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941B1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4941B1 KR100534941B1 KR10-2003-0081293A KR20030081293A KR100534941B1 KR 100534941 B1 KR100534941 B1 KR 100534941B1 KR 20030081293 A KR20030081293 A KR 20030081293A KR 100534941 B1 KR100534941 B1 KR 100534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clutch
- rotational force
- backward
- adjust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하나의 전동 모터가 설치되고, 이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시트 조절을 수행하는 시트 전후진 조절부, 시트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 상하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시트 조절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클러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크고 고가인 전동 모터의 사용 갯수를 기존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하나의 전동 모터가 설치되고, 이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시트 조절을 수행하는 시트 전후진 조절부, 시트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 상하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시트 조절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클러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들이 승차감과 관련하여 가장 연관성이 크다고 느끼는 부분이 시트부분이다.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트를 통하여 느껴지는 편안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이에, 통상의 차량 시트에는 착좌자의 편안함을 증대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각종 편의장치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의장치들 중에는 착좌자의 다양한 체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시트 전체를 운전자 체형에 맞게 차체 전후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장치나, 시트쿠션의 상하 조절을 위한 장치,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장치,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을 위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일부 고급 차종에서는 메모리 파워 시트 시스템(memory power seat system)이 구성되어 적용되고 있는 바, 이 메모리 파워 시트 시스템은 일단 운전자가 시트 위치를 자기 체형에 맞게 미리 기억시켜 놓으면 그 이후에는 메모리 재생 버튼만 간단히 조작하여 시트 위치를 미리 기억된 시트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차량 시트를 대상으로 하여 적용되는 여러 편의장치들 중에서도 전동식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 그리고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면부호 10a와 10b는 각각 좌측과 우측의 시트 트랙을 나타낸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전동식 시트 상하 조절 장치는 두 개의 독립적인 모터(20,23)를 이용하여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을 별도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각 모터(20,23)의 회전이 시트쿠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을 위한 두 개의 모터(20,23)가 구비되고, 모터(20,23)가 수직으로 연결된 각 기어박스(21,24)가 좌우 트랙(10a,10b)의 전/후 위치에서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각 지지용 부재(11a,11b)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기어박스(21,24)에는 스크류(22,25)가 연결되어 있는 바, 각 모터(20,23)의 회전이 해당 기어박스(21,24)에 의해 각 스크류(22,25)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 조절용 각 스크류(22,25)는 좌우 트랙(10a,10b)의 전/후 위치에서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된 힌지 파이프(12a,12b)의 크랭크(13a,13b)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각 스크류(22,25)의 직선운동이 해당 힌지 파이프(12a,12b)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힌지 파이프(12a,12b)에는 링크기구(14a,14b)가 고정 장착되고, 이 고정된 링크기구(14a,14b)의 반대측이 미도시된 시트쿠션 프레임에 연결되는 바, 결국 각 힌지 파이프(12a,12b)의 회전운동이 해당 링크기구(14a,14b)의 회동과 함께 시트쿠션 프레임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도 3에서 도면부호 20과 21은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을 위한 모터 및 기어박스를, 도면부호 22와 12a는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을 위한 스크류 및 힌지 파이프를, 도면부호 13a와 14a는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을 위한 크랭크 및 링크기구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 도면부호 23과 24는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을 위한 모터 및 기어박스를, 도면부호 25와 12b는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을 위한 스크류 및 힌지 파이프를, 도면부호 13b와 14b는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을 위한 크랭크 및 링크기구를 나타낸다.
한편,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을 위하여, 별도의 전후 조절용 모터(30)가 구비되고, 이 모터(30)의 양방향 각 회전축(31,32)이 시트 트랙(10a,10b)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좌측과 우측의 각 기어박스(33,3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기어박스(33,34)의 출력측에는 트랙(10a,10b) 하측으로 전후 길게 배치된 전후 조절용 스크류(26,27)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전후 조절용 스크류(26,27) 상에는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15a,15b)가 물려 설치된다.
결국, 모터(30)의 회전시 각 기어박스(33,34)에 의해 양쪽의 두 전후 조절용 스크류(26,27)가 동시 회전되며, 이에 고정부재(15a,15b)에서 두 스크류(26,27)가 같은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면서 시트 트랙(10a,10b) 및 시트 전체의 전후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시트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서는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을 위한 모터와 전후진 조절을 위한 모터 등 총 3개의 모터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를 구성하는데 무게가 크고 고가인 모터를 3개나 설치해야 하는 등 상대적으로 고비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 시스템 전체의 부피 및 무게가 커질 수 밖에 없었는 바,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하나의 전동 모터가 설치되고, 이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시트 조절을 수행하는 시트 전후진 조절부, 시트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 상하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시트 조절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클러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크고 고가인 전동 모터의 사용 갯수를 기존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 모터;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트 트랙의 전후진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수단이 접속하게 되어 이로부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중간기어박스와, 이 중간기어박스의 양 출력측 회전력을 시트 트랙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좌우 양쪽 각 기어박스에 입력하는 분배용 회전축으로 구성된 전후진 조절부;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트 전방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수단이 접속하게 되어 이로부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스크류 축과, 이 스크류 축 상에 설치되고, 구동링크 및 크랭크를 매개로 시트 트랙 전후 위치의 해당 힌지 파이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축 상에서 전후진함에 의해 해당 힌지 파이프를 회전시키게 되는 너트형 이동부재로 구성된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부;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후진 조절부, 전방 상하 조절부 및 후방 상하 조절부 중 선택된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러치 축 상의 제1종동기어를 통해 전달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하기 전달기어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접속하게 되는 제1클러치와,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클러치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중간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클러치 축 상의 제2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로부터 전달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방 상하 조절부와 후방 상하 조절부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접속하게 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된 클러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특히, 상기 제1종동기어와 제2종동기어는, 해당 클러치의 클러치 축 상에 스플라인 결합되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는 상기 전달기어와 상시 치합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서 모터 및 이와 연결된 구동부의 동력전달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시트 트랙(110,111)의 전후 위치에서 각각 좌우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 파이프(112a,112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힌지 파이프(112a,112b) 상에는 링크기구(113a,113b)가 고정 장착되고, 이 고정된 링크기구(113a,113b)의 반대측이 미도시된 시트쿠션 프레임에 연결되는 바, 결국 각 힌지 파이프(112a,112b)의 회전운동은 상기 링크기구(113a,113b)의 회동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의 상하운동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힌지 파이프(112a,112b)의 회전은 이에 각각 고정 장착된 크랭크(114a,114b)의 회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 특히 각 크랭크(114a,114b)는 후술하는 해당 구동링크(115a,115b)와 힌지 연결되며, 결국 해당 구동링크(115a,115b)가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각 크랭크(114a,114b)가 회동되면서 힌지 파이프(112a,112b)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구동링크(115a,115b)의 밀고 당기는 동작은 후술하는 해당 이동부재(152,162)의 전후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절장치에서도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은 별도로 수행되는 바,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은 시트 트랙(110,111) 전단에 설치된 힌지 파이프(112a)의 회전에 의해,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은 시트 트랙(110,111) 후단에 설치된 힌지 파이프(112b)의 회전에 의해 각각 이루어지며,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각 힌지 파이프(112a,112b)가 회전되도록 하는 각 구성요소와 작동상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을 위하여, 좌측과 우측의 각 시트 트랙(110,111) 하측에는 기어박스(116,117)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각 기어박스(116,117)의 출력측에는 트랙 하측으로 전후 길게 배치된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 상에는 차체 플로어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재(100a,100b)가 물려 설치된다.
결국,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각 기어박스(116,117)에 의해 양쪽의 두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가 동시 회전되며, 이에 고정부재(100a,100b)에서 두 스크류(118,119)가 같은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면서 시트 트랙(110,111) 및 시트 전체의 전후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각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각 기어박스(116,117)의 출력측에 연결 설치되는데, 각 기어박스(116,117)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해당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바, 이에 상기 각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가 해당 기어박스(116,117)에 전해진 모터(1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지며, 결국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가 회전하면서 고정부재(100a,100b)에서 전후 이동하여 시트 트랙(110,111)의 전후 위치가 조절되어지는 것이다.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시 좌우 양쪽의 두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되어지며, 결국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 바, 이에 시트 전체가 전후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절 장치에서는 상기한 시트의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과 전후 위치 조절이 하나의 모터로부터 나오는 회전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다.
이를 설명하면, 먼저 시트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모터(120)가 시트 트랙(110,111)에 설치된 지지용 부재(111a)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이 모터(120)는 제어부(170)가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또한, 상기 모터(120)의 회전축 상에 설치된 구동기어(121)는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 상에 결합된 제1종동기어(142)와 치합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142)는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 상에 스플라인(spline) 결합되어 클러치 축(141)의 전후진 동작에 관계 없이 모터 회전축의 구동기어(121)와 상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클러치(140)는 모터 회전축의 구동기어(121)와 이에 치합된 제1종동기어(142)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시트의 전후진 조절부(130)와 후술하는 전달기어(146)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클러치(140)는 전후진 조절부(130)의 회전축(131)과 전달기어(146) 사이에서 모터(120)의 회전력 전달을 단속하게 되는데, 특히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그 단속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클러치(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클러치 축(14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클러치 축(141)의 양단에는 클러치 판(141a,141b)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클러치 축(141)의 어느 한쪽 클러치 판(141a,141b)이 접속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이 전후진 조절부(130)의 회전축(131)과 전달기어(146)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전달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클러치(140)는 클러치 축(141)의 전후진 동작을 위하여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받게 되는 솔레노이드 코일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의 클러치는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바, 그 구성이나 원리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시트의 전후 조절시 상기 제1클러치(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클러치 축(141)이 전진하면서 전방 클러치 판(141a)이 전후진 조절부(130)의 회전축(131) 상에 설치된 클러치 판(131a)과 접속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후진 조절부(13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모터 회전력의 전달 경로는 모터 회전축 →구동기어(121) →제1종동기어(142) →제1클러치(140) →전후진 조절부(130)의 회전축(131)이 된다.
또한, 시트의 상하 조절시 상기 제1클러치(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클러치 축(141)이 후진하면서 후방 클러치 판(141b)이 전달기어(146)와 접속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을 후술하는 제2클러치(143)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모터 회전력의 전달 경로는 모터 회전축 →구동기어(121) →제1종동기어(142) →제1클러치(140) →전달기어(146)가 된다.
한편, 상기 전후진 조절부(130)는 제1클러치(140)로부터 모터(17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트 트랙(110,111)의 전후 위치 조절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후진 조절부(130)는 제1클러치(140)로부터 클러치 판(131a)을 통해 모터(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31)과, 이 회전축(131)의 회전력을 좌우 양쪽 각 기어박스(116,117)로 분배 및 동시 전달하는 연결기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기구는 회전축(131)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좌우 양쪽으로 동시에 출력하는 중간기어박스(132)와, 이 중간기어박스(132)의 좌우 양 출력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중간기어박스(132)로부터 출력된 회전력을 상기 좌우 양쪽 각 기어박스(116,117)에 입력하는 분배용 회전축(133,134)으로 구성된다.
결국, 상기 전후진 조절부(130)에서 모터 회전력의 전달 경로는 회전축(131) →중간기어박스(132) →좌우 양쪽의 각 분배용 회전축(133,134) →좌우 양쪽의 각 기어박스(116,117)가 된다.
물론, 제1클러치(140)와 회전축(131) 사이에는 상호 접속된 각각의 클러치 판(141a,131a)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지며, 좌우 양쪽의 각 기어박스(116,117)로 전달된 회전력은 최종적으로 좌우 양쪽의 각 전후 조절용 스크류(118,119)를 회전시키는 바, 이에 각 스크류(118,119)가 고정부재(100a,100b)에서 전후 이동하여 시트 트랙(110,111)의 전후 위치가 조절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전달기어(146)는 시트 트랙(110,111)에 설치된 지지용 부재(111b)에 장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전달기어(146)에는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 상에 설치된 제2종동기어(145)가 치합된다.
상기 제2종동기어(145)는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 상에 스플라인(spline) 결합되어 클러치 축(144)의 전후진 동작에 관계 없이 상하 조절부의 전달기어(146)와 상시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클러치(143)는 전달기어(146)와 이에 치합된 제2종동기어(145)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120)의 회전력을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부(150)와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부(160)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클러치(143)는 전방 상하 조절부(150)의 스크류 축(151)에 설치된 클러치 판(151a)과 후방 상하 조절부(160)의 스크류 축(161)에 설치된 클러치 판(161a) 사이에서 모터(120)의 회전력 전달을 단속하게 되는데, 특히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그 단속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클러치(143)에서는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클러치 축(144)이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이 클러치 축(144)의 양단에는 클러치 판(144a,144b)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하에 클러치 축(144)의 어느 한쪽 클러치 판(144a,144b)이 접속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이 전방 상하 조절부(150)의 스크류 축(151)과 후방 상하 조절부(160)의 스크류 축(161)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전달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부(150,160)의 각 스크류 축(151,161)은 시트 트랙(110,111)에 설치된 지지용 부재(111a,111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특히 각 스크류 축(151,161) 상에는 너트형 이동부재(152,162)가 물려 설치되고, 각 이동부재(152,162)에는 각 힌지 파이프(112a,112b)의 크랭크(114a,114b)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링크(115a,115b)가 연결된다.
상기 각 구동링크(115a,115b)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일단이 힌지 파이프(112a,112b)에 고정된 크랭크(114a,114b)의 반대쪽 끝단에 힌지 연결되어 있어 있는 바, 전체적으로 한쪽은 크랭크(114a,114b)에, 반대쪽은 이동부재(152,162)에 힌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52,162)는 각 구동링크(115a,115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해당 스크류 축(151,161)만이 회전되어짐으로써 스크류 축(151,161) 상에서 전후진될 수 있는 바, 결국 각 이동부재(152,162) 및 구동링크(115a,115b)가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각 크랭크(114a,114b)가 회동되어지며, 이에 각 힌지 파이프(112a,112b)가 회전되면서 시트쿠션 프레임의 상하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트 전후진 조절시에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170)의 구동과 동시에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전진하게 된다.
이후,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전후진 조절부(130)의 회전축(131)에 접속되면서 모터(120)의 회전력은 중간기어박스(132) 및 분배용 회전축(133,134)을 통해 좌우 양쪽의 각 기어박스(116,117)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좌우 양쪽의 각 스크류(118,119)가 회전되면서 동시에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고정부재(100a,100b)에서 전후진하게 된다.
이에, 두 스크류(118,119)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 시트 트랙(100,111)이 전후진되면서 결국 시트 전체의 전후 위치가 조절되어진다.
한편,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시에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120)의 구동과 동시에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후진하게 된다.
이후,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전달기어(146)에 접속되며,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은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진하는 바, 전달기어(146)로 전달된 모터 회전력은 제2종동기어(145) 및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을 통해 전방 상하 조절부(150)의 스크류 축(151)에 전달된다.
결국, 전방 상하 조절부(150)의 스크류 축(151)이 회전되면서 이에 물려 있는 이동부재(152)가 전후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링크(115a)에 의해 크랭크(114a) 및 힌지 파이프(112a)가 회전되는 바, 시트의 전방 상하 조절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시에는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120)의 구동과 동시에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후진하게 된다.
이후, 제1클러치(140)의 클러치 축(141)이 전달기어(146)에 접속되며,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은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후진하는 바, 전달기어(146)로 전달된 모터 회전력은 제2종동기어(145) 및 제2클러치(143)의 클러치 축(144)을 통해 후방 상하 조절부(160)의 스크류 축(161)에 전달된다.
결국, 후방 상하 조절부(160)의 스크류 축(161)이 회전되면서 이에 물려 있는 이동부재(162)가 전후진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구동링크(115b)에 의해 크랭크(114b) 및 힌지 파이프(112b)가 회전되는 바, 시트의 후방 상하 조절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은 모터의 회전방향을 정 또는 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시트 전방 및 후방을 높게 하거나 낮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시트를 전방으로 위치 이동시키거나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의하면,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하나의 전동 모터가 설치되고, 이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독립적으로 시트 조절을 수행하는 시트 전후진 조절부, 시트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 상하 조절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시트 조절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클러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무게가 크고 고가인 전동 모터의 사용 갯수를 기존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고(기존 대비 3개에서 1개로 축소), 이에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음은 물론 시스템 전체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보다 개선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서 모터 및 이와 연결된 구동부의 동력전달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고정부재 110, 111 : 시트 트랙
120 : 모터 130 : 전후진 조절부
140 : 제1클러치 143 : 제2클러치
146 : 전달기어 150 : 전방 상하 조절부
160 : 후방 상하 조절부
Claims (5)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에 있어서,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 모터;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트 트랙의 전후진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수단이 접속하게 되어 이로부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전달하는 중간기어박스와, 이 중간기어박스의 양 출력측 회전력을 시트 트랙의 전후진 구동을 위한 좌우 양쪽 각 기어박스에 입력하는 분배용 회전축으로 구성된 전후진 조절부;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트 전방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 상하 조절부 및 시트 후방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수단이 접속하게 되어 이로부터 모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스크류 축과, 이 스크류 축 상에 설치되고, 구동링크 및 크랭크를 매개로 시트 트랙 전후 위치의 해당 힌지 파이프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축 상에서 전후진함에 의해 해당 힌지 파이프를 회전시키게 되는 너트형 이동부재로 구성된 전방 및 후방 상하 조절부;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전후진 조절부, 전방 상하 조절부 및 후방 상하 조절부 중 선택된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클러치 축 상의 제1종동기어를 통해 전달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후진 조절부와 하기 전달기어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접속하게 되는 제1클러치와, 시트 트랙의 지지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클러치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중간 전달하는 전달기어와, 클러치 축 상의 제2종동기어를 통해 상기 전달기어로부터 전달받은 모터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방 상하 조절부와 후방 상하 조절부 중 선택된 한쪽으로 접속하게 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된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종동기어와 제2종동기어는,해당 클러치의 클러치 축 상에 스플라인 결합되어서, 상기 제1종동기어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축 상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제2종동기어는 상기 전달기어와 상시 치합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1293A KR100534941B1 (ko) | 2003-11-18 | 2003-11-18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1293A KR100534941B1 (ko) | 2003-11-18 | 2003-11-18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7571A KR20050047571A (ko) | 2005-05-23 |
KR100534941B1 true KR100534941B1 (ko) | 2005-12-08 |
Family
ID=37246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1293A KR100534941B1 (ko) | 2003-11-18 | 2003-11-18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4941B1 (ko) |
-
2003
- 2003-11-18 KR KR10-2003-0081293A patent/KR1005349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7571A (ko) | 2005-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83106B2 (ja) | シートボルスタ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seatbolstersystemapparatusandmeathod) | |
US7695045B2 (en) | Driv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 |
KR101813105B1 (ko) |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 |
EP1533190B1 (en) | Driver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
EP0371794B1 (en) | Seat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with seat position adjusting system | |
KR101180677B1 (ko) | 차량용 레그레스트 | |
KR100534941B1 (ko) | 차량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
KR100580000B1 (ko) | 자동차용 시트의 상하 및 전후진 조절 장치 | |
JPH10203220A (ja) | シート装置 | |
KR20120004955U (ko)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
KR101326492B1 (ko) | 자동차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 |
EP1369290A2 (en) | Controlling head rest according to vehicle occupant size | |
KR102242419B1 (ko) |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 |
JP5017879B2 (ja) | 運転姿勢調整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 |
CN108602455A (zh) | 具有动力肩部枢转的座椅靠背 | |
KR101281840B1 (ko) | 쿠션이 가변하는 차량용 시트 | |
KR20220013617A (ko) | 효율적인 듀얼모터 전동 시트 트랙 | |
KR101956985B1 (ko) | 차량용 프런트시트의 틸팅장치 | |
JP6926915B2 (ja) | パワーシート | |
JP2019196080A (ja) | 車両用シート | |
JP4419683B2 (ja) | マッサージ機 | |
JP2000038062A (ja) | 車両のシ―トの水平方向に関する単一駆動装置 | |
JPH1142137A (ja) | パワーシート駆動装置 | |
CN118695968A (zh) | 具有两个能横向彼此间隔开的车辆座椅的车辆座椅组件 | |
JP2500634Y2 (ja) | シ―トの上下調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