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493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493B1
KR100532493B1 KR10-2004-0001960A KR20040001960A KR100532493B1 KR 100532493 B1 KR100532493 B1 KR 100532493B1 KR 20040001960 A KR20040001960 A KR 20040001960A KR 100532493 B1 KR100532493 B1 KR 100532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wing arm
latch lever
latch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853A (ko
Inventor
정기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493B1/ko
Priority to US10/981,651 priority patent/US7286327B2/en
Publication of KR2005007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4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2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out of 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는,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아암과,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VCM 코일과, VCM 코일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마그네트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정지시에 로킹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노치부와,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액츄에이터의 로킹시 노치부에 걸리게 되는 후크가 마련된 래치 레버와, 마그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래치 레버쪽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와,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스윙 아암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철심과, 래치 레버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래치 레버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철심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그네트와 래치 레버의 제2철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커져서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래치 레버가 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액츄에이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도 로킹 해제 동작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Actuator latch system for disk drive}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된 때 액츄에이터를 일정 위치에 로킹시켜 외부 충격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정보 저장 장치들 중의 하나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는 읽기/쓰기 헤드(read/write head)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회전하는 디스크의 기록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부상한 상태로 액츄에이터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작동하지 않는 때, 즉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된 때에는 상기 헤드가 디스크의 기록면에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헤드를 디스크의 기록면을 벗어난 위치에 파킹시키게 된다. 이러한 헤드의 파킹 시스템은 크게 CSS(Contact Start Stop) 방식과 램프(Ramp) 로딩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CSS 방식은 디스크의 내주측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랜딩존을 마련하고, 그 랜딩존에 상기 헤드를 접촉시켜 파킹시키는 방식이다. 그리고, 램프 로딩 방식은 디스크의 외곽측에 램프를 설치하고, 이 램프 위에 상기 헤드를 파킹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가 디스크의 랜딩존 또는 램프에 파킹된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임의로 회전하여 상기 헤드가 랜딩존 또는 램프를 벗어나 디스크의 기록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헤드가 디스크의 기록면에 접촉되어 헤드와 디스크의 기록면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의 회전이 정지되어 헤드가 랜딩존 또는 램프에 파킹된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를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일정 위치에 로킹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가 마련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일 예로서 관성 래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데이터의 재생 및 기록을 위한 읽기/쓰기 헤드를 디스크 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0)가 설치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0)는 피봇 베어링(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 아암(12)과, 스윙 아암(1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4)를 디스크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13)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상기 헤드가 램프(15)에 파킹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0)를 로킹시키기 위한 관성 래치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성 래치 장치(20)는, 관성에 의해 회동하는 래치 레버(21)와, 상기 래치 레버(21)의 선단부에 마련된 래치 후크(22)와, 상기 액츄에이터(10)의 스윙 아암(12)에 마련된 노치(23)와, 스윙 아암(12)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크래쉬 스탑(crash stop, 24)과, 래치 레버(21)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래치 스탑(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관성 래치 장치(20)에 의하면, 디스크 드라이브에 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rotational shock)이 가해지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의 스윙 아암(12)과 래치 레버(21)는 관성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후크(22)가 노치(23)에 걸리게 됨으로써 액츄에이터(10)의 스윙 아암(12)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 드라이브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이 가해지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의 스윙 아암(12)과 래치 레버(21)는 관성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스윙 아암(12)은 처음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다가 크래쉬 스탑(24)에 부딪쳐 리바운딩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래치 레버(21)는 래치 스탑(25)에 부딪쳐 리바운딩되면서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 후크(22)가 노치(23)를 간섭함으로써 액츄에이터(10)를 로킹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관성 래치 장치(20)는 래치 레버(21)가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비교적 강한 회전 충격에 대해서만 작동하게 된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에 비교적 약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관성에 의해 작동하는 래치 레버(21)가 회동하지 못하게 되어 액츄에이터(10)가 로킹되지 않고 임의로 회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래치 레버(21)가 회동하지 못할 정도의 약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0)의 로킹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도 2a와 도 2b에는 상기한 종래의 관성 래치 장치의 단점을 보완한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30)에는 스윙 아암(32)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가 마련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32)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VCM 코일(37)과, VCM 코일(37)과 대면하도록 VCM 코일(37)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마그네트(38)를 구비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50)는 관성력 뿐만 아니라 상기 마그네트(38)의 누설 자속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30)를 로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래치 장치(50)는 스윙 아암(32)의 단부에 마련된 노치부(51)와, 회동축(5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래치 레버(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윙 아암(32)의 단부에는 상기 마그네트(38)와의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제1철심(5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철심(53)은 마그네트(38)의 누설 자속에 의해 스윙 아암(3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르크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래치 레버(54)의 일단부에는 상기 노치부(51)에 걸리게 되는 후크(56)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타단부에는 상기 마그네트(38)와의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제2철심(5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철심(57)은 마그네트(38)의 누설 자속에 의해 래치 레버(5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르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토르크에 의한 래치 레버(54)의 시계 방향 회동각은 래치 스탑(59)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래치 장치(50)의 작동을 설명하면, 슬라이더(34)에 탑재된 헤드가 램프(40)에 파킹될 때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스윙 아암(32)이 피봇 베어링(3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윙 아암(32)이 래치 레버(54)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5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38)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스윙 아암(32)에 마련된 제1철심(53)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력이 최대인 위치에서 스윙 아암(32)의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54)의 회동도 멈추게 된다. 이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파킹이 완료되고, 이와 동시에 래치 장치(50)에 의한 액츄에이터(30)의 로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가 파킹된 상태에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1철심(53)과 마그네트(38)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보다 큰 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rotational shock)이 가해지면, 스윙 아암(32)과 래치 레버(54)는 관성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54)의 후크(56)가 노치부(51)에 걸리게 됨으로써 액츄에이터(30)의 스윙 아암(32)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 드라이브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이 가해지면, 스윙 아암(32)과 래치 레버(54)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관성력이 작용하게 되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32)과 래치 레버(54)가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시계 방향의 회동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에 제1철심(53)과 마그네트(38)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보다 작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자력에 의해 스윙 아암(32)의 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50)는 자력과 관성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강한 외부 충격 뿐만 아니라 비교적 약한 충격과 진동에 대해서도 액츄에이터(30)를 신뢰성 있게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를 작동시키려면 헤드를 램프(40)로부터 디스크의 기록면으로 이동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액츄에이터(30)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이때, 전원을 스윙 아암(32)의 후단부에 마련된 VCM 코일(37)에 인가하면, 스윙 아암(32)은 마그네트(38)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스윙 아암(32)에 마련된 제1철심(53)으로 인해 발생된 자력, 즉 래치 포스를 이겨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래치 레버(54)는 마그네트(38)와 제2철심(57)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윙 아암(32)의 노치부(51)가 래치 레버(54)의 후크(56)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50)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마그네트(38)는 VCM 코일(37)의 스윙 아암(132)의 회전 방향에 직교하는 부분에만 대면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마그네트(38)와 래치 레버(54)에 마련된 제2철심(57)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멀고, 이로 인해 제2철심(57)에 작용하는 마그네트(38)의 누설 자속이 크지 않아 래치 레버(54)에 인가되는 시계 방향 토르크가 작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30)의 로킹 상태 해제시에, 래치 레버(54)의 시계 방향 회동 속도가 스윙 아암(32)의 반시계 방향 회전 속도에 비해 빠르지 못하여, 스윙 아암(32)의 노치부(51)가 래치 레버(54)의 후크(56)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윙 아암(32)을 천천히 회전시켜야 하지만, 스윙 아암(32)을 천천히 회전시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다. 그 이유는, 스윙 아암(32)의 회전 속도는 VCM 코일(37)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Back-EMF)을 이용하여 제어하게 되는데, 스윙 아암(32)의 회전 속도가 느리면 역기전력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윙 아암(32)의 회전 속도 제어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특히 비교적 약한 회전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서 신뢰성 있는 액츄에이터의 로킹 동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의 빠른 회전에 대해서도 신뢰성 있는 로킹 해제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아암과,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VCM 코일과, 상기 VCM 코일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마그네트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정지시에 로킹시키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노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시 상기 노치부에 걸리게 되는 후크가 마련된 래치 레버;
상기 마그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래치 레버쪽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상기 스윙 아암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철심; 및
상기 래치 레버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철심;을 구비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시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윙 아암에 접촉되어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에 의해 제1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스윙 아암의 제2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철심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돌출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는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상기 스윙 아암의 제2방향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래치 레버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는, 상기 스윙 아암의 제1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크래쉬 스탑과, 상기 래치 레버의 제1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래치 스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벽이 상기 래치 스탑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그네트와 래치 레버의 제2철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커져서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래치 레버가 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액츄에이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도 로킹 해제 동작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가 구비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스핀들 모터(112)에 장착된 디스크(120)와,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읽기/쓰기 헤드(read/write head)를 디스크(120) 상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130)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베이스 부재(110)에 설치된 피봇 베어링(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윙 아암(132)과, 스윙 아암(132)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가 탑재된 슬라이더(134)를 디스크(120)의 표면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133)과, 상기 스윙 아암(132)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를 구비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VCM 코일(137)과, VCM 코일(137)과 대면하도록 VCM 코일(137)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 마그네트(138)를 구비한다. 상기 마그네트(138)는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 설치된 요크(139)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138)는 VCM 코일(137)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보이스 코일 모터는, 서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며, VCM 코일(137)에 입력되는 전류와 마그네트(138)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르는 방향으로 스윙 아암(1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온(on)되어 디스크(12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132)을 반시계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를 디스크(120)의 기록면 위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는 스윙 아암(132)을 시계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가 디스크(120)를 벗어나도록 한다.
이 때, 디스크(120)의 기록면을 벗어난 헤드는 디스크(120)의 외곽측에 마련된 램프(140)에 파킹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크(120)이 회전이 정지되면,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상기 스윙 아암(132)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서스펜션(133) 단부에 형성된 엔드-탭(135)이 램프(140)에 파킹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 즉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30)에 장착된 헤드가 램프(140)에 파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액츄에이터(130)를 로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액츄에이터(130)가 불필요하게 회전하여 상기 헤드가 램프(140)로부터 벗어나 디스크(120)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디스크(1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헤드가 디스크(120) 위로 이동되면, 디스크(120)의 표면에 헤드가 직접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120)의 표면과 헤드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관성력과 상기 마그네트(138)의 누설 자속을 이용하여 액츄에이터(130)를 로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상기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에 마련된 노치부(212)와 제1철심(213),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크(222)와 제2철심(223)을 가진 래치 레버(220) 및 상기 마그네트(138)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VCM 코일(137)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노치부(212)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 레버(220)는 베이스 부재(110)에 설치된 회동축(2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후단부에 상기 후크(222)가 마련된다. 상기 래치 레버(220)는 마그네트(138)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회동하지 않도록 비자성체,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 레버(220)에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외부로부터 제1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 또는 제2방향, 예컨대 반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는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성력에 의해, 래치 레버(220)의 후크(222)가 스윙 아암(132)의 노치부(212)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윙 아암(132)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래치 레버(220)의 작동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철심(213)은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 중에서 상기 액츄에이터(130)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곳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철심(213)은 상기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와의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성체, 바람직하게는 강자성체인 강재(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철심(213)은 상기 스윙 아암(132)에 시계 방향의 토르크를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성체로 이루어진 상기 제1철심(213)에는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윙 아암(132)에는 상기 제1철심(213)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30)쪽으로 향하는 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토르크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스윙 아암(132)에 인가되는 시계 방향 토르크는 비교적 약한 회전 충격과 진동에 대해 상기 액츄에이터(130)를 로킹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철심(223)은 상기 래치 레버(220)의 후단부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철심(223)도 상기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와의 사이에 자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자성체, 바람직하게는 강자성체인 강재(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철심(223)은 상기 래치 레버(220)에 시계 방향의 토르크를 인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철심(223)에도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래치 레버(220)에는 제2철심(223)으로부터 상기 돌출부(230)쪽으로 향하는 자력에 의해 항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토르크가 인가된다.
상기 돌출부(230)는 상기 마그네트(138)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래치 레버(220)쪽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부(230)로 인해 마그네트(138)와 제1철심(213) 사이의 거리 및 마그네트(138)와 제2철심(223) 사이의 거리가 종래에 비해 가까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철심(213)과 제2철심(223)에는 돌출부(230)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이 보다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스윙 아암(132)과 래치 레버(220)에는 보다 큰 토르크가 인가된다. 이때, 제1철심(213)과 제2철심(223)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스윙 아암(132)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를 상기 래치 레버(220)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보다 크게 하면,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레버(220)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는,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해제시 상기 스윙 아암(132)의 반시계 방향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래치 레버(2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정해진다. 이와 같이, 래치 레버(220)에 인가되는 시계 방향 토르크가 커지게 되면,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해제시 래치 레버(220)가 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스윙 아암(132)의 회전 속도가 빨라도 로킹 해제 동작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상기 스윙 아암(132)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크래쉬 스탑(2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크래쉬 스탑(215)은 상기 요크(139)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130)가 파킹 위치에 파킹된 상태에서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스윙 아암(132)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상기 래치 레버(220)의 시계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래치 스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측벽이 상기 래치 스탑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며,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로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로킹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이 정지되어 슬라이더(134)에 탑재된 헤드가 램프(140)에 파킹될 때에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스윙 아암(132)이 피봇 베어링(13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 측면이 래치 레버(220)의 후단부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2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윙 아암(132)에 의해 밀려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속과 스윙 아암(132)에 마련된 제1철심(213)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력이 최대인 위치, 즉 제1철심(213)와 돌출부(230)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게 되는 위치에서 스윙 아암(132)의 시계 방향 회전은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220)의 반시계 방향 회동도 멈추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크래쉬 스탑(215)이 설치된 경우에는, 스윙 아암(132)의 시계 방향 회전이 일정한 위치에서 멈출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파킹이 완료되고,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에 의한 액츄에이터(130)의 로킹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스윙 아암(132)에 가해지던 회전 구동력이 제거되어도,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철심(213)과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 의해 스윙 아암(132)에 인가된 시계 방향 토르크에 의해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레버(220)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토르크가 상기 래치 레버(220)에 작용하므로,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상태가 보다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가 파킹된 상태에서, 제1철심(213)과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 의해 스윙 아암(132)에 인가된 토르크보다 큰 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이 디스크 드라이브에 가해지면, 스윙 아암(132)과 래치 레버(220)는 관성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래치 레버(220)의 후크(222)가 노치부(212)에 걸리게 됨으로써 스윙 아암(132)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 드라이브에 반시계 방향의 회전 충격이 가해지면, 스윙 아암(132)과 래치 레버(220)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관성력이 작용하게 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132)과 래치 레버(220)가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시계 방향의 회동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1철심(213)과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 의해 스윙 아암(132)에 인가된 토르크보다 작은 외부 충격이 디스크 드라이브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토르크에 의해 스윙 아암(132)의 회전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130)의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200)는 자력과 관성력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강한 외부 충격 뿐만 아니라 비교적 약한 충격과 진동에 대해서도 액츄에이터(130)를 신뢰성 있게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스윙 아암(132)의 후단부에 마련된 VCM 코일(137)에 인가하면, 스윙 아암(132)은 시계 방향 토르크를 이겨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래치 레버(220)는 제2철심(223)과 마그네트(138)의 돌출부(230)에 의해 인가된 시계 방향 토르크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윙 아암(132)의 노치부(212)가 래치 레버(220)의 후크(222)에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래치 레버(220)의 시계 방향 회동은 베이스 부재(110)의 측벽에 의해 제한된다. 즉, 베이스 부재(110)의 측벽이 래치 레버(220)의 시계 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래치 스탑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138)에 형성된 돌출부(230)에 의해 래치 레버(220)에 인가되는 시계 방향 토르크가 커져서 래치 레버(220)의 회전 속도가 종래에 비해 보다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스윙 아암(132)의 반시계 방향 회전 속도가 빨라도 스윙 아암(132)의 노치부(212)가 래치 레버(220)의 후크(222)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아서, 로킹 해제 동작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빠른 스윙 아암(132)의 회전 속도는 VCM 코일(137)에 큰 역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정된 서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장치는 램프 로딩 방식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CSS 방식의 디스크 드라이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에 의하면, 마그네트와 래치 레버의 제2철심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이 커져서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래치 레버가 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므로, 액츄에이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도 로킹 해제 동작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빠른 액츄에이터의 회전 속도는 VCM 코일에 큰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안정된 서보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는, 관성력과 마그네트의 누설 자속을 이용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강한 회전 충격 뿐만 아니라 비교적 약한 회전 충격과 진동에도 신뢰성 있는 동작이 가능하므로, 액츄에이터의 안정된 로킹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일 예의 구조와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의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다른 예의 구조와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가 구비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로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의 로킹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베이스 부재 112...스핀들 모터
120...디스크 130...액츄에이터
131...피봇 베어링 132...스윙 아암
133...서스펜션 134...슬라이더
135...엔드-탭 137...VCM 코일
138...마그네트 139...요크
140...램프 200...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212...노치부 213...제1철심
215...크래쉬 스탑 220...래치 레버
221...회동축 222...후크
223...제2철심 230...돌출부

Claims (9)

  1.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아암과,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결합된 VCM 코일과, 상기 VCM 코일에 대면하도록 배치된 마그네트를 가진 액츄에이터를 디스크 드라이브의 작동 정지시에 로킹시키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노치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시 상기 노치부에 걸리게 되는 후크가 마련된 래치 레버;
    상기 마그네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래치 레버쪽으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
    상기 스윙 아암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상기 스윙 아암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1철심; 및
    상기 래치 레버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발생된 누설 자속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에 제1방향의 토르크가 인가되도록 하는 제2철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시 제1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윙 아암에 접촉되어 제1방향의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에 의해 제1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스윙 아암의 제2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철심은 상기 액츄에이터가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돌출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는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에 작용하는 토르크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킹 해제시 상기 스윙 아암의 제2방향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래치 레버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의 제1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크래쉬 스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레버의 제1방향 회동을 제한하는 래치 스탑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벽이 상기 래치 스탑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2004-0001960A 2004-01-12 2004-01-12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532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60A KR100532493B1 (ko) 2004-01-12 2004-01-12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US10/981,651 US7286327B2 (en) 2004-01-12 2004-11-05 Actuator latch mechanism for hard disk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960A KR100532493B1 (ko) 2004-01-12 2004-01-12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853A KR20050073853A (ko) 2005-07-18
KR100532493B1 true KR100532493B1 (ko) 2005-11-30

Family

ID=3473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960A KR100532493B1 (ko) 2004-01-12 2004-01-12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86327B2 (ko)
KR (1) KR100532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251B1 (ko) * 2004-02-1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618857B1 (ko) * 2004-08-17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674985B1 (ko) 2005-07-21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817051B1 (ko) * 2005-11-05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리트랙트 방법, 이를 적용한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 매체
JP2007172801A (ja) * 2005-12-26 2007-07-05 Fujitsu Ltd 記録媒体駆動装置
KR100843235B1 (ko) * 2007-01-30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818644B1 (ko) * 2007-01-31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추에이터 래치장치 및 그를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KR100809720B1 (ko) * 2007-02-01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809723B1 (ko) * 2007-02-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843237B1 (ko) * 2007-02-12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JP4256445B1 (ja) * 2007-12-27 2009-04-22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駆動装置
JP4473924B1 (ja) * 2008-12-12 2010-06-02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駆動装置
US8116040B2 (en) 2009-05-13 2012-02-14 Seagate Technology Llc Latch assembly for a head or head assembly
US9177578B1 (en) 2015-02-13 2015-11-03 HGST Netherlands B.V. Hard disk drive voice coil actuator lat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261A (en) 1993-11-10 1994-1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actuator latch
US5448436A (en) 1994-03-14 1995-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with shock-resistant rotary actuator
US5663855A (en) * 1994-10-17 1997-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latching apparatus for an actuator of a hard disk drive
JPH102001A (ja) 1996-06-15 1998-01-0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
US6535357B1 (en) * 1998-06-05 2003-03-18 Seagate Technology Llc Latch for disc drives
JP2000222838A (ja) 1999-01-29 2000-08-11 Toshiba Corp アクチュエータのラッチ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記録再生装置
KR20020001835A (ko) 1999-04-21 2002-01-09 추후 디스크 드라이브용 액츄에이터 랫치
JP2002100140A (ja) 2000-09-25 2002-04-05 Toshiba Corp 慣性ラッチ機構及びアクチュエータロック機構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磁気ディスク装置
US7050269B2 (en) * 2002-08-12 2006-05-23 Seagate Technology Llc Assembly for facilitating latch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86327B2 (en) 2007-10-23
KR20050073853A (ko) 2005-07-18
US20050152069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5679B2 (en) Disk drive actuator latch apparatus having elastic damping arm
KR100674985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532493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JP5042056B2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アクチュエータラッチ装置及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843237B1 (ko)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JP2005353265A (ja) ディスクドライブのアクチュエータラッチ装置,ラッチ組立体,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スイングアームのロッキングおよびアンロッキング方法
US7532439B2 (en) Hard disk drive actuator latch apparatus having an inclined surface
KR10050570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싱글 레버형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100833539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및 그를구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US8159788B2 (en) Actuator latch system of hard disk drive including a latch lever having two offset hooks at an end of the latch lever
KR20110080596A (ko)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와 이를 구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843235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JP5165506B2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アクチュエータラッチ装置
KR100555566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US20070195465A1 (en) Actuator apparatus of a hard disk drive
KR20080079931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
KR20110009556A (ko) 비접촉식 액츄에이터 래치 장치와 이를 구비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