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116B1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116B1
KR100535116B1 KR10-2004-0026236A KR20040026236A KR100535116B1 KR 100535116 B1 KR100535116 B1 KR 100535116B1 KR 20040026236 A KR20040026236 A KR 20040026236A KR 100535116 B1 KR100535116 B1 KR 10053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steering system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989A (ko
Inventor
황경원
윤주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11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72Controlling the motor for damp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엔진룸내에 설치되는 퓨즈박스(10)의 본체커버(13) 윗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좌면(13a)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좌면(13a)상에는 전자제어유니트(40)의 플랜지(41)가 볼트(23)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가 본체커버(13)상에 안착되도록 조립되어져, 튜닝 작업성과 수밀성 및 통풍성이 충분히 확보됨과 더불어 와이어링 노이즈 감소를 위한 거리 제약 요건도 만족되는 위치에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4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ECU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 위치 선정에 있어 여러 제약 조건들을 가지는 전자제어유니트를 퓨즈박스의 상단에 장착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주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압식 시스템이었다.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스티어링컬럼측에 연결된 피니언과 타이로드를 매개로 휠측에 연결된 랙이 결합상태로 내장된 기어박스(G)가 동력실린더 역할을 하도록 오일리저버(O)와 다수의 호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스티어링휠 조작방향에 따라 상기 기어박스(G)내의 양쪽 챔버로 오일펌프(P)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어 조향 보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복잡한 유압라인을 구성하여야만 하므로 즉, 오일리저버와 오일펌프 및 기어박스, 이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호스 등을 설치하여야만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작은 배기량의 엔진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를 엔진으로 구동하는 것은 연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유압식이 아닌 다른 형식의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개발되었는 바, 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기어박스(G)에 랙을 구동하는 모터(M)가 설치되고, 스티어링샤프트의 말단에 스티어링휠 조작을 감지하는 토오크센서(T)가 설치되어, 토오크센서(T)의 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제어유니트(ECU)가 상기 모터(M)를 제어하여 조향 보조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잡한 유압라인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해소되고, 하이브리드 차량에도 적용하기 적절한 조건을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상기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에는 토오크센서(T)의 신호를 받아 모터(M)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새로이 전자제어유니트(ECU)가 설치되게 되었는 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ECU)를 장착하는 데는 몇 가지 제약 조건이 따른다.
즉,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상황에 따른 튜닝을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용이한 위치여야 하고, 전자제품의 특성상 기기 보호를 위하여 수밀성이 좋아야 하며, 또한 발열에 대한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통풍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전자제어유니트(ECU)는 와이어링 노이즈(wiring noise)의 감소를 위해 모터(M)와 보조배터리로부터 각각 소정간격(대략 1.2m)내에 위치해야 하는 거리상의 제약도 있어서 장착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여러 장치 및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엔진룸 내에서 상기와 같은 제약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ECU)를 장착할 위치를 선정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튜닝 작업성과 수밀성 및 통풍성이 우수하고 또한 모터와 보조배터리와의 거리 조건을 만족함은 물론, 충분한 장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룸내에 설치되는 퓨즈박스의 본체커버 윗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좌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좌면상에는 전자제어유니트의 플랜지가 볼트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가 본체커버상에 안착되도록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퓨즈박스상에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제어유니트가 엔진룸내에 설치된 퓨즈박스상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차량의 정면에서 본넷(bonnet)을 개방하고 엔진룸을 바라볼 때 퓨즈박스(10)는 통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면부의 바디패널(1)에 다수개의 볼트(21)를 매개로 고정되도록 장착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바디패널(1)이란 쇽업소버하우징패널(1a)과 휠하우징패널(1b) 및 프런트에이프런패널(1c)등을 총칭한 명칭이다.
한편, 상기의 퓨즈박스(1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퓨즈와 릴레이들이 내장되고 외측에 구비된 플랜지(11a)를 통해 볼트(21)를 매개로 바디패널(1)에 장착되는 박스본체(11)와, 체결수단(30)을 통해 상기 박스본체(11)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본체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퓨즈박스(10)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박스본체(11)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합돌기(31)와, 상기 본체커버(13)에 형성된 커버플랜지(33)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플랜지(33)에는 결합돌기(31)가 끼워지는 결합구멍(3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체결수단(30)은 도시된 부위의 반대편에도 구비되어 있어 박스본체(11)와 본체커버(13)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커버(13)의 윗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좌면(13a)이 양쪽의 모서리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좌면(13a)에는 볼트구멍(13b)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모양으로 형성된 전자제어유니트(40)는 그 양측면에 플랜지(41 ; 반대쪽 플랜지는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2)에는 볼트구멍(41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3은 입,출력 단자의 커넥터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는 플랜지(41)를 통해 본체커버(13)의 장착좌면(13a)상에 안착되어지며, 이후 플랜지(41)의 볼트구멍(41a)과 장착좌면(13a)의 볼트구멍(13b)을 일체로 관통하는 볼트(23)의 체결력에 의해 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는 볼트(23)의 체결력에 의해 본체커버(13)의 장착좌면(13a)상에 안착되어지는 형태로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가 본체커버(13)상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의 플랜지(41)와 본체커버(13)의 장착좌면(13a)사이에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패드(50)가 볼트(23)의 체결력을 통해 함께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40)가 퓨즈박스(10)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구조는, 상기 퓨즈박스(10)가 본넷(bonnet)을 열면 즉시 외부로 개방되는 자리이면서 엔진룸 내에서도 타 장치들에 간섭을 덜 받는 장소이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여 튜닝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넷을 닫았을 때에는 본넷의 사이드부와 엔진룸의 벽면(바디패널)사이는 밀폐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방수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충분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진룸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엔진룸으로는 냉각팬에 의하여 주행풍이 유입되므로 필요한 냉각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와 보조배터리가 모두 엔진룸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이들과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거리의 제약 조건을 만족하게 됨으로써 와이어링 노이즈를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퓨즈박스(10)의 상부에는 어떤 부품도 장착되어 있지 않았고 퓨즈박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가 장착될 만한 여유 공간이 충분히 있으므로 설치 공간 확보도 매우 용이한 잇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를 튜닝 작업성과 수밀성 및 통풍성이 우수하고 모터와 보조배터리와의 거리 조건을 만족함은 물론, 충분한 장착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퓨즈박스상에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퓨즈박스 11 - 박스본체
13 - 본체커버 13a - 장착좌면
23 - 볼트 40 - 전자제어유니트
41 - 플랜지 50 - 패드

Claims (2)

  1. 엔진룸내에 설치되는 퓨즈박스(10)의 본체커버(13) 윗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좌면(13a)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좌면(13a)상에는 전자제어유니트(40)의 플랜지(41)가 볼트(23)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가 본체커버(13)상에 안착되도록 조립되어지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니트(40)의 플랜지(41)와 장착좌면(13a)사이에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패드(50)가 볼트(23)에 의해 함께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KR10-2004-0026236A 2004-04-16 2004-04-16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KR10053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6A KR100535116B1 (ko) 2004-04-16 2004-04-16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36A KR100535116B1 (ko) 2004-04-16 2004-04-16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89A KR20050100989A (ko) 2005-10-20
KR100535116B1 true KR100535116B1 (ko) 2005-12-07

Family

ID=3727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36A KR100535116B1 (ko) 2004-04-16 2004-04-16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61B1 (ko) * 2011-05-30 2014-06-27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 엔진실 내로의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의 장착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61B1 (ko) * 2011-05-30 2014-06-27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 엔진실 내로의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의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989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913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892614B (zh) 电动驱动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JP4367077B2 (ja) 駆動モータ取付構造
JP4239770B2 (ja) 液圧制御装置の一体化構造
GB2503392A (en) Fuel cell vehicle
US20160176467A1 (en) Straddle-type vehicle
JP2003272754A (ja) 自動車用制御回路モジュール,自動車搭載電気負荷の制御装置、それを適用した自動変速機用制御装置の制御回路モジュール
KR20200035120A (ko) 전동 구동 장치 및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0535116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WO2019224899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35115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니트 장착구조
US7100561B2 (en) Cover for joint part between engine and transmission
KR102510709B1 (ko) 모터의 전원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통합 브레이크 장치
JP2002029336A (ja) エンジンルーム内の方形重量物支持構造
JP523337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944868B (zh) 用于机动车的变速器
JP5090685B2 (ja) 電気装置の搭載構造
JP2019104431A (ja) 車両用のオイルパンガード
JP2016144381A (ja) 電動駆動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979098A (zh) 电气设备
JPWO2019224898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20130201U (zh) 一种集成式电动助力转向系统壳体结构
JP4440206B2 (ja) 電子ユニット収納箱の取り付け構造
KR20080114205A (ko) 차량의 파워스티어링 오일펌프와 리저버 탱크간의 u너트방식 조립 구조
JP3194070B2 (ja) ダイヤフラムアクチュエータの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