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3864B1 -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3864B1 KR100533864B1 KR10-1999-0007650A KR19990007650A KR100533864B1 KR 100533864 B1 KR100533864 B1 KR 100533864B1 KR 19990007650 A KR19990007650 A KR 19990007650A KR 100533864 B1 KR100533864 B1 KR 100533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granular
- loan
- ball
- control data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7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7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79 mar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14 granul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9 gran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9 gran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8—Concurrent instruction execution, e.g. pipeline or look ahead
- G06F9/3854—Instruction completion, e.g. retiring, committing or graduating
- G06F9/3858—Result writeback, i.e. updating the architectural state or memory
- G06F9/38585—Result writeback, i.e. updating the architectural state or memory with result invalidation, e.g. null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제어용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잡음 등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가 잘못 판독되어도, 서브기판의 제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고, 서브기판을 정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는, 유기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기판과, 그 메인기판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기판과, 그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는 일 방향 수단을 구비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상기 일 방향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과, 그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을 상기 서브기판에 지시하는 판독지시수단과, 그 판독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행한 후, 상기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어 있는 제어용 데이터 대신에, 상기 서브기판이 수신하여도 무효로 되는 무효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효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친코기 등으로 대표되는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제어용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친코기의 유기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기판에는,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배출제어를 행하는 배출기판, 효과음의 출력제어를 행하는 효과음 기판, 무늬의 변동표시 등의 표시제어를 행하는 표시용 기판 등과 같은 다수의 서브기판이 접속되어 있다. 이들 서브기판의 제어는,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송신되는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실행되나, 이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은,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행하는 것이 조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은,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된다.
먼저, 메인기판은 4비트의 병렬 데이터로 구성되는 제어용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선(D0∼D3)을 통하여 서브기판에 출력(송신)한다(b1). 다음으로, 메인기판은, 그 제어용 데이터가 확정된 후에, 스트로브 신호선(STB)의 데이터를 하강시킨다(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한다)(b2). 서브기판은, 스트로브 신호의 하강 타이밍에서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4비트의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다.
그러나, 스트로브 신호는 약 30㎲ 경과 후에 메인기판에 의해 상승되지만(b3), 일단,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는 그대로 서브기판에 계속적으로 출력된다(b4). 따라서,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브 신호선(STB)에 노이즈가 실려 스트로브 신호가 하강하면(b5), 서브기판은 그때의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어용 데이터로서 잘못 수신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은,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행하는 것이 조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기판에서는 서브기판에 의해 어떻게 제어용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잡음 등을 원인으로 하여 제어용 데이터가 잘못 판독될 경우, 그 데이터를 수신한 서브기판의 제어에 이상(異常)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잡음 등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가 잘못 판독되어도, 서브기판의 제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고, 서브기판을 정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는, 유기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기판과, 그 메인기판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기판과, 그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는 일 방향 수단을 구비하고, 게다가,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상기 일 방향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과, 그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을 상기 서브기판에 지시하는 판독지시수단과, 그 판독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행한 후, 상기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어 있는 제어용 데이터 대신에, 상기 서브기판이 수신하여도 무효로 되는 무효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효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일 방향 수단을 통하여 제어용 데이터가 출력(송신)된 후, 판독지시수단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이 서브기판에 지시될 때, 서브기판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가 판독되어 수신된다. 판독지시수단에 의해 서브기판으로의 판독을 지시한 후는,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어 있는 제어용 데이터 대신에, 서브기판이 수신하여도 무효로 되는 무효 데이터가 무효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다. 따라서, 서브기판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를 판독한 후, 잡음 등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지시가 서브기판으로 잘못 보내져 서브기판이 잘못된 데이터를 판독하여도, 그 데이터는 서브기판에 의해 무효로 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서브기판의 제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고, 서브기판을 정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구 배출장치의 일 실시예인 구슬배출장치(40)가 사용되는 파친코기(1)의 정면도이다. 이 파친코기(1)는, 이른바 제 1종파친코기이고, 그의 앞면(도 1의 지면에 대하여 앞쪽)에는 앞면틀(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면틀(2)은, 대략 사각형의 액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대략 사각형의 개구(2a)가 마련되며, 이러한 개구(2a)의 내주(內周)에는 금속틀(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금속틀(3)의 내측의 위쪽에는, 2장의 유리판(4a, 4b)을 각각 장착할 수 있는 유리문틀(4)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유리문틀(4)의 뒤쪽(도 1의 지면에 대하여 뒤쪽)에는 유기반(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리판(4a)은 유리문틀(4)의 앞쪽부분에 장착되고, 유리판(4b)은 유리판(4a)의 뒤쪽부분에 장착된다. 즉, 유리판(4a)과 유기반(5)의 사이에 유리판(4b)이 장착되는 것이다.
유기반(5)의 앞면에는 대략 원호(圓弧) 형상의 외측레일(6)이 설치되고, 그 외측레일(6)의 내측위치에는 원호 형상의 내측레일(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레일(7) 및 외측레일(6)에 의해 둘러싸인 유기반(5)의 앞면에는, 유기구(타구)(P)가 타구되는 유기영역(8)이 형성되어 있고, 유기영역(8)의 주위에는, 유기구(P)가 입상함으로써 6개의 유기구(P)가 입상구로서 배출되는 다수의 보통입상구(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보통입상구(9)가 설치된 유기영역(8)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여러 종류의 식별정보로서의 무늬 등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LCD)(10)를 구비한 가변표시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변표시장치(11)의 액정표시장치(10)의 앞쪽 주위에는, 가변표시장치(11)의 장식부재를 겸한 센터 프레임(11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센터 프레임(11a)에 의해 액정표시장치(10)의 주위가 장식되어 있다. 센터 프레임(11a)의 상부중앙에는 표시장치의 일종인 7세그먼트 LED(1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7세그먼트 LED(11b)에 의해 무늬작동 게이트(12)를 통과한 유기구의 수(보류구의 수)가 표시된다.
가변표시장치(11)의 아래쪽에는, 무늬작동 게이트(제 1종시동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무늬작동 게이트(12)를 유기구(P)가 통과함으로써, 제 1종시동구 스위치(73)(도 7 참조)가 온(ON)되어, 상술한 가변표시장치(11)의 변동표시가 개시되는 동시에, 6개의 유기구(P)가 입상구로서 배출된다. 또한, 무늬작동 게이트(12)의 아래쪽에는 가변입상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변입상장치(13)는, 유기반(5)에 부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프레임(13a)을 구비하고 있고, 그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2개 이상의 유기구(P)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는 넓은 폭의 사각형 개구인 대입상구(大入賞口)의 개구(13b)가 뚫려 있다.
상기 대입상구의 개구(13b)는, 대입상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가변표시장치(11)의 변동 후의 표시결과가 미리 정해진 무늬의 조합(대당첨 표시)의 하나와 일치할 경우에, 유기구(P)가 입상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소정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유기구(P)가 대입상구의 개구(13b)에 입상할 때까지 개방되는 것이다. 이 대입상구의 개구(13b)의 개폐동작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가, 이른바 소정의 유기가치가 부여된 상태(특별유기상태)이다.
대입상구의 개구(13b)에는, 개폐 셔터(1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 셔터(13c)는, 대입상구의 개구(13b)의 형상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있고, 대입상구의 개구(13b)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체 프레임(13a)의 앞면으로서, 개폐 셔터(13c)의 앞쪽에는 카드부재(1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입상구는, 대입상구의 개구(13b), 개폐 셔터(13c), 카드부재(13d)로 구성되어 있다.
가변입상장치(13)의 아래쪽으로서, 상술한 유기영역(8)의 가장 아래쪽에는, 어느쪽의 입상구에도 입상하지 않은 유기구(P)를 유기영역(8)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排出口)(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4)가 형성된 유기영역(8)의 앞쪽에 설치되는 유리문틀(4)의 아래쪽에는, 금속틀(3)에 개폐가능하게 부착고정된 앞면문판(징두리 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앞면문판(15)의 앞면에는 유기구(P)를 저장하며, 유기구 발사장치(도시 생략)에 유기구(P)를 공급하는 상부접시(16)가 설치되고, 그 상부접시의 아래쪽으로서, 앞면틀(2)의 하측부분에는 상부접시(16)에 저장할 수 없었던 유기구(P)를 저장하기 위한 하부접시(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접시(17)의 우측부분에는, 유기구(P)를 유기영역(8)으로 타구하기 위해서 유기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핸들(18)이 설치되고, 이러한 조작핸들(18)의 내부에는 유기구 발사장치의 발사용 모터(도시 생략)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위치인 핸들 스위치(18a)가 내장되어 있다.
상술한 상부접시(16)의 위쪽에 있어서의 앞면문판(15)의 상부중앙에는, 후술하는 카드판독 유니트(23)에 의해 판독된 카드의 잔고금액을 표시하기 위해서, 3개의 7세그먼트 LED에 의해 구성된 잔고표시기(1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잔고표시기(19)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카드판독 유니트(23)의 카드삽입구(24)에 삽입된 카드를 꺼낼 경우에 눌러지는 반환버튼(20)이 설치되는 한편, 잔고표시기(19)의 좌측에는, 대출구의 배출(대출)을 개시할 때에 눌러지는 대출버튼(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출버튼(21)의 좌측 위쪽에는 대출버튼(21)이 눌릴 수 있는지의 여부를 통지하는 대출버튼 램프(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대출버튼 램프(22)는, 대출버튼(21)이 눌릴 수 있는 상태일 경우에 점등되는 반면, 대출버튼(21)이 눌릴 수 없는 상태일 경우에 소등된다. 따라서, 유기자는, 이 대출버튼 램프(22)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대출버튼(21)이 눌릴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친코기(1)의 좌측에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의 카드판독 유니트(23)가 병설되어 있다. 카드판독 유니트(23)는 카드에 기록된 잔고금액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것이고, 그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금전과 동등한 유가가치를 갖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삽입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삽입구(24)의 위쪽으로서, 카드판독 유니트(23)의 상부에는 1개의 LED로 구성된 카드이용가능 램프(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카드이용가능 램프(25)는, 예를 들어, 카드삽입구(24)에 카드를 삽입할 수 있을 경우에 점등되는 반면, 카드삽입구(24)에 카드를 삽입할 수 없을 경우에 소등된다. 따라서, 유기자는, 이 카드이용가능 램프(25)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카드판독 유니트(23)를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드삽입구(24)와 카드이용가능 램프(25)와의 중간부분으로서, 카드판독 유니트(23)의 상측위치에는, 카드에 기록된 잔고금액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대출금액을 설정하기 위한 금액설정버튼(2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금액설정버튼(26)을 누름으로써 대출금액을 100엔, 200엔, 300엔 또는 500엔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금액설정버튼(26)의 아래쪽에는, 단수(端數)표시버튼(2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단수표시버튼(27)은, 카드에 기록된 잔고금액이 대출금액의 최저액(예를 들어, 100엔) 미만일 경우에, 그 단수를 잔고표시기(19)에 표시할 때에 눌러지는 것이다.
또한, 단수표시버튼(27)의 아래쪽에는,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된 상하 한쌍의 연결대 방향표시 램프(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연결대 방향표시 램프(28)는, 카드판독 유니트(23)가 접속되어 있는 파친코기(1)의 설치(병설)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그의 내부에 각각 1개씩 LED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카드판독 유니트(23)가 오른쪽에 병설되는 파친코기(1)에 접속될 경우에는 아래쪽의 LED가 점등되고, 카드판독 유니트(23)가 왼쪽에 병설되는 파친코기(도시 생략)에 접속될 경우에는 위쪽의 LED가 점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대 방향표시 램프(28)의 아래쪽에는, 1개의 LED로 구성된 카드삽입중 램프(2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카드삽입중 램프(29)는 카드가 카드삽입구(24)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 점등되는 반면, 카드가 카드삽입구(24)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소등된다. 또한, 카드이용가능 램프(25) 및 연결대 방향표시 램프(28)는, 카드판독 유니트(23)의 전원투입과 동시에 점등된다.
도 2는 파친코기(1)의 배면도이고, 구슬탱크(33), 탱크레일(34), 굴곡통(35), 세로통(36) 및 구슬배출장치(40)내에 있는 유기구(P)를 투시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유기반(5)의 뒷면에는 대략 평판 형상의 기구판(3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기구판(3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입상구 집합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상구 집합커버(31)는, 상술한 다수의 보통입상구(9) 또는 가변입상장치(13)에 입상한 유기구(P)를 집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기반(5)의 뒷면에 부착되고, 그의 뒷면(도 2의 앞면)에는 파친코기(1)의 유기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판(C)을 수납하는 기판박스(32)가 착탈(着脫)가능하게 부착고정되어 있다.
기판박스(32)의 위쪽으로서, 기구판(30)의 뒷면에 있어서의 좌측 상부에는 다수의 유기구(P)를 저장하기 위한 구슬탱크(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슬탱크(33)는, 그의 상부가 개방된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유기구(P)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슬탱크(33)는, 그의 좌측 아랫면에 내부와 연통(連通)하는 배출구(33a)가 마련되어 있고, 그 배출구(33a)로 향하여 바닥판(33b)이 하강경사져 있다. 따라서, 구슬탱크(33)에 저장된 유기구(P)를 바닥판(33b)을 따라서 이동시켜, 배출구(33a)로부터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구슬탱크(33)의 아래쪽에는, 기구판(30) 뒷면의 오른쪽으로 향하여 하강경사진 2개의 탱크레일(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탱크레일(34)은, 구슬탱크(33)의 배출구(33a)로부터 배출된 유기구(P)를 도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의 하류측 끝에는, 대략 ⊃형으로 굴곡형성된 굴곡통(35)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굴곡통(35)의 하류측에는, 유기구(P)를 후술하는 구슬배출장치(40)로 도출시키기 위한 세로통(36)의 상단측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세로통(36)은, 그의 상류측 부분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중류측 부분이 대략 ⊃형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로통(36)의 굴곡형성된 중류측 부분의 하류측에는 도출통로(36a, 36b)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세로통의 하류측에는 유기구(P)를 배출하는 배출통(3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통(37)과 세로통(36)과의 중간부분에는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로부터 도출된 유기구(P)를 배출통(37)에 배출하는 구슬배출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슬배출장치(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파친코기(1)의 기구판(30)으로부터 분리된 구슬배출장치(40)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배출장치(40)는, 주로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로부터 도출된 유기구(P)가 유입되는 케이스통(41)과, 그 케이스통(41)의 뒷부분에 부착되고, 후술하는 배출용 모터(50)(도 5 참조) 등을 감싸 수납하는 모터 커버(42)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통(41)은,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로부터 도출된 유기구(P)를 배출통(37)에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그의 앞쪽부분에 설치되는 앞부분 커버(43)와, 그의 뒤쪽부분에 설치되는 뒷부분 커버(44)와, 상기 뒷부분 커버(44) 및 앞부분 커버(43)를 케이스통(41)의 전후방향으로 구분하는 칸막이판(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앞부분 커버(43), 뒷부분 커버(44) 및 칸막이판(45)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료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정면으로부터 보아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부분 커버(43)는, 케이스통(41)의 앞측의 반을 구성하는 것이고, 그의 외형이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호리병 모양의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부분 커버(43)는, 그의 전단(前端)측에 케이스통(41)의 앞쪽을 덮는 대략 평판 형상의 앞벽판(43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 커버(43)의 우측면 상부에는 대략 평판 형상의 리브(rib)(43b)가 외측(도 3의 오른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브(43b)는, 앞부분 커버(43)를 뒷부분 커버(44)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의 앞면 대략 중앙에는 비스 등의 나사부재(b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43b1)(도 4 참조)이 뚫려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부분 커버(43)의 좌측면 상부(도 4의 왼쪽)에도, 상술한 리브(43b)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리브(43b)가 외측(도 4의 왼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브(43b)의 앞면 대략 중앙에도 나사부재(b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43b1)이 뚫려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부분 커버(44)는, 케이스통(41)의 뒤쪽의 반을 구성하는 것이고, 그의 외형이 앞부분 커버(43)의 외형에 적합한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호리병 모양의 속이 빈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뒷부분 커버(44)는, 그의 후단측에 케이스통(41)의 뒤쪽을 덮는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후벽판(44a)이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뒷부분 커버(44)는, 상술한 앞부분 커버(43)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앞부분 커버(43)의 후단측과 뒷부분 커버(44)의 전단측을 대칭시켜 맞댐으로써 앞부분 커버(43)와 뒷부분 커버(44)가 합체된다.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에는, 앞부분 커버(43)를 뒷부분 커버(4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한쌍의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용부재(44b, 44b)가 마련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고정용부재(44b)의 한쪽은, 후벽판(44a)의 앞면 우측에 있어서의 앞부분 커버(43)의 리브(43b)와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앞쪽(도 3의 앞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용부재(44b)의 전단면에는 나사부재(b1)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구멍(44b1)(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벽판(44a)의 앞면 좌측에 있어서의 앞부분 커버(43)의 리브(43b)와 대향하는 부분에도, 상술한 고정용부재(44b)와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고정용부재(44b)가 앞쪽(도 4의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방향의 앞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용부재(44b)의 전단면에도 나사부재(b1)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구멍(44b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앞부분 커버(43)를 뒷부분 커버(44)에 부착시킬 경우에는, 앞부분 커버(43)의 후단측과 뒷부분 커버(44)의 전단측을 대칭시켜 맞댐으로써 합체시킨 후, 한쌍의 리브(43b, 43b)의 삽입구멍(43b1, 43b1)에 나사부재(b1, b1)를 각각 삽입하여, 이들 나사부재(b1, b1)를 한쌍의 고정용부재(44b, 44b)의 나사구멍(44b1, 44b1)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앞부분 커버(43)를 뒷부분 커버(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의 뒤쪽에는 대략 사각형 상자 형상의 모터 커버(4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 커버(42)는, 후술하는 배출용 모터(50)(도 5 참조) 등을 감싸 수납하기 위한 것이고, 그의 상단에는 한쌍의 고정클로(claw)(42a, 42a)가 케이스통(41)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로(42a, 42a)의 선단부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갈고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한쌍의 고정클로(42a, 42a)에 대응하는 후벽판(44a)의 상단에는 고정홈(44a1, 44a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홈(44a1, 44a1)에 모터 커버(42)의 고정클로(42a, 42a)를 삽입함으로써, 고정클로(42a, 42a)의 선단부가 후벽판(44a)에 각각 고정되어, 모터 커버(42)를 뒷부분 커버(44)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커버(42)의 뒷부분 상면에는, 대략 사각형 홈 형상의 다수의 방열구멍(42b)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다수의 방열구멍(42b)은, 모터 커버(42)내에 수납되는 배출용 모터(50)의 발열에 의해 가열된 모터 커버(42)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방열구멍(42b)에 의해 모터 커버(42)내의 가열된 공기는 외부로 방출되므로, 모터 커버(42)내의 기온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부분 커버(43)와 뒷부분 커버(44)의 사이에는 대략 평판 형상의 칸막이판(45)이 끼워져 있다. 상기 칸막이판(45)은 앞부분 커버(43)의 상부와 뒷부분 커버(44)의 상부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이 칸막이판(45), 앞부분 커버(43) 및 뒷부분 커버(44)에 의해, 케이스통(41)의 상부에는 상면으로부터 보아 사각형의 한쌍의 유입통로(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유입통로(41a, 41b)는,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로부터 도출되는 유기구(P)를 케이스통(41)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이고, 구슬배출장치(40)가 기구판(30)에 부착되었을 경우에, 유입통로(41a)가 도출통로(36a)와 연통되는 반면, 유입통로(41b)는 도출통로(36b)와 연통된다. 또한, 이들 유입통로(41a, 41b)는, 그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W1) 및 그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개구폭(W2)이 유기구(P)의 외경(外徑)(d)(도 4 참조)보다 크게 각각 형성되어 있어(W1, W2 ?? d), 유기구(P)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유입통로(41a, 41b)의 아래쪽에 있어서의 케이스통(41) 내부에는, 유입통로(41a, 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를 받아내어, 케이스통(41)의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구슬받이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슬받이부재(46)는, 앞부분 커버(43) 등과 동일하게 투명한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대략 원판(圓板) 형상의 반송판(46a, 46b)과, 그 한쌍의 반송판(46a, 46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축(46c)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반송판(46a, 46b) 중에서, 케이스통(41)의 앞쪽, 즉, 앞부분 커버(43) 설치측의 반송판(46a)은 유입통로(41a)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그의 외주에는 유입통로(41a)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를 반송하기 위해서 한쌍의 원호 형상의 오목부(46a1, 46a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쌍의 오목부(46a1, 46a2)는, 유입통로(41a)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를 받아내기 위해서 유기구(P)의 외형에 적합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고, 유기구(P)가 채워 넣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한쌍의 오목부(46a1, 46a2)는, 그의 한쪽 오목부(46a1)가 반송판(46a)의 외주 위쪽에 마련되고, 다른쪽 오복부(46a2)가 반송판(46a)의 외주 아래쪽(오목부(46a1)의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다. 즉, 이들 오목부(46a1, 46a2)는, 반송판(46a)의 외주에 대략 180°어긋나게, 대략 등각(等角)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반송판(46a, 46b) 중에서, 케이스통(41)의 뒤쪽, 즉, 뒷부분 커버(44) 설치측의 반송판(46b)은 유입통로(41b)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그의 외주에는 유입통로(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를 반송하기 위해서 한쌍의 원호 형상의 오목부(46b1, 46b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한쌍의 오목부(46b1, 46b2)는, 유입통로(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를 받아내기 위해서 유기구(P)의 외형에 적합하게 각각 형성되어 있고, 유기구(P)가 채워 넣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한쌍의 오목부(46b1, 46b2)는, 그의 한쪽 오목부(46b1)가 반송판(46b)의 외주 오른쪽에 마련되고, 다른쪽 오복부(46b2)가 반송판(46b)의 외주 왼쪽(오목부(46b1)의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다. 즉, 이들 오목부(46b1, 46b2)는, 반송판(46b)의 외주에 대략 180° 어긋나게, 대략 등각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반송판(46a, 46b)은 대략 원주(圓柱) 형상의 연결축(46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반송판(46a)의 한쌍의 오목부(46a1, 46a2)는, 반송판(46b)의 한쌍의 오목부(46b1, 46b2)에 대하여,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대략 90°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46c)은, 반송판(46a, 46b)에 후술하는 배출용 모터(50)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축(50a)에 연결된다(도 5 참조). 따라서, 구슬받이부재(46)는,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축(50a)의 회전에 따라 연결축(46c)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40)의 단면도이고, 도면의 화살표(R)는 구슬받이부재(46)의 입상구 시에 있어서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구슬배출장치(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 구슬배출장치(4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배출통(37), 유기구(P)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케이스통(41)의 왼쪽 하측부분에는 유입통로(41a, 41b)와 연통하는 입상구 통로(41c)가 마련되는 동시에, 케이스통(41)의 오른쪽 하측부분에는 유입통로(41a, 41b)와 연통하는 대출구 통로(41d)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입상구 통로(41c)와 대출구 통로(41d)와의 중간부분(분기(分岐)부분)에는, 상술한 구슬받이부재(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슬받이부재(46)의 아래쪽에는, 입상구 통로(41c)와 대출구 통로(41d)의 사이를 구분하는 칸막이 블록(49)이 설치되어 있다.
입상구 통로(41c)는, 케이스통(41)의 유입통로(41a, 41b)에 유입된 유기구(P)를 입상구로서 배출할 경우에 유기구(P)가 배출되는 통로이고, 그의 하측부분에는 입상구 통로(41c)를 통과하는 유기구(P)를 검출하기 위한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는 입상구통로(41c)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유기구(P)가 1개씩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인 입상구 검출부(47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상구 검출부(47a)를 유기구(P)가 통과함으로써, 입상구 통로(41c)를 통과한 유기구(P)를 검출하여, 입상구로서 배출된 유기구(P)의 개수를 계수(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대출구 통로(41d)는, 케이스통(41)의 유입통로(41a, 41b)에 유입된 유기구(P)를 대출구로서 배출할 경우에 유기구(P)가 배출되는 통로이고, 그의 하측부분에는 대출구 통로(41d)를 통과하는 유기구(P)를 검출하기 위한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는 대출구 통로(41d)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그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유기구(P)가 1개씩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인 대출구 검출부(48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출구 검출부(48a)를 유기구(P)가 통과함으로써, 대출구 통로(41d)를 통과한 유기구(P)를 검출하여, 대출구로서 배출된 유기구(P)의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 및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는, 케이스통(4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자기(磁氣)센서를 구비한 근접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 및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발광(發光) 다이오드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 등을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되는 광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입상구 통로(41c) 및 대출구 통로(41d)의 뒤쪽으로서,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 앞면에는, 정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사각형의 한쌍의 안내벽(44c, 44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벽(44c, 44d)은, 도 4의 지면에 대한 상측 뒤쪽으로부터 하측 앞쪽으로 향하여 하강경사져 있고(도 5 참조), 반송판(46b)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배출된 유기구(P)를 입상구 검출부(47a) 또는 대출구 검출부(48a)로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입상구 통로(41c)와 대출구 통로(41d)와의 중간부분으로서, 칸막이 블록(49)의 위쪽에는, 상술한 구슬받이부재(46)가 연결축(46c)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화살표(R) 방향 또는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슬받이부재(46)의 앞쪽(즉, 도 4의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앞쪽)에 설치된 반송판(46a)의 한쌍의 오목부(46a1, 46a2)는, 그의 뒤쪽(즉, 도 4의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뒤쪽)에 설치된 반송판(46b)의 한쌍의 오목부(46b1, 46b2)에 대하여,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대략 90°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슬받이부재(46)는,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화살표(R)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마다 유기구(P)를 1개씩 입상구 통로(41c)에 배출할 수 있는 반면,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마다 유기구(P)를 1개씩 대출구 통로(41d)에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의 각 반송판(46a, 46b)의 외주면과 앞부분 커버(43) 및 뒷부분 커버(44)의 내벽면과의 틈(W3, W4)(도 4 참조은, 유기구(P)의 외경(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W3, W4 ?? d). 따라서, 반송판(46a, 46b)의 각 오목부(46a1, 46a2, 46b1, 46b2)(이하, 「각 오목부(46a1∼46b2)라고 칭함」)의 어느쪽에도 채워 넣어지지 않은 유기구(P)가 틈(W3, W4)을 통과하여,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40)의 단면도이고, 도면에서는, 구슬배출장치(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 구슬배출장치(4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배출통(37), 유기구(P)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대출구 통로(41d)는, 입상구 통로(41c)의 뒤쪽, 즉, 도 5의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뒤쪽에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받이부재(46)는, 반송판(46a)이 유입통로(41a)의 개구폭(W1)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위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판(46b)이 유입통로(41b)의 개구폭(W1)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위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통로(41a)를 흘러 내려간 유기구(P)는 반송판(46a)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또는, 대출구통로(41d))로 배출되는 반면, 유입통로(41b)를 흘러 내려간 유기구(P)는 반송판(46b)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배출된다.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에는 상술한 안내벽(44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벽(44c)은, 그의 상단이 구슬받이부재(46)의 연결축(46c)의 중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으로부터 입상구 검출부(47a)의 뒤쪽 둘레(도 5의 왼쪽)로 향하여 하강경사져 있다. 따라서, 반송판(46b)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로 배출된 유기구(P)를 안내벽(44c)에 의해 입상구 검출부(47a)로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 안내벽(44c)과 대향하는 앞부분 커버(43)의 벽면에는 안내벽(43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벽(43c)은, 안내벽(44c)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상단이 구슬받이부재(46)의 연결축(46c)의 중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으로부터 입상구 검출부(47a)의 앞쪽 둘레(도 5의 오른쪽)로 향하여 하강경사져 있다. 따라서, 반송판(46a)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로 배출된 유기구(P)를 안내벽(43c)에 의해 입상구 검출부(47a)로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의 뒤쪽(도 5의 왼쪽)으로서, 모터 커버(42)의 내부에는, 배출용 모터(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용 모터(50)는, 구슬받이부재(46)를 도 4의 화살표(R) 방향 또는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펄스 모터이고,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의 뒷면(도 5의 왼쪽)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 배출용 모터(50)의 전단(도 5의 오른쪽)으로부터는 대략 원주 형상의 회전축(50a)이 연장돌출되어 있고, 이 회전축(50a)은 구슬받이부재(46)의 연결축(46c)내에 끼워져 있다. 또한, 배출용 모터(50)가 수납되는 모터 커버(42)의 뒷부분 상면에는 상술한 방열구멍(42b)이 뚫려 있고, 모터 커버(42)의 뒷부분 하면(下面)에도 방열구멍(42b)이 뚫려 있다. 방열구멍(42b)이 뚫린 모터 커버(42)의 후벽면(도 5의 왼쪽)에는 박판(薄板) 형상의 프린트회로 기판(51)이 비스 등의 나사부재(b2)에 의해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용 모터(50)로서 펄스 모터를 사용했으나, 예를 들어, 배출용 모터(50)의 모터로서는 정전(正轉) 또는 역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린트회로 기판(51)에는 배출용 모터(50)로부터 배선되는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코넥터(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넥터(52)에는 배출용 모터(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적 신호를 배출용 모터(50)로 보내기 위한 케이블 등이 접속된다. 또한, 프린트회로 기판(51)에는,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로부터 배선되는 신호선이 접속되는 코넥터(5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넥터(53)에는 메인기판(C)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등이 접속된다. 게다가, 프린트회로 기판(51)에는,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로부터 배선되는 신호선이 접속되는 코넥터(5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코넥터(54)에는 배출기판(S)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 등이 접속된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40)의 단면도이고, 도면에서는, 구슬배출장치(40)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세로통(36)의 도출통로(36a, 36b), 구슬배출장치(40)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배출통(37), 유기구(P)를 2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입상구 통로(41c)는, 대출구 통로(41d)의 뒤쪽, 즉, 도 6의 지면에 대한 대략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부분 커버(44)의 후벽판(44a)에는 상술한 안내벽(44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벽(44d)은, 그의 상단이 구슬받이부재(46)의 연결축(46c)의 중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으로부터 대출구 검출부(48a)의 뒤쪽 둘레(도 6의 오른쪽)로 향하여 하강경사져 있다. 따라서, 반송판(46b)에 의해 대출구 통로(41d)로 배출된 유기구(P)를 안내벽(44d)에 의해 대출구 검출부(48a)로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벽(44d)과 대향하는 앞부분 커버(43)의 벽면에는 안내벽(43d)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벽(43d)은, 안내벽(44d)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상단이 구슬받이부재(46)의 연결축(46c)의 중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으로부터 대출구 검출부(48a)의 앞쪽 둘레(도 6의 왼쪽)로 향하여 하강경사져 있다. 따라서, 반송판(46a)에 의해 대출구 통로(41d)로 배출된 유기구(P)를 안내벽(43d)에 의해 대출구 검출부(48a)로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슬배출장치(4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탱크(33)에 공급된 다수의 유기구(P)는, 바닥판(33b)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하여 배출구(33a)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구(33a)로부터 배출된 유기구(P)는, 탱크레일(34)의 경사를 따라서 굴곡통(35)으로 향하여 이동하고, 이러한 굴곡통(35)을 통과하여 세로통(36)으로 흘러 내려간다. 세로통(36)으로 흘러 내려간 유기구(P)는, 세로통(36)의 상류부분 및 중류부분을 통과하여, 그의 하류측에 설치된 도출통로(36a, 36b)로 각각 흘러 내려가고, 구슬배출장치(40)의 유입통로(41a, 41b)에 각각 유입된다.
유입통로(41a, 41b)로부터 케이스통(41)내에 유기구(P)가 유입되면, 그 유입통로(41a)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유기구(P)가 반송판(46a)의 오목부(46a1)에 채워 넣어지는 반면(도 4 참조), 유입통로(41b)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유기구(P)는 반송판(46b)의 외주면 상단에 의해 저지된다(도 5 참조). 이러한 경우에, 구슬배출장치(40)의 배출용 모터(50)가 정지되어 있으면, 유입통로(41a, 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는 구슬받이부재(46)에 의해 저지되어, 유기구(P)의 배출통(37)에 대한 배출이 방지된다. 게다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받이부재(46)의 각 반송판(46a, 46b)의 외주면과 앞부분 커버(43) 및 뒷부분 커버(44)의 내벽면과의 틈(W3, W4)은 유기구(P)의 외경(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W3, W4 ?? d), 유기구(P)가 틈(W3, W4)을 통과하여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기구(P)를 입상구로서 배출할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구슬받이부재(46)가 입상구 통로(41c)(도 4의 화살표(R) 방향)로 향하여 회전된다.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 반송판(46a)의 오목부(46a1)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는, 입상구 통로(41c)의 상부로 반송되어, 오목부(46a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다. 오목부(46a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 유기구(P)는, 안내벽(43c)을 따라서 이동하여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의 입상구 검출부(47a)로 안내되고,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의 입상구 검출부(47a)를 통과하여 배출통(37)에 배출된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 연결축(46c)을 통하여 반송판(46b)도 화살표(R)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되어, 반송판(46b)의 오목부(46b1)가 유입통로(41b)의 하측부분과 대향된다. 반송판(46b)의 오목부(46b1)가 유입통로(41b)의 하측부분에 대향될 때, 반송판(46b)의 외주면에 의해 저지되었던 유기구(P)가 오목부(46b1)에 채워 넣어진다. 그후,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으로 다시 대략 90° 회전될 때, 반송판(46b)의 오목부(46b1)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는, 입상구 통로(41c)의 상부로 반송되어 오목부(46b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다. 오목부(46b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 유기구(P)는, 안내벽(44c)을 따라서 이동하여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의 입상구 검출부(47a)로 안내되고,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의 입상구 검출부(47a)를 통과하여 배출통(37)에 배출된다.
구슬받이부재(46)를 입상구 통로(41c)(도 4의 화살표(R) 방향)로 향하여 대략 90° 회전시킬 때마다, 유입통로(41a, 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가 구슬받이부재(46)의 오목부(46a1, 46a2, 46b1, 46b2)에 차례로 채워 넣어져 입상구 통로(41c)로 반송된다. 예를 들어, 입상구로서 6개(또는, 15개)의 유기구(P)를 배출할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으로 향하여 대략 540°(또는, 1350°)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입상구 통로(41c)에 배출된 유기구(P)는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의 입상구 검출부(47a)를 통과함으로써 검출되고, 이러한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에 의해 소정 개수의 유기구(P)가 카운트된 후,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이 정지되어, 구슬받이부재(46)에 의한 유기구(P)의 배출이 정지된다.
한편, 유기구(P)를 대출구로서 배출할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구슬받이부재(46)가 대출구 통로(41d)(도 4의 화살표(R) 반대방향)로 향하여 회전된다.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 반송판(46a)의 오목부(46a1)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는, 대출구 통로(41d)의 상부로 반송되어 오목부(46a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다. 오목부(46a1)로부터 벗어나 떨어진 유기구(P)는, 안내벽(43d)을 따라서 이동하여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의 대출구 검출부(48a)로 안내되고,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의 대출구 검출부(48a)를 통과하여 배출통(37)에 배출된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될 때, 연결축(46c)을 통하여 반송판(46b)이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대략 90° 회전되어, 반송판(46b)의 오목부(46b2)가 유입통로(41b)의 하측부분과 대향된다. 반송판(46b)의 오목부(46b2)가 유입통로(41b)의 하측부분에 대향될 때, 반송판(46b)의 외주면에 의해 저지되었던 유기구(P)가 오목부(46b2)에 채워 넣어진다. 그후,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다시 대략 90° 회전될 때, 반송판(46b)의 오목부(46b2)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는, 대출구 통로(41d)의 상부로 반송되어 오목부(46b2)로부터 벗어나 떨어진다. 오목부(46b2)로부터 벗어나 떨어진 유기구(P)는, 안내벽(44d)을 따라서 이동하여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의 대출구 검출부(48a)로 안내되고,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의 대출구 검출부(48a)를 통과하여 배출통(37)에 배출된다.
구슬받이부재(46)를 대출구 통로(41d)(도 4의 화살표(R) 반대방향)로 향하여 대략 90° 회전시킬 때마다, 유입통로(41a, 41b)로부터 유입된 유기구(P)가 구슬받이부재(46)의 오목부(46a1, 46b2, 46a2, 46b1)에 차례로 채워 넣어져 대출구 통로(41d)로 반송된다. 예를 들어, 대출구로서 25개의 유기구(P)를 배출할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대략 2250°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대출구 통로(41d)에 배출된 유기구(P)는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의 대출구 검출부(48a)를 통과함으로써 검출되고, 이러한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의해 소정 개수의 유기구(P)가 카운트된 후,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이 정지되어, 구슬받이부재(46)에 의한 유기구(P)의 배출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슬배출장치(40)에 따르면, 유입통로(41a, 41b)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는 입상구 통로(41c) 및 대출구 통로(41d)의 분기부분에는 유기구(P)를 받아내는 구슬받이부재(46)가 설치되고, 또한, 그 구슬받이부재(46)를 연결축(46c)을 통하여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도 4의 화살표(R) 방향 또는 화살표(R) 반대방향)로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슬탱크(33)로부터 탱크레일(34), 굴곡통(35) 및 세로통(36)을 통하여 공급된 유기구(P)를, 구슬받이부재(46)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각각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구슬배출장치와 같이, 입상구 통로에 유기구(P)를 배출하는 구슬받이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배출용 모터와, 대출구 통로에 유기구(P)를 배출하는 구슬받이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배출용 모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1개의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회전되는 1개의 구슬받이부재(46)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각각 유기구(P)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배출용 모터(50)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슬배출장치(40)의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구슬배출장치(40)의 배출용 모터(50)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구슬 맞물림 등의 고장발생 빈도가 감소되어, 구슬배출장치(40)의 보수(保守)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출용 모터(50) 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구슬배출장치(40)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구슬받이부재(46)의 각 오목부(46a1∼46b2)는, 그중의 어느 하나에 유기구(P)가 채워 넣어져 있을 경우에 다른 3개에 유기구(P)가 채워 넣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그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유기구(P)가 벗어나 떨어진 경우에 다른 3개중의 어느 하나에 유기구(P)가 채워 넣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된 후, 다시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발생하는 구슬 맞물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슬받이부재(46)를 도 4의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회전시켜 소정 개수(예를 들어, 25개)의 유기구(P)를 대출구로서 배출할 경우에 있어서, 마지막(예를 들어, 25개째) 유기구(P)가 도 4의 오목부(46b1)로부터 벗어나 떨어져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의해 검출될 때에, 유입통로(41a)로부터 유입된 다음의 유기구(P)가 채워 넣어지는 오목부(46a1)는 유입통로(41a)의 하측부분에 있다. 따라서,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의해 마지막(예를 들어, 25개째) 유기구(P)가 검출된 것에 의거하여, 구슬받이부재(46)의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된 후, 구슬받이부재(46)가 화살표(R) 방향 또는 화살표(R) 반대방향중의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오목부(46a1)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와 그의 상류측에 저장된 다른 유기구(P)가 서로 맞물리지는 않는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가 입상구 통로(41c)(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향하여 회전될 때, 그의 회전에 수반하여 유입통로(41a, 41b)에 유입된 유기구(P)는, 반송판(46a, 46b)의 각 오목부(46a1, 46b1, 46a2, 46b2)(또는, 각 오목부(46a1, 46b2, 46a2, 46b1))에 차례로 채워 넣어져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배출된다. 따라서, 구슬받이부재(46)는,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입상구 통로(41c)(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향하여 1회전(즉,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360° 회전)될 동안에, 유기구(P)를 입상구 통로(41c)(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4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쌍의 반송판에 합계 2개의 오목부가 설치되는 구슬받이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기구(P)의 배출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슬받이부재(46)의 한쌍의 반송판(46a, 46b)에 형성된 각 오목부(46a1∼46b2)는, 그의 연결축(46c)을 중심으로 대략 90°의 등각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용 모터(50)에 의해 구슬받이부재(46)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유기구(P)를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일정한 타이밍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용 모터(50)를 정지시키는 타이밍을 오해하여, 여분의 유기구(P)를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배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한쌍의 반송판(46a, 46b)중의 한쪽 반송판(46a)에 설치되는 한쌍의 오목부(46a1, 46a2)는, 다른쪽 반송판(46b)에 설치되는 한쌍의 오목부(46b1, 46b2)에 대하여, 그의 회전방향(연결축(46c)의 회전방향 중심)으로 대략 90°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반송판(46a, 46b)이 동시에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유기구(P)를 배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내에 유기구(P)가 가득 차게 되는 구슬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슬받이부재(46)의 각 오목부(46a1∼46b2)는 모두 유기구(P)의 외형에 적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오목부(46a1∼46b2)는, 구슬받이부재(46)의 회전에 수반하여 도 4에 나타낸 오목부(46b2 또는 46b1)의 위치에 도달할 때, 그 각 오목부(46a1∼46b2)의 유기구(P)의 아랫면과 맞닿아 접하는 면(수용면)은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향하여 하강경사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오목부(46b2 또는 46b1)와 같이, 그의 하측부분이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로 향하여 하강경사지기 때문에, 이러한 하강경사에 따라 오목부(46b2 또는 46b1)를 이동시켜 유기구(P)를 입상구 통로(41c) 또는 대출구 통로(41d)에 떨어뜨릴 수 있다.
게다가, 각 오목부(46a1∼46b2)는 모두 유기구(P)의 외형에 적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슬받이부재(46)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오목부(46a1∼46b2)중의 어느 하나에 채워 넣어진 유기구(P)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파친코기(1)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특히, 파친코기(1)의 유기 내용을 제어하는 메인기판(C)과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기판(S)과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배출기판(S)은, 파친코기(1)에 다수 설치되어 있는 서브기판의 하나이다.
파친코기(1)의 메인기판(C)은, 연산장치인 CPU(61)와, 그 CPU(6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 또는 고정값 데이터 등을 기억한 ROM(62)과, 워크 메모리 등으로서 사용되는 RAM(63)을 구비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프로그램은, ROM(62)내에 기억되어 있다.
RAM(63)에는, 입상구 버퍼(63a)와 입상구 포인터(63b)가 설치되어 있다. 입상구 버퍼(63a)는, 유기영역(8)에 타구된 유기구(P)가 보통입상구(9) 등에 입상한 경우에,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를 기억하는 버퍼이다.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는, 입상된 유기구(P)마다 입상구 버퍼(63a)에 기억된다. 따라서, 입상구 버퍼(63a)는, 다수의 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입상구 버퍼(63a)의 내용은, 그 입상구 버퍼(63a)에 기억된 입상구의 수가, 도 10의 입상구수(入賞球數) 데이터 송신처리에 의해 배출기판(S)으로 송신됨으로써 소거된다. 구체적으로는,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기억된 입상구의 수를 배출기판(S)으로 송신한 후, 1번째 이후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작은 어드레스 측으로 차례로 1바이트씩 시프트함으로써,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이 소거된다.
입상구 포인터(63b)는, 입상구의 수를 기억시키는 입상구 버퍼(63a)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이고,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는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에 해당하는 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기억된다. 이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은, 입상구 버퍼(63a)에 입상구의 수를 기록함으로써 「1」가산되고,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이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에 의해 배출기판(S)으로 송신됨으로써 「1」감산된다.
이들 CPU(61), ROM(62), RAM(63)은, 버스 라인(64)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 라인(64)은 입출력포트(65)에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포트(65)는, 입력 및 출력이 고정적인 5세트의 버퍼(인버터 게이트)(76a∼76e, 86a∼86e), 4개의 데이터 신호선(D0∼D3) 및 1개의 스트로브 신호선(STB)을 통하여 배출기판(S)과 접속되는 이외에, 상기한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와, 다수의 보통입상구(9)에 입상한 유기구(P)를 각각 검출하는 합계 7개의 보통입상구 스위치(66∼72)와, 무늬작동 게이트(12)에 입상한 유기구(P)를 검출하는 제 1종시동구 스위치(73)와, 가변입상장치(13)에 설치되는 V카운트 스위치(74) 및 10카운트 스위치(75)와, 다른 입출력장치(78) 등과 접속되어 있다.
보통입상구 스위치(66∼72)는, 유기영역(8)내의 각 보통입상구(9)에 입상한 유기구(P)를 각각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각 보통입상구(9)의 입구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종시동구 스위치(73)는, 무늬작동 게이트(제 1종시동구)(12)를 통과한 유기구(P)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무늬작동 게이트(1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통입상구 스위치(66∼72)중의 어느 하나 또는 제 1종시동구 스위치(73)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된 후, 보통입상구(9) 또는 무늬작동 게이트(제 1종시동구)(12)로의 입상에 의해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인 「6」이,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에 해당하는 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기록되어,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이 「1」가산된다.
V카운트 스위치(74)는, 가변입상장치(13)에 의해 구성되는 대입상구에 입상하고, 또한, 그 대입상구 내의 V존(zone)(도시 생략)을 통과한 유기구(P)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또한, 10카운트 스위치(75)는, 가변입상장치(13)에 의해 구성되는 대입상구에 입상한 유기구(P) 중에서 V존 이외를 통과한 유기구(P)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V카운트 스위치(74) 또는 10카운트 스위치(75)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된 후, 대입상구로의 입상에 의해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인 「15」가,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에 해당하는 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기록되어,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이 「1」가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기판(C)은, 입력 및 출력이 고정적인 5세트의 버퍼(인버터 게이트)(76a∼76e, 86a∼86e), 4개의 데이터 신호선(D0∼D3) 및 1개의 스트로브 신호선(STB)을 통하여 배출기판(S)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기판(C)과 배출기판(S)의 사이에 있어서의 입상구수 데이터의 송수신은,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실행되고, 배출기판(S)으로부터 메인기판(C)으로 데이터 등의 송신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 송신되는 것은 6개 또는 15개의 입상구수 데이터이기 때문에, 이 입상구수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서 송신하기 위해서, 스트로브 신호선(STB)(76e, 86e) 이외에도, 버퍼(76a∼76d, 86a∼86d) 및 데이터 신호선(D0∼D3)이 4비트만큼, 즉, 각각 4세트(또는 4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 송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의 최대값이 16개 이상일 경우에는, 스트로브 신호선(76e, 86e) 이외에도, 버퍼(76a∼76d, 86a∼86d) 및 데이터 신호선(D0∼D3)이 5비트 이상, 즉, 5세트(또는 5개) 이상으로 설치되고, 반대로,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 송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의 최대값이 7개 이하일 경우에는, 버퍼(76a∼76d, 86a∼86d) 및 데이터 신호선(D0∼D3)이 3비트 이하, 즉, 3세트(또는 3개) 이하로 설치된다.
배출기판(S)은,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배출 제어를 행하는 것이고, 연산장치인 CPU(81)와, 그 CPU(8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또는 고정값 데이터 등을 기억한 ROM(82)과, 워크 메모리 등으로서 사용되는 RAM(8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프로그램은, ROM(82)내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배출기판(S)의 RAM(83)에는, 총입상구수 카운터(83e),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설치되어 있다.
총입상구수 카운터(83e)는, 배출되는 입상구수의 합계를 기억하는 카운터이다.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에 의해 입상구수 데이터가 판독된 후, 그 입상구수 데이터는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에 가산된다. 이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은,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5」이하로 될 경우, 원칙적으로 「5」카운트 감산되고, 그 감산된 만큼의 값이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에 가산된다.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는, 배출되는 입상구의 수를 기억하는 카운터이고, 그의 값이 「1」 이상일 경우에, 모터 구동처리에 의해 입상구의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은,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에 의해 배출구가 검출될 때마다 「1」씩 감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5」 이하로 될 경우, 원칙적으로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5」카운트 감산되고, 그 감산된 만큼의 값이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에 가산된다.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는, 배출되는 대출구의 수를 기억하는 카운터이다. 대출구는 대출금액 100엔마다 25개씩 대출된다. 따라서, 구슬 대출의 요구가 있을 경우,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0」이면,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에 100엔만큼의 대출구 수인 「25」가 설정된다.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1」 이상일 경우에는, 모터 구동처리에 의해 대출구의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은,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의해 배출되는 대출구가 검출될 때마다 「1」씩 감산된다.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는, 대출구의 배출 동작중(구슬 대출 동작중)에 온(on)되는 플래그이다. 즉, 구슬 대출 동작의 개시 시에 온되고, 구슬 대출 동작의 종료 시에 오프(off)된다. 상기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는, 구슬 대출 동작중에 입상구의 배출 동작이 개시되지 않도록, 입상구 동작처리에 있어서 참조된다.
이들 CPU(81), ROM(82), RAM(83)은, 버스 라인(84)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스 라인(84)은 입출력포트(85)에도 접속되어 있다. 상기 입출력포트(85)는, 구동회로(87), 7세그먼트 LED(88)를 비롯하여, 상기한 입력 및 출력이 고정적인 5세트의 버퍼(인버터 게이트)(76a∼76e, 86a∼86e), 4개의 데이터 신호선(D0∼D3) 및 1개의 스트로브 신호선(STB)을 통하여 메인기판(C)과 접속되는 이외에, 잔고표시기(19), 반환버튼(20), 대출버튼(21), 대출버튼 램프(22), 카드판독 유니트(23),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와 접속되어 있다.
구동회로(87)는, 배출용 모터(50)를 구동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상기 구동회로(87)에 의해 배출용 모터(50)가 회전될 때, 구슬받이부재(46)가 회전되어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배출이 실행된다. 7세그먼트 LED(88)는, 배출기판(S)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그의 에러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입상구수 데이터의 수신 시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 그의 에러 코드가 상기 7세그먼트 LED(88)에 표시된다.
도 8은, 도 10의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에 의해 메인기판(C)으로부터 송신되고, 도 11의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에 의해 배출기판(S)에서 수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용 데이터로서의 입상구수 데이터는, 4개의 데이터 신호선(D0∼D3)을 통하여 4비트의 병렬 데이터로서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 송신(출력)된다(a1). 송신된 입상구수 데이터가 확정된 후에, 메인기판(C)에 의해 스트로브 신호선(STB)의 데이터가 하강될 때(스트로브 신호가가 출력될 때)(a2), 그 하강의 타이밍에서, 배출기판(S)에 의해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되어 있는 입상구수 데이터가 판독되어(수신되어) 입상구수 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된다.
메인기판(C)은, 스트로브 신호를 하강시키고 나서 약 30㎲가 경과한 후, 스트로브 신호를 상승시키고, 다시 약 70㎲가 경과한 후에(스트로브 신호를 하강시키고 나서 약 100㎲가 경과한 후에),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모두를 Low로 한 「0」의 값을 나타내는 무효 데이터로서의 「0」데이터를 출력한다(a4).
그런데, 스트로브 신호선(STB)에 잡음이 실려 스트로브 신호가 하강할 경우, 배출기판(S)은, 그때에 출력되어 있는 데이터 신호선(D0∼D3) 상의 데이터를 입상구수 데이터로서 잘못 판독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로브 신호를 하강시키고 나서 약 100㎲가 경과한 후, 메인기판(C)은,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0」데이터를 출력한다(a4). 이러한 「0」데이터는 0개의 입상구수 데이터이기 때문에, 잡음이 실려(a5), 배출기판(S)에 의해 「0」데이터가 판독되어도, 배출기판(S)으로부터 여분의 입상구를 배출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메인기판(C)에서 실행되는 리세트 인터럽트처리 및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메인기판(C)에서 2ms마다 실행되는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에서는, 먼저, 그의 처리가 전원투입 후에 최초로 실행된 처리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S1), 최초로 실행된 처리이면(S1:예), RAM(63)의 초기화를 포함하는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S2).
S2의 처리를 실행한 후 또는 S1의 처리에 있어서 전원을 투입한 후, 2회째 이후에 실행된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S1:아니오), 어느 하나의 보통입상구 스위치(66∼72) 또는 제 1종시동구 스위치(73)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 어느 하나의 스위치(66∼72, 73)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S3:예), 6개의 입상구를 배출하기 위해서,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에 해당하는 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6」을 기록하여(S4),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을 「1」가산한다(S5). 한편, 어느쪽 스위치(66∼72, 73)에 의해서도 유기구(P)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S3:아니오), S4 및 S5의 처리를 스킵(skip)하여 S6의 처리로 이행한다.
S6의 처리에서는, V카운트 스위치(74) 또는 10카운트 스위치(75)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 어느 하나의 스위치(74, 75)에 의해 유기구(P)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S6:예), 15개의 입상구를 배출하기 위해서,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에 해당하는 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에 「15」를 기록하여(S7),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을 「1」가산한다(S8). 한편, 어느쪽 스위치(74, 75)에 의해서도 유기구(P)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S6:아니오), S7 및 S8의 처리를 스킵하여 S9의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로 이행한다.
도 10은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입상구수 데이터는, 이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S9)에 의해 메인기판(C)으로부터 배출기판(S)으로 송신된다.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에서는, 먼저,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S11), 「0」이면(S11:예), 송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는 없기 때문에, 이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를 그대로 종료한다.
한편,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이 「0」이 아니면(S11:아니오),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배출기판(S)으로 송신한다(S12). 즉,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버퍼(76a∼76d, 86a∼86d)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하는 것이다. 입상구수 데이터를 출력한 후, 1번째 이후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작은 어드레스 측으로 차례로 1바이트씩 시프트하여(S13),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갱신하는 동시에, 0번째의 입상구 버퍼(63a)의 값을 소거한다. 그후, 입상구 포인터(63b)의 값을 「1」감산한다(S14).
S12의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된 입상구수 데이터는, S13 및 S14의 처리의 실행중에 확정된다. 따라서, 스트로브 신호선(STB)의 데이터를 Low로 하여 하강시키고(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고)(S15), 배출기판(S)에 입상구수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출기판(S)에 의해 입상구수 데이터가 판독되어, 입상구수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된다.
그후, 소프트웨어 타이머에 의해 30㎲의 경과를 대기한 후(S16), 스트로브 신호선(STB)의 데이터를 Hi로 하여 상승시킨다(S17). 또한, 소프트웨어 타이머에 의해 70㎲의 경과를 다시 대기한 후(S18), 데이터 신호선(D0∼D3)에 무효 데이터로서의 「0」데이터를 출력하여(S19), 이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를 종료한다.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S9)가 종료된 후는, 도 9의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로 되돌아가, 유기의 상태에 따른 각 처리를 실행하고(S10), 금회(今回)의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트로브 신호의 상승(S17)과 데이터 신호선(D0∼D3)에 대한 「0」데이터의 출력(S19)을 동시에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한 후(S15의 처리를 실행한 후), 100㎲의 경과를 대기한 후에, 스트로브 신호를 상승시켜, 데이터 신호선(D0∼D3)에 「0」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6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배출기판(S)에서 실행되는 입상구 및 대출구의 배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스트로브 신호선(STB)에 출력되는 데이터의 하강 시(스트로브 신호의 하강 시)에 실행되는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스트로브 신호선(STB)은, 입출력포트(85)를 통하여 배출기판(S)의 CPU(81)의 외부 인터럽트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트로브 신호가 하강할 때, 이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가 실행된다.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에 의해, 메인기판(C)으로부터 송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가 배출기판(S)에서 수신된다.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에서는, 메인기판(C)으로부터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출력되어 있는 입상구수 데이터를 판독하고(S21), 그 판독된 입상구수 데이터를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에 가산하여(S22),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잡음 등을 원인으로 하여 스트로브 신호가 하강한 경우에도, 외부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이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그때에는, 데이터 신호선(D0∼D3) 상에 「0」데이터가 출력되어 있다. 배출기판(S)이 이러한 「0」데이터를 판독하여도(S21),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에 「0」을 가산할 뿐이기 때문에(S22), 잡음 등을 원인으로 하여 배출기판(S)에 필요 이상의 입상구의 배출 동작을 시키지는 않는다.
도 12는, 배출기판(S)에 있어서,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해 2ms마다 실행되는 의사(擬似)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이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에 의해, 배출기판(S)에서의 메인 제어가 실행된다.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에서는, 먼저, RAM(83)의 초기화를 포함하는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S31). 그후, RAM 체크를 행하여(S32), RAM(83)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RAM을 체크한 결과, RAM(83)에 이상(異常)이 있으면(S33:예), 처리를 S31로 이행하여, 다시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AM을 체크한 결과, RAM(83)에 이상이 없으면(S33:아니오), 도 13에 나타낸 입상구 동작처리를 실행한다(S34).
도 13의 입상구 동작처리는, 소정 조건하에서 원칙적으로 총입상구수 데이터(83e)의 값을 「5」카운트씩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로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이다. 입상구 동작처리(S34)에서는, 먼저,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S41),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0」이 아니면(S41:아니오), 다음으로, 어떠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2). 아무런 에러도 발생하고 있지 않다면(S42:아니오), 구슬 대출 동작중인지의 여부를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에 의해 판단하여(S43),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오프되어 있고(S43:오프), 구슬 대출 동작중이 아니면,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5」이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4).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5」이상이 아니면(S44:아니오), 즉, 「0∼4」중의 어느 하나이면, 이후의 S45∼S49의 각 처리에 의해,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원칙적으로 「5」카운트씩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5」이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여(S45), 「5」이상이면(S45:예),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으로부터 「5」를 감산하고(S46), 입상구 배출 카운터(83h)의 값에 「5」를 가산한다(S47). 한편,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4」이하이면(S45:아니오),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을 입상구 배출 카운터(83h)의 값에 가산하고(S48),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을 「0」소거하는 것이다(S49).
또한, S41의 처리에 있어서,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이 「0」이면(S41:예), 배출이 종료되지 않은 입상구는 없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그대로 입상구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42의 처리에 있어서 다소의 에러가 발생하고 있거나(S42:예), S43의 처리에 있어서 구슬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온되어 있고(S43:온), 구슬 대출 동작중이면, 이들의 경우에도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을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에 가산하지 않고, 입상구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게다가,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의 가산은,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4」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실행되기 때문에, S44의 처리에 있어서,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아직 「5」이상이면(S44:예), 총입상구수 카운터(83e)의 값을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에 가산하지 않고, 입상구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입상구 동작처리(S34)를 종료한 후는, 일단, 처리를 도 12의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로 되돌리고, 그후, 도 14에 나타낸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실행한다(S35). 구슬 대출 동작처리는, 대출버튼(21)이 눌러짐으로써 발생하는 구슬 대출의 요구에 따라, 대출되는 대출구의 수를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에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도 14의 구슬 대출 동작처리(S35)에서는, 먼저,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S51), 구슬 대출 동작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오프되어 있으면(S51:오프), 구슬 대출 동작중이 아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대출버튼(21)이 눌러져 구슬 대출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2). 구슬 대출 요구가 없으면(S52:아니오), 이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그대로 종료하는 한편, 구슬 대출 요구가 있으면(S52:예),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3).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이 아니면(S53:아니오), 입상구의 배출 동작중이다. 구슬 대출 동작은, 입상구의 배출 동작의 종료 후에 실행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그대로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구슬 대출의 요구가 있고(S52:예),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이면(S53:예),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에, 100엔만큼의 대출금액에 상당하는 대출구의 수인 「25」를 설정하고(S54),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를 온하여(S55), 구슬 대출 동작을 개시시키고, 이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51의 처리에 있어서,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가 온되어 있으면(S51:온), 구슬 대출 동작중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6).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0」이 아니면(S56:아니오), 아직 전회(前回)의 구슬 대출의 요구만큼의 대출구가 배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그대로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0」이면(S56:예), 이미 전회의 구슬 대출의 요구만큼의 대출구는 배출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구슬 대출의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7). 새로운 구슬 대출의 요구가 있으면(S57:예), 처리를 S54로 이행하여,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에, 100엔만큼의 대출금액에 상당하는 대출구의 수인 「25」를 설정하고(S54),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를 온하여(S55), 이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57의 처리에 있어서, 새로운 구슬 대출의 요구가 없으면(S57:아니오), 구슬의 대출 및 배출중 플래그(83h)를 오프하여(S58), 구슬 대출 동작을 종료시키고, 이 구슬 대출 동작처리를 종료한다.
구슬 대출 동작처리(S35)를 종료한 후는, 일단, 처리를 도 12의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로 되돌리고, 그후, 도 15에 나타낸 배출스위치 판독처리를 실행한다(S36). 배출스위치 판독처리에서는, 먼저,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가 입상구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61), 입상구를 검출했으면(S61:예),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을 「1」감산한다(S62). 한편,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가 입상구를 검출하지 않았으면(S61:아니오), S62의 처리를 스킵하여 S63의 처리로 이행한다.
S63의 처리에서는,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가 대출구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S63), 대출구를 검출했으면(S63:예),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을 「1」감산한다(S64). 한편,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가 대출구를 검출하지 않았으면(S63:아니오), S64의 처리를 스킵하여, 이 배출스위치 판독처리를 종료한다.
배출스위치 판독처리(S36)를 종료한 후는, 처리를 도 12의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로 되돌려, 각 처리를 실행한다(S37). 각 처리의 실행 후는, 이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실행 간격을 제어하고 있는 타이머의 인터럽트 요구 플래그가 세트(온)될 때까지 대기하여(S38:아니오), 2ms의 간격을 확보한다. 타이머의 인터럽트 요구 플래그가 세트되면(S38:예), 이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2ms가 경과되었기 때문에, 타이머의 인터럽트 요구 플래그를 리세트(오프)하여(S39), 처리를 S32로 이행하고, 다음의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를 개시한다.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타이머의 인터럽트 요구 플래그는, 2ms의 간격으로 세트(온)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S38 및 S39의 각 처리에 의해, 의사 리세트 인터럽트처리가 2ms의 간격으로 실행된다.
도 16은, 배출기판(S)에 있어서, 0.5ms마다 발생하는 인터벌(interval) 인터럽트처리에 의해 실행되는 모터 구동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이 모터 구동처리에 의해 배출용 모터(50)가 정전(正轉) 또는 역전되고, 그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슬받이부재(46)가 도 4의 화살표(R) 방향 또는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배출이 실행된다. 또한, 배출이 실행된 입상구 또는 대출구의 수는, 상기한 배출스위치 판독처리(S36)에 의해 카운트된다.
상기 모터 구동처리에서는, 먼저, 배출용 모터(50)의 구동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1). 이 이상(異常)은, 배출용 모터(50)의 회전량에 상당하는 입상구 또는 대출구가 배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판단의 결과, 배출용 모터(50)의 회전량에 상당하는 입상구 또는 대출구가 배출되어 있지 않아, 배출용 모터(50)의 구동에 이상이 있으면(S71:예). 배출용 모터(50)를 진동시킨다(S72). 예를 들어, 구슬 맞물림을 원인으로 하여 구슬받이부재(46)의 반송판(46a, 46b)을 회전시킬 수 없고, 배출용 모터(50)의 회전량에 상당하는 입상구 또는 대출구가 배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를 진동시킴으로써, 이러한 구슬 맞물림을 해소하여 배출용 모터(50)를 정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71의 처리에 있어서, 배출용 모터(50)의 구동에 이상이 없으면(S71:아니오),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3).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이 아니면(S73:아니오), 이후의 S74∼S77의 처리에 의해 입상구의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3」이상이면(S74:아니오),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하고(S75), 반대로,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2」이하이면(S74:예),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한다(S76). 그리고, 그 설정된 회전속도로 배출용 모터(50)를 정전(正轉)시키고, 구슬받이부재(46)의 반송판(46a, 46b)을 도 4의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시켜 입상구를 배출한다(S77). 또한, 배출된 입상구는, 입상구 카운트 스위치(47)에 의해 검출된다.
한편,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이 「0」일지라도(S73:예),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0」이 아니면(S78:아니오), 이후의 S79∼S82의 처리에 의해 대출구의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3」이상이면(S79:아니오),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하고(S80), 반대로,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2」이하이면(S79:예), 배출용 모터(50)의 회전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한다(S81). 그리고, 그 설정된 회전속도로 배출용 모터(50)를 역전시키고, 구슬받이부재(46)의 반송판(46a, 46b)을 도 4의 화살표(R)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대출구를 배출한다(S82). 배출된 대출구는, 대출구 카운트 스위치(48)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입상구 배출 카운터(83f)의 값 및 대출구 배출 카운터(83g)의 값이 모두 「0」일 경우에는(S73:예, S78:예), 입상구 및 대출구의 배출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배출용 모터(50)의 구동을 정지시켜(S83), 이 모터 구동처리를 종료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으로서는 도 10의 S12의 처리가, 판독지시수단으로서는 S15의 처리가, 무효 데이터 출력수단으로서는 S19의 처리가 각각 해당된다. 또한, 제어용 데이터로서는, 배출되는 입상구 수의 개수 데이터(입상구수 데이터)가 해당되고, 무효 데이터로서는 0값의 「0」데이터가 해당된다.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의 지시로서는, 메인기판(C)에 의한 스트로브 신호의 하강이 해당된다.
이상,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량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기판의 일례로서 배출기판(S)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배출기판(S) 이외에, 효과음의 출력제어를 행하는 효과음 기판, 무늬의 변동표시 등의 표시제어를 행하는 표시용 기판, LED의 점등 등을 제어하는 램프 기판 등을 서브기판으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용 데이터로서, 입상구수 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상기와 마찬가지로, 다른 데이터를 제어용 데이터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무효 데이터로서는, 「0」의 값을 나타내는 「0」데이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0」 이외의 다른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0FFh」 등을 무효 데이터로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 1 변형예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용 데이터는, 유기구가 입상구에 입상한 경우에 배출되는 입상구 수의 개수 데이터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서브기판은 그 개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입상구의 배출을 행하는 배출기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변형예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 또는 상기 제 1 변형예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용 데이터는, 상기 서브기판이 1회의 판독으로 수신할 수 있는 크기 이하의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변형예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 또는 상기한 제 1 및 제 2 변형예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독지시수단은,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스트로브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을 상기 서브기판에 지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서브기판에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이 지시되어, 서브기판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가 판독될 때, 서브기판이 수신하여도 무효로 되는 무효 데이터가 제어용 데이터 대신에 출력된다. 따라서, 서브기판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를 판독한 후, 잡음 등에 의해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지시가 서브기판으로 잘못 보내져 서브기판에 의해 잘못된 데이터가 판독되어도, 그 데이터는 서브기판에 의해 무효로 되기 때문에, 서브기판의 제어에 이상을 초래하지 않고, 서브기판을 정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파친코기의 정면도.
도 2는 파친코기의 배면도.
도 3은 파친코기의 기구판으로부터 분리된 구슬배출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있어서의 구슬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7은 파친코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메인기판으로부터 배출기판으로 송신되는 입상구수(入賞球數)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나타낸 차트.
도 9는 메인기판에서 실행되는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플로차트.
도 10은 메인기판에서 실행되는 입상구수 데이터 송신처리의 플로차트.
도 11은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입상구수 데이터 수신처리의 플로차트.
도 12는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의사(擬似) 리세트 인터럽트처리의 플로차트.
도 13은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입상구 동작처리의 플로차트.
도 14는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구슬 대출 동작처리의 플로차트.
도 15는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배출 스위치 판독처리의 플로차트.
도 16은 배출기판에서 실행되는 모터 구동처리의 플로차트.
도 17의 (a)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메인기판으로부터 배출기판으로 송신되는 입상구수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나타낸 차트이고, (b)는 스트로브(strobe) 신호선에 잡음이 실린 모습을 나타낸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친코기(탄구유기기) 63 : 메인기판의 RAM
63a : 입상구 버퍼 63b : 입상구 포인터(pointer)
76a, 76b, 76c, 76d, 76e : 버퍼(일 방향 수단의 일부)
83 : 배출기판의 RAM 83e : 총입상구수 카운터
86a, 86b, 86c, 86d, 86e : 버퍼(일 방향 수단의 일부)
C : 메인기판 D0, D1, D2, D3 : 데이터 신호선
P : 유기구(遊技球) S : 배출기판(서브기판)
STB : 스트로브(strobe) 신호선
Claims (1)
- 유기의 제어를 행하는 메인기판과, 그 메인기판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제어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기판과, 그 제어용 데이터의 송신을 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의 일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하는 일 방향 수단을 구비한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상기 메인기판으로부터 서브기판으로 상기 일 방향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과,그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제어용 데이터의 판독을 상기 서브기판에 지시하는 판독지시수단과,그 판독지시수단에 의한 지시를 행한 후, 상기 제어용 데이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어 있는 제어용 데이터 대신에, 상기 서브기판이 수신하여도 무효로 되는 무효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효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구유기기의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7650A KR100533864B1 (ko) | 1999-03-09 | 1999-03-09 |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7650A KR100533864B1 (ko) | 1999-03-09 | 1999-03-09 |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9793A KR20000059793A (ko) | 2000-10-05 |
KR100533864B1 true KR100533864B1 (ko) | 2005-12-07 |
Family
ID=4367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7650A KR100533864B1 (ko) | 1999-03-09 | 1999-03-09 |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38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29400A (ja) * | 2006-07-26 | 2008-02-14 | Sophia Co Ltd | 遊技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6736A (ja) * | 1993-04-14 | 1994-10-25 | Sophia Co Ltd | 遊技機 |
JPH08215389A (ja) * | 1995-02-13 | 1996-08-27 | Daiichi Shokai Co Ltd | パチンコ機におけるデータ伝送装置 |
JPH08224339A (ja) * | 1995-02-23 | 1996-09-03 | Daiichi Shokai Co Ltd | パチンコ機におけるデータ伝送装置 |
KR19980076203A (ko) * | 1997-04-08 | 1998-11-16 | 윤종용 |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비동기방식 직렬데이터 송수신 방법 |
-
1999
- 1999-03-09 KR KR10-1999-0007650A patent/KR1005338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96736A (ja) * | 1993-04-14 | 1994-10-25 | Sophia Co Ltd | 遊技機 |
JPH08215389A (ja) * | 1995-02-13 | 1996-08-27 | Daiichi Shokai Co Ltd | パチンコ機におけるデータ伝送装置 |
JPH08224339A (ja) * | 1995-02-23 | 1996-09-03 | Daiichi Shokai Co Ltd | パチンコ機におけるデータ伝送装置 |
KR19980076203A (ko) * | 1997-04-08 | 1998-11-16 | 윤종용 |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비동기방식 직렬데이터 송수신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9793A (ko) | 200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5871B2 (ja) | 遊技機 | |
JP2008301901A (ja) | 遊技機 | |
JP6093294B2 (ja) | 遊技機 | |
JP2014140713A (ja) | 遊技機 | |
JP5412498B2 (ja) | 遊技機 | |
JP5583423B2 (ja) | 遊技機 | |
JP6045488B2 (ja) | 遊技機 | |
KR100533864B1 (ko) | 탄구유기기(彈球遊技機)의 제어장치 | |
JP6093296B2 (ja) | 遊技機 | |
JP2011161100A (ja) | 遊技機 | |
JP6302516B2 (ja) | 遊技機 | |
JP2016028712A (ja) | 遊技機 | |
JP5583424B2 (ja) | 遊技機 | |
JP5989210B2 (ja) | 遊技機 | |
JP2000176129A (ja) | 弾球遊技機の制御装置 | |
JP4534465B2 (ja) | 遊技機 | |
JP2005211134A (ja) | 遊技機 | |
JP2008264371A (ja) | 遊技機 | |
JP2000176130A (ja) | 弾球遊技機の制御装置 | |
JP5780563B2 (ja) | 遊技機 | |
JP4450162B2 (ja) | 遊技機 | |
JP5018862B2 (ja) | 遊技機 | |
JP2000189657A (ja) | 遊技機及び遊技機のカ―ドユニット装置 | |
JP2003325931A (ja) | 弾球遊技機の制御装置 | |
JP2003325932A (ja) | 弾球遊技機の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