003-05-22 2003-08-20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KR100538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534 2003-05-22
KR1020030032534 2003-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11A KR20040100811A (ko) 2004-12-02
KR100538302B1 true KR100538302B1 (ko) 2005-12-23

Family

ID=373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502A KR100538302B1 (ko) 2003-05-22 2003-08-20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194B1 (ko) * 2011-07-04 2013-03-27 공주석 다기능 비데 장치
CN106963277B (zh) * 2017-04-27 2023-03-14 重庆恭逸科技有限公司 称重检测马桶座圈结构
CN108760009B (zh) * 2018-04-10 2023-12-19 西安维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人体旋转称重的转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00A (ko) * 1990-09-20 1992-04-28 경상현 BiCMOS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280582A (ja) * 1995-04-12 1996-10-29 Taeko Kumabe 体重測定装置付き便器
JPH08304159A (ja) * 1995-05-11 1996-11-22 Katsuji Ichii 便座体重測定装置
KR970004219U (ko) * 1995-07-21 1997-02-19 대우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 방진캡
KR970021556A (ko) * 1995-10-13 1997-05-28 김광호 신체검사기능을 구비한 위생세정기
KR200187594Y1 (ko) * 2000-02-03 2000-07-15 황명우 다이어트 좌변기
JP2000201858A (ja) * 1999-01-13 2000-07-25 Masayuki Sugita 体重測定機能を有する便器
KR200236443Y1 (ko) * 2001-03-29 2001-10-10 이권희 체중 측정 가능한 비데
KR200294078Y1 (ko) * 2002-07-05 2002-11-04 조승호 체중계 겸용 비데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200A (ko) * 1990-09-20 1992-04-28 경상현 BiCMOS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280582A (ja) * 1995-04-12 1996-10-29 Taeko Kumabe 体重測定装置付き便器
JPH08304159A (ja) * 1995-05-11 1996-11-22 Katsuji Ichii 便座体重測定装置
KR970004219U (ko) * 1995-07-21 1997-02-19 대우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 방진캡
KR970021556A (ko) * 1995-10-13 1997-05-28 김광호 신체검사기능을 구비한 위생세정기
JP2000201858A (ja) * 1999-01-13 2000-07-25 Masayuki Sugita 体重測定機能を有する便器
KR200187594Y1 (ko) * 2000-02-03 2000-07-15 황명우 다이어트 좌변기
KR200236443Y1 (ko) * 2001-03-29 2001-10-10 이권희 체중 측정 가능한 비데
KR200294078Y1 (ko) * 2002-07-05 2002-11-04 조승호 체중계 겸용 비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811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1067B2 (en) Floor tile scale with wall display
US6369337B1 (en) Separable fat scale
US20070022522A1 (en) One type of toilet seat having a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2031019B1 (ko) 변좌 장치
ES2890504T3 (es) Sistema de medición de una fuerza de agarre palmar
EP2017590B1 (en) Biometric apparatus
US20170053087A1 (en) Weighing scales
KR100538302B1 (ko)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JP6383930B2 (ja) バランス能力測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28178Y1 (ko) 좌변기용 시트장치 및 이를 사용한 비데장치
CN110179444A (zh) 一种婴幼儿体温检测脚环系统及其检测方法
US6608260B2 (en) Planetary weigh scale
HALABY et al. Novel approach of a smart medical mirror system for medical applications
JP4660242B2 (ja) 手洗い器
KR200236443Y1 (ko) 체중 측정 가능한 비데
JPH04367638A (ja) 体重測定機能を備えた便器
JP2001070201A (ja) 体重測定機能付き便座装置
KR102510277B1 (ko) 신체 균형 훈련을 위한 밸런싱 스테이지 장치
JP2001336969A (ja) 体重計
CN212082567U (zh) 一种坐式电子秤
KR100791445B1 (ko) 앉은키 측정기능을 갖는 선키 측정장치
Chagdes et al. A mathematical model to examine issues associated with using portable force-measurement technologies to collect infant postural data
CN108426628A (zh) 一种基于站立方向的智能体重秤
JPH08304159A (ja) 便座体重測定装置
JPH07899Y2 (ja) ロードセル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