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134B1 -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134B1
KR100530134B1 KR10-2003-0090461A KR20030090461A KR100530134B1 KR 100530134 B1 KR100530134 B1 KR 100530134B1 KR 20030090461 A KR20030090461 A KR 20030090461A KR 100530134 B1 KR100530134 B1 KR 10053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racket
mount structure
assembly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544A (ko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1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5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63Floor elements for rep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 브라켓에 탄성 거동을 유발시켜 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커버의 실링(sealing)면 위로 직접 힘을 가하게 되어 실링성 및 장착성이 우수하고, 고정 브라켓만 차체에 용접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도록 차량의 센터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엔진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터 플로어와의 사이에 러버가 개재되어 마운트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둘레에는 다수의 조립 브라켓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센터 플로어에는, 상기 조립 브라켓이 결합되면 이를 하부로 밀어내는 봉 형태의 홀더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조립 브라켓의 단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Cover mount structure of a car}
본 발명은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조립 브라켓에 탄성 거동을 유발시켜 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커버의 실링(sealing)면 위로 직접 힘을 가하게 되어 실링성 및 장착성이 우수하고, 고정 브라켓만 차체에 용접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도록 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 박스 카(one box car)는 엔진이 운전석 하부에 위치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센터 플로어에는 엔진 및 각종 휴즈 박스를 서비스하기 위한 홀이 있고, 이 홀을 덮는 커버가 필요하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 커버 마운트 구조의 단점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 마운트 구조는 커버(1')의 일정 영역에 다수의 스트라이커(2')가 용접되어 있고, 타측에는 다수의 고정 브라켓(3')이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스트라이커(2')는 센터 플로어(4')의 고정홈(5')에 결합되고, 다수의 고정 브라켓(3')은 볼트 및 너트(6')로 센터 플로어(4')에 직접 고정된다. 한편, 상기 커버(1')의 둘레 하부와 센터 플로어(4') 사이에는 방음 및 방진을 위한 러버(7')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커(2') 및 고정 브라켓(3')에 의해 상기 커버(1')와 센터 플로어(4')는 상기 러버(7')에 밀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버 마운트 구조는 커버 장착이 커버에 용접된 고정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형태로서, 커버 고정시의 장착력은 커버의 러버에 의한 반발력과의 거리에 의해 모멘트가 발생하여 커버를 볼록한 형태로 변형시켜 실링 성능을 저하시킨다. 즉, 장착력이 러버 위에 직접 가해지지 않는 비효율적인 구조이다.
또한, 너트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이게 되어 있는데, 이 경우 각 나비 너트를 조이는 양을 작업자가 같게 하기 어려워 각 고정부의 장착력이 달라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실링 성능이 떨어진다.
더불어, 고정 브라켓이 커버에 용접되기 때문에 장착력의 결정은 너트의 조임량으로만 조절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선택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브라켓에 탄성 거동을 유발시켜 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커버의 실링면 위로 직접 힘을 가하게 되어 실링성 및 장착성이 우수하고, 고정 브라켓만 차체에 용접되어 공정수가 감소되도록 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엔진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터 플로어와의 사이에 러버가 개재되어 마운트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둘레에는 다수의 조립 브라켓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센터 플로어에는, 상기 조립 브라켓이 결합되면 이를 하부로 밀어내는 봉 형태의 홀더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조립 브라켓의 단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봉 형태의 홀더가 결합되어 상,하부로 일정 간격 움직일 수 있도록 L자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봉형태의 홀더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기 조립 브라켓이 최초로 결합될 때에는 홀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조립 브라켓의 단부가 걸림돌기 위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고, 이후에는 상기 홀더가 홀의 하부로 움직인 채 고정되어 상기 홀더가 조립 브라켓의 일정 영역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걸림돌기는 하방향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는 조립 브라켓의 탄성 거동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커버의 실링면 위로 장착력이 가해져 종래 방식의 모멘트 발생에 의한 커버 변형량이 적어 장착성 및 실링 성능이 향상된다.
더욱이, 작업자의 너트 조임량이 각각 달라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조립 브라켓의 탄성 거동에 의해 장착력이 결정되므로 각 고정점에서의 장착력이 일정하여 장착성 및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장착력이 조립 브라켓의 기하학적 특성(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므로 장착력 선택 범위가 넓고 애프터 서비스에 유연성이 우수하다.
더불어, 종래의 방식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해 차체에 홀을 뚫어 볼트를 용접하고 브라켓을 커버에 용접하는 여러 공정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고정 브라켓만을 용접하면 되므로 공정수가 감소하는 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고정 브라켓에 결합된 홀더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를 참조하면, 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센터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엔진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터 플로어와의 사이에 러버(1)가 개재되어 마운트되는 차량의 커버(2)에는 둘레에 다수의 조립 브라켓(3)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 브라켓(3)과 대응되는 위치의 센터 플로어에는 다수의 고정 브라켓(4)이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의 조립 브라켓(3)은 상기 센터 플로어의 고정 브라켓(4)에 용이하게 결합, 고정 및 분리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4)에는 상기 봉 형태의 홀더(5)가 결합되어 상,하부로 일정 간격 움직일 수 있도록 대략 L자 형태의 홀(4a)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 브라켓(4)에는 상기 조립 브라켓(3)이 결합되면 이를 하부로 밀어내는 봉 형태의 홀더(5)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조립 브라켓(3)의 단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걸림돌기(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4)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b)는 하방향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립 브라켓(3)의 단부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조립 브라켓의 삽입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고정 브라켓의 홀더 하강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를 참조하면,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의 조립 브라켓(3)은 대략 평판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어 판넬에 형성된 고정 돌기(4b)에 수평하게 끼워진다. 이때 봉 형태의 홀더(5)는 상부로 위치되어 상기 조립 브라켓(3)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립 브라켓(3)의 단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4)의 걸림 돌기(4b) 위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브라켓(3)의 단부가 고정 브라켓(4)의 걸림 돌기(4b) 위에 안착된 후에는 봉 형태의 홀더(5)를 L자 형태의 홀(4a) 하단부로 움직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홀더(5)와 접촉되는 조립 브라켓(3)이 하강하여 소정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홀(4a)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홀(4a)의 하단부로 홀더(5)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립 브라켓(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력이 아니면 상기 홀더(5)가 다시 상승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 브라켓(3)이 하강하여 휘어지게 되면, 상기 조립 브라켓(3)의 탄성 거동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커버(2) 및 조립 브라켓(3)이 러버(1)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는 조립 브라켓의 탄성 거동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커버의 실링면 위로 장착력이 가해져 종래 방식의 모멘트 발생에 의한 커버 변형량이 적어 장착성 및 실링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작업자의 너트 조임량이 각각 달라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본 발명은 조립 브라켓의 탄성 거동에 의해 장착력이 결정되므로 각 고정점에서의 장착력이 일정하여 장착성 및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력이 조립 브라켓의 기하학적 특성(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므로 장착력 선택 범위가 넓고 애프터 서비스에 유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의 방식은 너트로 고정시키기 위해 차체에 홀을 뚫어 볼트를 용접하고 브라켓을 커버에 용접하는 여러 공정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고정 브라켓만을 용접하면 되므로 공정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 단면도이며, 도 1c는 종래 커버 마운트 구조의 단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고정 브라켓에 결합된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조립 브라켓의 삽입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서 고정 브라켓의 홀더 하강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러버 2; 커버
3; 조립 브라켓 4; 고정 브라켓
4a; 홀 4b; 걸림돌기
5; 홀더

Claims (4)

  1. 차량의 센터 플로어 하부에 위치된 엔진 등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센터 플로어와의 사이에 러버가 개재되어 마운트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둘레에는 다수의 조립 브라켓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 브라켓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센터 플로어에는, 상기 조립 브라켓이 결합되면 이를 하부로 밀어내는 봉 형태의 홀더가 결합된 동시에, 상기 조립 브라켓의 단부를 상부로 밀어내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이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봉 형태의 홀더가 결합되어 상,하부로 일정 간격 움직일 수 있도록 L자 형태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태의 홀더는 상기 고정 브라켓에 상기 조립 브라켓이 최초로 결합될 때에는 홀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조립 브라켓의 단부가 걸림돌기 위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고, 이후에는 상기 홀더가 홀의 하부로 움직인 채 고정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조립 브라켓의 일정 영역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걸림돌기는 하방향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KR10-2003-0090461A 2003-12-12 2003-12-12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KR100530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61A KR100530134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61A KR100530134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44A KR20050058544A (ko) 2005-06-17
KR100530134B1 true KR100530134B1 (ko) 2005-11-21

Family

ID=3725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461A KR100530134B1 (ko) 2003-12-12 2003-12-12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1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544A (ko) 200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4806B1 (ko)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KR100530134B1 (ko) 차량의 커버 마운트 구조
JP2004034969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465206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200142075Y1 (ko) 외부 장착용 릴레이 조립체
KR100439820B1 (ko) 자동차용 콘솔 어퍼 커버와 a/t 인디케이터의 매칭구조
KR100324696B1 (ko) 자동차용 카울 탑 커버
JP2003254158A (ja) 自動車のエンジン構造
KR0133993Y1 (ko) 자동차의 그로메트 조립체
JP2005112264A (ja) 車両用カウル構造
KR960005109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마운팅클립
KR0140659Y1 (ko) 안내편을 갖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20060082909A (ko)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브라켓 어셈블리
KR20230089316A (ko) 자동차용 가니쉬 조립체
KR100188599B1 (ko) 콘솔박스의 고정구조
KR19980054344U (ko) 엔진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200291316Y1 (ko)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조립체
KR100502145B1 (ko) 자동차의 에어 댐 장치
KR100817214B1 (ko) 자동차 휴즈박스의 소음방지 구조
JPH0616846Y2 (ja) 車両の補器部材組付構造
KR19980035909A (ko) 자동차의 러버 마운팅 조립구조
KR200158005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조립구조
JP2009073341A (ja) 車両の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KR200242580Y1 (ko) 화물 차량용 에어 스포일러 고정장치
KR20230060693A (ko) 자동차용 필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