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372B1 -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372B1
KR100534372B1 KR10-2002-0060831A KR20020060831A KR100534372B1 KR 100534372 B1 KR100534372 B1 KR 100534372B1 KR 20020060831 A KR20020060831 A KR 20020060831A KR 100534372 B1 KR100534372 B1 KR 10053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ascus
red pigment
kccm
pigmen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400A (ko
Inventor
신철수
김철영
정희용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6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3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활성과 광안정성이 우수한 모나스커스 적색소,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전기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 적색소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나스커스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배양물로부터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진균류 등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광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식용식소 및 화장품의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Red Coloring Matter}
본 발명은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균활성과 광안정성이 우수한 모나스커스 적색소,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전기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 적색소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나스커스 색소는 미생물 기원의 색소로 주로 어묵, 육류, 수산연제품 등의 가공에 이용되고, 이의 산업적 생산을 위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참조: 박선애, 식품산업 5:34-48, 1992). 특히, 일본에서는 이미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생산하지 못하고 있어, 국내 수요량을 전량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모나스커스 색소를 생산하는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미생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동아시아권 국가들에서 홍주, 홍두부 등의 전통식품 발효에 이용되어 온 미생물로서, 진균류문, 아스토미세테스(Astomycetes) 강, 플렉타스칼(Plectascale) 목, 아스퍼질러스(Aspergillaceae) 과로 분류된다(참조: 尊井廣一, 日本食品科學, 1:35-39, 1993; 吉積智司, 食品工業(日本), 20:38-43, 1977). 암수 한몸으로 서식하는 이 미생물은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통해 생육하는데 모나스커스 색소는 주로 유성생식기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蘇遠志, 醱協誌, 33:28-32, 1975).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은 색소 외에도 로바스타틴(lovastatin) 등의 항고지혈증 물질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참조: 김현수 등, Kor. J. Appl. Microbiol. Bioeng., 9:117-121, 1981).
모나스커스 색소는 내열성이 강하고, 사용가능한 pH 범위도 넓어 염착성이 양호하며, 10여 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성분으로 황색소인 모나신(monacin), 안카플라빈(ankaflavin), 주황색소인 모나스코루브린(monascorubrin), 적색소인 모나스코루브라민(monascorubramine), 루브로펑타민(rubropunctam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색소 성분들은 각기 여러가지 용매들에 대해 용해특성이 상이하고, 사용균주, 영양기질, 배양조건 등에 따라 각각의 생산비율과 생산량 등이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Chen & Johns, Appl. Microbiol. Biotechnol., 40:132-138, 1993; 최기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7; 김정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Birch et al., J. Chem. Soc., 3583-3592, 1962; Chen et al., J. Chem. Soc., 3577-3586, 1971; Fielding et al., J. Chem. Soc., 4579-4583, 1961; Manchand et al., Phytichem. 12:2531-2538, 1973; Haws & Holker, J. Chem. Soc., 3820-3829, 1961; Hiroi et al., J. Jap. Soc. Food Nutri., 28(9):497-502, 1975; Fowell et al., J. Chem. Soc. Special Publ., 5:27-34, 1956; 谷村顯雄, 天然着色料 handbook, 光琳, 1979).
모나스커스 색소의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균주개량, 영양기질 변화 등의 실험들이 수행되어 왔고, 색소생산에 대한 여러가지 질소원의 영향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글루타민산으로 유도된 모나스커스 색소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참조: Carels & Shepherd, Can. J. Microbiol., 23:1360-1372, 1977; Wong & Koehler, J. Food Sci., 46:589-592, 1981; Border & Koehler, J. Food Sci., 45:567-569, 1980; 남학우,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3; Hajjaj et al., Appl. Environ. Microb., 63(7):2671-2678, 1997).
그러나, 모나스커스에서 얻어진 색소들은 생체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는 다른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색소보다 우수하지만, 미생물 또는 빛에 의하여 쉽게 변질된다는 단점이 있어, 이용범위가 한정되고 있다. 이러한 모나스커스 색소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별다른 진전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모나스커스 색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색소를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모나스커스 색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색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모나스커스 배양시 아미노산을 색소전구체로서 첨가할 경우, 항균활성과 광안정성이 우수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항균활성과 광안정성이 우수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분리, 정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1은 C5H11 또는 C7H15이고; 및,
R2는 L-형 또는 D-형 아미노산 그룹이다.
상기 일반식 (I)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나스커스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배양물로부터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모나스커스 적색소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 KCCM 10093(Monascus sp. KCCM 10093)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아미노산은 L-형 또는 D-형 아미노산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아미노산의 첨가시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모나스커스 배양 1 내지 2일 후에 배양물에 첨가함이 바람직하고, 아미노산이 첨가된 이후의 배양시간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아미노산 첨가 후 4 내지 5일동안 배양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반식 (I)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은 모나스커스속 미생물을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 전기 배양물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전기 에탄올 추출물에 다시 헥세인을 가하고 분별추출하여, 에탄올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전기 수득한 에탄올 분획을 실리카겔에 적용시키고,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로 구성된 이동상으로 용출시켜서, 활성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전기 수득한 활성분획을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로 구성된 전개용매를 사용한 박막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아미노산은 L-형 또는 D-형 아미노산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실리카겔의 용출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농도구배(100:0 내지 80:20(v/v))로 용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전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진균류 등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광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식용식소 및 화장품의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페닐알라닌을 이용한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
75mL의 미즈타니 배지(Mizutani 배지)를 함유하고 있는 500mL 플라스크에 모나스커스 KCCM 10093(Monascus sp. KCCM 10093)을 접종한 후, 진탕배양기에서 30℃, 180rpm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전배양(seed culture)을 수행하였다. 본배양은 20mL의 발효배지에 전배양액 1mL을 접종하고, 30℃, 180rpm의 회전식 진탕기에서 회분식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발효배지는 5%(w/v) 포도당, 0.1%(w/v) KH2PO4, 0.05%(w/v) MgSO4, 0.05%(w/v) KCl, 0.001%(w/v) FeSO4 및 0.2%(w/v) NH4NO3 를 포함한다. 1일이 경과한 후, 0.1M 인산완충용액(pH 6.8)에 10mmol의 농도로 용해된 L-페닐알라닌 용액 5mL를 첨가하고, 다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배양물 20mL를 250mL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60mL의 95%(v/v) 에탄올을 첨가한 다음, 30℃, 180rpm의 진탕기에서 12시간동안 방치하여 색소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전기에서 수득한 에탄올 추출물에 헥세인 60mL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분별깔대기에서 황색소를 포함하는 헥세인 분획을 분리하고, 적색소가 함유된 에탄올 분획을 수득한 후, 전기 에탄올 분획에 30g의 실리카겔을 첨가하여 적색소를 실리카겔에 흡착시켰다. 한편, 전기 황색소가 용해된 헥세인 분획은 감압농축하여 황색소를 제조하였다.
한편, 적색소가 흡착된 실리카겔을 컬럼(70mm X 300mm)에 충진하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로 구성된 이동상을 농도구배(100:0 내지 80:20(v:v), 클로로포름:메탄올)의 조건하에, 30mL/min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전기 컬럼으로부터 적색소 분획을 수득하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전개용매(에탄올:클로로포름:물=65:25:10(v:v:v))를 이용한 박막크로마토 그래피(Prep-TLC, Merck, 독일)에 적용시키고, 적색소 부분을 수득하여 에탄올에 용해시켜서,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였다.
전기 제조된 적색소의 구조를 LC-MASS, 1H-NMR 및 13C-NM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참조: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은 페닐알라닌을 첨가하여 제조된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구조식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보듯이, LC-MASS에 의한 분석결과, R1이 C5H11과 C7H15인 경우, 각각 m/z가 503과 531로 나타났으므로, 각각의 분자구조가 C30H31NO6와 C32H35NO6 임을 확인하고, 13C-NMR 분석에 의하여 페닐알라닌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각종 아미노산 유도체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 및 특성분석
천연아미노산을 이용하여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고, 이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1: 각종 아미노산 유도체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
L-페닐알라닌 대신에 20종의 L-형 또는 D-형 천연아미노산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미노산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된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사용하였고, 20종의 천연아미노산 중에서 글리신은 L-형 및 D-형이 구별되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1종만이 제조되었다.
실시예 2-2: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항균활성의 측정
전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각 색소를 증류수에 1mg/mL의 농도로 용해시켜서 항균활성시험에 이용하였다.
항균활성시험은 웰확산분석법(well diffusion assay)으로 수행하였다: 즉, 9cm 페트리디쉬에 10mL의 아가로스(2%)를 분주하여 고정시키고, 그 위에 37℃ 항온기에서 12 내지 14시간 배양시킨 세균을 첨가한 한천배지(0.7%) 5mL를 중층하여 고정시킨 다음, 살균된 팁으로 구멍을 내어 웰을 형성시켰다. 이어, 10%(v/v) DMSO 수용액에 용해된 각 색소시료를 각 웰에 0.1mL 씩 분주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시킨 다음, 37℃에서 16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여, 각 웰의 주위에 생성된 생육저지대의 직경(mm)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세균은 그람양성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KCCM 40105(Streptococcus mutans KCCM 40105, +G1),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KCCM 40307(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 +G2), 바실러스 세레우스 KCCM 11773(Bacillus cereus KCCM 11773, +G3)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CM 12103(Staphlococcus aureus KCCM 12103, +G4)과 그람음성균인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KCCM 40253(Salmonella typhimurium KCCM 40253, -G1),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KCCM 11381(Proteus mirabilis KCCM 11381, -G2), 클레브시엘라 네우모니애 KCCM 11391(Klebsiella pneumoniae KCCM 11391, -G3) 및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KCCM 11362(Pseudomonas aeruginosa KCCM 11362, -G4)를 사용하였고, 생육저지대의 직경이 11mm이상인 경우를 + 로 표시하며, 11mm미만인 경우를 - 로 표시하였다(참조: 표 1, 표 2).
L-형 아미노산으로 제조된 색소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아미노산 +G1 +G2 +G3 +G4 -G1 -G2 -G3 -G4
대조군 - - + - - - - -
Ser - - - - - - - -
Thr - - + - - - - -
Cys + + ++ + + - - +
Met - - + - - - - -
Asn - - - - - - - -
Gln + + + + + - + -
Lys - - - + - - - -
Arg + - + - - - - -
His - - - - - - - -
Asp + + + + + + - -
Glu - - - - - - + -
Ala + + ++ + + - + -
Val + - + + - + - +
Leu - - + - + - - -
Ile - - - - - - - -
Pro - - + - - - - -
Phe + + ++ + + + - +
Tyr + + ++ + + - - -
Trp - - + - - - - +
D-형 아미노산으로 제조된 색소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아미노산 +G1 +G2 +G3 +G4 -G1 -G2 -G3 -G4
Gly - - - + - + - -
Ser - - - + - - - -
Thr + - + + - - - -
Cys - - - + - - - -
Met + - + + - - - +
Asn - - - - - - - -
Gln - - + - - - - -
Lys - - - - - - - -
Arg - - + - - - - -
His - - - - - - - -
Asp + + ++ + + + + -
Glu - - - - - - - -
Ala + - + - - - - -
Val + + + ++ + - + +
Leu + + + + + - - -
Ile - + - + - - - -
Pro - - - - + - - -
Phe + + ++ + + + + +
Tyr + + + + + - + -
Trp - - + - - - - -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보듯이, L-Val, D-Val, D-Leu, L-Phe, D-Phe, L-Tyr, D-Tyr, L-Cys, D-Met, L-Gln, L-Asp 및 D-Asp을 이용하여 제조된 모나스커스 적색소가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MIC 분석
전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각각의 적색소를 대상으로 하고, 아가 희석방법(agar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최소생육저지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분석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균주로는 그람양성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CM 11316(Bacillus subtilis KCCM 11316, +G5),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제네스 KCCM 12098(Clostridium perfringenes KCCM 12098, +G6),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KCCM 11814(Enterococcus faecalis KCCM 11814, +G7),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KCCM 12214(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14, +G8),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제네스 KCCM 11817(Streptococcus pyogenes KCCM 11817, +G9), 엔테로박터 에어로제네스 KCCM 12177(Enterobacter aerogenes KCCM 12177, +G10); 그람음성균인 대장균 KCCM 11234(Escherichia coli KCCM 11234, -G5), 프로테우스 불가리스 KCCM 11906(Proteus vulgaris KCCM 11906, -G6), 슈도모나스 아에루지노사 KCCM 11328(Pseudomonas aeruginosa KCCM 11328, -G7), 살모넬라 콜레라쉬스 서브스페시스. 콜라라쉬스 KCCM 11806(Salmonella choleraesuis subsp. choleraesuis KCCM 11806, -G8),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KCCM 11806(Salmonella typhimurium KCCM 11806, -G9), 쉬젤라 소네이 KCCM 40253(Shigella sonnei KCCM 40253, -G10), 헤모필러스 인플루엔자 KCCM 11903(Haemophilus influenzae KCCM 11903, -G11); 및, 진균류인 아스퍼질러스 니거 KCCM 11239(Aspergillus niger KCCM 11239, F1), 페니실리움 시트리넘 KCCM 11663(Penicillium citrinum KCCM 11663, F2), 페니실리움 디지타툼 KCCM 60140(Penicillium digitatum KCCM 60140, F3), 캔디다 알비칸스 KCCM 10231(Candida albicans KCCM 10231, F4)을 이용하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적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실험군을 이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생제인 니신(nisin)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한 실험군을 이용하였다.
전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각각의 적색소를 128g/mL의 농도로 20mL의 아가배지(Muller-Hinton broth agar)에 첨가하고, 순차적인 2배의 연속희석에 의하여 다양한 농도(128~2g/mL)의 시료를 제조하여, 각 농도별 고체배지를 제조하였다. 한편, 전기 균주들을 액상으로 배양한 후, 약 1 x 106CFU/mL의 농도로 적정하고, 전기 제조된 각 농도별 고체배지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적색소의 MIC는 시험균주의 성장이 뚜렷하게 눈에 띄지 않는(성장의 약 99%를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소농도의 값으로 하였다(참조: 표 3).
각 적색소의 MIC 값 측정결과(㎍/㎖)
균주 -대조군 L-Phe D-Phe L-Asp D-Asp L-Tyr D-Tyr L-Cys L-Gln +대조군
+G5 >128 8 8 8 8 4 4 32 64 4
+G6 >128 16 16 32 32 32 32 32 128 16
+G7 64 4 8 64 32 8 4 4 8 16
+G8 64 8 8 8 16 8 8 16 32 4
+G9 64 16 16 16 16 8 16 16 128 8
+G10 >128 16 16 16 16 4 16 8 64 16
-G5 >128 8 8 16 16 16 16 64 128 16
-G6 >128 8 8 16 16 8 16 16 64 16
-G7 >128 8 16 8 8 8 16 16 64 16
-G8 64 8 4 8 8 8 4 16 64 16
-G9 64 4 8 8 16 4 4 8 8 16
-G10 >128 16 16 8 32 16 8 16 32 32
-G11 64 16 16 32 32 32 16 8 16 16
F1 64 8 8 4 4 4 4 8 16 4
F2 32 8 8 8 8 4 4 32 32 4
F3 32 16 16 32 32 16 32 32 64 8
F4 32 8 8 4 8 16 16 16 32 32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L-Phe, D-Phe, L-Tyr, D-Tyr, L-Asp 및 D-Asp가 다른 적색소에 비하여 높은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광안정성 분석
20종의 L-형 천연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전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각각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직사광선에 3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노출전후의 시료를 500nm의 흡광도로 측정하여, 직사광선에 노출된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잔존율을 측정함으로써,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이용하였다(참조: 표 4).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광안정성 측정결과
적색소 잔존율(%)
대조군 0
Ser 88.6
Thr 80.2
Met 70.9
Asp 79.5
Asn 69.1
Gln 81.4
Phe 82.4
Tyr 87.3
Trp 74.1
Gly 73.3
Val 82.9
Leu 68.7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아미노산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의 잔존율은 0인 반면,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신규한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광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항균활성과 광안정성이 우수한 모나스커스 적색소,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여, 전기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전기 적색소를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모나스커스속 미생물의 배양시 아미노산을 첨가하고, 배양물로부터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모나스커스 적색소는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진균류 등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고, 광안정성이 우수하므로, 식용식소 및 화장품의 제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ⅰ) 모나스커스속 미생물을 1 내지 2일동안 배양하고, L-형 또는 D-형 아미노산을 첨가한 다음, 다시 4 내지 5일동안 배양하는 단계;
    (ⅱ) 전기 배양물을 에탄올로 추출하고, 전기 에탄올 추출물에 다시 헥세인을 가하고 분별추출하여, 에탄올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ⅲ) 전기 수득한 에탄올 분획을 실리카겔에 적용시키고,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로 구성된 이동상으로 용출시켜서, 활성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수득한 활성분획을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로 구성된 전개용매를 사용한 박막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실리카겔 용출은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농도구배(100:0 내지 80:20(v/v))로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나스커스 적색소를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KR10-2002-0060831A 2002-10-05 2002-10-05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KR10053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31A KR100534372B1 (ko) 2002-10-05 2002-10-05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31A KR100534372B1 (ko) 2002-10-05 2002-10-05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00A KR20040031400A (ko) 2004-04-13
KR100534372B1 true KR100534372B1 (ko) 2005-12-08

Family

ID=3733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31A KR100534372B1 (ko) 2002-10-05 2002-10-05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7202A1 (en) * 2005-06-12 2007-04-05 Pentax Corporation Histostain composition for endosco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789A (en) * 1974-11-07 1976-11-23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Red pigment and process
JPS5665049A (en) * 1979-10-31 1981-06-02 T Hasegawa Co Ltd Production of water-soluble monascus coloring matter
JPH01178557A (ja) * 1988-01-07 1989-07-14 Suntory Ltd 赤色色素及びそれを含む色素組成物
US5013565A (en) * 1990-08-03 1991-05-07 Uop Water-soluble red pigments from monascorubrin and rubropunctatin as food colorants
KR0177356B1 (ko) * 1996-06-12 1999-04-01 정기련 모나스커스 색소의 생산성 증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3789A (en) * 1974-11-07 1976-11-23 Societe D'assistance Technique Pour Produits Nestle S.A. Red pigment and process
JPS5665049A (en) * 1979-10-31 1981-06-02 T Hasegawa Co Ltd Production of water-soluble monascus coloring matter
JPH01178557A (ja) * 1988-01-07 1989-07-14 Suntory Ltd 赤色色素及びそれを含む色素組成物
US5013565A (en) * 1990-08-03 1991-05-07 Uop Water-soluble red pigments from monascorubrin and rubropunctatin as food colorants
KR0177356B1 (ko) * 1996-06-12 1999-04-01 정기련 모나스커스 색소의 생산성 증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00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ulrajah et al. Lacto-fermented Kenaf (Hibiscus cannabinus L.) seed protein as a source of bioactive peptides and their applications as natural preservatives
Eggert Laccase-catalyzed formation of cinnabarinic acid is responsible for antibacterial activity of Pycnoporus cinnabarinus
Srimathi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optimization of prodigiosin pigment produced by Serratia marcescens and its applications
JPH0222299A (ja) 抗生物質
EP3622081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azaphilone in talaromyces atroroseus
CN112004936A (zh) 麦角硫因生产方法
NL8001982A (nl) Antibiotisch werkzame stof en werkwijze ter bereiding en toepassing van deze stof en farmaceutisch preparaat, dat deze stof bevat.
GB2220657A (en) Antifungal fermentation product
CA2409940C (fr) Bacteriocine anti-listeria
KR100534372B1 (ko) 모나스커스 적색소의 제조방법
KR20020091498A (ko) 항균 펩타이드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락토코커스 락티스bh5(케이씨씨엠 10275)
DK172818B1 (da) Antibiotisk polypeptid, fremgangsmåde til dets fremstilling samt dets anvendelse
JPH02167069A (ja) スタフィロコッカス・エピデルミディスおよび医薬組成物
KR100380535B1 (ko) 길항미생물 씨피220에 의한 아플라톡신 생성 억제 방법 및이를 응용한 콩 발효식품과 동물 사료
JP3339235B2 (ja) 抗生物質wap−8294a、その製造法及び抗菌剤
US5155041A (en)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CN114982763A (zh) 格尔德霉素及其类似物的新用途
CA1228824A (en) Antibiotic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FR2642762A1 (fr) Janthinomycine
FR2550223A1 (fr) Spf-100 et procede de preparation
US5117052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benastatins a and b, and production and use thereof
RU279480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мундтицина Р436 (КС)
KR100350911B1 (ko) 도두로부터 분리한 항균 활성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7683675B (zh) 一种产细菌素的植物乳杆菌w3-2、细菌素及其应用
KR102483081B1 (ko) 균주 및 균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