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980Y1 -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 Google Patents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980Y1
KR200163980Y1 KR2019990013122U KR19990013122U KR200163980Y1 KR 200163980 Y1 KR200163980 Y1 KR 200163980Y1 KR 2019990013122 U KR2019990013122 U KR 2019990013122U KR 19990013122 U KR19990013122 U KR 19990013122U KR 200163980 Y1 KR200163980 Y1 KR 200163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rush
cleaning
insect scree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임교
Original Assignee
정임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임교 filed Critical 정임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망 소제용 롤러형 브러쉬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면적 소제가 불가능한 창문에 설치된 방충망에 부착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흡입 제거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기존의 진공 청소기용 착탈 흡입식 청소용구들은 실내의 바닥이나 가구, 가전제품 등의 외측 면을 털어 청소하거나 창문틀 등의 틈새를 용이하게 소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창문에 설치된 방충망을 소제하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제대로 소제되지 않아 통상은 그대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외관상 불결하고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격자형 망체로된 방충망을 내외로 통과시키면서 먼지를 털어 내기에 용이하도록 롤러형으로 브러쉬를 형성하여 중앙 외측으로 흡입관이 일체로 형성된 반 원통체 커버내부 양단에 베어링을 끼우고 장착하여 구성 하므로써 방충망에 대고 밀어 주기만 하면 용이하게 방충망에 묻어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 흡입 소제가 청결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망 소제용 롤러형 브러쉬 청소용구 {Dusting things of roller typed brush for sweeping the moth-proof net}
본 고안은 방충망 소제용 롤러형 브러쉬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면적 소제가 불가능한 방충망에 부착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흡입 제거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진공 청소기는 기본적으로 흡입 손잡이부에 흡입 파이프 선단이 삽입 착탈될 수 있는 구조로되어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된 메인 흡입구와 보조 흡입구로써 짧은 원통모양의 흡입구 선단 둘레에 직립형 브러쉬가 달린 브러쉬 흡입구 및 짧게 형성되어 흡입구가 좁고 뾰족하게 형성된 틈새 흡입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진공 청소기용 착탈 흡입식 청소용구들은 실내의 바닥이나 가구, 가전제품 등의 외면을 청소하거나 창문틀 등의 틈새를 용이하게 소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 창문에 설치된 방충망을 소제하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망사 체 내외를 막론하고 둘레 전체적으로 달라붙어 있는 먼지가 제대로 소제되지 않아 통상은 그대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외관상 불결할 뿐 아니라 먼지가 실내로 날아들어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고 집 진드기 등의 서식처가 되어 각종 기관지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게되는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격자형 망체로된 방충망을 내외로 통과하면서 먼지를 털어 내기에 용이하도록 롤러형 으로 브러쉬를 형성하여 중앙 외측으로 흡입관이 일체로 형성된 반 원통체의 커버 체 내부 양단에 베어링을 끼우고 장착하여 구성 하므로써 방충망에 대고 밀어 주기만 하면 용이하게 방충망에 묻어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 흡입 소제가 청결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구의 롤러형 브러쉬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구의 작용예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체 2 - 흡입관 3 - 베어링
4 - 롤러형 브러쉬 5 - 브러쉬 축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 손잡이부(H)에 삽입 착탈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청소용구에 있어서, 중앙 외측으로 흡입관(2)이 일체로 형성된 반 원통체의 커버 체(1) 내부 양단에 베어링(3)을 끼우고, 이 양측 베어링에 맞추어 롤러형 브러쉬(4)의 브러쉬 축(5) 양단을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 장착시켜 조립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 손잡이부(H)에 삽입 연결한 상태에서 진공 청소기를 가동시켜 흡입력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방충망(N)에 대고 위아래로 밀어 주기만 하면 롤러형 브러쉬(4)가 공회전 하면서 방충망의 망체 내외를 통과하면서 망체에 달라붙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털어 내게 되며, 방충망으로부터 분리되는 먼지는 즉시에 흡입력의 작용으로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반 원통체로된 커버 체(1)의 내부로 모아져 중앙의 흡입관(2)을 통하여 진공 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가 집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청결하게 소제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방충망의 망체를 내외로 통과하면서 먼지를 털어 내기에 용이하도록 롤러형으로 브러쉬가 형성되어 공회전 가능토록 장착 설치 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밀어 주는 것만으로 방충망 소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주거환경을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진공청소기에 착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가로 구입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진공 청소기 손잡이부(H)에 삽입 착탈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청소용구에 있어서, 중앙 외측으로 흡입관(2)이 일체로 형성된 반 원통체의 커버 체(1) 내부 양단에 베어링(3)을 끼우고, 이 양측 베어링에 맞추어 롤러형 브러쉬(4)의 브러쉬 축(5) 양단을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 장착시켜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소제용 롤러형 브러쉬 청소용구.
KR2019990013122U 1999-07-05 1999-07-06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KR2001639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019 1999-07-0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019 Division 1999-07-05 1999-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980Y1 true KR200163980Y1 (ko) 2000-02-15

Family

ID=1957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122U KR200163980Y1 (ko) 1999-07-05 1999-07-06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9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9118A1 (en) Suction hose supporting structure for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EP1997414A3 (en)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2010527684A (ja) 塵払い機能付き吸込ヘッド
KR200144868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고정장치
JP2017006548A (ja) ブラシ付き吸入筒の清掃具
KR200163980Y1 (ko)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AU2008207344B2 (e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9990068394A (ko)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US20070033766A1 (en) Home vent cleaning system
JP3442983B2 (ja) 空気清浄機
KR200472018Y1 (ko) 방충망 청소기
KR200275922Y1 (ko)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101654475B1 (ko) 배기환류식 진공청소기의 먼지떨이 브러시
KR200408281Y1 (ko) 침구류 털이용 진공청소기 청소봉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JPH07222696A (ja) 真空掃除機
KR890000985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겸한 진공소제기
KR101231889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1191411B1 (ko) 필터장치
JP3035409U (ja) 渦巻き掃除機
JP2011120955A (ja) 電気掃除機
GB2366994A (en) Cleaning apparatus
KR200305298Y1 (ko) 다용도 기구겸 테이프청소기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KR100903649B1 (ko) 먼지털이개의 먼지떨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