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944B1 -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944B1
KR100824944B1 KR1020060134462A KR20060134462A KR100824944B1 KR 100824944 B1 KR100824944 B1 KR 100824944B1 KR 1020060134462 A KR1020060134462 A KR 1020060134462A KR 20060134462 A KR20060134462 A KR 20060134462A KR 100824944 B1 KR100824944 B1 KR 10082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fan
cam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인
Original Assignee
김유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인 filed Critical 김유인
Priority to KR102006013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47L9/0438Toothed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g. 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팬축을 가지는 팬부와; 청소물을 타격하는 타격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회동하여 왕복운동하는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상기 팬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 중 한 방향 이상 상기 캠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대를 가압하여 상기 타격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타격대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타격대를 가압해제하는 캠을 가지는 캠부를 포함한다. 이에, 소파, 이불 등 표면이 유연한 청소물을 청소하는 경우, 타격부재가 청소물을 타격하여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이 흡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고, 청소물에 끼인 이물질을 비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기{INHALER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의 Ⅲ-Ⅲ의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1의 Ⅳ-Ⅳ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Ⅴ-Ⅴ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1의 Ⅵ-Ⅵ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110 : 상본체
120 : 하본체 200 : 팬부
210 : 팬축 220 : 팬
240 : 연결부 241 : 탄성링
300 : 캠부 310 : 캠축
320 : 캠 400 : 타격부
410 : 회동지지대 421 :타격부재
420 : 타격대 430 : 탄성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소파, 이불 등 표면이 유연한 청소물을 청소하는 경우, 타격부재가 청소물을 타격하여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이 흡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고, 청소물에 끼인 이물질을 비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진공청소기는 복도, 방, 카펫을 깐 거실 바닥 등의 이물질을 공기흡착 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장치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C), 흡입관(B) 및 회전날개(미도시), 진공모터(미도시), 필터(미도시),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된 본체(A)로 되어 있다. 진공청소기의 동작원리는 진공모터로 회전날개를 1만 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이에 먼지, 쓰레기 등이 흡입기를 통해 빨려들어가고, 빨려들어간 먼지, 쓰레기 등은 흡입관을 통해 본체로 빨려들어가게 되어 필터에서 걸러지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이에,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청소물을 청소할 시 빗자루, 쓰레받기로 일일이 빗질하고 쓸어 담아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 가능한 장치로써, 가정, 식당, 회사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흡입기는 단순히 흡입구만 형성되어 흡입력만으로만 이물질을 흡입하기 때문에, 일반 복도나 거실 바닥의 먼지, 쓰레기등을 흡 입하기는 용이하였으나, 카펫, 이불, 시트, 소파 등(이하, '청소물'이라고 한다)의 섬유 올에 낀 보푸라기성 먼지, 진드기(이하, '이물질'이라고 한다) 등은 흡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진드기는 0.02~0.05mm의 크기로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작은 크기이며 사람의 비듬이나 피부껍질을 먹고 사는 생물이다. 진드기는 단독주택,아파트 등 사람의 거주지역에 주로 서식하고 있으며, 진드기 또는 진드기의 배설물이 인체에 흡입되거나 피부에 닿으면 알레르기(allergy)를 유발하는 알레르겐(allergen: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가려움증과 소아천식, 혈행성 비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진공청소기에 흡입력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더 추가하여 청소물을 청소할 시 흡입력의 강도를 더 세게 함으로써 이물질을 흡입하게 하는 진공청소기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아무리 흡입력을 강하게 하더라도 이물질이 잘 흡입되지 않을 뿐더러, 청소물 중 이불 같이 부드러운 천재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 안쪽으로 흡입되어 흡입구를 봉쇄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흡입구가 막히면 사용자는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끄고 청소물을 흡입구에서 끄집어 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소파, 이불 등 표면이 유연한 청소물을 청소하는 경우, 타격부재가 청소물을 타격하여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이 흡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하고, 청소물에 끼인 이물질을 비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팬축을 가지는 팬부와; 청소물을 타격하는 타격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회동하여 왕복운동하는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상기 팬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 중 한 방향 이상 상기 캠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대를 가압하여 상기 타격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타격대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타격대를 가압해제하는 캠을 가지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타격대를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타격대에는 상기 타격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타격대의 일측은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타격위치 간을 회동 이동하고, 상기 타격대의 타측은 상기 캠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타격대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더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앙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타격대의 일 측이 상기 타격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이 상기 타격대를 상기 타격위치로 가압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타격대의 일측이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부, 상기 타격부 및 상기 캠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면에 상기 제1 지지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대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캠축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부는 상기 팬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에 전달하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부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 및 상기 팬축를 수용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게 일부가 상기 흡입관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관과 결합하되, 상기 흡입관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는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0), 타격부(400) 및 캠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팬부(200), 타격부(400) 및 캠부(3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120)에 수용된다. 본체(110,120)는 제작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본체(110)와 하본체(120)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본체(110)와 하본체(120)가 결합하면 내부에 팬하우징(200), 타격부(400) 및 캠부(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본체(120)의 하부에는 개구되어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본체(110)의 내면에는 제1 지지부(111), 제2 지지부(112) 및 제3 지지부(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설명하도록 하겠다.
팬부(20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120)에 수용되며, 흡입구(130)로부터 이물질이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220)과 팬(220)이 회전할 시 그 축이 되는 팬축(210)을 가진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팬부(200)는 팬(220) 및 팬축(210)을 수용하고 흡입구(130)와 진공청소기의 흡입관(b)과 연통되어 흡입구(130)로 흡입된 이물질이 흡입관(b)로 흡입되는 경로에 위히차는 팬하우징(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즉, 팬하우징(260)은 흡입구(130)을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도 1의 흡입관(b)으로 흡입되는 경로에 위치하며, 이물질이 통과 가능하도록 흡입구(130) 및 흡입관(b) 측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팬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이물질을 흡입할 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220)이 수용된다.
팬(220)은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흡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팬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팬(220)은 물레방아형의 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팬축(210)은 팬(220)이 회전하는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양측이 팬(220)보다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팬축(210)의 돌출된 양측은 팬하우징(260)의 측면에 위치하는 베어링(230)에 의해 회전 지지됨으로써, 팬(220)이 팬하우징(26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팬축(210)의 돌출된 양측 중 어느 일측에는 팬(220)의 회전을 캠(320)에 전달하기 위한 제1 기어(240)가 설치된다. 제1 기어(240)에 대한 설명은 이후 캠(320)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캠부(300)는 팬(220)의 회전을 전달받아 타격부(4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캠축(310)과 캠(320)을 포함한다.
캠축(310)에는 일측에 팬(220)의 제1 기어(240)의 회전을 전달받아 캠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기어(3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기어(240)의 회전을 제2 기어(340)로 바로 전달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240)의 회전을 감속하여 제2 기어(340)에 전달하기 위해 감속기어인 제3 기어(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또한, 캠축(310)의 양측은 부싱(330)에 의해 지지되며, 부싱(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350)를 통해 상본체(110)의 제3 지지부(121)에 결합된다. 이에, 캠축(310)은 제3 지지부(12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캠(320)은 회전하는 캠축(310)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캠축(3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캠(320)의 개수는 후술할 타격대(420)의 수와 동일 또는 그 2배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캠(320)의 회전에 의해 타격부재(421)가 청소물을 타격하므로 그 타격회수 및 타격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캠(32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캠(320)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각각의 캠(320)이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캠축(310)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 중 일방향 이상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캠(320)이 돌출된 방향이 상이하면, 캠축(310)의 회전에 의해 후술할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제2 타격위치(30)에서 제2 대기위치(40)로 가압하는 시기가 상호 달라지므로, 타격부재(421)들이 동시에 청소물을 타격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타격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대(420)가 7개 형성되고, 캠(320)은 한 타격대(420)에 2개씩 총 14개가 형성되어 캠축(310)이 1번 회전할 때 각 타격대(420)의 타격부재(421)가 청소물을 2번 타격할 수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타격순서, 타격회수 또는 타격간격의 조절을 위해 캠(320)의 개수 및 돌출방향은 조절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타격부(400)는 타격부재(421), 돌출부(423), 탄성체(430) 및 타격대(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타격위치는 후술할 타격부재(421)가 위치하는 제1 타격위치(20)와 타격부재(421)가 제1 타격위치(20)에 위치하였을 시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위치하는 제2 타격위치(30)로 설명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대기위치는 후술할 타격부재(421)가 위치하는 제1 대기위치(10)와 타격부재(421)가 제1 대기위치(10)에 위치하였을 시 타격대의 타측(440)이 위치하는 제2 대기위치(40)로 설명하겠다.
타격부재(421)는 타격대(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타격대(420) 일측이 제1 타격위치(20) 및 제1 대기위치(10) 간을 청소물을 타격하는 제1 타격위치(20) 및 청소물을 타격하기 위해 대기하는 제1 대기위치(10) 간을 왕복운동하며 청소물을 타격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타격부재(421)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원기둥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구 등의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타격대(420)는 일측에 타격부재(421)가 설치되고, 타측에 돌출부(423)가 형성된다. 이에, 타격대(420)의 타측(440)은 타격부재(421)가 제1 타격위치(20)에 위치할 때 제2 타격위치(30)에 위치하고, 타격부재(421)가 제1 대기위치(10)에 위치할 때 제2 대기위치(40)에 위치한다.
탄성체(430)는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대기위치(40)에 위치할 경우 제2 타격위치(30)로 이동하도록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가압한다.
이에, 타격대(420)의 타측(440)은 회전하는 캠(320)에 의해 가압되어 제2 대기위치(40)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타격부재(421)도 제1 대기위치(10)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더욱 회전하는 캠축(310)에 의해 캠(320)이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가압 해제하게 되면 탄성체(430)에 의해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타격위치(30)로 이동하고, 타격부재(421)도 제1 타격위치(20)로 이동하면서 청소물을 타격한다.
그리고, 타격대(420)는 타격대(420)가 연장형성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타격대(420)의 타측(440)과 타격부재(421) 사이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 타격대(420)의 관통공에는 회동지지대(410)가 관통 설치된다. 이에, 각 타격대(420)의 타격부재(421)와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회동지지대(410)를 축으로 회동 이동한다. 이에, 타격부재(421)는 제1 타격위치(20)와 제1 대기위치(10) 간을 회동하며, 타격대(420)의 타측(440) 또한 제2 타격위치(30)와 제2 대기위치(40) 간을 회동한다.
회동지지대(410)의 양측은 본체(110,120)의 제2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제2 지지부(112)는 본체(110,120)의 내면에서 본체(110,12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체(4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30)으로 마련되고, 각 타격대(420)에는 돌출부(423)가 형성되어 토션스프링(430)의 일단이 타격대(420)의 돌출부(423)를 가압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여기서, 토션스프 링(430)은 중심이 회동지지대(410)에 의해 관통되어 각 타격대(42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430)의 타단은 본체(110,120)의 제1 지지부(111)에 의해 지지되고 토션스프링(430)의 일단이 돌출부(423)에 의해 지지되어, 토션스프링(430)은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대기위치(40)에서 제2 타격위치(30)로 이동하게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가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스프링(430)이 타격대(420)의 측면에 위치하여 돌출부(423)를 가압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타격대(420) 중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토션스프링(430)이 삽입되어 타격대(420)를 가압하도록 설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타격대(420)에는 관통공과 타격대(420)의 타측(440) 사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42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422)는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타격위치(30)로 이동했을 경우 제3 지지부(121)에 의해 제2 타격위치(30)에서 제2 대기위치(40)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에, 스토퍼(422)는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대기위치(40)에서 제2 타격위치(3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제2 타격위치(3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타격대(420)의 타측(440)에는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캠(320)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44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441)는 회전하는 캠에 의해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타격위치(30)에서 제2 대기위치(40)로 이동할 시, 캠(320)과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상호 접촉하 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캠(320)이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가압하여 제2 대기위치(40)에 위치시킨 후 캠축(310)의 회전에 의해 타격대(420)의 타측(440)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캠축(310)의 회전방향으로 이탈될 때, 캠(320)과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대(420)의 타측(440)에 롤러(441)를 설치하면, 롤러(441)는 캠이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탈하게 한다.이에, 타격대(420)의 타측(440) 및 캠(320)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를 진공청소기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을 때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겠다.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켜고 카펫 등의 청소를 실시하면, 흡입구(130)를 통해 이물질이 흡입된다. 흡입구(130)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은 팬하우징(200)을 통과하여 진공청소기의 흡입관(b)으로 흡입되고, 이때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팬(220)이 회전한다. 팬(220)의 회전에 의해 제1 기어(240)가 회전하게 되고, 제1 기어(240)의 회전은 제3 기어(250)를 통해 제2 기어(340)를 회전시킨다. 제2 기어(340)의 회전에 의해 캠축(310)이 회전하게 되고, 캠축(310)에 형성된 캠(320)도 회전한다. 이에, 탄성체(430)에 의해 제2 타격위치(30)에 위치하였던 타격대(420)의 타측(440)은 회전하는 캠(320)에 의해 가압되어 제2 대기위치(40)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타격부재(421)는 제1 타격위치(20)에 위치하고 있다가 제1 대기위치(10)로 이동한다. 그리고,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제2 대기위치(40)에 위치하면 계속 회전하는 캠축(310)에 의해 캠(320)은 타격대(420)의 타측(440)을 가압하는 것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캠(320)에 의해 제2 대기위치(40)게 위치하던 타격대(420)의 타측(440)은 탄성체(430)에 의해 제2 타격위치(30)로 회동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제1 대기위치(10)에 위치하던 타격부재(421)는 제1 타격위치(20)로 이동하면서 청소물을 타격한다.
이에, 타격부재(421)에 의해 청소물이 타격됨에 따라, 청소물에 있던 이물질이 비산되면서 흡입구(130)를 통해 진공청소기로 흡입된다. 또한, 카펫 등의 청소물이 흡입력에 의해 흡입구(130)를 막더라도 타격부재(421)의 타격을 받아 흡입구(130)에서 이탈되므로, 청소물에 의해 흡입구(130)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0)는 흡입구(130)와 연통되며 흡입구(130)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진공청소기의 흡입관(b)을 통해 흡입되도록 일부가 흡입관(b)에 삽입되어 흡입관(b)과 결합하는 연결부(240) 및 탄성링(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40)는 연결부(240)의 중 흡입관(b)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면이 단차지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단차부(242)를 가지며, 단차부(242) 중 어느 한 곳에는 탄성링(241)이 설치된다. 즉, 일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부분(W,X,Y,Z)의 단차부(242)가 형성되면, 연결부(240)를 통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를 4 종류(O,P,Q,R)의 직경을 가지는 흡입관(b)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종래 사용하고 있던 진공청소기 종류에 따라 흡입관(b)의 크기가 다르 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를 흡입관(b)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본체(120)에는 바퀴(125)를 더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1)가 청소물 위에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타격대(420) 중 타격부재(421)와 타격대(420)의 타측(440) 사이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격대(420)의 타측(440)이 탄성체(430) 및 캠(320)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관통공이 타격대(420)의 타측(440)에 형성되고, 캠(320) 및 탄성체(430)에 의해 타격대(420) 중 타격부재(421)와 타격대(420)의 타측(440) 사이가 가압되게 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소파, 이불 등 표면이 유연한 청소물을 청소하는 경우, 타격부재가 청소물을 타격하여 흡입력에 의해 청소물이 흡입구를 막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청소물에 끼인 이물질을 비산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팬축을 가지는 팬부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타격대와,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타격대가 타격위치와 대기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타격대를 지지하는 회동지지대와, 일측이 위치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타격대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타격대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타격위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상기 팬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탄성체의 가압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타격대를 가압하여 상기 타격대를 상기 타격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타격대가 상기 대기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타격대의 가압을 해제하는 캠을 갖는 캠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대에는 상기 타격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타격대의 일측은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타격위치 간을 회동 이동하고, 상기 타격대의 타측은 상기 캠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타격대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가 더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타격대의 일측이 상기 타격위치 및 상기 대기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부, 상기 타격부 및 상기 캠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타격대의 일측이 상기 타격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가 형성된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동지지대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캠축의 양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5.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팬축을 가지는 팬부와;
    청소물을 타격하는 타격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회동하여 왕복운동하는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상기 팬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 중 한 방향 이상 상기 캠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대를 가압하여 상기 타격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타격대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타격대를 가압해제하는 캠을 가지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는 상기 팬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제1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캠축을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제2 기어에 전달하는 제3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흡입기.
  6.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팬과,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팬축을 가지는 팬부와;
    청소물을 타격하는 타격위치와 대기위치 간을 회동하여 왕복운동하는 타격대와, 상기 타격대를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타격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타격부와;
    상기 팬축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 중 한 방향 이상 상기 캠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캠축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대를 가압하여 상기 타격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회동시키고, 상기 타격대가 상기 대기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타격대를 가압해제하는 캠을 가지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부는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팬 및 상기 팬축를 수용하는 팬하우징과;
    상기 팬하우징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이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게 일부가 상기 흡입관에 삽입되어 상기 흡입관과 결합하되, 상기 흡입관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단차부에 설치되는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KR1020060134462A 2006-12-27 2006-12-27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KR10082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462A KR100824944B1 (ko) 2006-12-27 2006-12-27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462A KR100824944B1 (ko) 2006-12-27 2006-12-27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944B1 true KR100824944B1 (ko) 2008-04-28

Family

ID=3957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462A KR100824944B1 (ko) 2006-12-27 2006-12-27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24Y1 (ko) *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CN103356140A (zh) * 2012-12-28 2013-10-23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551U (ko) 1975-06-19 1976-12-24
JPS63114265U (ko) 1987-01-20 1988-07-22
KR950009287U (ko) * 1993-09-22 1995-04-19 편심 베어링 분해용 지그
KR20030005598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20050060332A (ko) * 2003-12-16 2005-06-22 광동정밀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2551U (ko) 1975-06-19 1976-12-24
JPS63114265U (ko) 1987-01-20 1988-07-22
KR950009287U (ko) * 1993-09-22 1995-04-19 편심 베어링 분해용 지그
KR20030005598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20050060332A (ko) * 2003-12-16 2005-06-22 광동정밀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024Y1 (ko) * 2009-10-15 2010-03-10 (주)제이디알 침구용 청소기
CN103356140A (zh) * 2012-12-28 2013-10-23 苏州韩京姬科技有限公司 真空吸尘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41536A (ja) 床用吸込具
EP2380475A3 (en)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EP1949840A3 (en) Double sided suction nozzle for use in vacuum cleaner
EP1736088A3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52801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0824944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US7594297B2 (en) Angle control apparatus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202427683U (zh) 一种清理b超设备操作键盘灰尘器具
CN102334948B (zh) 打扫床上用品用吸嘴
CN100563539C (zh) 吸入器具及使用其的电吸尘器
CN209091176U (zh) 一种吸尘器及其地刷组件
CN2920139Y (zh) 电动吸尘器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CN200991219Y (zh) 织物品扫灰用除尘棒
KR200416717Y1 (ko) 진공청소기의 진드기 흡입장치
CN217242293U (zh) 一种新型的家用除螨仪
JP2001000369A (ja) 布団叩き器
KR200275922Y1 (ko)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JPH0392121A (ja) 掃除機用吸込具
JP2004141538A (ja) 床用吸込具
KR200192727Y1 (ko) 진공청소기
KR200163980Y1 (ko)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KR101745119B1 (ko) 타격청소기
CN115553665A (zh) 启闭系统及洗地机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