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938B1 -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938B1
KR100527938B1 KR10-2003-0039070A KR20030039070A KR100527938B1 KR 100527938 B1 KR100527938 B1 KR 100527938B1 KR 20030039070 A KR20030039070 A KR 20030039070A KR 100527938 B1 KR100527938 B1 KR 10052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lamp switch
trunk
contact terminal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472A (ko
Inventor
주영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938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low-built type, e.g. landscape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를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에 설치하지 않고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에 슬라이딩 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미세한 개폐에도 이를 감지하여 차량 운전석의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고, 램프 스위치 구조의 단순화와 제조공정상의 효율 향상을 통해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Trunk rid lamp switch structure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개폐 감지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리드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래치 내장형태로 구성하여 트렁크리드 개폐감지 오인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줄임과 동시에, 트렁크리드 개폐감지 스위치 부품수의 절감과 공정개선을 통한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트렁크리드 개폐 감지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룸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구조의 트렁크리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트렁크리드가 개폐됨에 따라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운전석의 트렁크리드 램프 측으로 신호를 전달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트렁크리드의 개폐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있어서, 트렁크리드가 개폐되는 상태에 따라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트렁크리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가 상하로 이동하면,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와 대향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30)의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설치된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4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설치된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40)와, 상기 램프 스위치(40)의 동작상태에 따라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차체패널을 통해 운전석의 전면의 트렁크리드 램프로 전달하는 연결 단자부(51,52,5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인 도 1a 의 경우에는, 트렁크리드 래치 어셈블리(10)의 하측단부(1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눌러져 있던 램프 스위치(40)는 상부로 돌출하여 나오며, 이때 단락되어 있던 두 전원연결단자(51,52)가 접촉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트렁크리드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램프 스위치(40)는 하부의 램프 스위치 하우징(41)과, 상기 램프 스위치 하우징(41)의 내측에 일단이 결착된 램프 스위치 본체(43)로 구성되며, 램프 스위치 본체(43)를 누르는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압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램프 스위치 하우징(41)의 내측에 삽착되어 있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램프 스위치 본체(43)가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나온다. 이 경우 전원연결단자(51,52)간의 상호 접촉이 이루어져 전원이 인가된다.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인 도 1b 에서는, 트렁크리드 래치 어셈블리(10)의 하측단부(11)가 그 대향하여 있는 트렁크램프 스위치 본체(33)의 상부를 압착하여 두 연결단자(51,52)간의 접촉이 끊어져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하부연결단자(53)는 자동차 배터리의 + 전극에 연결되고, 스트라이커 베이스 플레이트(31)상에 볼트로 체결된 스위치 마운팅 플레이트(33)상의 다른 연결단자(52)는 차체 패널을 통해 -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결착되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서는, 트렁크리드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고, 조금 만 개방되어 있는 경우, 예컨데, 추운 겨울에 트렁크리드를 비롯하여 차체가 전체적으로 얼어 붙은 경우, 또는 트렁크리드를 일정한 힘의 작용하에 개폐하는 토션바의 내구적인 한계로 인해 트렁크리드의 개방이 완전히 되지 않는 경우,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의 하측단부(11)와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30)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40)와는 여전히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트렁크리드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운전자는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인데도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할 우려가 있어 운전시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를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에 설치하지 않고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에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상호 접속하는 스위치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개폐에 따른 트렁크리드 램프의 작동이 정밀도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과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제조에 따른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는 트렁크리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석의 트렁크 리드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는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상기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는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의 폴 가이드부재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폴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2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의 고정된 소정지점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접점단자로 이루어져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에 내장형 스위치 형태로 설치되어짐으로써, 트렁크리드의 미세한 개폐에도 이를 감지하여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운행과 부품수 및 공정수의 절감을 통해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는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의 폴 가이드부재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폴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2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의 고정된 소정지점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접점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접점단자는 폴 가이드부재의 이동 궤적으로 인한 고정된 위치의 상기 제 1 접점단자와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 는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 도 2b 는 트렁크리드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트렁크리드의 키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는 종래의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물림 구조의 램프 스위치(107,109)를 구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0)의 전체적인 내부구조는 상기 도 1a 와 도 1b 에 도시된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의 내부 구성부품이 거의 유사하므로 동일 구성부품에 대해선 동일한 부호를 부여 하였다.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0)의 구성과 이들 부재들의 동작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0)는 트렁크리드 키의 회전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키로드(101)와, 상기 키로드(101)의 말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키로드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측 일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트렁크리드 개방레버(103)와, 상측 일측면부가 상기 개방레버(103)의 하단부(103a)와 접촉하여 개방레버(103)의 움직임에 의해 일정 거리 범위내에서 이동하는 폴 가이드부재(104)와, 상기 폴 가이드부재(104)의 하측단부에 상측 부위가 접촉되고 상기 폴 가이드부재(104)의 운동에 따라 하부의 힌지축(105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폴부재(105)와, 상기 폴부재(105)와 연동되어 있고 폴부재(105)의 이동에 의해 일정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래치(10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폴부재(105)의 상측단 일측면부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02)가 구비되어 키로드(101)와 개방레버(103)로부터의 부가되는 외부힘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폴부재(105)가 래치(106)가 닫히도록 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외부힘이 작용할 경우(도 2b)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106)가 개방되도록 한다.
도 3a 와 도 3b 는 상기 도 2a 와 도 2b 의 상태에서, 폴 가이드부재(104)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상기 폴 가이드부재(104) 후방의 램프 스위치(107,109)가 결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면부호 (107)은 제 1 접점단자로서, 와이어에 의해 메인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접점단자이고, 래치 조립체 하부 하우징상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부재(104)의 상부면에 결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부재(104)의 상부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점단자의 접촉이 슬라이딩 운동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호 (109)는 제 2 접점단자로서, 폴 가이드부재(104)의 배면부에 결착되어 폴 가이드부재(104)의 이동시 함께 움직이며,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의 접점단자이다. 즉, 상기 제 2 접점단자(109)는 폴 가이드부재(104)의 이동시 함께 슬라이딩 하는 형태로 이동하며, 이동하는 동안에는 그 하부의 제 1 접점단자(107)와의 접촉이 계속 이루어져야 하므로 접촉부위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호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접촉되는 하부의 제1 접점단자(104)의 형상에 따라 그 상부에 위치한 제2 접점단자(109)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트렁크리드가 닫혀진 상태인 도 2a 에서, 트렁크리드 개방용 키의 회전운동에 의해 키로드(10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래치(106)가 개방된다.(도 2b)
즉, 키의 회전에 의해 키로드(101)가 이동하면 키로드(101)의 하단부에서 힌지 결합된 개방레버(103)가 내부의 회전축(103b)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그 하단부(103a)가 폴 가이드부재(104)의 상측단을 밀게 되고, 폴 가이드부재(104)는 다시 그 하단부에 맞물려 있는 폴부재(105)를 밀어 회전축(105a)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폴부재(105)와 연동하는 래치(106)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키로드(101)의 이동에 의해 결국 폴부재(105)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 폴부재(105)의 운동은 회전축(105a)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므로 이러한 형태의 이동궤적은 직선 이동과는 달리 그 이동이 명확하다. 따라서 폴부재(105)의 운동을 안내하는 폴 가이드부재(104)의 배면측에 볼 발명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를 이루는 접접단자(107,109)를 장착함으로써 트렁크리드 개폐에 따른 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100)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 2a 내지 도 3b 의 경우와는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본 도면에서는 상기 도 2a, 도 2b 및 도 3a, 도 3b 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 조립체(121)에서의 모터 회전에 의해 기어(131)가 회전하면, 이 기어(131)는 그 상측부위가 기어(131)와 맞물려 있는 폴 가이드부재(104)를 회전시키게 된다. 폴 가이드부재(104)의 이동에 따른 이 후의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부 구성부재들의 작동은 앞에서 설명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트렁크리드 키의 회전에 의한 키로드의 직선이동과, 이에 따른 폴 가이드부재의 선회운동을 트렁크리드의 개폐 여부와 연관시켜 폴 가이드 부재의 선회 운동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개폐 여부에 따라 트렁크리드 램프의 작동이 정밀도 있게 작동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는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를 트렁크리드 스트라이크 조립체에 설치하지 않고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에서 슬라이딩 접속이 이루어지는 래치 내장형 스위치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트렁크리드의 미세한 개폐에도 이를 감지하여 트렁크리드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과 램프 스위치의 부품수 및 공정수의 절감을 통한 제조 원가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종래의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에 있어서, 트렁크리드가 개폐되는 상태에 따라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a 와 도 2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와 도 3b 는 상기 도 2a 와 도 2b 의 상태에서, 폴 가이드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모터에 의해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 상기 도 2a 내지 도 3b 의 경우와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 트렁크리드 도어 래치 조립체
30 : 트렁크리드 스트라이커 조립체
31 : 스트라이커 베이스 플레이트 40 :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101 : 키로드 103 : 개방레버
104 : 폴 가이드부재 105 : 폴 부재
107 : 제1 접점단자 109 : 제2 접점단자
121 : 모터 조립체 131 : 기어

Claims (3)

  1. 트렁크리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석의 트렁크 리드 램프가 작동되도록 하는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는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의 폴 가이드부재의 배면측에 부착되어 폴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제2 접점단자와, 상기 제 2 접점단자와 대향하는 위치의 고정된 소정지점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연결되는 제1 접점단자로 이루어져 트렁크리드 래치 조립체 내에 내장형 스위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단자는 폴 가이드부재의 이동 궤적으로 인한 고정된 위치의 상기 제 1 접점단자와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KR10-2003-0039070A 2003-06-17 2003-06-17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KR10052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70A KR100527938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070A KR100527938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72A KR20040108472A (ko) 2004-12-24
KR100527938B1 true KR100527938B1 (ko) 2005-11-09

Family

ID=3738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070A KR100527938B1 (ko) 2003-06-17 2003-06-17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815B1 (ko) * 2005-10-24 2007-05-16 평화정공 주식회사 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차량용 래치의 스위치 설치구조
KR101329590B1 (ko) * 2012-06-07 2013-11-14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릴리즈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472A (ko) 200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6141B1 (en) Door lock device for motor vehicles
JPH04124555U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US20050200137A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5947536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KR20020041287A (ko) 도어록 구동장치
US7029054B2 (en) Outside handle device
CN102027179A (zh) 旋转式棘爪闩锁
CN104471166A (zh) 车辆用门的闩锁解除装置
CN114856336A (zh) 车辆的门把手结构
US20040046409A1 (en) Door closer for vehicle
KR100527938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램프 스위치 구조
EP4039926B1 (en) Door handle structure of a vehicle
EP1081317A1 (en)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door closing mechanism
CN220621478U (zh) 机动车锁
CN215212876U (zh) 车用门锁装置
JP367398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00020200U (ko) 자동차용 도어스위치어셈블리
CN219316753U (zh) 一种充电口盖结构和汽车
CN218991235U (zh) 一种按压式电子机械双解锁结构
JP3502599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4445306B2 (ja) 車両用ドア、車両用ドア制御装置及び車両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CN217950057U (zh) 一种隐藏式车门把手
CN219840501U (zh) 一种用于电动隐藏式门把手的平升结构
KR970062240A (ko) 자동차의 도어록킹 시스템
CN1141481C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