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544B1 - 평판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판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544B1
KR100537544B1 KR10-2002-0064830A KR20020064830A KR100537544B1 KR 100537544 B1 KR100537544 B1 KR 100537544B1 KR 20020064830 A KR20020064830 A KR 20020064830A KR 100537544 B1 KR100537544 B1 KR 10053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late
fema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047A (ko
Inventor
박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2-006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75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접속부를 이용하여, 자기력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자기력을 조절하여, 기기에 소정치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그 연결이 해제되어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평판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제1접속부를 구비한 수단자; 및 상기 제1접속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 하부에 상기 제1접속부와 접촉되며 전기 전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제1연결수단과의 인력이 형성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수단을 구비한 암단자를 포함하는 평판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판형 커넥터{Planar connector}
본 발명은 이어폰, 마이크 등의 기기와 본체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 단자 부분을 자성체로 형성하여 자기력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고, 평면으로 만들 수 있어서, 공간활용이 용이한 평판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커넥터는 서로 다른 부품들의 전기적연결을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어폰이나 마이크의 커넥터의 경우,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전기부품의 끝단에는 굴곡이 있는 접속돌기(11)가 돌출된 수단자(10)가 구비되고, 타 부품에는 수단자(10)의 접속돌기가 삽입되도록 접속홀(21)이 형성된 암단자(20)가 구비되되, 상기 접속홀(21)의 내주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접속스위치(2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단자(10)와 접속스위치(22)의 접촉에 의해 상기 두 전기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는 핸드폰등과 같이, 작은 전자부품들의 고밀도 실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간활용의 차원에서 비효율성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급상 부주의로 상기 연결단자에서 연장된 라인등에 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접속돌기와 접속스위치의 결합력이 강하여, 라인이 절단되거나, 상기 기기으 파손을 야기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성체로 이루어진 접속부를 이용하여, 자기력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자기력을 조절하여, 기기에 소정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그 연결이 해제되어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홀센서를 커넥터의 접속여부를 자기장의 감지를 통하여 알수 있는 평판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라인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 제1접속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기부품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시키기 위한 제1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제1판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판부재의 상면에 장칙된 제1연결수단이 구비된 수단자; 및 다른 전자부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단자의 제1접속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하부에, 상기 제1접속부와 접촉되며 전기 도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를 구비한 제2판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제1연결수단과의 인력이 형성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수단을 구비한 암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암단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접촉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판부재는 상기 접촉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회로가 연결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의 접속여부를 자기장의 감지를 통하여 알수 있게 하기위하여 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하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커넥터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제1접속부(111)를 구비한 수단자(100); 및 상기 제1접속부(111)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홀(211) 하부에 상기 제1접속부(111)와 접촉되며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221)를 구비하는 암단자(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단자(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마이크와 같은 전기부품으로부터 연결된 라인(140)의 끝단에 위치되며, 상기 제1접속부(111)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는 회로를 구비한 제1인쇄회로기판(110); 상기 인쇄회로기판 뒤에 위치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연결플레이트(13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10)과 제1연결플레이트(130)을 결합하는 제1결속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속부재(1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과 제1연결플레이트(130)를 나사결속 또는 본딩 또는 양면테이프로 결속할 수 있다.
상기 암단자(200)는 휴대폰 본체와 같은 전기부품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단자(20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부(111)가 삽입되는 삽입홀(211)을 구비하는 접촉플레이트(210)와; 상기 제1접속부(1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제2접속부(221)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플레이트(210) 하부에 위치하여 본체의 전기회로와 연결되는 제2인쇄회로기판(220);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30)의 자기력에 의해 제1연결플레이트와의 인력이 형성되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플레이트(240); 및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과 제2연결플레이트(240)를 연결하는 제2결속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인쇄회로기판(110, 220)은 착탈시의 충격에 강하도록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휴대폰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암단자(200)와 수단자(100)가 연결되었을 때는 음성신호를 이어폰에 전달하고, 연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본체의 스피커에 전달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에 홀센서(222)를 장착하여,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30)의 자기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암단자(200) 및 수단자(100)의 접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30)가 암단자(200)에 장착되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240)가 수단자(100)에 장착되며, 상기 홀센서(222)가 제1인쇄회로기판(1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판형 커넥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암단자(100) 및 수단자(200)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기 수단자(100)의 제1접속부(111)가 상기 암단자(200)의 삽입홀(211)을 통하여 삽입되어, 제2인쇄회로기판(220)상에 장착된, 제2접속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단자(100)의 제1연결플레이트(130)의 자성에 의해 상기 암단자(200)의 제2연결플레이트(240)가 자기력을 받게되고, 이에의해 상기 수단자(100) 및 암단자(200)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수단자(100) 및 암단자(200)의 결합력은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130)의 자기력에 의해 좌우된다. 이에의해, 상기 수단자(100) 및 암단자(200)를 결합하는 인력을 넘어서는 힘이 가해지면 분리되어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단자 및 암단자는 긴 홀이나 돌기가 필요없이 평판형으로 형성되므로, 전기 부품을 설계하는 경우에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며, 전기적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는 전기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볼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연결부가 자기력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연결을 위한 공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홀센서를 구비하여 커넥터의 접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력의 크기를 넘어서는 힘이 커넥터에 가해지면, 연결이 분리 될 수 있어서,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1은 이어폰, 마이크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커넥터의 수단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평판형 커넥터의 암단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100 : 수단자 20,200 암단자
11 : 접속돌기 21 : 접속홀
22 : 접속스위치 111 : 제1접속부
211 : 삽입홀 220 :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1 : 제2접속부 222 : 홀센서

Claims (6)

  1. 전자부품의 라인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 제1접속돌기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전기부품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전달시키기 위한 제1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진 제1판부재와, 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판부재의 상면에 장칙된 제1연결수단이 구비된 수단자; 및 다른 전자부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단자의 제1접속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 하부에, 상기 제1접속부와 접촉되며 전기 도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를 구비한 제2판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연결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제1연결수단과의 인력이 형성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수단을 구비한 암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암단자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속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접촉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판부재는 상기 접촉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회로가 연결되는 제2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의 접속여부를 자기장의 감지를 통하여 알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2인쇄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커넥터.
  5. 삭제
  6. 자성체로 이루어진 제1연결플레이트 및 제2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암단자; 및
    상기 암단자의 제1연결플레이트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제1연결플레이트와의 인력이 형성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연결플레이트 및 제1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수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암단자 및 수단자의 접속여부를 자기장의 감지를 통하여 알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홀센서가 상기 수단자의 제1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평판형 커넥터.
KR10-2002-0064830A 2002-10-23 2002-10-23 평판형 커넥터 KR10053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830A KR100537544B1 (ko) 2002-10-23 2002-10-23 평판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830A KR100537544B1 (ko) 2002-10-23 2002-10-23 평판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047A KR20040036047A (ko) 2004-04-30
KR100537544B1 true KR100537544B1 (ko) 2005-12-16

Family

ID=3733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830A KR100537544B1 (ko) 2002-10-23 2002-10-23 평판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7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609B2 (en) 2009-09-09 2011-06-28 Plug Away, Inc. System for connecting appliances to wall outlets
KR102500798B1 (ko) * 2020-10-21 2023-02-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886A (ja) * 1991-09-10 1994-04-22 Daiho Constr Co Ltd 電線接続器
JPH11144803A (ja) * 1997-11-06 1999-05-28 Hiromi Hizume スープラ用コネクタ
JP2001267014A (ja) * 2000-03-24 2001-09-28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配線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1886A (ja) * 1991-09-10 1994-04-22 Daiho Constr Co Ltd 電線接続器
JPH11144803A (ja) * 1997-11-06 1999-05-28 Hiromi Hizume スープラ用コネクタ
JP2001267014A (ja) * 2000-03-24 2001-09-28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配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047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9187A1 (en) Power supply device
JP2007227111A (ja) コネクタシート及び携帯型電子機器
JP2011242879A (ja) 接続装置
US20080051159A1 (en) Portable Radio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KR100537544B1 (ko) 평판형 커넥터
US5441419A (en)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U1996201A (en) An electrical contact device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US20080096434A1 (en) Microphone Connector
KR20060018178A (ko)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015226A (ja) 同軸コネクタスイッチ
JP4398872B2 (ja) 耐衝撃コネクタ
US5481618A (en) Interconnection of a speaker using magnetic coupling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EP1079459A3 (en) Antenna attachment structure of a case
KR20030051027A (ko) 전자석을 이용한 케이블 연결장치
EP4203199A1 (en) Connection structure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WO2000027096A1 (en) Mobile telephone with a loudspeaker
CN107453169B (zh) 连接器组件、电源组件和移动终端
KR100574562B1 (ko) 컨넥터 설치구조
KR100350089B1 (ko) 휴대 전화기용 송수신 유닛
JP3443864B2 (ja)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JP2007235740A (ja) 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2001351751A (ja) プラグ結合構造、アンテナプローブ及び接続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