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922Y1 -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 Google Patents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922Y1
KR200275922Y1 KR2020010037844U KR20010037844U KR200275922Y1 KR 200275922 Y1 KR200275922 Y1 KR 200275922Y1 KR 2020010037844 U KR2020010037844 U KR 2020010037844U KR 20010037844 U KR20010037844 U KR 20010037844U KR 200275922 Y1 KR200275922 Y1 KR 200275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cleaner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교
Original Assignee
정형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교 filed Critical 정형교
Priority to KR2020010037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922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할 시에 흡입기능 뿐만 아니라 토출 기능을 이용하여 창틀, 방충망 등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소기의 모터에 의해 인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필터에 의해 걸려진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먼지 비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한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집중부재; 사용자가 창틀, 집안의 구석진 곳, 모기장에 맞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집중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청소기의 흡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창틀, 장롱 위, 집안의 구석진 곳 등의 먼지를 비산시켜 보다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고, 청소하는 부분 또는 물체에 맞추어 먼지를 비산 시키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Dust occurrence system of vacuum cleaner}
본 고안은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할 시에 흡입기능 뿐만 아니라 토출 기능을 이용하여 창틀, 방충망 등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란 전기소제기라고도 불리기도 하며, 카펫을 깐 거실 바닥 등의 먼지를 공기흡착 작용에 의해 흡수시켜 청소한다. 실내의 구석구석을 청소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을 청소할 때는 코드선을 벽면에 설치한 콘센트에 꽂고, 구석구석 밀고 다니면서 먼지를 깨끗이 흡수시킨다. 코드선은 너무 길지 않은 것을 옮겨 꽂아가면서 하는 것이 편리하다. 청소가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코드를 뺀 다음, 먼지상자의 뚜껑을 열고 쌓인 먼지를 털어낸다.
진공청소기의 구조는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배기구로 되어 있으며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정류자 전동기(commutator motor)로 회전날개를 1만 회 이상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를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빨아들인 먼지 ·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전원코드를 자동으로 감아주는 기능이 있고, 또한 전원코드를 빼거나 감을 때 톱니바퀴가 작동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먼지를 자동적으로 털어주는 장치도 부착되어 있다. 흡입구도 사용장소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되어 있다.
진공청소기의 종류로는, ① 핸드타입(hand type), ② 업라이트 타입(upright type), ③ 포트 타입(pot type), ④ 실린더형 플로어 타입(floor type) 등이 있다. 핸드타입은 책상 위나 선반, 양복 등의 먼지 집진용으로 적합하고, 업라이트 타입은 핸드타입보다 손에 걸리는 중량이 작아 마루 청소에도 가능하나 집진용량이 작다. 실린더형 플로어 타입은 집진용량이 커서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600 W 정도의 소비전력으로 모터 소음을 대폭 감소시킨 방음(防音) 설계된 모델도 있다.
집안의 구석진 곳, 창틀, 방충망 등을 청소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청소기의 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바람으로 불어 비산시킬 수 있도록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먼지를 비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는 현재 많이 출원이 되어 있는 실정이며, 그중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기 출원된 특허공개 제1998-43558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진공청소기(10)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동작스위치(미도시), 상기 동작스위치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는 브러쉬(14)의 좌우측으로 에어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밸브(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청소기(10)의 동작스위치(미도시)의 동작여부를 판단하여 브러쉬(14)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필터(15)를 거쳐 공기가 토출구(11)를 통해 토출공기가 토출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와 연설되어 있는 공기유도부(12)를 따라 이동되어 제어밸브(13)를 작동시킨다. 상기 브러쉬(14)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에어를 토출시켜 먼지를 비산시키고 이를 다시 브러쉬(14)를 통해 주변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먼지 비산장치는 상기 필터(15)를 거쳐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어밸브(13)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압력이 약하고, 압력이 약하므로 인하여 창틀, 집안의 모서리진 곳에 쌓인 먼지를 제대로 비산시키지 못하여 청소의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먼지 비산장치는 창틀과 같이 좁은 곳 또는 집안의 구석진 곳, 이외의 모기장, 장롱의 윗부분 등의 먼지를 비산시키지 못하는 단점 또한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집안의 구석진 곳, 창틀, 모기장, 장롱의 윗부분 등의 먼지를 효율적으로 비산시키고, 청소시 이동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에 공기집중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공기집중부재에 결합되는 청소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4b는 도 3의 공기집중부재에 결합되는 청소부재를 보인 정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결부재를 보인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c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청소기 110 : 손잡이
120 : 모터 130 : 흡입구
140 : 토출구 150 : 공기집중부재
151 : 결합공 152 : 집중공
160 : 청소부재 161 : 제1토출구체
161a : 헤드 161b : 토출공
161c : 브러쉬 161d : 연결관
162 : 제2토출구체 170 : 연결부재
171 : 제1토출연결관 172 : 제2토출연결관
172a : 관절 172b : 절개부
173 : 자바라 173a : 결합링
173b : 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는 청소기의 모터에 의해 인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필터에 의해 걸려진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먼지 비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한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집중부재; 사용자가 창틀, 집안의 구석진 곳, 모기장에 맞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집중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공기집중부재는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청소기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청소기의 후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결합공과, 타측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집중될 수 있도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집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청소부재는 하면에 모기장의 먼지를 털 수 있도록 브러쉬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의 일측에 상기 공기집중부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집중부재에 설치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제1토출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상기 청소부재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을 청소할 수 있도록 길이를 연장하는 연결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청소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을 청소하고, 상기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절이 형성된 제2토출연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청소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을 청소하고, 상기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로이 절곡되는 자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에 공기집중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3의 공기집중부재에 결합되는 청소부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공기집중부재에 결합되는 청소부재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a는 본 고안에 의한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하는 연결부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00)의 팬이 설치된 모터(120)에 의해 인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통상의 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러진 공기를 토출구(14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먼지 비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4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한곳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100)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집중부재(150)와, 사용자가 창틀, 집안의 구석진 곳, 모기장에 맞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에 착탈 가능하게 청소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집중부재(150)는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청소기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청소기(100)의 후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결합공(151)과, 타측은 상기 토출구(1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모아질 수 있도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집중공(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일측에는 상기 청소기(100)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에 의해 먼지를 비산시키는 청소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청소부재(160)는 제1토출구체(161)와 제2토출구체(1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토출구체(161)는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집중공(152)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상기 집중공(15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관(161d)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161d)의 일측에 면적이 넓은 곳의 먼지를 비산시킬 수 있도록 토출공(161b)이 형성된 헤드(161a)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161a) 하면에는 청소기(100)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공(161b)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토출공의 일측에는 먼지를 1차적으로 털을 수 있도록 브러쉬(161c)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토출구체(162)는 창틀과 같이 좁은 곳 또는 집안의 모서리 진 곳 등의 먼지를 비산 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직경이 좁은 상태로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집중공(152)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경과 동일하게 외경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집중부재(150)에 청소부재를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손이 닫지 않는 곳은 상기 청소부재(160)와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사이에 연결부재(170)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70)는 상기 청소부재(160)와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170)는 일측은 상기 집중공(152)의 내경과 동일하게 외경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토출구체(161)의 연결관(161d)과 제2토출구체(172)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1토출연결관(172)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70)는 제2토출연결관(17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토출연결관(172)은 중간부분에 절곡이 가능하도록 관절(172c)이 형성되며, 상기 관절(17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상태가 공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절(172)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집중공(152)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제1파이프(172a)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토출구체(171)의 연결관(161d)과 상기 제2토출구체(172)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2파이프(172b)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파이프(172a)가 상기 제2파이프(172b)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가 절개된절개부(172d)가 제1파이프(172a)의 공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파이프(172b)에는 제1파이프(172a)에 형성된 공 모양의 부분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70)는 자바라(173)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바라(173)는 일측은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청소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돌기(173b)가 형성된 결합링(173a)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장롱과 같이 손이 닿지 않거나 또는 청소기를 직접적으로 위치되지 못하는 곳을 청소하기 위하여 공기집중부재(15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제1토출구체(161)와 제2토출구체(162)가 자유로운 각도를 갖을 수 있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0은 청소기를 사용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소기(100)로 인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살펴보면,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120)에 의해 회전되어 먼지, 이물질 등을 흡입구(130)를 통해 흡입하면, 흡입되는 먼지와 이물질은 통상의 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려져 공기만이 청소기(100)의 후면에 형성된 토출구(14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14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공기집중부재(150)의 결합공(151)을 상기 토출구(140)가 형성된 청소기(100)의 후면부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결합한다.
상기 청소기(100)의 후면에 결합된 상태로 토출구(140)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더욱 강한 토출공기를 원하거나 또는 넓은 부분을 간편하게 청소하기 위해서는 청소부재(160)의 제1토출구체(161) 또는 제2토출구체(162)를 끼워 사용한다.
상기 제1토출구체(161)를 끼워 사용할 시에는 대표적으로 창틀에 결합되어 모기, 파리 또는 기타 해충들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미도시)을 청소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방충망을 청소하는 것을 보면, 헤드(161a)의 하방에 형성된 브러쉬(161d)를 이용하여 망에 붙어 있는 먼지를 1차적으로 털어 내고, 그와 동시에 상기 브러쉬(161d)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공(161b)을 통해 털어지는 먼지와 망에 묻어 있는 먼지를 동시에 비산시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토출구체(161)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청소할 시에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가 사용자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집중공(151)에 연결부재(170)를 연결한 후에 다시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에 제1토출구체(161)를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토출구체(161)를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할 시에 방충망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아니면 일정부분이 굴곡형성 되어있는 경우에 제1토출구체(161)가 구석구석까지 제대로 닿지 않을 경우에는 관절(172c)이 형성된제2토출연결관(172) 또는 자바라(173)를 통해 그 각도를 조정해 가면서 방충망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토출구체(162)를 이용하여 창틀과 같이 좁은 틈의 먼지를 비산시키는 것을 보면, 상기와 같이 청소기(10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130)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이 인입되고, 인입된 먼지와 이물질은 필터에 의해 걸려진다.
그리고, 먼지를 비산시킬 시에는 상기 흡입구(130)를 통해 먼지, 이물질 등이 흡입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공기만을 흡입함으로 청소기(100)의 후면에 형성된 토출구(140)를 통해 보다 압력이 강한 토출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소형 청소기(100)의 경우에는 그 전면부가 분리되어 필터에 걸려진 이물질, 먼지 등을 제거할 있도록 되어 있으며, 청소기(100)의 전면을 탈거한다 하여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등의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청소기(100)의 전면을 탈거하지 아니하고 창틀과 같은 곳의 먼지를 비산시킬 시에는 상기 청소기(100)의 후면에 공기집중부재(150)를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먼지를 비산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창틀과 같은 곳에 쌓여 있는 먼지는 새로이 쌓이는 먼지도 있지만 대부분이 청소를 잘하지 않기 때문에 창틀과 같은 곳에 쌓인 먼지는 오래된 먼지로 약간의 압력을 갖는 바람에는 비산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에서 바로 토출되는 토출공기로는 오래되지 않는 먼지만을 제거할 수 있고, 청소시에 사용자가 이정도의 토출압력으로는 청소하기가 힘이 든다고 생각되면 상기 공기집중부재(150)의 일측에 제2토출구체(162)를 설치하여 청소기(100)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한곳으로 모아 집중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창틀과 같은 곳은 대분이 청소기(100)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매우 비일비재하다. 그럴 때에는 관절(172a)이 형성된 제2토출연결관(172)을 상기 제2토출구체(162)와 공기집중부재(150)의 사이에 설치하여 보다 편리하게 먼지를 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절(172a)이 형성된 제2토출연결관(172) 보다 더 자유로운 각도가 필요할 시에는 연결부재(170)인 자바라(173)를 상기 제1토출구체(161) 또는 제2토출구체(162)와 공기집중부재(150)의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 공기집중부재(150)로 배출되는 토출공기가의 압력이 약하다고 생각이 들 경우에는 청소기(100)의 전면부를 탈거하여 공기가 직접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청소기(100)의 후면에 형성된 토출구(140)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압력을 더욱 증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소를 할 시에 청소하는 부분 또는 물체에 맞게 청소부재(160)를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의 효과를 살펴보면, 청소기의흡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창틀, 장롱 위, 집안의 구석진 곳 등의 먼지를 비산시켜 보다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고, 청소하는 부분 또는 물체에 맞게 먼지를 비산 시키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6)

  1. 청소기의 모터에 의해 인입되는 이물질과 공기를 필터에 의해 걸려진 토출공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비산시키는 먼지 비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한곳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기 청소기의 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집중부재;
    사용자가 창틀, 집안의 구석진 곳, 모기장에 맞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집중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집중부재는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청소기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청소기의 후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결합공과, 타측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모아질 수 있도록 내경이 좁게 형성되는 집중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하면에 방충망의 먼지를 털 수 있도록 브러쉬가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의 일측에 상기 공기집중부재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집중부재에 설치되는 연결관이 형성된 제1토출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상기 청소부재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을 청소할 수 있도록 길이를 연장하는 연결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청소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을 청소하고, 상기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함과 동시에 소정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절이 형성된 제2토출연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공기집중부재와 청소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을 청소하고, 상기 청소부재의 길이를 연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자유로이 절곡되는 자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먼지 비상장치.
KR2020010037844U 2001-12-07 2001-12-07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200275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44U KR200275922Y1 (ko) 2001-12-07 2001-12-07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844U KR200275922Y1 (ko) 2001-12-07 2001-12-07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922Y1 true KR200275922Y1 (ko) 2002-05-18

Family

ID=7311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844U KR200275922Y1 (ko) 2001-12-07 2001-12-07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81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GB2486666A (en) A vacuum cleaner
CN208600263U (zh) 一种新型键盘消毒杀菌装置
US5904160A (en) Method of removing lint from clothes dryers using a magnetically moun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KR20060128387A (ko) 진공청소기
KR200275922Y1 (ko)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101108049B1 (ko) 로봇 청소기
US6813807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secondary dirt and dust collection inlet
KR100666716B1 (ko) 청소 유니트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GB2101472A (en) A vacuum cleaning unit
KR20000036313A (ko) 분사호스가 장착된 진공청소기
JP2000333886A (ja) 電気塵取り機
KR200357501Y1 (ko) 이중의 걸름망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
KR200415300Y1 (ko) 청소 유니트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GB2366994A (en) Cleaning apparatus
JP2001029275A (ja)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KR100832555B1 (ko) 먼지흡입기
JP3035409U (ja) 渦巻き掃除機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0115197Y1 (ko) 진공청소기의 비산먼지 흡입장치
KR101108047B1 (ko) 로봇 청소기
KR101476436B1 (ko) 공기 청정기
KR200163980Y1 (ko) 방충망소제용롤러형브러쉬청소용구
KR0136314Y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