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798B1 -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798B1
KR102500798B1 KR1020200136470A KR20200136470A KR102500798B1 KR 102500798 B1 KR102500798 B1 KR 102500798B1 KR 1020200136470 A KR1020200136470 A KR 1020200136470A KR 20200136470 A KR20200136470 A KR 20200136470A KR 102500798 B1 KR102500798 B1 KR 10250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anel
separation
contact p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2475A (ko
Inventor
성경훈
고정환
권철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전자 장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및 리셉터클과 결합되어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및 플러그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동일한 극성의 자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CONNECTOR OF ELECTRONIC EQUIPMENT, RECEPTACLE OF CONNECTOR AND PLUG OF CONNECTOR}
본 발명은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비는 내부에서 생성된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자 장비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전자 장비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가 장착된다.
커넥터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폐를 위해 별도의 EMI 필터가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커넥터는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을 때 신호 및 전원 핀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 캡을 장착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는 EMI 차폐를 위한 EMI 필터 및 커넥터 보호를 위한 보호 캡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설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비 내부의 신호선 또는 케이블 내부의 신호선이 전자 장비 외부 또는 케이블 외부로 노출되어, EMI 차폐 조건 및 방수 조건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석의 극성을 이용하여 결합 시에 접촉하고 분리 시에 접촉 해제되는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비의 커넥터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상기 전자 장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되어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및 상기 플러그는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동일한 극성의 자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1 접촉핀; 상기 제1 접촉핀을 상기 제2 패널부를 통해 상기 플러그에 접촉시키는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1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2 접촉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플러그와 결합시키는 제1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2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2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패널부; 및 상기 제3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패널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제2 패널부와 접촉하는 제4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3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3 접촉핀; 상기 제3 접촉핀을 상기 제4 패널부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2 접촉핀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3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2 접촉핀과 접촉하고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4 접촉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와 결합하는 제2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4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4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4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비의 커넥터의 리셉터클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은 상기 전자 장비의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플러그와 결합되어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고,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고 동일한 극성의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는 제2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1 접촉핀; 상기 제1 접촉핀을 상기 제2 패널부를 통해 상기 플러그에 접촉시키는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1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2 접촉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플러그와 결합시키는 제1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2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2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비의 커넥터의 플러그가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상기 커넥터의 리셉터클과 결합되어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고,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되고 동일한 극성의 자력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과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패널부; 및 상기 제3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패널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제2 패널부와 접촉하는 제4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3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3 접촉핀; 상기 제3 접촉핀을 상기 제4 패널부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3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리셉터클과 접촉하고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4 접촉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하는 제2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4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4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4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의 극성을 이용하여 결합 시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접촉시킬 수 있고, 분리 시에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접촉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의 극성을 이용하여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접촉 및 접촉 해제시킬 수 있어, EMI 필터 및 보호 캡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EMI 차폐 및 방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극성을 이용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어, 진동 및 방수에 강인하고 EMI 차폐 기능을 요구하면서도 소형 및 경량화를 필요로 하는 모든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리용 자석 및 제2 분리용 자석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패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분리용 자석 및 제4 분리용 자석의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4 분리용 자석, 제1 및 제2 결합용 자석과 제1 및 제2 결합용 전도체의 극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의 분리 시 리셉터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과의 분리 시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110) 및 플러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전자 장비의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110)은 서로 다른 극성의 자력에 의해 플러그(120)와 결합되고, 동일한 극성의 자력에 의해 플러그(120)와 분리될 수 있다.
플러그(120)는 리셉터클(110)와 결합되어, 외부의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리셉터클(110)로 전송하고, 리셉터클(1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110)은 제1 패널부(210) 및 제2 패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부(210)는 자력에 의해 리셉터클(11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패널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리용 자석(310), 제1 접촉핀(320), 제2 결합용 자석(330) 및 제1 패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용 자석(310)은 제1 패널부(210)와 제2 패널부(220) 간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분리용 자석(310)는 제1 패널부(210)와 제2 패널부(220)가 분리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제1 접촉핀(320)은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촉핀(320)은 전자 장비의 내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패널부(220)를 통해 플러그(1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핀(320)은 플러그(120)로부터 제2 패널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전자 장비의 내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접촉핀(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신호 접촉핀(321) 및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전원 접촉핀(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용 자석(330)은 제1 접촉핀(320)을 제2 패널부(220)를 통해 플러그(1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합용 자석(330)은 제1 패널부(210)가 제2 패널부(220)로 이동되어, 자력에 의해 제1 접촉핀(320)을 제2 패널부(2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1 패널(340)은 제1 분리용 자석(310), 제1 접촉핀(320) 및 제1 결합용 자석(3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패널(34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패널(34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셉터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패널부(220)는 제1 패널부(210)의 전단에 설치되고 플러그(120)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널부(220)는 리셉터클(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널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용 자석(410), 제2 접촉핀(420), 제1 결합용 전도체(430) 및 제2 패널(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용 자석(410)은 제1 패널부(210)와 제2 패널부(220)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제1 분리용 자석(31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리용 자석(410)은 제1 분리용 자석(3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분리용 자석(410) 및 제1 분리용 자석(310)은 접촉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분리용 자석(410) 및 제1 분리용 자석(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하는 면이 S극을 가지며, 접촉하지 않는 면이 N극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촉핀(420)은 제1 접촉핀(320)과 접촉되어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접촉핀(420)은 제1 접촉핀(3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플러그(1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핀(420)은 플러그(1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제1 접촉핀(3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접촉핀(420)은 플러그(120)와의 결합 시에 제1 접촉핀(320)의 제1 신호 접촉핀(321)과 접촉하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신호 접촉핀(421)과, 제1 접촉핀(320)의 제1 전원 접촉핀(322)과 접촉하고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전원 접촉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용 전도체(430)는 제1 결합용 자석(3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1 결합용 자석(330)의 자성을 전달하여 플러그(12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결합용 전도체(430)는 플러그(120)와의 결합 시에 제1 결합용 자석(430)의 자성을 전달하여, 제1 접촉핀(320)이 제2 접촉핀(420)을 통해 플러그(120)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패널(440)은 제2 분리용 자석(410), 제2 접촉핀(420) 및 제1 결합용 전도체(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널(44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패널(44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셉터클(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120)는 제3 패널부(610) 및 제4 패널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널부(610)는 자력에 의해 플러그(1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패널부(6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리용 자석(710), 제3 접촉핀(720), 제2 결합용 자석(730) 및 제3 패널(7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분리용 자석(710)은 제3 패널부(610)와 제4 패널부(620) 간의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분리용 자석(710)는 제1 패널부(610)와 제2 패널부(620)가 분리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제3 접촉핀(720)은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촉핀(720)은 외부 장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4 패널부(620)를 통해 리셉터클(110)의 제2 패널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촉핀(720)은 리셉터클(110)의 제2 패널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외부 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접촉핀(7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3 신호 접촉핀(721) 및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제3 전원 접촉핀(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용 자석(730)은 제3 접촉핀(720)을 제4 패널부(620)를 통해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결합용 자석(730)은 제3 패널부(610)가 제4 패널부(620)로 이동되어, 자력에 의해 제3 접촉핀(720)을 제4 패널부(72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3 패널(740)은 제3 분리용 자석(710), 제3 접촉핀(720) 및 제2 결합용 자석(7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패널(74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3 패널(74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패널부(620)는 제3 패널부(610)의 전단에 설치되고 리셉터클(110)의 제2 패널부(220)와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패널부(620)는 플러그(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패널부(6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분리용 자석(810), 제4 접촉핀(820), 제2 결합용 전도체(830) 및 제4 패널(8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분리용 자석(810)은 제3 패널부(610)와 제4 패널부(620)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제3 분리용 자석(710)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분리용 자석(810)은 제3 분리용 자석(7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분리용 자석(810) 및 제3 분리용 자석(710)은 접촉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분리용 자석(810) 및 제3 분리용 자석(7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하는 면이 N극을 가지며, 접촉하지 않는 면이 S극을 가질 수 있다.
제4 접촉핀(820)은 제3 접촉핀(720)과 접촉되어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접촉핀(820)은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접촉핀(820)은 제3 접촉핀(7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4 접촉핀(820)은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3 접촉핀(7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접촉핀(820)은 리셉터클(110)과의 결합 시에 제3 접촉핀(720)의 제3 신호 접촉핀(721) 및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의 제2 신호 접촉핀(421)과 접촉하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4 신호 접촉핀(821)과, 제3 접촉핀(720)의 제3 전원 접촉핀(722) 및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의 제2 전원 접촉핀(422)과 접촉하고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제4 전원 접촉핀(8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용 전도체(830)는 제2 결합용 자석(73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제2 결합용 자석(730)의 자성을 전달하여 리셉터클(110)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결합용 전도체(830)는 제2 결합용 자석(730)의 자성을 전달하여 리셉터클(110)의 제1 결합용 전도체(43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결합용 전도체(830)는 리셉터클(110)과의 결합 시에 제2 결합용 자석(730)의 자성을 전달하여, 제3 접촉핀(720)이 제4 접촉핀(820)을 통해 리셉터클(110)의 제2 접촉핀(420)에 접촉될 수 있다.
제4 패널(840)은 제4 분리용 자석(810), 제4 접촉핀(820) 및 제2 결합용 전도체(8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패널(84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4 패널(84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및 플러그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에 삽입되면, 리셉터클(110)의 제1 결합용 자석(330)과 플러그(120)의 제2 결합용 자석(730)은 서로 다른 자성으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의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용 자석(330), 제1 결합용 전도체(430), 제2 결합용 자석(730) 및 제2 결합용 전도체(840)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제1 결합용 자석(330), 제1 결합용 전도체(430), 제2 결합용 자석(730) 및 제2 결합용 전도체(840)가 서로 접촉함에 따라, 제1 접촉핀(320), 제2 접촉핀(420), 제3 접촉핀(720) 및 제4 접촉핀(820)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내지 제4 접촉핀(320, 420, 720 및 820)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용 자석(330), 제1 결합용 전도체(430), 제2 결합용 자석(730) 및 제2 결합용 전도체(840)의 자력(즉, 끌어당기는 자력)은 제1 내지 제4 분리용 자석(310, 410, 710 및 810)의 자력(즉, 밀어내는 자력)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끌어당기는 자력(Fd)의 총합은 밀어내는 자력(Fp)보다 클 수 있다.
제1 접촉핀(320), 제2 접촉핀(420), 제3 접촉핀(720) 및 제4 접촉핀(820)이 서로 접촉하게 됨에 따라,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는 리셉터클(110)로부터 플러그(120)로 송신되거나, 플러그(120)로부터 리셉터클(11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와의 분리 시 리셉터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로부터 분리되면, 리셉터클(110)의 제1 분리용 자석(310) 및 제2 분리용 자석(410)에 의해 제1 패널부(210) 및 제2 패널부(220)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제1 분리용 자석(310) 및 제2 분리용 자석(410)의 동일한 극성에 의해 제1 패널부(210)는 제2 패널부(220)의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분리용 자석(310) 및 제2 분리용 자석(410)에 의해 밀어내는 자력(Fp)이 제1 결합용 자석(330) 및 제1 결합용 전도체(430)에 의해 끌어당기는 자력(Fd)보다 클 수 있다.
제1 패널부(210)가 제2 패널부(2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즉 제1 패널부(21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접촉핀(320) 및 제2 접촉핀(420)은 단절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비의 내부 장치의 신호 또는 전원은 외부와 단절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자 장비의 내부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제1 신호 접촉핀(321)에 연결되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또는 제1 전원 접촉핀(322)에 연결되는 전원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리셉터클(110)이 물과 같은 전도성 물질에 노출되어도 제1 접촉핀(320) 및 제2 접촉핀(420) 간의 쇼트로 인한 전자 장비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11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 캡이 불필요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과의 분리 시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로부터 분리되면, 플러그(120)의 제3 분리용 자석(710) 및 제4 분리용 자석(810)에 의해 제3 패널부(610) 및 제2 패널부(620)가 분리될 수 있다. 즉, 제3 분리용 자석(710) 및 제4 분리용 자석(810)의 동일한 극성에 의해 제3 패널부(610)는 제4 패널부(620)의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분리용 자석(710) 및 제4 분리용 자석(810)에 의해 밀어내는 자력(Fp)이 제2 결합용 자석(730) 및 제2 결합용 전도체(830)에 의해 끌어당기는 자력(Fd)보다 클 수 있다.
제3 패널부(610)가 제4 패널부(6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즉 제3 패널부(61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제3 접촉핀(720) 및 제4 접촉핀(820)은 단절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비의 신호 또는 전원은 단절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장비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제3 신호 접촉핀(721)에 연결되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 또는 제3 전원 접촉핀(722)에 연결되는 전원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플러그(12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EMI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20)가 리셉터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플러그(120)가 물과 같은 전도성 물질에 노출되어도 제3 접촉핀(720) 및 제4 접촉핀(820) 간의 쇼트로 인한 외부 장비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즉, 플러그(12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 캡이 불필요하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커넥터, 110: 리셉터클, 120: 플러그, 210: 제1 패널부, 220: 제2 패널부, 310: 제1 분리용 자석, 320: 제1 접촉핀, 321: 제1 신호 접촉핀, 322: 제1 전원 접촉핀, 330: 제1 결합용 자석, 340: 제1 패널, 410: 제2 분리용 자석, 420: 제2 접촉핀, 421: 제2 신호 접촉핀, 422: 제2 전원 접촉핀, 430: 제1 결합용 전도체, 440: 제2 패널, 610: 제3 패널부, 620: 제4 패널부, 710: 제3 분리용 자석, 720: 제3 접촉핀, 721: 제3 신호 접촉핀, 722: 제3 전원 접촉핀, 730: 제2 결합용 자석, 740: 제3 패널, 810: 제4 분리용 자석, 820: 제4 접촉핀, 821: 제4 신호 접촉핀, 822: 제4 전원 접촉핀, 830: 제2 결합용 전도체, 840: 제4 패널

Claims (35)

  1. 전자 장비의 커넥터로서,
    상기 전자 장비의 하우징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과 결합되어 신호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는 플러그
    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자력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1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와 접촉되는 제2 패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3 패널부; 및
    상기 제3 패널부의 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3 패널부와 접촉하는 제4 패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면, 서로 다른 자성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와 상기 제3 패널부가 접촉하고, 상기 제1 패널부가 상기 제2 패널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3 패널부가 상기 제4 패널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되면, 동일한 자성에 의해 상기 제1 패널부가 상기 제2 패널부의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가 단절되고, 상기 동일한 자성에 의해 상기 제3 패널부가 상기 제4 패널부의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가 단절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1 접촉핀;
    상기 제1 접촉핀을 상기 제2 패널부를 통해 상기 플러그에 접촉시키는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1 패널
    을 포함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부는
    상기 제1 패널부와 상기 제2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1 접촉핀과 접촉되어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2 접촉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플러그와 결합시키는 제1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 상기 제2 접촉핀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2 패널
    을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2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인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부는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2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패널부와 단절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인 커넥터.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는 제3 분리용 자석;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3 접촉핀;
    상기 제3 접촉핀을 상기 제4 패널부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2 접촉핀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이 배치되는 제3 패널
    을 포함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널부는
    상기 제3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 간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상기 분리용 자석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3 접촉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2 접촉핀과 접촉하고 상기 신호 또는 상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연동시키는 제4 접촉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성을 전달하여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제1 결합용 전도체와 결합하는 제2 결합용 전도체;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 상기 제4 접촉핀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가 배치되는 제4 패널
    을 포함하는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용 자석은 상기 제4 분리용 자석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2 결합용 자석 및 상기 제2 결합용 전도체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인 커넥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널부는 상기 제3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4 분리용 자석에 의해 상기 제4 패널부와 접촉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4 패널부와 단절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용 자석 및 상기 제2 분리용 자석의 자력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의 자력보다 큰 것인 커넥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용 자석은 상기 제2 결합용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커넥터.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200136470A 2020-10-21 2020-10-21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KR10250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70A KR102500798B1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470A KR102500798B1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75A KR20220052475A (ko) 2022-04-28
KR102500798B1 true KR102500798B1 (ko) 2023-02-16

Family

ID=8144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470A KR102500798B1 (ko) 2020-10-21 2020-10-21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838A (ja) 2009-03-26 2010-10-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動着脱カプ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65115A (ja) * 2013-02-27 2014-09-08 Yazaki Corp マグネットコネクタ
KR101557345B1 (ko) 2014-04-04 2015-10-05 (주) 휴이컴퍼니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JP2020120202A (ja) 2019-01-22 2020-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354A (ja) * 1996-08-0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3401740B2 (ja) * 1997-04-17 2003-04-28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100537544B1 (ko) * 2002-10-23 2005-12-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평판형 커넥터
US8794980B2 (en) * 2011-12-14 2014-08-05 Keyssa, Inc. Connectors providing HAPTIC feedback
US7874844B1 (en) * 2010-02-02 2011-01-25 Fitts Jr Darrell Lynn Universal magnetic power supply adaptor
KR20160024299A (ko) * 2014-08-25 2016-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성에 의해 락킹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838A (ja) 2009-03-26 2010-10-1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動着脱カプ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65115A (ja) * 2013-02-27 2014-09-08 Yazaki Corp マグネットコネクタ
KR101557345B1 (ko) 2014-04-04 2015-10-05 (주) 휴이컴퍼니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JP2020120202A (ja) 2019-01-22 2020-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475A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4824B (zh) 具有整体式壳体的磁性连接器
JP5057400B2 (ja) 静電気放電保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20130005192A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200303885A1 (en) Multiplex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switching an operability of a single connector thereof
CN1490903A (zh) 插入式连接器模块
GB2214004A (en) Electrical connectors incorporating automatic power control
MY129922A (en) High frequency patch cord data connector
CN113097761A (zh) 一种光电连接装置
US6884094B1 (en)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center ground plane
KR102500798B1 (ko) 전자 장비의 커넥터, 커넥터의 리셉터클 및 커넥터의 플러그
CN114937901B (zh) 一种电连接插座、光电模块、笼子及电子设备
KR101239215B1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마그네틱 커넥터
CN114946088A (zh) 电缆连接器及板连接器
ES2056277T3 (es) Dispositivo de acoplamiento electrico.
KR100833802B1 (ko) 쉴드쉘 커넥터 조립체
US10296058B2 (en) EMI shielding for disconnected contacts
US5626485A (en) Switching connector apparatus
EP3374980A1 (en) Data connection assembly
US863236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30178948A1 (en) Plug and an electronic device
CN219916015U (zh) 光模块
WO2022149743A1 (ko) 연결 구조
CN210835349U (zh) 光电插座和光电连接组件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WO2009083455A2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