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187B1 -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187B1
KR100530187B1 KR10-2003-0062990A KR20030062990A KR100530187B1 KR 100530187 B1 KR100530187 B1 KR 100530187B1 KR 20030062990 A KR20030062990 A KR 20030062990A KR 100530187 B1 KR100530187 B1 KR 10053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tewater
holes
storage device
was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586A (ko
Inventor
박길웅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3-006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1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는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관과 폐수를 분해하는 미생물접촉여재가 아래로부터 차례로 설치되는 다수의 폭기조를 구비하여 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정화장치에 있어서, 폭기조 내의 산기관 상부에 다수의 분산판을 이격 설치하되, 상기 분산판에는 다수의 통공과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기체류용기가 다수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둘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분산판에 의해 공기의 상승 속도가 저하됨과 더불어 다수의 통공으로 통과하면서 공기의 입자가 작아지고 공기체류용기에 공기가 저장되어 폐수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의 접촉면적과 체류시간을 증대하여 폭기조 내의 폐수를 용이하게 정화 처리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STORAGE DEVICE OF DIFFUSING AIR USED IN PATHWAY CIRCULATING TREATMENT DEVICE FOR WASTE WATER}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접촉면적과 체류시간을 증대하여 폐수를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하수, 오수, 분뇨 및 쓰레기 침출수 등과 같은 폐수는 하천 등에 방류하기 전에 이를 정화 처리하게 되며, 정화된 폐수를 하천 등에 방류하면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자연환경의 파괴를 줄이게 된다.
즉 종래에는 하수, 오수, 분뇨 및 쓰레기 침출수 등과 같은 폐수는 일차적으로 잔존물처리장치에 의해 잔존물이 제거되고, 잔존물이 제거된 폐수는 폐수처리장치로 정화하여 하천으로 방류된다.
종래의 폐수처리장치는 하나의 본체 내에 다수의 격판을 형성하여, 잔존물이 제거된 폐수를 내장하는 유량조정조, 폭기되는 공기에 의하여 미생물을 활성화하는 다수의 폭기조, 뒤집어진 원뿔 형상의 침전오니집합부를 내장하여 오니를 침전시키는 침전조를 차례로 형성하게 되며, 침전조에서 유출되는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한 방류조 등이 분할되며, 이에 따라 정화된 폐수가 방류조를 통하여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폭기조의 내측 하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관이 구비되어 폭기조에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폭기조에는 미생물이 부착 서식하면서 폐수를 산화 분해하여 이를 정화 처리하는 미생물접촉여재가 내장된다.
물론 상기 미생물접촉여재는 적절한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 등으로 폐수를 처리하고, 비표면적이 커서 미생물이 많이 부착 서식되어야 함과 더불어 적절한 탈리 작용과 부하 변동이나 충격에 강해야 하며, 모든 생물학적 폐수 처리에 적합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폐수가 유량조정조, 다수의 폭기조, 침전조를 차례로 경유하여 정화되며, 침전조에서 침전된 오니를 유량조정조로 재투입함과 더불어 정화된 처리수를 방류조로 월류시켜 외부로 방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폐수는 다수의 폭기조에서 산소와 접촉함과 더불어 미생물접촉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하여 정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폭기조에 설치된 산기관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단순히 폭기조 내의 폐수의 하부에 바로 공급되기 때문에, 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바로 상승하게 되어 폭기조 내에서 폐수에 체류되는 공기의 체류 시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공기와 폐수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폐수의 정화 처리 능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흐름을 지연함과 더불어 폐수 내부에 공기를 체류시킴으로써 공기의 접촉면적과 체류시간을 증대하여 폐수를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관과 폐수를 분해하는 미생물접촉여재가 아래로부터 차례로 설치되는 다수의 폭기조를 구비하여 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정화장치에 있어서, 폭기조 내의 산기관 상부에 다수의 분산판을 이격 설치하되, 상기 분산판에는 다수의 통공과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기체류용기가 다수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둘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수중공기 저장장치는 일 예로서 유량조정조(1), 다수의 폭기조(2), 침전조(3), 방류조(4)를 구비한 폐수처리장치에서, 공기를 폐수의 하부에 분사하는 산기관(5)과 폐수를 분해하는 미생물접촉여재(6)가 차례로 설치되는 다수의 폭기조(2) 내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는 상기 폭기조(2) 내의 산기관(5) 상부에 다수의 분산판(10)을 이격 설치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분산판(10)에는 다수의 통공(10a)과 다수의 관통구(10b)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기체류용기(10c)가 다수의 관통구(10b)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둘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10b)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는 공지와 같이, 월류구(7a)를 각각 보유한 다수의 격판(7)을 하나의 본체(10) 내에 이격 설치하여, 잔존물이 제거된 폐수를 내장 체류하는 유량조정조(1), 포기되는 공기에 의하여 미생물을 활성화하는 다수의 폭기조(2), 뒤집어진 원뿔 형상의 침전오니집합부(3a)를 형성하여 오니를 침전시키는 침전조(3), 침전조(3)에서 유출되는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조(4)를 차례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3)의 침전오니집합부(3a)의 오니와 폐수를 순환펌프(8)를 이용하여 상기 유량조정조(1)로 재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과 같은 폐수를 잔존물 처리장치(미도시)로 처리하여 잔존물이 제거된 폐수를 유량조정조(1)에 투입하면, 상기 유량조정조(1)의 폐수가 다수의 폭기조(2), 침전조(3), 방류조(4)를 차례로 경유하여 폐수가 미생물에 의하여 정화 방류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에서 폐수의 체류시간을 두어 폐수가 충분히 교반되어 균일한 BOD, SS 농도를 유지시킴과 더불어 폭기조에 항상 일정한 폐수를 공급하여 폭기조의 기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에서 폭기조(2)로 이송한 폐수는 산기관(5)에서 분사되는 공기와 접촉함과 더불어 미생물접촉여재(6)에 의해 분해된다.
이 때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분산판(10)에 의하여 산기관(5)에서 분사된 공기의 상승이 방해되어 공기의 상승 속도가 낮아지게 되며, 상기 분산판(10)에 구비된 다수의 통공(10a)을 통하여 공기가 상승함과 더불어 관통구(10b)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체류용기(10c)에 가두어진다.
그러면 상기 산기관(5)으로부터 분사된 공기가 통공(10a)을 통과하면서 더욱 미세하게 분할되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분산판(10)을 통과한 공기는 상측에 위치한 분산판(10)에 의해 공기의 상승이 방해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게 된다.
물론 도면과 같이, 상기 산기관(5)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분산판(10)의 일측에 공급하고,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분산판(10)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분사공기가 분사판(10)의 하부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다수의 통공(10a)을 통과하여 공기의 체류시간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기관(5)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분산 분사하여 분산판(10)의 하부에 분사할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아무튼 다수의 폭기조(2)를 통과하면서 처리된 처리수가 침전조(3)로 흐르고 침전물과 일부의 처리수가 순환펌프(8)에 의해 유량조정조(1)로 리턴됨과 더불어 방류조(4)로 흘러서 외부로 방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산판(10)에 의해 공기의 상승 속도를 저하시켜서 공기와 폐수의 접촉 시간을 증대하여 공기의 이용률을 높이고 호기성 미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량을 증대하게 된다.
그리고 분산판(10)에 구비된 공기체류용기(10c)에 공기가 저장되므로 폐수에 위치하는 공기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폐수와 공기의 접촉 시간을 더욱 증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는 다수의 분산판에 의해 공기의 상승 속도가 저하됨과 더불어 다수의 통공으로 통과하면서 공기의 입자가 작아지고 공기체류용기에 공기가 저장되어 폐수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의 접촉면적과 체류시간을 증대하여 폭기조 내의 폐수를 용이하게 정화 처리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중공기 저장장치가 적용되는 폐수처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의 일 예가 적용되는 폭기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의 다른 예가 적용되는 폭기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의 또다른 예가 적용되는 폭기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폭기조
5 : 산기관
10 : 분산판
10a : 통공
10b : 관통구
10c : 공기체류용기

Claims (2)

  1. 공기를 분사하는 산기관과 폐수를 분해하는 미생물접촉여재가 아래로부터 차례로 설치되는 다수의 폭기조를 구비하여 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정화장치에 있어서,
    폭기조 내의 산기관 상부에 다수의 분산판을 이격 설치하되, 상기 분산판에는 다수의 통공과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공기체류용기가 다수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둘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분산판의 일측에 공급하고,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분산판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KR10-2003-0062990A 2003-09-09 2003-09-09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KR10053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90A KR100530187B1 (ko) 2003-09-09 2003-09-09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990A KR100530187B1 (ko) 2003-09-09 2003-09-09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86A KR20050026586A (ko) 2005-03-15
KR100530187B1 true KR100530187B1 (ko) 2005-11-22

Family

ID=3738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990A KR100530187B1 (ko) 2003-09-09 2003-09-09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8B1 (ko) * 2011-01-25 2013-02-19 (주)으뜸산업 오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586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08B1 (ko)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100253159B1 (ko) 반응 충전물의 화학 반응과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311712B1 (ko) 여재가 투입된 회분식 반응조(sbbr)를 이용한 부분 아질산화와 이를 이용한 단축질소제거 오폐수 처리장치 및 시스템
JP2000000596A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H02214597A (ja) 汚水の硝化処理装置
KR101678202B1 (ko) 폐기물 매립장용 침출수 처리 시스템
KR101872161B1 (ko)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US6773596B2 (en) Activated sludge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ffluent with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KR100530187B1 (ko) 폐수처리장치용 수중공기 저장장치
KR200364601Y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JP3263267B2 (ja) 浄化槽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40211722A1 (en) Wastewater treatment unit
KR20040064579A (ko)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JP3150530B2 (ja) 生物学的窒素除去装置
RU173044U1 (ru) Устройство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898183B1 (ko) 복합담체와 분사수류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질소 제거 방법
RU1730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13661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удаления из сточных вод орган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соединений азота и фосфора
JP2020018966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2670533B1 (ko) 하폐수의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US20120181233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200282878Y1 (ko) 폐수처리장치용 폭기공기 분산장치
JP3220927B2 (ja) 硝化・脱窒装置
JPH1094794A (ja) 有機性排水の嫌気性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