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871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871B1
KR100508871B1 KR10-2003-0011221A KR20030011221A KR100508871B1 KR 100508871 B1 KR100508871 B1 KR 100508871B1 KR 20030011221 A KR20030011221 A KR 20030011221A KR 100508871 B1 KR100508871 B1 KR 10050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orc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805A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박스
Priority to KR10-2003-001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8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지점에 고정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란 저압부(低壓部)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먼지 등을 빨아들이게 된 청소 기구를 말하는데, 전기소제기라고도 한다.
상기 진공청소기는 카펫을 깐 거실 바닥 등의 먼지를 공기흡착 작용에 의해 흡수시켜 청소한다. 실내의 구석구석을 청소하기에 편리하게 되어 있으며, 넓은 거실을 청소할 때는 코드선을 벽면에 설치한 콘센트에 꽂고, 구석구석 밀고 다니면서 먼지를 깨끗이 흡수시킨다. 코드선은 너무 길지 않은 것을 옮겨 꽂아가면서 하는 것이 편리하다. 청소가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코드를 뺀 다음, 먼지상자의 뚜껑을 열고 쌓인 먼지를 털어낸다.
상기 진공청소기의 구조는 흡입구·모터·회전날개·필터·먼지받이 케이스·배기구로 되어 있으며 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먼지나 찌꺼기 등을 흡입구를 통해 빨아들인다. 빨아들인 먼지·찌꺼기 등은 필터에서 걸러주고 공기는 배기구로 빠져나간다. 전원코드를 자동으로 감아주는 기능이 있고, 또한 전원코드를 빼거나 감을 때 톱니바퀴가 작동하여 필터에 붙어 있는 먼지를 자동적으로 털어주는 장치도 부착되어 있다. 흡입구도 사용장소에 따라 사용하기 편리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통상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필터의 내부에는 이물질 및 먼지 쌓이게 되고, 그 속에는 세균 등이 증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청소기를 다시 사용하는 경우, 먼지 또는 이물질 내에 존재하는 세균 등으로 인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는 세균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할 뿐만아니라 악취 등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진공청소기에는 전기모터가 사용되는데, 모터 구동시에 모터에서 발생하는 냄새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악취 및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다양한 방법 등이 개발되었으나, 별도의 필터를 사용하거나, 값 비싼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는등 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청소기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특허공보 10-2001-003516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청소기 겸용 공조장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청소기 겸용 공조장치는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의 건축시에 동시에 시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 방식을 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청소기 겸용 공조장치가 없는 건물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이한 구성을 가지면서 청소시에 발생하는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및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및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100)와,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200)와,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와 상기 흡입부(200)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300)와, 및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는 실외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단독주택 또는 아파트 등의 베란다의 일정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는 진공청소기 등과 같이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그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강력한 공기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연결부(300)와 연결된 흡입부(200)에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는 상기 흡입부(200)에서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상기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별도의 필터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배출공기가 실외로 상기 배출부(400)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별도의 필터부재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배출부(400)는 흡입력발생부(1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에서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타단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간이하게 창 등을 통하여 실외로 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기타 시설물에 상기 배출부(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배출공(110)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공(110)에 끼워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와 유사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술할 상기 배출부(400)는 자유로이 휠 수 있는 연결부재로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부(400)는 후술할 연결부(30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0)는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와 연결부(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공기흡입력에 의하여 방, 거실 등과 같은 실내 바닥 또는 카페트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을 흡입하게 되는 데, 그 구조는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흡입부와 유사하게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200)가 연결된 휘지 않는 강성을 가지는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의 타단에 결합된 흡입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흡입부(200)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300)가 연결된 부근에는 손잡이(230)가 설치되며, 그 손잡이(230)에는 청소기의 흡입력 작동 제어 및 흡입력 조절등의 흡입력발생부(100)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231)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흡입부(200)와 흡입력발생부(100)를 연결하게 되는데, 비교적 넓은 공간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휠 수 있는 부재로 제작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서로 엉키게 되면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꼬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300)는 휠 수 있는 부재(310)를 다수개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개의 부재(310)를 그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여 주는 연결부재(320)에 의하여 연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도 가능하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도 2에서의 연결부재(320)의 접촉부(321)에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321)의 외측에는 결합 및 신축성을 위하여 신축가능한 부재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200)에 의하여 흡입되는 이물질 또는 먼지 중에서 그 크기가 큰 경우, 상기 연결부(300)와 흡입력발생부(100)가 멀리 떨어짐에 따라서 그 연결부(300)의 관로를 막거나, 상기 흡입력발생부(100)에 걸려, 상기 흡입부(200)의 흡입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 만을 걸러내는 필터부재(241)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241)는 한쪽에는 상기 연결관(210)이 연결 설치되며, 다른 쪽에는 연결부(300)가 연결 설치되는 하우징(240)의 내부에 설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41)는 상기 연결부(300)가 결합된 쪽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실외와 통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간이하게 상기 배출부(400)를 창 등을 통하여 실외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실외와 쉽게 통할 수 있는 아파트 또는 단독주택의 베란다 등에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를 고정시켜 설치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서는 베란다 등에 고정적으로 배출공(110)을 형성하고, 그 배출공(110)을 통하여 배출부(400)를 끼워 놓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청소기의 작동을 위하여 흡입부(200)에 설치된 제어부(231)를 조작하여, 청소기를 작동, 조절하게 되면,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는 전기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부(300)를 통하여 그 흡입력이 전달되어 상기 흡입체(220)의 흡입공(미도시)에 강한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손잡이(230)를 잡고 원하는 곳으로 상기 흡입체(220)를 향하도록 하여 카페트, 실내바닥 등에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공을 통하여 공기와 함께 먼지 및 이물질이 흡입되게 되고, 연결부(300)를 통하여 상기 흡입력발생부(100)를 거쳐, 배출부(400)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이물질 중 일정크기 이상은 상기 필터부재(241)에 의하여 걸러지게 되며, 일정량 이상이 채워진 상기 하우징(240)은 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터부재(241) 자체를 교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시에 실외로 그 배출공기를 배출함으로써 배출공기를 통하여 배출되는 악취 또는 세균이 실내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아파트 또는 단독주택 등에 별도의 시설물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간이한 구성에 의하여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의 연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의 흡입부의 일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흡입력 발생부 200 : 흡입부
230 : 손잡이 231 : 제어부
241 : 필터부재
300 : 연결부 320 : 연결부재
400 : 배출부

Claims (3)

  1. 일정지점에 고정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만을 걸러내는 필터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이물질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흡입력발생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꼬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부재에 연결된 다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일정지점에 고정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하여 흡입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자유로이 휠 수 있는 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흡입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력발생부에서 배출되는 배출 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꼬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부재에 연결된 다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03-0011221A 2003-02-22 2003-02-22 청소기 KR10050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21A KR100508871B1 (ko) 2003-02-22 2003-02-22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21A KR100508871B1 (ko) 2003-02-22 2003-02-22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805A KR20030043805A (ko) 2003-06-02
KR100508871B1 true KR100508871B1 (ko) 2005-08-19

Family

ID=2957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221A KR100508871B1 (ko) 2003-02-22 2003-02-22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408B1 (ko) * 2004-06-04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애완동물용 브러쉬 조립체의 보조 집진통
KR200492934Y1 (ko) * 2020-05-11 2021-01-06 주식회사 텍콤 벽걸이형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805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4159C2 (ru) Робот-пылесос
CN107762986A (zh) 一种环保型可自清洁的排气扇
CN108903795B (zh) 清洁设备及滚刷组件旋转方向控制方法
CN210643909U (zh) 一种物联网控制的扫地机器人
KR200489070Y1 (ko) 회전 속도 조절이 가능한 회전식 걸레 청소기
KR100508871B1 (ko) 청소기
KR101407499B1 (ko) 신발장 배기기능을 갖는 빌트인 청소기
US5893194A (en) Vacuum system
CN203564177U (zh) 玻璃清洁装置
KR100812138B1 (ko) 진공청소기의 노즐어댑터 및 그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1773499B1 (ko) 고압 공기 분사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0464884B1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설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JP2007307335A (ja) 静電気クリーナー用除埃器
CN101422343A (zh) 吸尘器电源线双弹簧卷线器
KR20110027347A (ko)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작동방법 및 그 장치
JP2005195216A (ja) 空気調和機
KR200275922Y1 (ko) 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100477463B1 (ko) 벽걸이식 진공청소기
EP126769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appliances
KR100638751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456735Y1 (ko) 빌트인 청소기
KR200277629Y1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설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JP3165775U (ja) 掃除機
KR100435187B1 (ko) 가습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설된 중앙집진식 진공청소기
CN101406374B (zh) 吸尘器的非连续性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