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746B1 - 도어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746B1
KR100534746B1 KR1020040040416A KR20040040416A KR100534746B1 KR 100534746 B1 KR100534746 B1 KR 100534746B1 KR 1020040040416 A KR1020040040416 A KR 1020040040416A KR 20040040416 A KR20040040416 A KR 20040040416A KR 100534746 B1 KR100534746 B1 KR 10053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frame
clamping
fram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 라인의 상부에 장착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어를 클램핑하여 행거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탈착장치에 있어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암과, 회전암에 장착되는 하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와,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의 도어 안착을 센싱하는 도어 센싱수단과,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센싱수단의 도어 센싱시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도어의 상측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어 클램핑장치{DOOR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차종 도어의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하여 행거에 이송후 작업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이 가능한 도어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탈착하여 별도 조립하는 서브라인까지 행거를 이용하여 이송한다.
이러한 도어의 행거를 통한 이송을 위하여, 도어를 행거에 클램핑후 이송하는 도어 클램핑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도어 클램핑장치는 일정 형상의 도어만 클램핑할 수 있어 다차종 공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다차종 도어의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하여 행거에 이송후 작업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 절감이 가능한 도어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클램핑장치는, 작업 라인의 상부에 장착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어를 클램핑하여 행거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에 장착되는 하단 프레임;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의 도어 안착을 센싱하는 도어 센싱수단;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센싱수단의 도어 센싱시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도어의 상측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양측에 돌출 구비된 하단 규제돌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는 승강 실린더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부재 로드에 장착된 슬라이더봉; 및 상기 슬라이더봉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부재의 작동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상단을 규제하는 상부고정 어태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 어태치는, 상기 슬라이더봉의 상단에 장착된 제2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수평 플레이트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를 규제하는 상부 규제돌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단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로드 선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로드 작동으로 메인 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센싱수단은, 상기 도어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단에 일단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자중에 따른 스프링력으로 승강 이동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근접 장착되어 상기 이동바의 접촉시에 상기 도어의 안착으로 센싱하도록 하는 센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램핑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램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회전암을 이용한 도어의 탈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하단 고정 어태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단 고정 어태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램핑 장치(100)는, 작업 라인의 상부에 장착되는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어를 클램핑하여 행거(33)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3)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암(10)과, 회전암(10)에 장착되는 하단 프레임(20)과, 하단 프레임(20)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30)과, 메인 프레임(30)의 하단에 장착되어 도어(15)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와,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의 도어 안착을 센싱하는 도어 센싱수단(45)과, 메인 프레임(30)의 상측에 장착되며 도어 센싱수단(45)의 도어 센싱시에 메인 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도어(15)의 상측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암(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1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레일(11)은 작업 공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13)는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플레이트(13)에는 회전암(1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회전암(10)에는 하단 프레임(20)이 장착된다.
상기 하단 프레임(20)은 회전암(10)에 장착되며, 일측에는 메인 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30)은 하단 프레임(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하단 프레임(20)과 메인 프레임(30) 간에는 틸팅 실린더(31)가 장착되어, 메인 프레임(30)의 장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틸팅 실린더(31)는 하단 프레임(2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로드의 선단이 메인 프레임(30)의 일측에 장착됨으로서, 로드의 작동에 따라 메인 프레임(30)의 장착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틸팅 실린더(31)는 행거(33)에 도어(15)의 이송의 용이함을 위해 각도의 조절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30)의 하단에는 도어(15)의 하단 고정을 위한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30)의 상단에는 도어(15)의 상단의 고정을 위한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가 장착된다.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0)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평플레이트(41)와, 제1수평플레이트(41)의 양측에 돌출 구비된 하단 규제돌부(43)로 구비된다. 이러한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의 제1수평플레이트(41)에 도어(15)가 안착된 후 하단 규제돌부(43)의 규제됨으로 도어(15)의 하단이 안착 규제된다.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에는 도어(15)의 안착을 센싱하기 위한 도어 센싱수단(45)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 센싱수단(45)은 도어(15)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47)와, 안착 플레이트(47)의 하단에 일단이 장착되며 도어(15)의 자중에 따른 스프링력으로 승강 이동되는 이동바(49)와, 이동바(49)의 타단에 근접 장착되어 이동바(49)의 접촉시에 도어(15)의 안착으로 센싱하도록 하는 센싱부재(42)로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 센싱수단(45)에 도어(15)가 안착되면 도어(15)의 자중으로 이동바(49)가 하강된다. 이러한 이동바(49)의 하강을 통하여 이동바(49)의 선단이 센싱부재(42)에 접촉되면 센싱신호를 전달하여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를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는 메인 프레임(30)의 상측에 장착되며 도어 센싱수단(45)의 도어(15) 센싱시에 메인 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도어(15)의 상측을 클램핑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는 상기 메인 프레임(30)의 상측에 장착되는 승강 실린더부재(51)와, 메인 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단은 승강 실린더부재(51) 로드에 장착된 슬라이더봉(53)과, 슬라이더봉(53)의 일단에 장착되며 승강 실린더부재(51)의 작동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도어(15)의 상단을 규제하는 상부고정 어태치(5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고정 어태치(55)는 슬라이더봉(53)의 상단에 장착된 제2수평 플레이트(57)와, 제2수평 플레이트(57)의 양단에 장착되어 도어(15)의 상부를 규제하는 상부 규제돌부(59)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어(15)가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에 안착되면, 도어 센싱수단(45)이 도어 안착을 센싱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도어 센싱수단(45)의 센싱신호 전달을 통하여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의 승강 실린더부재(51) 하강을 통하여 도어(15)를 규제함으로써, 다차종 도어 각각의 규격에 맞는 승강 실린더(51) 하강을 통한 도어(15)의 규제를 통하여 다차종 도어의 공용 클램핑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도어 클램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플레이트(13)의 이동을 통하여 본 발명의 도어 클램핑장치(100)를 도어 탈착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회전암(10)의 회전을 통하여 도어(15) 위치로 도어 클램핑장치(100)가 근접 되도록 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고정 어태치(40)에 도어(15)의 하단에 안착되도록 하며, 도어 센싱수단(45)을 통하여 도어 안착 센싱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도어 안착 센싱신호를 통하여 메인 프레임(30)의 상단에 장착된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의 승강 실린더(51) 하강을 통하여 도어(15)를 클램핑한다. 이러한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40) 및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를 통하여 다차종 도어의 클램핑이 용이하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10)의 회전을 통하여 도어 탈착 및 이동을 실시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33)에 도어(15) 하단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실린더(31)의 작동을 통하여 행거(33)에 도어 클램핑장치(100)를 틸팅한 후, 행거(33)에 고정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50)의 승강 실린더(51) 작동을 통하여 클램핑 해제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암(10)의 회전을 통하여 원위치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램핑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차종별 다양한 형상의 도어의 클램핑을 용이하게 하여 행거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차종 각각에 대응한 클램핑장치의 삭제를 통하여 생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클램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회전암을 이용한 도어의 탈착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하단 고정 어태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하단 고정 어태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도어 클램핑 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Claims (6)

  1. 작업 라인의 상부에 장착되는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도어를 클램핑하여 행거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에 장착되는 하단 프레임;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어 도어의 하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의 도어 안착을 센싱하는 도어 센싱수단;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센싱수단의 도어 센싱시에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도어의 상측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고정 어태치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의 양측에 돌출 구비된 하단 규제돌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단 클램핑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는 승강 실린더부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부재 로드에 장착된 슬라이더봉; 및
    상기 슬라이더봉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부재의 작동에 따라 승강 이동되어 상기 도어의 상단을 규제하는 상부고정 어태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 어태치는,
    상기 슬라이더봉의 상단에 장착된 제2수평 플레이트; 및
    상기 제2수평 플레이트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를 규제하는 상부 규제돌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단 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로드 선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어 로드 작동으로 메인 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틸팅 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센싱수단은,
    상기 도어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단에 일단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의 자중에 따른 스프링력으로 승강 이동되는 이동바; 및
    상기 이동바의 타단에 근접 장착되어 상기 이동바의 접촉시에 상기 도어의 안착으로 센싱하도록 하는 센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램핑 장치.
KR1020040040416A 2004-06-03 2004-06-03 도어 클램핑장치 KR10053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16A KR100534746B1 (ko) 2004-06-03 2004-06-03 도어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16A KR100534746B1 (ko) 2004-06-03 2004-06-03 도어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746B1 true KR100534746B1 (ko) 2005-12-07

Family

ID=3730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16A KR100534746B1 (ko) 2004-06-03 2004-06-03 도어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7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63B1 (ko) 2005-07-29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도어고정 확인장치
KR100798897B1 (ko)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틸팅장치
KR100907260B1 (ko) 2009-03-31 2009-07-10 고정수 천정 이동식 폐차 해체장치
KR101048145B1 (ko) 2009-12-04 2011-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그리퍼
CN105598682A (zh) * 2016-03-18 2016-05-25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移动式车门拆卸电动设备
CN109693217A (zh) * 2017-10-23 2019-04-30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客车车门拆装辅助工装
KR102607462B1 (ko) * 2022-06-29 2023-11-30 (주)디케이엔지 자동차 조립 라인을 위한 도어 매니퓰레이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63B1 (ko) 2005-07-29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립라인의 도어고정 확인장치
KR100798897B1 (ko) 2007-01-12 2008-01-29 (주)우진정공 자동차 도어 장착용 틸팅장치
KR100907260B1 (ko) 2009-03-31 2009-07-10 고정수 천정 이동식 폐차 해체장치
KR101048145B1 (ko) 2009-12-04 2011-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도어용 그리퍼
CN105598682A (zh) * 2016-03-18 2016-05-25 广汽本田汽车有限公司 移动式车门拆卸电动设备
CN109693217A (zh) * 2017-10-23 2019-04-30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客车车门拆装辅助工装
KR102607462B1 (ko) * 2022-06-29 2023-11-30 (주)디케이엔지 자동차 조립 라인을 위한 도어 매니퓰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4746B1 (ko) 도어 클램핑장치
CA1298273C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body
WO2005077790A1 (ja) 搬送装置
US7762757B2 (en) Workpiece transfer system and workpiece transfer method
KR20090018430A (ko) 패널이동용 진공 흡찹기
CN110546103B (zh) 升降平台
CA2570225A1 (en) Drilling rig and vibration dampening support frame
JPH0753512B2 (ja) ドア位置決め搬送台車
KR101520936B1 (ko) 자동차 시트의 이송장치
JP2833388B2 (ja) オーバーヘッドハンガーおよびその自動切換装置
KR100623281B1 (ko) 플렉시블 도어 장착장치
CA2193580A1 (en) Hanger for lift truck fork
JP2004115191A (ja) 搬送装置のワーク位置決め機構
US7721369B2 (en) Transition board apparatus for a passenger bridge and a spring leaf thereof
AU781558B2 (en) Pneumatic crimper for fitting frame hanging attachments
JP2006290512A (ja) 車体搬送装置
JP3854243B2 (ja) 車室へのシートバック搬入装置
CN107234350B (zh) 可翻转龙门架
KR20190044501A (ko) 팔레트 교환 장치
JPH0711276Y2 (ja) 折戸用ランナー部材
JP2006034502A (ja) 建設機械における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JP2005205458A (ja) 重力式傾動金型鋳造装置
JPH0614943Y2 (ja) 長尺材溶接治具
CN117902495B (zh) 一种用于起重机的配重调节机构
JP2007050807A (ja) 車体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