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178A -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8178A KR20060018178A KR1020040066540A KR20040066540A KR20060018178A KR 20060018178 A KR20060018178 A KR 20060018178A KR 1020040066540 A KR1020040066540 A KR 1020040066540A KR 20040066540 A KR20040066540 A KR 20040066540A KR 20060018178 A KR20060018178 A KR 200600181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pring pin
- pin connector
- short circuit
- contac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351 contact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561 Musa balbis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기부품 및 스프링핀 커넥터에 자성체를 구비시켜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전기 부품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접점;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부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접촉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촉부와 접점의 접촉을 보강하도록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부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프링핀 커넥터, 스프링핀, 자성부재, 자성체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와 자성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스프링핀 커넥터 110: 하우징
200: 전기부품 210: 제1자성체
300: 스프링핀 320: 접촉부
330: 탄성부재 340: 제2자성체
본 발명은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부품 및 스프링핀 커넥터에 자성체(磁性體)를 구비시켜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둘 이상 전기부품간의 전기접촉 내지는 신호전달의 용도로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핀타입 커넥터, 이더넷 포트, 바나나 플러그, 토스링크 광포트,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등이 있다.
또한, 전기접촉 내지는 신호전달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위하여 커넥터의 중요성은 크며, 그로 인해 여러 종류의 개발과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10) 구조는, 전기부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11); 및 상기 하우징(11)에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접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핀(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스프링핀(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결합공(미도시)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핀(30)은, 실장부(31); 상기 실장부(31)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접점(21)에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둥근형상의 접촉부(32); 및 상기 접촉부(32)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부(32)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접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실장부(31)는 상기 접촉부(32)와 스프링(33)을 지지하면서 몸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동작은, 상기 스프링(33)에 의한 장력으로 상기 접촉부(32)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접점(21)에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스프링핀 커넥터는 단지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서만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스프링핀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점에서 떨어지면서 단락이 일어나며, 이로인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리셋(reset)되거나 오프(off)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부품 및 스프링핀 커넥터에 자성체를 구비시켜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전기 부품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접점;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부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접촉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촉부와 접점의 접촉을 보강하도록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부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자성수단은 상기 전기부품에서 접점이 구비되지 않은 측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및 상기 접촉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성체 또는 제2자성체 중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전기 부품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접점;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부가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접촉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촉부와 접점의 접촉을 보강하도록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부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 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와 자성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부품 및 스프링핀 커넥터에 자성체를 구비시켜서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100) 구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전기 부품(2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접점(201);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201)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부(320)가 설치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서 접촉부(3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30); 및 상기 접촉부(320)와 접점(201)의 접촉을 보강하도록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201)과 접촉부(320)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성수단(210,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부품(200)은 일 예로 인쇄회로기판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330)는 일 예로 스프링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성수단(210,340)은 상기 전기부품(200)에서 접점(201)이 구비되지 않은 측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210); 및 상기 접촉부(320)와 탄성부재(3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210)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성체(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자성체(210) 또는 제2자성체(340) 중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부재란 영구자석의 자력에 끌릴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30)의 장력에 의해 접촉부(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에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접촉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 예로 상기 자성부재는 철 종류를 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촉력을 증대시킬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110)에 스프링핀(300)이 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스프링핀(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된 결합공(미도시)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핀(300)은, 실장부(310); 상기 실장부(310)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접점(201)에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둥근형상의 접촉부(320); 상기 접촉부(320)의 하단에 위치되고, 자력에 의하여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1자성체(210)에 끌릴 수 있는 자성부재(340); 및 상기 자성부재(340)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부(320)가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접점(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장부(310)는 상기 접촉부(320), 자성부재(340) 및 탄성부재(330)를 지지하면서 몸체를 이루는 구조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자성부재(340)는 탄성부재(330)의 장력에 의해 접촉부(3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실장부(310) 내에서의 유동시 실장부(310) 내벽과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접촉력이 증대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스프링핀 커넥터(100)는 탄성부재(330)의 장력에 의해 접촉부(320)가 전기부품(200) 상의 접점(201)에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자성부재(34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자성체(210)에 의한 자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320)와 접점(201)의 접촉력 유지를 증대시키므로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부품 및 스프링핀 커넥터에 자성체를 구비시켜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이 유지되도록 하여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소정 전기 부품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접점;상기 전기부품의 접점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접촉부가 설치된 하우징;상기 하우징에서 접촉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상기 접촉부와 접점의 접촉을 보강하도록 상기 전기부품의 접점과 접촉부 사이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성수단을 포함하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수단은상기 전기부품에서 접점이 구비되지 않은 측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 및상기 접촉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인력이 작용되는 제2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자성체 또는 제2자성체 중 하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지는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540A KR20060018178A (ko) | 2004-08-23 | 2004-08-23 |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540A KR20060018178A (ko) | 2004-08-23 | 2004-08-23 |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8178A true KR20060018178A (ko) | 2006-02-28 |
Family
ID=3712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6540A Withdrawn KR20060018178A (ko) | 2004-08-23 | 2004-08-23 |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18178A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82181A3 (en) * | 2007-12-26 | 2009-09-03 | Ivolta Inc.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WO2009091221A3 (ko) * | 2008-01-18 | 2009-10-29 | 아이볼타(주) | 전기 접속 시스템 |
KR100931872B1 (ko) * | 2006-06-08 | 2009-12-1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이동 전자 장치에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그러한 이동 전자 장치 및 케이블 |
KR100985908B1 (ko) * | 2008-01-18 | 2010-10-08 | 아이볼타(주) | 전기 접속 시스템 |
KR101398763B1 (ko) * | 2011-06-30 | 2014-05-27 | 블랙베리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
KR101405788B1 (ko) * | 2011-06-30 | 2014-06-12 | 블랙베리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기기용 도크 |
US8783935B2 (en) | 2011-04-08 | 2014-07-2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
US9136589B2 (en) | 2013-03-18 | 2015-09-15 | Samsung Display Co., Ltd. | Antenna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70045909A (ko) * | 2015-10-20 | 2017-04-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
CN108432055A (zh) * | 2015-12-18 | 2018-08-21 |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 电连接器 |
US20230062807A1 (en) * | 2021-09-02 | 2023-03-02 |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 Fan fram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
-
2004
- 2004-08-23 KR KR1020040066540A patent/KR2006001817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1872B1 (ko) * | 2006-06-08 | 2009-12-15 | 노키아 코포레이션 | 이동 전자 장치에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 및 그러한 이동 전자 장치 및 케이블 |
WO2009082181A3 (en) * | 2007-12-26 | 2009-09-03 | Ivolta Inc.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WO2009091221A3 (ko) * | 2008-01-18 | 2009-10-29 | 아이볼타(주) | 전기 접속 시스템 |
KR100985908B1 (ko) * | 2008-01-18 | 2010-10-08 | 아이볼타(주) | 전기 접속 시스템 |
US8783935B2 (en) | 2011-04-08 | 2014-07-22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
KR101405788B1 (ko) * | 2011-06-30 | 2014-06-12 | 블랙베리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기기용 도크 |
KR101398763B1 (ko) * | 2011-06-30 | 2014-05-27 | 블랙베리 리미티드 |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용 거치대 |
US8853998B2 (en) | 2011-06-30 | 2014-10-07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ck having a connector movable in response to a magnetic force |
US9136589B2 (en) | 2013-03-18 | 2015-09-15 | Samsung Display Co., Ltd. | Antenna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n antenna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70045909A (ko) * | 2015-10-20 | 2017-04-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마그네틱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
CN108432055A (zh) * | 2015-12-18 | 2018-08-21 |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 电连接器 |
EP3360202B1 (en) * | 2015-12-18 | 2020-05-0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Electrical connector |
US20230062807A1 (en) * | 2021-09-02 | 2023-03-02 |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 Fan fram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3704B1 (ko) |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 |
US9147966B2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 |
KR102345677B1 (ko) |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 |
US6302727B1 (en) | Multi-axis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 |
KR101265270B1 (ko) |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 |
KR20060018178A (ko) | 접점의 단락을 방지하는 스프링핀 커넥터 구조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US7445515B1 (en) | Audio jack | |
US20100055977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 |
JP2011503803A (ja) | コネクタ | |
JP4100357B2 (ja) | マグネット式コンセントアダプタ | |
JP6362212B2 (ja) | コネクタ、相手側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2000208893A (ja) | 電子機器の取付構造 | |
EP1079459A3 (en) | Antenna attachment structure of a case | |
KR20190084721A (ko) | 터미널 단자 | |
KR101438582B1 (ko) | 고전류 전기 커넥터 | |
CN210468182U (zh) | 插头连接器、连接器组件、电路板模组及电子设备 | |
JP3111893U (ja) | 電気コネクタ | |
KR101976695B1 (ko) | 인쇄회로기판에 압입 되는 형태의 전기 터미널 단자의 조립 구조 | |
KR20210024933A (ko) |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 |
KR200382247Y1 (ko) |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 |
KR100936333B1 (ko) | 결합각도 변경이 가능한 커넥터 | |
KR200328382Y1 (ko) | 핀홀더 및 커버판의 결합구조 | |
KR101578837B1 (ko) | 면 접촉식 커넥터 | |
KR100537544B1 (ko) | 평판형 커넥터 | |
US7946858B2 (en) |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and plu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