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693B1 - 엔진마운트 - Google Patents

엔진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693B1
KR100527693B1 KR1019970063955A KR19970063955A KR100527693B1 KR 100527693 B1 KR100527693 B1 KR 100527693B1 KR 1019970063955 A KR1019970063955 A KR 1019970063955A KR 19970063955 A KR19970063955 A KR 19970063955A KR 100527693 B1 KR100527693 B1 KR 10052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er pipe
elastic member
rub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991A (ko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69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외측파이프(10)와 내측파이프(11)와 탄성부재(12) 및 러버(15)로 구성되면서,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삽입부(13)가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2)에는 상기 삽입부(13)가 끼워지도록 수용부(14)가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2)는 삽입부(13)와 수용부(14)의 암수결합을 통해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러버(15)는 탄성부재(12)가 외측파이프(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파이프(11)가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와 가장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파이프(10)와 내측파이프(11)에 결합되어져, 엔진의 진동이나 다른 충격 등을 감쇠시키는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마운트{engine mount}
본 발명은 연질의 러버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엔진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 및 크랭크샤프트의 운동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며, 구조적인 원인으로 해서 구동중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 운동에 의한 중심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하며, 실린더축방향으로 생기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른 관성력,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샤프트의 좌우로 흔들려 생기는 관성력과 크랭크샤프트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주기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실린더수가 적은 엔진에서 진동이 크며,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저속회전시 진동이 크고 고속회전시 진동이 작게 된다.
엔진은 변속기 및 또는 클러치 등과 함께 새시프레임이나 보디에 지지되며, 이 때 엔진의 진동이 새시나 보디에 전달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지 않도록 엔진이나 파워플랜트(엔진, 변속기, 클러치 일체형)을 고정할 때는 탄성체를 써서 진동을 흡수하는 장착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장착수단을 통상 엔진마운트, 파워플랜트 마운트 등으로 부르고 있다.
엔진마운트 혹은 파워플랜트 마운트는 사용하는 재질이나 구조에 따라 단순한 러버제 엔진마운트 혹은 유압을 이용하는 하이드로릭 마운트 등으로 구분되며, 다시 용도에 따라 엔진이나 파워플랜트의 저면 지지방식에 사용하는 평형 마운트와 토크롤축 지지방식에 사용되는 부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엔진 혹은 파워플랜트 마운트의 설계에 고려되는 중요한 설계인자는 인슐레이터의 댐핑특성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충격진동을 개선하기 위해서 마운트는 대변위 진동시에는 고댐핑값이 요구되며, 미소변위 진동시에는 실내소음을 개선하기 위해 저댐핑과 높은 동스프링상수값이 요구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엔진마운트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엔진마운트는 외측파이프(1)의 내주면에 탄성부재(2)가 가류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파이프(1)의 내부에는 내측파이프(3)가 러버(4)에 의해서 상기 외측파이프(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엔진마운트는, 내측파이프(3)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외측파이프(1)와 내측파이프(3)를 연결하는 러버(4;rubber)가 압축되면서 내측파이프(3)의 중심은 외측파이프(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러버(4)는 내측파이프(3)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와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변위(δ)가 적다.
상기 변위(δ)가 적음은 상기 러버(4)가 경질의 것임을 의미하는데, 엔진마운트에서 연질의 러버를 사용하지 않고 경질의 러버(4)를 사용하게 되면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다른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엔진마운트에서 내측파이프(3)의 변위를 크게할 수 있는 연질의 러버를 사용할려고 해도 탄성부재(2)가 외측파이프(1)에 가류되어짐으로 인해 러버(4)의 길이를 길게 하고 싶어도 제작상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측파이프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와 외력이 가해졌을 때의 변위를 크게 하는 연질의 러버를 사용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다른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엔진마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파이프 및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주면에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러버로 구성되는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삽입부가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삽입부가 끼워지도록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삽입부와 수용부의 암수결합을 통해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주면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러버는 탄성부재가 외측파이프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파이프가 어느 한 개의 삽입부와 가장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에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단면도 및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파이프(10)와 내측파이프(11)와 탄성부재(12) 및 러버(15)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파이프(10)는 내주면에 약 타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삽입부(13)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에는 내측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수용부(14)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수용부(14)에 외측파이프(10)의 삽입부(13)가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외측파이프(10)와 탄성부재(12)는 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파이프(11)는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부에 위치되어지며, 이들은 러버(15;rubber)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내측파이프(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가 외측파이프(10)에 결합되기 전에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와 가장 근접되는 위치에 존재하게 되며, 이상태에서 상기 외측파이프(10)와 상기 내측파이프(11)는 러버(1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2)가 외측파이프(10)에 결합되기 전에 상기 내측파이프(11)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와 거의 접촉되도록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13)에 탄성부재(12)를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내측파이프(11)에 외력을 가하여 외측파이프(10)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킨 다음(이때 상기 러버는 탄성적으로 압축변형되어 진다), 상기 삽입부(13)와 수용부(14)를 암수결합시켜 탄성부재(12)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와 외측파이프(10)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난 후 상기 내측파이프(11)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내측파이프(11)는 러버(15)의 복원력을 통해 어느 한 개의 탄성부재(12)와 밀착되어지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엔진마운트는 외측파이프(10)에서 탄성부재(12)를 분리한 상태에서 내측파이프(11)와 외측파이프(10)를 연결하는 러버(15)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내측파이프(11)를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로 존재하게 된다.
즉, 상기 내측파이프(11)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로 존재한다는 것은, 상기 러버(15)의 길이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러버(4)보다 훨씬 길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에서 러버(15)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길어지게 되면, 상기 내측파이프(11)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내측파이프(11)가 외측파이프(10)의 중심으로 이동되는 변위(δ')도 종래보다 훨씬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파이프(11)의 변위(δ')가 크다는 것은 종래의 러버(4)보다 훨씬 연질의 러버(15)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는 종래보다 훨씬 연질의 러버(15)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엔진의 진동이나 다른 충격 등을 감쇠시키는 기능이 한층 더 향상되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엔진마운트는, 변위가 증가된 연질의 러버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의 진동이나 다른 충격 등을 감쇠시키는 기능이 더욱 향상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엔진마운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엔진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단면도 및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측파이프 11 - 내측파이프
12 - 탄성부재 13 - 삽입부
14 - 수용부 15 - 러버

Claims (1)

  1. 외측파이프 및 내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주면에서 서로 마주 대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외측파이프와 내측파이프를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러버로 구성되는 엔진마운트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주면에는 한 쌍의 삽입부(13)가 대향되는 위치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2)에는 상기 삽입부(13)가 끼워지도록 수용부(14)가 형성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2)는 삽입부(13)와 수용부(14)의 암수결합을 통해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러버(15)는 탄성부재(12)가 외측파이프(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파이프(11)가 어느 한 개의 삽입부(13)와 가장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파이프(10)와 내측파이프(11)에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마운트.
KR1019970063955A 1997-11-28 1997-11-28 엔진마운트 KR100527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55A KR100527693B1 (ko) 1997-11-28 1997-11-28 엔진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955A KR100527693B1 (ko) 1997-11-28 1997-11-28 엔진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91A KR19990042991A (ko) 1999-06-15
KR100527693B1 true KR100527693B1 (ko) 2006-05-03

Family

ID=3718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955A KR100527693B1 (ko) 1997-11-28 1997-11-28 엔진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436A (ja) * 1984-01-19 1985-08-09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マウントインシユレ−タ
JPH06264968A (ja) * 1993-03-11 1994-09-2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
JPH07280035A (ja) * 1994-03-31 1995-10-27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436A (ja) * 1984-01-19 1985-08-09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マウントインシユレ−タ
JPH06264968A (ja) * 1993-03-11 1994-09-20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
JPH07280035A (ja) * 1994-03-31 1995-10-27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91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7216A (en) Vibration damping bushing
US4667943A (en) Resilient bushing
US4706946A (en) Motion control strut
US4899997A (en) Fluid filled resilient bushing
US4964623A (en) Fluid filled resilient bushing
WO2020070069A1 (en) Bush
JP4150088B2 (ja) 防振マウント
KR100527693B1 (ko) 엔진마운트
KR102258470B1 (ko) 엔진마운트 구조
JP2838060B2 (ja) ねじり振動ダンパー一体型ねじり弾性継手
KR102283774B1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JPH09280314A (ja) 防振装置
JPH06323354A (ja) ピロボールブッシュ
JPS62261730A (ja) 防振装置
JP3719289B2 (ja) トルク変動吸収ダンパ
JP2001173699A (ja) 防振ブッシュ
JP2003090375A (ja) 筒型防振装置
KR20200141183A (ko) 차량용 롤마운트 장치
KR20040029474A (ko) 비틀림 진동 댐퍼
JPWO2018198412A1 (ja) トルクロッド
JP2521735Y2 (ja) ロールマウント
WO2002025138A1 (fr) Isolateur de vibration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2310562B1 (ko) 스토퍼 압입형 롤로드 마운팅 장치
JPH0726664B2 (ja) 流体封入型ブツシ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