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872B1 -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872B1
KR100532872B1 KR10-2004-0023123A KR20040023123A KR100532872B1 KR 100532872 B1 KR100532872 B1 KR 100532872B1 KR 20040023123 A KR20040023123 A KR 20040023123A KR 100532872 B1 KR100532872 B1 KR 100532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yarn
composite fiber
thermoplastic res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855A (ko
Inventor
이태균
이민석
권익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4-002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8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초형의 다기능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심초형의 다기능성 복합섬유는 원사에 대하여 나노 은 1∼100 중량ppm, 원사에 대하여 항곰팡이제 0.05∼0.5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초부; 및 원사에 대하여 토르마린 1∼1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심부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복합섬유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및 세탁내구성에 우수하고, 나아가 음이온을 발생하여 인체적용시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SKIN-CORE TYPE AND MULTI-FUNCTIONAL COMPLEX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사에 대하여 나노 은 1∼100 중량ppm, 원사에 대하여 항곰팡이제 0.05∼0.5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초부; 및 원사에 대하여 토르마린 1∼1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심부로 구성된 심초형의 다기능성 복합섬유에 관한 것이다.
섬유는 인체의 땀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다량의 암모니아 발생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 문제, 이외에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섬유 제품에 부착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유해 미생물로부터 섬유 제품이 변색 취화되거나 각종 악취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고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섬유 제품에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서식하거나 번식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 방취 가공을 섬유 제품에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항균성이라 함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살균시키는 성질을 말하며 항곰팡이성이라 함은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고 곰팡이를 죽임으로서 악취의 발생을 없애는 성질(소취성)과 탈취성을 말한다.
항균 방취 가공 방법으로 통상적으로는 은, 구리, 아연, 산화은 및 산화아연과 같은 무기화합물을 도포하거나 염화 벤질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항균성 화합물로 된 위생 가공제들은 섬유에 유기적으로 접착되지 못하는 문제와 세탁에 따른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56736호에서는 초부와 심부로 구성된 항균 항곰팡이성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시한 바 있으며, 상세하게는 초성분에 섬유 형성성을 지닌 열가소성 수지에 항균성 금속을 치환 담지시킨 인산지르코늄계 무기항균제를 함유하고, 심성분에는 초성분 열가소성 수지보다 용융점이 30℃ 이상 높은 섬유 형성성을 지닌 열가소성 수지에 내열성 유기항균제를 함유하는 복합섬유를 공지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서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한 인산지르코늄 이외에도, 유기 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계, 활성알루미나, 활성탄 등이 최근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제는 여전히 불규칙한 입자 모양으로 인한 분산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세탁내구성 특히, 염소계 세제를 사용할 경우 황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본특허 등록공보소 제54-38951호에는 이온 교환성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동염 및 은염의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섬유표면에 금속이온을 표출시켜 항균성을 부여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 대한민국 특허등록공고 제1996-0011596호에서는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을 가진 바이오 세라믹 성분이 함유된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 공지하고 있다. 즉, 바이오세라믹의 미세분말 10∼30중량부와 폴리에스터칩 90∼70중량부의 혼합물을 가열교반기 속에 넣고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교반시켜서 바이오세라믹의 미세입자가 폴리에스터칩의 표면층에 부착되도록 하고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하여 바이오세라믹의 미세입자가 표면에 부착된 폴리에스터칩의 마스터배치 100중량부를 얻고 이 마스터배치 100중량부와 폴리에스터칩 900중량부의 혼합물을 건조시키고 이 건조된 혼합물을 홉퍼 속에 넣고 홉퍼로부터 이들 혼합물의 일정량을 스크류 압출실로 보내고 260℃~265℃의 표면온도를 가진 긴 나선회전식 스크류로 칩의 혼합물을 열용융과 동시에 균일 혼합하고 이 용융 혼합물을 메터링 펌프실로 압출시켜서 공급하고 다시 여기서 메터링 펌프(Metering pump : 계량 펌프)의 압력작용에 의하여 일정량의 용융 혼합물을 30~120d 모노필라멘트의 굵기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진 방사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방사노즐로 압출시키고 이 방사노즐에 의하여 용융 방사된 멀티 필라멘트를 열연신과 예비꼬임을 주어서 바이오세라믹 함량이 1∼3중량%이고 인장강도가 1.5∼3.0g/d이고 30∼120d의 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사를 제조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금속이온이 고분자와 반응과정에서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사(絲) 제조 공정 및 염색 등의 후공정에서 공정의 원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의류에 기능성 물질을 부여하여 의류를 착용하는 동시에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 제품을 출시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바, 그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2480호에서는 키토산 올리고머를 주성분으로 이용하여 기존 섬유 가공제가 지니는 세탁후 내구성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나노 크기의 은 입자를 첨가하여 키토산이 지니고 있는 항균 및 소취 특성을 향상시키고, 은이 갖는 원적외선 방사와 자외선 차단 등과 같은 기능을 부여한다고 게재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4933호에는 토르마린을 포함하는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 물질을 첨부한 기능성 섬유를 제안하고 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량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토르마린 광석만을 대량 섬유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종래에 공지된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 물질인 산화게르마늄, 일나이트, 키토산, 대나무숯, 산화티타늄, 산화알미늄등을 적절한 혼합 비율로 첨가하여 무기 또는 유기접착제와 혼합 의류용 천에 자막무늬 등을 전사 또는 프린팅하여 열처리함으로써, 최적의 원적외선 에너지 방출량을 얻었다고 공지하고 있다.
이때, 토르마린은 극성결정체로서, 일반 유전체가 전기장에 놓으면 전기분극이 생겨서 표면에 전하를 띄는 물질이라면, 극성결정체는 외부로부터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처음부터 전기분극을 갖는 영구적으로 미세 전류가 흐르는 광석이다. 토르마린 결정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 극을 연결하면 0.06 mA의 미세 전류가 흐르고, 이 정도의 전류는 인간의 신체에 가장 적합한 전류임이 증명되었다.
토르마린의 결정은 미약 전류를 계속 발생시키므로, 결정에 수분(H2O)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물 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 등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으로 분리시킨다. 분리된 수소이온(H+)은 마이너스 전극에 끌려서 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결합되어 중화되고 수소가스(H2)가 되어 증발한다. 즉, 물이 알카리 이온화가 된다.
또한, 분리된 수산이온(OH-)은 주변의 물분자와 결합하여 히드록실(H3O2) 음이온을 발생하고 이는 계면활성 물질이 되어 섬유에 응용 시 세탁성능(washability)이 개선되고 친수성을 부여하여 정전기를 제어하는데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아직까지 섬유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거나, 종래의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3 성분을 조합하고 이로 인한 다기능 복합섬유를 제조한 예는 발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섬유자체에 항균성, 항곰팡이성의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나아가 토르마린 광석을 사용하여 음이온 발생기능을 부여한 다기능성 복합섬유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부에 나노 은 및 항곰팡이 미립자가 존재하여 항균 및 항곰팡이 기능을 부여하고, 심부에 토르마린 광석이 존재하여 음이온 발생기능을 갖는 심초형(Skin-core Type)의 다기능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원사에 대하여 나노 은 1∼100 중량ppm, 원사에 대하여 항곰팡이제 0.05∼0.5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초부; 및 원사에 대하여 토르마린 1∼1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심부로 구성된 심초형의 다기능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심초형(Skin-core Type)의 다기능성 복합섬유는 원사에 대하여 나노 은 1∼100 중량ppm, 원사에 대하여 항곰팡이제 0.05∼0.5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초부; 및 원사에 대하여 토르마린 1∼1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심초형의 다기능성 복합섬유는 전체 단면에 대하여 초부10∼90%:심부 90∼10%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단면비는 최종 제품의 성향에 따라 달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부 30∼70%:심부 70∼30%로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은은 미생물의 신진대사를 파괴하여 항균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나노 은은 졸,겔 법이라고 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하이드로진이 포함된 계면활성제와 질산은 용액을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후, 은 성분만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나노 은의 입자크기는 일반적으로 20∼100 n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80 nm로 분말화된 미세 은 성분을 사용한다. 이때, 20 nm 미만의 나노 은 입자를 사용할 경우, 나노 은 입자의 반데르발스힘의 원리에 의해서 응집현상이 많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고, 100 nm 이상의 입자를 사용할 경우, 입자크기가 너무 커서 원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나노 은의 첨가량은 원사에 대하여 1∼100 중량ppm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0중량ppm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1 중량ppm 이하인 경우에는 최종 원사에서 효과가 불충분하며, 100 중량ppm 이상일 경우에는 사절 및 후공정에서 어려울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이익을 도모하기 힘들게 된다.
항곰팡이제는 주구성원이 인성분 또는 아연이온을 함유하는 성분으로서, 평균입경 0.5∼0.9㎛ 입자를 선택하며,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7㎛를 사용한다.
또한 항곰팡이제는 원사에 대하여, 0.05∼0.5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2중량%이다. 0.05중량% 이하인 경우는 최종 원사에서 항곰팡이 효과가 불충분하며, 0.5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사절 및 원가의 상승이 우려된다.
심부에 사용되는 토르마린은 1.0㎛의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선택하여 원사에 대하여, 1∼10 중량% 첨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이며, 이때 1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최종 원사에서 음이온 발생 효과가 불충분하며, 10 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사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는 통상의 수지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나노 은 입자 1∼100 ppm 및 항곰팡이제 0.05∼0.5 중량%정도로 200∼250℃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1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2)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토르마린 입자 1∼10 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제2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제1,2의 마스터 배치 칩을 방사온도 250∼270℃에서 심초형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방사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나노 은 및 항곰팡이제를 초부로, 토르마린은 일반적으로 나노 은이나 항곰팡이제보다 경도가 6-7 정도로 높고, 입자의 모양이 모가 있으므로 심부로 향하게 조절되어, 항균, 항곰팡이성 및 음이온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 은 입자는 자체의 고유색이 있으므로 마스터 배치 제조 시, 나노 은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합비율을 100∼2000중량ppm로 한정하며, 나노 은 입자가 100중량ppm 이하 사용될 경우, 최종 섬유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불충분하며, 2000중량ppm 이상일 경우 최종 섬유에 색상을 띠게 되어 후공정에서 염색성 및 담염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항곰팡이제는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1∼10중량% 정도로 용융 혼합한다.
상기 마스타 배치 칩 제조시, 분산성 및 최종 연신사의 표면에 나노 은 및 항곰팡이 미립자가 골고루 분포되게 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는 방사하고자 하는 일반수지의 칩보다 융점이 같거나 10∼20℃ 낮은 폴리머와 혼합하여 방사한다. 이로써, 섬유 단면의 초(skin)부에 항균 및 항곰팡이 미립자가 분포하게 함으로써,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대점도 3.03의 나일론 100 kg에 대하여, 평균입경 75 nm의 나노 은 40ppm, 평균입경 0.7㎛의 항곰팡이제 0.25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제1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상대점도 3.03의 나일론 100 kg에 대하여, 토르마린 평균입경 1.0㎛ 입자 3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제2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였고, 상기 제조된 제1,2의 마스터 배치 칩을 방사온도를 265℃에서 직경이 0.25의 복합 방사용 노즐을 사용하여 70/24 데니어의 다기능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심초형의 단면비(심:초)는 전체 면적에 대하여, 5:5의 비율이었다.
<실시예 2>
다기능 복합 섬유의 단면비(심:초)를 7:3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다기능 복합 섬유의 단면비(심:초)를 3:7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심초형의 다기능성의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열가소성 수지를 나일론 대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하고, 다기능 복합 섬유의 단면비(심:초)를 7:3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열가소성 수지를 나일론 대신 올레핀계인 폴리프로필렌으로 하고, 다기능 복합 섬유의 단면비(심:초)를 7:3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대점도 3.03의 나일론 100 kg에 대하여, 평균입경 75 nm의 나노 은 40ppm을 투입하여 단면비(심:초)가 전체 면적에 대하여, 5:5로 제조된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방사온도를 265℃로 하고, 직경이 0.25의 복합 방사용 노즐을 사용하여 70/24 데니어의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다기능 복합사의 단면비(심:초)를 7:3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상대점도 3.03의 나일론 100 kg에 대하여, 평균입경 75 nm의 나노 은 40ppm을 투입하여 일반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5 내지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복합사 또는 일반사에 대하여, 항균성, 항곰팡이성, 및 음이온 발생률을 실험하였다.
1. 항균성 측정
시험규격 KS K 0693-2001 시험방법에 의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및 MRSA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한천배지에 배양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균을 접종원으로 하여 시험편에 접종한 후 일정량의 액체를 가하여 시험편으로부터 세균을 액중에 추출시킨다. 그 다음 처리포와 미처리포의 액중에 잔존하는 세균의 감소 백분율을 계산하였으며 백분율이 99%이상일 경우 우수, 95∼98%일 경우 보통, 95% 미만일 경우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2. 항곰팡이성 측정
시험규격 JIS Z 2911-2001 시험방법에 의하여 아스퍼질러스 니그로, 페니실리움 씨트리넘 및 케토늄 글로보솜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시험하였다. 배양조건으로 온도는 28±1℃, 시료의 크기는 25 mm × 25 mm로 하여 상기 곰팡이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3. 음이온 발생률 측정
음이온 측정은 에코-홀리스틱(ECO-HOLISTIC)에서 제조한 이온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료에 직접 접지하여 계기판에 나오는 수치를 읽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원사내 함량 제균성 항곰팡이성 음이온발생 세탁내구성
나노 은 항곰팡이제 토르마린 황색포도상구균 MRSA1)
복합사 비교예1,2 단면비(심초) 5:5 40ppm ×
7:3 40ppm ×
실시예1,2,3,4,5 단면비(심초) 5:5 40ppm 0.25% 3%
7:3 40ppm 0.25% 3%
3:7 40ppm 0.25% 3%
7:3 40ppm 0.25% 3%
7:3 40ppm 0.25% 3%
일반사 비교예3 40ppm × ×
1) MRSA : Meticillin Resitance Staphylococcus aureus의 약자로 내성황색포도상구균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초형의 복합사로 제조될 경우, 항균성, 항곰팡이성, 음이온 발생률 및 세탁내구성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심초형의 복합사 제조시 심부에 토르마린이 존재할 경우, 항곰팡이성 및 음이온 발생률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균성, 항곰팡이성, 음이온 발생률 및 세탁내구성이 우수한 다가능성의 복합섬유를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함섬유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심부: 토르마린 마스터 배치 및 열가소성 수지
B. 초부: 나노 은, 항곰팡이제 마스터 배치 및 열가소성 수지

Claims (5)

  1. 원사에 대하여 나노 은 1∼100 ppm 및 원사에 대하여 항곰팡이제 0.05∼0.5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초부; 및 원사에 대하여 토르마린 1∼1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복합섬유의 단면비가 전체 단면에 대하여 초부 10∼90%: 심부 90∼10중량%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복합섬유의 단면비가 전체 단면에 대하여 초부 30∼70%:심부 70∼30%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5. 1)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나노 은 입자 1∼100ppm 및 항곰팡이제 0.005∼0.5중량% 정도로 200∼250℃에서 용융 혼합하여 제1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2)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토르마린 입자 1∼10중량%를 용융 혼합하여 제2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제조된 제1,2의 마스터 배치 칩을 방사온도 250∼270℃에서 심초형 방사구금을 통하여 용융방사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4-0023123A 2004-04-02 2004-04-02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532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3A KR100532872B1 (ko) 2004-04-02 2004-04-02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123A KR100532872B1 (ko) 2004-04-02 2004-04-02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855A KR20050097855A (ko) 2005-10-10
KR100532872B1 true KR100532872B1 (ko) 2005-12-01

Family

ID=3727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123A KR100532872B1 (ko) 2004-04-02 2004-04-02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11B1 (ko) 2005-11-11 2007-08-14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원사의 제조방법
KR20080042634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조성물 pp방적사 제조
KR101384754B1 (ko) * 2012-05-04 2014-05-15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94B1 (ko) * 2005-11-10 2009-04-2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심초형 복합방사 단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7055432A1 (en) * 2005-11-14 2007-05-18 Se Da Coperation Co., Ltd. Yar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KR100786171B1 (ko) * 2006-06-16 2007-12-21 (주)광진상사 항균성 마스타 배치를 이용한 모노사 및 이를 이용한식품포장용 트레이
US20130122294A1 (en) * 2011-11-16 2013-05-16 Selim Fiber Co., Ltd. Fiber for artificial hair with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KR101482142B1 (ko) * 2012-01-05 2015-01-13 신화섬유공업(주) 경량성 및 보온성이 우수한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503637B1 (ko) * 2014-01-24 2015-03-19 주식회사 효성 심초구조의 편평형 이형단면 복합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심초구조의 편평형 이형단면 복합사
CN104562259A (zh) * 2015-02-01 2015-04-29 晋江市科创源专利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防蛀阻燃纤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390A (ko) * 1995-12-26 1997-07-26 황선두 항균 항곰팡이성 복합섬유
KR100355463B1 (ko) * 2000-05-12 2002-10-11 (주)아이벡스 음이온과 원적외선 발생 및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다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JP2003183930A (ja) * 2001-12-12 2003-07-03 Fujiichi:Kk 抗菌繊維
KR20040041958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효성 항균성 및 잠재권축성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
KR20040107192A (ko) * 2003-06-13 2004-12-20 전영호 순은,천연무기물 복합체를 이용한 합성섬유원사의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9570A (ko) * 2003-08-19 2005-03-03 김경일 토르마린(tourmarine),포조란(pozzolan),은(silver)을분쇄한 후 향(herb)을 첨가하여 압착시킨 원단
KR20050075905A (ko) * 2004-01-16 2005-07-25 주식회사 효성 항균 및 소취 성능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390A (ko) * 1995-12-26 1997-07-26 황선두 항균 항곰팡이성 복합섬유
KR100355463B1 (ko) * 2000-05-12 2002-10-11 (주)아이벡스 음이온과 원적외선 발생 및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다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JP2003183930A (ja) * 2001-12-12 2003-07-03 Fujiichi:Kk 抗菌繊維
KR20040041958A (ko) * 2002-11-12 2004-05-20 주식회사 효성 항균성 및 잠재권축성 복합사와 그 제조방법
KR20040107192A (ko) * 2003-06-13 2004-12-20 전영호 순은,천연무기물 복합체를 이용한 합성섬유원사의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050019570A (ko) * 2003-08-19 2005-03-03 김경일 토르마린(tourmarine),포조란(pozzolan),은(silver)을분쇄한 후 향(herb)을 첨가하여 압착시킨 원단
KR20050075905A (ko) * 2004-01-16 2005-07-25 주식회사 효성 항균 및 소취 성능이 우수한 해도형 복합섬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311B1 (ko) 2005-11-11 2007-08-14 세다코오퍼레이숀 주식회사 원사의 제조방법
KR20080042634A (ko) * 2006-11-09 2008-05-15 최명부 기능성조성물 pp방적사 제조
KR101384754B1 (ko) * 2012-05-04 2014-05-15 주식회사 디케이엑스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는 기능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855A (ko) 200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497B2 (ja) 重合体組成物、該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該重合体組成物を基材とする物品及びこれらの物品の使用
KR100532872B1 (ko) 심초형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AU2011324794B2 (en) Blue coloured aqueous dispersion of silver nanoparticles a process fo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0355463B1 (ko) 음이온과 원적외선 발생 및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다기능성 섬유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섬유
JP4774558B2 (ja) 機能性異型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80606B1 (ko) 항균 및 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WO1990009736A1 (en) Antibacterial or conductive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TWI708750B (zh) 抗菌性纖維和抗菌性纖維的製造方法
CN1432084A (zh) 局部施加金属基整理剂的耐洗非导电性纱线和织物
KR101966189B1 (ko) 원적외선 방사체와 탄소나노물질을 포함하는 시스/코어형 기능성 섬유의 제조방법
JP2009084758A (ja) 消臭抗菌性繊維用樹脂及び消臭抗菌性繊維
KR100643515B1 (ko) 항균 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1774A (ko) 항균성, 항곰팡이성 및 음이온 방출 성능을 갖는 다기능성섬유
JP2006241627A (ja) 抗菌性繊維とその製法、並びに抗菌性繊維製品
CN1437664A (zh) 层压丝
CN100398705C (zh) 一种保健纤维及其制造方法
KR20030054074A (ko) 광화석 분말을 함유한 다기능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1568A (ko) 항균성, 원적외선 성능이 우수한 원착 항균성 복합섬유의제조방법
KR20070072118A (ko) 항균, 항곰팡이 및 방오 성능을 갖는 다기능성 심초형복합섬유
KR101829031B1 (ko) 항균성, 살균성, 원적외선 방출성 및 음이온 방출성을 가지는 섬유
DE10248583A1 (de) Textilbehandlungsmittel
KR200392113Y1 (ko) 나노실버 입자가 함입된 항균성 원단 및 그를 이용한 항균 양말, 항균 침장류 및 속내의
KR200391562Y1 (ko) 나노 실버와 향이 함유된 분첩
KR200387645Y1 (ko) 마이크 커버
KR200403101Y1 (ko) 창 가림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