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8015B1 -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8015B1
KR100528015B1 KR10-2003-0091932A KR20030091932A KR100528015B1 KR 100528015 B1 KR100528015 B1 KR 100528015B1 KR 20030091932 A KR20030091932 A KR 20030091932A KR 100528015 B1 KR100528015 B1 KR 10052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suction head
cleaning
inle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332A (ko
Inventor
송용곤
Original Assignee
광동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015B1/ko
Priority to DE102004060373A priority patent/DE102004060373B4/de
Priority to JP2004364240A priority patent/JP2005177485A/ja
Priority to US11/014,610 priority patent/US20050125942A1/en
Priority to CNB2004101042120A priority patent/CN1302745C/zh
Publication of KR20050060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흡입헤드를 이용하여 카펫트와 같은 침구류를 타격함으로써 그들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떨어내는 침구류 먼지떨이 기능과, 거실이나 방바닥과 같은 딱딱한 곳을 청소할 수 있는 일반 청소기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들(21,22)로 이루어지며, 청소기 본체(1)와 연통되는 연결부재(430)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430)에 인접된 하부케이스(22)에는 청소물 흡입구(12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121)의 전방에는 터빈(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122)와 청소물 흡입구(121) 사이에는 터빈수납실(123)과, 다수의 슬라이딩 홀들(124)이 형성된 흡입헤드 본체(20); 다수개의 블레이드들(31)을 구비하며 상기 터빈수납실(123)내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122)의 개방 시에만 회전되는 터빈(30); 상기 흡입헤드 본체(20)의 하부케이스(22)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홀들(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부재들(40); 및 상기 터빈(30)의 양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터빈(30)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타격부재들(40)을 상기 슬라이딩 홀들(124)내에서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도록 한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개의 흡입헤드를 이용하여 카펫트와 같은 침구류를 타격함으로써 그들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떨어내는 침구류 먼지떨이 기능과, 거실이나 방바닥과 같은 딱딱한 곳을 청소할 수 있는 일반 청소기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터 등이 내장되어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에서의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헤드(2), 그리고 본체(1)와 흡입헤드(2)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호스(3) 및 연장관(4)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5)에 설치된 스위치(6)를 조작하여 진공청소기를 동작시키면, 본체(1) 내의 모터가 동작하여 흡입작동을 행하고,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헤드(2)의 바닥면에 형성된 흡입구(2a)를 통해 먼지가 흡입되고, 흡입된 먼지는 연장관(4)과 연결호스(3)를 통해 본체(1) 내의 집진실(도시되지 않음)에 집진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바닥면을 청소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흡입헤드(2)가 채용되나, 청소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흡입헤드(2)를 채용하여 청소하기가 불편한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흡입헤드(2)는 연장관(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사용자가 임의로 다른 형태의 흡입헤드를 장착하여 먼지 흡입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흡입헤드(2)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이불이나 커튼 등 표면이 유연하여 변형이 되기 쉬운 청소물을 청소할 경우, 흡입 헤드(2)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2a)에 청소물(L)의 일부가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이럴 때 계속적인 청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흡입 헤드(2)의 흡입구(2a)로 빨려 들어간 청소물(L)을 손으로 떼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흡입헤드(2)의 흡입구(2a)가 청소물(L)에 의해 막히게 될 경우, 진공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청소기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형태의 흡입헤드로는 침구류, 이불, 카펫트 등과 같은 직물로 제조된 제품을 청소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 있는바, 이러한 직물 청소용 흡입헤드는 흡입헤드가 직물 위에서 이동될 때 회전하는 회전롤러를 구비한 것들이 있다.
이러한 직물 등의 청소에 적합한 흡입헤드들이 있는바, 예컨대 영국특허 제961,455호에는 다수의 솔들이 붙어 있는 원통형의 청소용 롤러의 일측에 캠을 형성하고, 롤러의 회전시 상기 캠과 연동하는 보스가 구비된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에는 수직적으로 작동하는 아암을 장착시킴으로써 원통형 롤러의 회전 시 판스프링에 의해 아암이 승강하여 카펫에 붙어 있던 먼지 등을 떨어주도록 한 카펫 먼지떨이 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원통형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컨대, 모터와, 벨트 등을 필요로 하고, 또한 청소기의 작동 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간에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5598호에는 이불, 커튼 등의 침구류의 청소 시 피청소물이 흡입헤드의 흡입구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청소면을 타격함으로써 피청소면에 내재된 먼지를 떨어낼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흡입구 상부에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의 모터의 흡인력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의 양단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터빈의 회전 구동 시 흡입구를 통하여 피청소면을 타격하는 타격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 진공청소기는 카펫트나 침구류 전용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으로서 거실 바닥과 같이 딱딱한 곳을 청소할 경우에는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타격부재가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청소기 본체의 모터 작동 시에는 터빈이 계속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44213호에는 진공청소기용 모터의 작동시 항상 회전하는 터빈과 벨트로서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에 캠부재를 연결하고, 이 캠부재가 요동부재의 먼지떨이용 돌기를 승하강 시킴으로써 침구류 등에 붙어 있는 먼지를 떨어내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이 개시되어 있는바, 진공청소기가 작동 중에는 항상 터빈이 작동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거실 바닥 또는 방바닥을 청소할 경우에는 먼지떨이용 돌기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0073350호에는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흡입공기에 의해 항시 작동하는 터빈의 회전력을 벨트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의 외주연에 다수의 캠들을 형성하고,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캠들이 돌출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돌출부재가 청소물을 눌러주어 청소물에 붙어 있던 먼지를 떨어줌과 동시에 청소물이 흡입헤드의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출원 발명은 터빈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별도의 벨트 및 기어와 같은 구동수단이 소요되어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었고, 진공청소기가 작동 중에는 항상 터빈이 작동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거실 바닥 또는 방바닥을 청소할 경우에는 돌출부재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불이나 카펫, 커튼 등 표면이 유연한 청소물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물이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그 청소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펫이나 이불과 같은 침구류를 청소할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하고, 거실 바닥이나 방바닥과 같은 곳을 청소할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바닥이나 거실 바닥을 청소할 경우에는 터빈이 회전하지 않더라도 청소물 흡입구를 통해 먼지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으며, 침구류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터빈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그곳에 붙어 있던 먼지들을 떨어내면서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1개의 청소기로써 2가지 방식의 청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들로 이루어지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는 연결부재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인접된 하부케이스에는 청소물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는 터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청소물 흡입구 사이에는 터빈수납실과, 다수의 슬라이딩 홀들이 형성된 흡입헤드 본체 다수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터빈수납실내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방 시에만 회전되는 터빈 상기 흡입헤드 본체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홀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부재들 및 상기 터빈의 양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터빈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을 상기 슬라이딩 홀들 내에서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도록 한 가압부재를 포함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압부재는, 타격부재들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는 다수의 캠들을 구비한 캠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캠축에 형성된 각각의 캠은, 캠축의 1 회전 시 해당 타격부재를 2회 가압하도록 상기 캠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이 청소물을 동시에 타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캠들은, 캠축의 1 회전 시 해당 타격부재를 1회 가압하도록 상기 캠축의 외주연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이 청소물을 순차적으로 타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헤드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 되어 있는바, 도3에 있어서 도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입헤드는 본체(20)로 구성되는데, 이 본체(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들(21,22)로 이루어지며, 청소기 본체(1)와 연통되는 연결부재(430)가 일측에 장착되고, 연결부재(430)에 인접된 하부케이스(22)에는 청소물 흡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구(121)의 전방에는 터빈(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22)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유입구(122)와 청소물 흡입구(121) 사이에는 터빈수납실(123)과, 다수의 슬라이딩 홀들(124)이 형성되어 있다.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헤드본체(20)에는 투시창(20a)이 구비되어 터빈(30)에 먼지가 많이 묻어 있는가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터빈(30)은 다수개의 블레이드들(31)을 구비하며 터빈수납실(123)내에 수납되어 공기유입구(122)의 개방 시에만 회전되도록 하였는바,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이용되는 터빈은 진공청소기가 방바닥이나 거실과 같은 곳의 청소 시에도 작동되었으나, 본 발명에 이용되는 터빈(30)은 상부케이스(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125)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공기유입구(122)가 개방되었을 경우에만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터빈(30)은 노브(125)가 열렸을 경우에만 회전되어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펫트나 이불과 같은 침구류를 타격하여 먼지 등을 흡입하고, 거실이나 방바닥과 같은 곳을 청소할 경우에는 터빈(30)이 작동하지 않는 대신에 청소물 흡입구(121)를 통해서만 먼지나 청소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하부케이스(22)의 각각의 슬라이딩 홀들(124) 내에는 머리부(41)와 기둥부(42)를 구비한 타격부재들(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타격부재들(40)은 가압부재에 의해 청소물을 타격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압부재는 터빈(30)의 양단에 연장 설치되며 터빈(30)과 함께 회전되어 타격부재들(40)을 슬라이딩 홀들(124) 내에서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는, 타격부재들(40)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는 다수의 캠들(131)을 구비한 캠축(13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 및 도7a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캠(131)은, 캠축(130)의 1 회전시 해당 타격부재(40)를 2회 가압하도록 캠축(130)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타격부재들(40)이 청소물을 동시에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캠(131)은 캠축(131)의 외주연에 2개가 형성됨으로써 캠축(130)의 1 회전시 타격부재(40)는 청소물을 2번 가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캠축(130)의 내부에는 회전축(133)이 고정되며, 회전축(133)의 양단부에는 베어링(134)이 축설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2)의 저면에는 흡입 헤드 본체(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140) 및 보조 바퀴(141)가 설치되며, 진공청소기 본체의 모터 구동 시 청소물은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카펫트나 이불과 같은 침구류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125)를 도6a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올려 공기유입구(122)를 개방시킨다. 그런 다음 도3에 도시된 전원스위치(6)를 작동시키면 진공청소기가 구동되는바, 이때 진공청소기 본체에 구성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흡입구(12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되고,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터빈(70)이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카펫트 등의 청소물(L)의 청소면상에 흡입 헤드(20)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경우, 청소물(L)에 달라붙어 있던 먼지 및 이물질이 공기와 함께 흡입구(121)와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빨려 들게 된다.
한편, 공기유입구(12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터빈 수납실(123)로 유입되면서 터빈(30)을 회전시킨다. 터빈(30)이 회전됨으로써 캠축(130)도 회전되는바, 캠축(130)의 회전으로 그 외주면에 구비된 캠(131)이 타격부재(40)를 가압한다.
타격부재(40)에 가압력이 가해지면 그 기둥부(142)가 슬라이딩홀(124) 하부로 돌출되면서 흡입구(121)로 빨려 들어가려는 청소물(L)을 도7a와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방향으로 끌어 내리므로써 흡입구(121)는 청소물(L)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고, 청소물에 달라 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입구(121)(122)를 통해 원활하게 흡입되며, 터빈(30)에 의한 흡입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125)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격부재(40)가 청소면을 타격함에 따라 청소물(L)에 고착되어 있거나 내재되어 있던 먼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렇게 외부에 노출되는 먼지는 흡입구(121(122)를 통해 공기와 함께 진공청소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작용을 하는 타격부재(40)는 청소물이 흡입구(121)를 통해 진공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청소물의 표면을 타격하여 청소물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비상시킴으로써,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거실이나 방바닥과 같은 곳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125)를 도6b과 같이 밀어 내려 공기유입구(122)가 닫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3에 도시된 전원스위치(6)를 작동시키면 진공청소기가 구동되는바, 이때 진공청소기 본체에 구성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흡입구(121)만을 통해 공기 및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125)가 닫혀 있음으로써 터빈(30)은 전혀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타격부재(40)는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노브(125)를 개방함으로써 터빈이 회전하여 타격부재(40)가 카펫트와 같은 침구류를 타격함으로써 그들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떨어내는 침구류 전용 청소기와, 노브(125)를 닫아 터빈이 회전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거실이나 방 바닥과 같은 딱딱한 곳을 청소할 수 있는 일반 청소기로 사용할 수 있는 이중의 효과가 있다.
도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 되어 있는바, 이는 캠축(230)의 1회전시 해당 타격부재(40)를 1회 가압하도록 캠축(230)의 외주연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들(40)이 청소물을 순차적으로 타격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8에 있어서 도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의 필수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캠축(230)에는 다수의 캠(231)(232)(233)(234)(235)(236)이 대략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캠축(230)의 회전시 타격부재(40)가 이들 캠에 의해 순차적으로 눌려지게 됨으로써 침구류 등을 순차적으로 타격하여 먼지를 떨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흡입헤드를 이용하여 카펫트와 같은 침구류를 타격함으로써 그들에 묻어 있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떨어내는 침구류 먼지떨이 기능과, 거실이나 방바닥과 같은 딱딱한 곳을 청소할 수 있는 일반 청소기 기능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캠에 의해 작동하는 타격부재를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캠축의 외주연에 형성된 캠들의 개수는 도시된 것 보다도 적거나 많을 수도 있고, 캠축의 1회전 시 동시에 수회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형 청소기에 채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시 되지 않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및 소형 진공청소기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헤드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흡입헤드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6a와 도6b는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터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7a와 도7b는 먼지떨이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흡입헤드 본체 21: 상부케이스
22: 하부케이스 30: 터빈
40: 타격부재 41: 머리부
42: 기둥부 121: 청소물흡입구
122: 공기유입구 123: 터빈수납실
124: 슬라이딩홀 125: 유입공기 조절용 노브
130,230: 캠축
131,231,232,233,234,235,236: 캠
133: 회전축 134: 베어링
140,141: 바퀴

Claims (4)

  1.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들로 이루어지며, 청소기 본체와 연통되는 연결부재가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인접된 하부케이스에는 청소물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는 터빈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그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청소물 흡입구 사이에는 터빈수납실과, 다수의 슬라이딩 홀들이 형성된 흡입헤드 본체;
    다수개의 블레이드들을 구비하며 상기 터빈수납실내에 수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의 개방 시에만 회전되는 터빈;
    상기 흡입헤드 본체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홀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타격부재들; 및
    상기 터빈의 양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터빈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을 상기 슬라이딩홀들 내에서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도록 한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타격부재들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청소물을 타격하는 다수의 캠들을 구비한 캠축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캠은,
    상기 캠축의 1회전 시 해당 타격부재를 2회 가압하도록 상기 캠축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이 청소물을 동시에 타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들은,
    캠축의1회전 시 해당 타격부재를 1회 가압하도록 상기 캠축의 외주연에 소정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들이 청소물을 순차적으로 타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2003-0091932A 2003-12-16 2003-12-16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052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32A KR100528015B1 (ko) 2003-12-16 2003-12-16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DE102004060373A DE102004060373B4 (de) 2003-12-16 2004-12-15 Saugkopf für Staubsauger
JP2004364240A JP2005177485A (ja) 2003-12-16 2004-12-16 真空掃除機の吸入ヘッド
US11/014,610 US20050125942A1 (en) 2003-12-16 2004-12-16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CNB2004101042120A CN1302745C (zh) 2003-12-16 2004-12-16 真空吸尘器的吸入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932A KR100528015B1 (ko) 2003-12-16 2003-12-16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332A KR20050060332A (ko) 2005-06-22
KR100528015B1 true KR100528015B1 (ko) 2005-11-15

Family

ID=346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32A KR100528015B1 (ko) 2003-12-16 2003-12-16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25942A1 (ko)
JP (1) JP2005177485A (ko)
KR (1) KR100528015B1 (ko)
CN (1) CN1302745C (ko)
DE (1) DE102004060373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647A3 (ko) * 2009-11-27 2011-07-21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다기능 진공청소기
KR101933430B1 (ko) * 2018-03-29 2019-01-04 김민수 자가발전이 가능한 침구청소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483B1 (ko) * 2006-06-05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282449B1 (ko) * 2006-06-05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0824944B1 (ko) * 2006-12-27 2008-04-28 김유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JP4512624B2 (ja) * 2007-09-18 2010-07-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8713753B2 (en) * 2008-06-18 2014-05-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8424151B2 (en) 2009-07-08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safety apparatus of auxiliary brush assembly
US8695160B2 (en) 2009-11-09 2014-04-15 Lg Electronics Inc. Nozzle of vacuum cleaner
KR101041585B1 (ko) * 2010-11-29 2011-06-15 주식회사 에이디아이엠 진공청소기
WO2012074321A2 (ko) * 2010-12-02 2012-06-07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진공청소장치
WO2014120109A1 (ru) * 2013-02-01 2014-08-07 Pereverzeva Vladislava Vitalyevna Вибрационн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WO2016087923A1 (en) * 2014-12-02 2016-06-09 C Enterprise (Hk) Limited Cleaning head assembly
CN106943081A (zh) * 2017-05-16 2017-07-14 苏州市海朋电子商务有限公司 吸尘器的毛刷吸头
CN111720908B (zh) * 2019-03-19 2022-04-01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EP3712519B1 (en) 2019-03-19 2022-12-07 LG Electronics Inc.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EP3712521B1 (en) 2019-03-19 2023-01-18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1466A (en) * 1955-12-29 1959-04-14 Gen Electric Rug tool
US2904817A (en) * 1956-02-24 1959-09-22 Gen Electric Rug tool having a turbine-driven rug brush
NL107127C (ko) * 1957-06-28
CH395452A (de) * 1961-02-15 1965-07-15 Electrostar Gmbh Staubsaugende und klopfende Teppichreinigungsmaschine
CN2072823U (zh) * 1990-09-29 1991-03-13 常玉国 振动式吸尘器头
CN2154009Y (zh) * 1993-03-12 1994-01-26 韩来顺 吸尘器用多功能吸嘴
DE10001467B4 (de) * 2000-01-15 2004-04-08 Düpro AG Saugreinigungswerkzeug
KR100750724B1 (ko) * 2001-07-09 2007-08-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100694256B1 (ko) * 2001-11-29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647A3 (ko) * 2009-11-27 2011-07-21 Chae Byong-Tae 침구청소에 적합한 다기능 진공청소기
KR101933430B1 (ko) * 2018-03-29 2019-01-04 김민수 자가발전이 가능한 침구청소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2745C (zh) 2007-03-07
CN1636494A (zh) 2005-07-13
JP2005177485A (ja) 2005-07-07
KR20050060332A (ko) 2005-06-22
DE102004060373B4 (de) 2008-04-17
DE102004060373A1 (de) 2005-07-14
US20050125942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801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JP3737458B2 (ja) 叩き用回転ローラを具備した真空掃除機用吸込ブラシ組立体
JP5600509B2 (ja) 表面処理ヘッド
JP5118726B2 (ja) 表面処理ヘッド
KR101556177B1 (ko) 진공 청소기
JP2004141536A (ja) 床用吸込具
JP4512624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AU2010272316B2 (en) A surface treating head
JP4482034B2 (ja) 真空清掃ヘッド
JP2010527684A (ja) 塵払い機能付き吸込ヘッド
KR100572156B1 (ko)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075072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10026738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불기겸용 흡입구의 구조
KR10049327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 제어장치
GB2426697A (en) Vacuum cleaner suction head with hitting means
JP5286332B2 (ja) 電気掃除機
JP2004141539A (ja) 床用吸込具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101745119B1 (ko) 타격청소기
KR100531825B1 (ko) 착,탈식 브러쉬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20180027229A (ko) 회전 타격 브러쉬
KR100262727B1 (ko) 진공청소기의직물청소용흡입구체결구조
JP2009066329A (ja) 電気掃除機
KR0136314Y1 (ko) 청소기
JP344951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