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301B1 -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301B1
KR100527301B1 KR1020050021171A KR20050021171A KR100527301B1 KR 100527301 B1 KR100527301 B1 KR 100527301B1 KR 1020050021171 A KR1020050021171 A KR 1020050021171A KR 20050021171 A KR20050021171 A KR 20050021171A KR 100527301 B1 KR100527301 B1 KR 100527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sorted
construction waste
sort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진
Original Assignee
조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진 filed Critical 조수진
Priority to KR102005002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지지부의 양측 끝 부분에 수직연결부를 구부려 성형하여 서로 근접한 것을 연결하여 무한궤도형상의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선별 시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가 가능하여 재활용골재 처리장치의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단위판재에 형성된 굴곡 홈 의해 컨베이어벨트 상부에서 이동하는 선별 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단위판재 상부에 일체 또는 탈착이 가능한 자석을 설치한 컨베이어벨트와 그 하부에 상기 자석의 자력보다 강력한 자력발생기가 설치된 컨베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선별물 내부에 포함됨 철재류를 동시에 선별가능하여 작업이 원활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processing device for remaking aggregate of construction waste using assembly conveyor belt}
본 발명은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지지부의 양측 끝 부분에 수직연결부를 구부려 성형하여 서로 근접한 것을 연결하여 무한궤도형상의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선별 시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가 가능하여 재활용골재 처리장치의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단위판재에 형성된 굴곡 홈에 의해 컨베이어벨트 상부에서 이동하는 선별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위판재 상부에 일체 또는 탈착이 가능한 자석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자석의 자력보다 강력한 자력발생기가 설치된 컨베이어를 통해 선별물 내부에 포함됨 철재류를 동시에 선별가능하여 작업이 원활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재개발과 도로의 보수 등으로 발생하는 각종 건설폐기물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의 건설폐기물을 땅속에 대부분 그대로 매립하므로 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자원의 낭비와 함께 각종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재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은 최근에 들어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재활용하여 건설골재로 사용하기 위한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폐기물을 제반 법규에 적합한 정도의 품질상태로 재생하여 규정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재생골재를 얻기 위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건설폐기물의 중간 처리장치는, 각종 건설부자재 등을 소정의 미립질로 파쇄, 분류하는 파쇄장치 및 처리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특히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그 재질이 고무,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그 강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의 이송시 건설폐기물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은 특히 건설폐기물은 골재, 철근류, 목재 등이 혼합된 것이기 때문에 날카로운 철근류, 목재 등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에 낙하를 하면서 강한 충격이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되어 컨베이어벨트를 파손되어 왔다.
또한, 선별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는 양측에 설치된 컨베이어롤러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 상기 선별물에 의한 충격이 쉽게 전달되며, 팽팽하게 수평으로 이송되는 선별물이 선별물의 낙하하여 컨베이어벨트를 진동을 주어 컨베이어벨트 외부로 선별물을 이탈시켜 작업자를 상해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재활용골재 처리장치의 이송수단이 컨베이어벨트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분만 선택하여 보수유지가 용이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송하는 선별물이 컨베이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선별물 중에 포함된 철재류를 제거하는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건축폐기물을 공급하는 호퍼와,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벨드와, 선별물을 1차 파쇄하는 조크라셔와, 1차 파쇄된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벨트와, 선별물 중에 포함된 0~25㎜이하의 분토를 분리하는 제1스크린과, 0~25㎜이하의 분토를 배출하는 제3컨베이어벨트와, 선별물 중 선별되지 않은 0~25㎜이하이상의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4컨베이어벨트와, 선별물을 2차 파쇄하는 콘크라셔와,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5컨베어밸트와, 선별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선별하는 제2스크린과, 0~40㎜이하의 골재를 배출하는 제6컨베이어벨트와, 40~75㎜이하의 골재를 배출하는 제7컨베이어벨트와, 제2스크린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선별물을 제4컨베이어벨트로 재반송하는 제8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8컨베이어벨트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강력한 자력발생기가 내부에 설치된 제9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고; 상기 제1~9컨베이어벨트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의 양측 끝 부분에 각각 구부려 성형하여 근접하는 것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에 안착된 건설폐기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건설폐기물이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 홈이 형성된 수직연결부로 구성된 내부에 보강부재가 형성된 복수의 단위판재가 궤도를 이루도록 근접되게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단위판재는 수평지지부 상부에 다수개의 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단위판재에 설치된 자석은 상기 단위판재 상부에 자석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가이드를 구성하여 원판형상 또는 직사각봉형상이나 판채형상의 자석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한 가지를 설치하며; 상기 단위판재의 보강부재는 상기 수평지지부와 대응되는 보강철망 및 상기 보강철망의 양측에 결합하는 보강판을 스틸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컨베이어벨트의 단위판재를 도시한 요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발생기가 설치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골재 처리장치는 컨베이어벨트로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다수개의 단위판재를 연속적으로 무한궤도형태로 결합한 조립식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제1~9컨베이어벨트(11~19)는, 다수의 단위판재(20)가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근접하는 것들과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그 양측에 미 도시된 롤러가 지지되어 구동모터 등의 구동원을 통해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 재활용 선별물을 이송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판재(20)는 궤도형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있으면서 그 형상이 판상으로 이루어져 건설폐기물이 안착되는 수평지지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부(21)의 양측 끝 부분에 수직연결부(22)가 구부려 성형되어 마주하는 단위판재(20)의 수직연결부(22)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단위판재(20)를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의 이송시 상기 단위판재(111)의 재질을 고무 등의 천연/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함으로서, 건설폐기물의 하중에 의해 단위판재는(111)는 수직연결부(113) 사이에 형성된 굴곡 홈(114)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자연스럽게 꺾이고, 이와 같이 꺾인 부분을 타고 선별물이 이송되기 때문에 선별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판재(111)를 고무 등의 천연/합성수지 등을 재질만으로 제작할 경우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단위판재(111)의 내부에 강성을 증간하는 보강부재(115)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부재(115)는 스틸재질을 인서트 사출하여 수평으로 형성된 보강철망(115-1)과 그 양측에 결합하는 수직으로 구부러진 보강판(115-2)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외부로 고무 등의 천연/합성수지 등을 재질을 몰딩하여 단위판재(111)를 형성함으로써, 건설폐기물 중 무거운 선별물이 낙하하거나 이동하더라도 탄성 및 강성이 높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과 도 7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제1~8컨베이어벨트(11~18) 건설폐기물이 이송되는 선별물 중 철재류를 제거할 수 있도록 철재선별용 자석(116)이 단위판재(111) 상부 수평연결부에 원반형상의 다수개의 자석(116)을 순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자석(40)에 의해 선별물 중 철재류를 따로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116)을 단위판재(111)에 설치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단위판재(111)에 설치된 자석(116)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따로 요홈(도면미도시)을 형성하여 자석(116)을 결합할 경우 자석(116)을 설치하는 컨베이어벨트들(11~118) 중 자석이 필요치 않은 컨베이어벨트를 따로 제작,생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벨트들(11~19)는 그 사용용도에 따라 단위판재(111)가 하는 기능이 달라 그 생산을 별도로 해야 하는 해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건설폐기물 중 철재류를 따로 분리하는 기능 유,무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들(11~19)의 상기 단위판재(111)를 그 상부에 자석(116)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가이드(117)를 구성하여 원판형상 또는 직사각봉형상이나 판채형상의 자석(116)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한 가지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의 구성 및 그 작용 상태를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호퍼(1)는 건축폐기물 및 석재류 등의 선별물을 공급하고, 상기 호퍼(1) 하단에 제1컨베이어벨트(11)을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 일측에 조크라셔(2)를 설치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1)에서 공급되는 선별물을 파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크라셔(2) 일측에 제2컨베이어벨트(12)를 설치하여 조크라셔(2)에서 1차 파쇄된 선별물을 이송하여, 선별망이 설치된 제1스크린(3)에 공급하여 1차 파쇄된 선별물 중에 포함된 0~25㎜이하의 분토를 분리하여 제1스크린(4) 일측에 설치된 제3컨배이어밸트(13)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1차 선별물 중 분토를 제거한 후 상기 제1스크린(3) 일측에 분토가 제거된 선별물을 제1스크린(3) 일측에 설치된 제4컨베이어벨트(14)를 이용하여 2차 파쇄를 위한 콘크라셔(4)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콘크라셔(4)는 제44컨베이어벨트(14) 일측에 설치되어 분토만을 제거한 선별물을 2차로 파쇄하는 것으로, 상기 콘크라셔(4)에 의해 2차 파쇄된 선별물은 제5컨베이어벨트(15)를 타고 그 일측에 설치된 다단의 선별망으로 구성된 제2스크린(5)으로 공급되어 다단의 선별망에 의해 순차적으로 그 크기가 분리, 선별되하여, 상기 제2스크린(5) 일측에 설치된 제6컨베이어벨트(16)는 0~40㎜이하의 골재를 배출하고, 제2스크린(5) 일측에 설치된 제7컨베이어벨트(17)는 40~75㎜이하의 골재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2스크린(5)에서도 선별되지 않은 선별물은 제2스크린(5) 일측에 설치된 제8컨베이어벨트(18)에 의해 제4컨베이어벨트(14)로 재반송되어 다시 콘크라셔(4)에 의해 파쇄되고 제2스크린(5)에 의해 재선별함으로써, 엄선된 골재만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건축폐기물을 파쇄하여 분리 할 때, 골재로는 사용되지 않는 가벼운 합성수지류나 목재는 제2,5컨베이어벨트(12, 15) 상부에 설치된 송풍기(10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송풍수단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그 상세한 설치 상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8컨베이어 벨트(11~18)의 자석(116)에 의해 접착된 철재류는 자력발생기(6)가 내부에 설치된 단위판재(111)를 결합한 제9컨베이어벨트(19)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원리는 상기 제1~8컨베이어 벨트(11~18) 하단에 설치된 제9컨베이어벨트(19)에 의해 철재류가 제거되는 원리는 자석에 접착된 철재류는 지구의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와 함께 철재류는 더 센 자력에 붙는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9컨베이어벨트(19)는 강력한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기(6)는 제9컨베이어벨트(19) 내부 즉 하여 상기 제1~8컨베이어벨트(11~18)가 만나는 지점 하단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자력발생기(6)를 설치하여 제9컨베이어벨트(19) 상부면에 철재류를 접착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나, 상기 자력발생기(6)의 자력이 셀 경우 철재류가 제9컨베이어벨트(19) 상부에 정지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상부로 돌출된 수평연결부(113)에 의해 자력발생기(6)의 자력 범위에서 벋어나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손쉽고 자동으로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철재류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9컨베이어벨트(19)는 제1~8컨베이어벨트(11~18) 중 어느 곳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선별과 설치비용의 절감을 위해 선별물이 1, 2차 파쇄되는 조크라셔(2)와 콘크라셔(4)의 전단부인 제1컨베이어벨트(11)와 제4컨베이어벨트(14)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더욱 정밀한 선별을 위해 선별물이 분리 배출되는 제3, 6,7컨베이어벨트(13, 16, 17) 하단에 더 설치하여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철재류까지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판재를 이용하여 다수 개 결합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선별 시 파손된 부위만을 교체하여 재활용골재 처리장치의 관리비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와 함께 수리를 위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위판재에 형성된 굴곡 홈에 의해 컨베이어벨트 상부에서 이동하는 선별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단위판재 상부에 일체 또는 탈착이 가능한 자석을 설치한 컨베이어벨트와 그 하부에 상기 자석의 자력보다 강력한 자력발생기가 설치된 컨베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선별물 내부에 포함됨 철재류를 동시에 선별가능하여 작업이 원활하여 건설폐기물 선별작업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컨베이어벨트의 단위판재를 도시한 요부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력발생기가 설치된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설치된 단위판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호퍼 2: 조크라셔
3: 제1스크린 4: 콘크라셔
5: 제2스크린 6: 자력발생기
11~19: 제1~19컨베이어 벨트, 111: 단위판재
112: 수평지지부 113: 수직연결부
114: 굴곡 홈 115: 보강부재
115-1: 보강철망 115-2: 보강판
116: 자석

Claims (5)

  1. 건축폐기물을 공급하는 호퍼(1)와,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벨드(11)와, 선별물을 1차 파쇄하는 조크라셔(2)와, 1차 파쇄된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벨트(12)와, 선별물 중에 포함된 0~25㎜이하의 분토를 분리하는 제1스크린(3)과, 0~25㎜이하의 분토를 배출하는 제3컨베이어벨트(13)와, 선별물 중 선별되지 않은 0~25㎜이하이상의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4컨베이어벨트(14)와, 선별물을 2차 파쇄하는 콘크라셔(4)와, 선별물을 이송하는 제5컨베어밸트(15)와, 선별물을 크기에 따라 분리선별하는 제2스크린(5)과, 0~40㎜이하의 골재를 배출하는 제6컨베이어벨트(16)와, 40~75㎜이하의 골재를 배출하는 제7컨베이어벨트(17)와, 제2스크린에 의해 선별되지 않은 선별물을 제4컨베이어벨트(14)로 재반송하는 제8컨베이어벨트(18)로 구성되되; 상기 제1~8컨베이어벨트(11~18)의 하단에 선택적으로 강력한 자력발생기(6)가 내부에 설치된 제9컨베이어벨트(19)를 더 설치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9컨베이어벨트(11~19)는 수평지지부(112) 및 상기 수평지지부(112)의 양측 끝 부분에 각각 구부려 성형하여 근접하는 것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지지부(112)에 안착된 건설폐기물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건설폐기물이 이동 중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 홈(114)이 형성된 수직연결부(113)로 구성된 내부에 상기 수평지지부(112)와 대응되는 보강철망(115-1) 및 상기 보강철망(115-1)의 양측에 결합하는 보강판(115-2)을 스틸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인서트 사출한 보강부재(115)가 형성된 복수의 단위판재(111)가 궤도를 이루도록 근접되게 서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21171A 2005-03-14 2005-03-14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KR100527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71A KR100527301B1 (ko) 2005-03-14 2005-03-14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71A KR100527301B1 (ko) 2005-03-14 2005-03-14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301B1 true KR100527301B1 (ko) 2005-11-08

Family

ID=3730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171A KR100527301B1 (ko) 2005-03-14 2005-03-14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8484A (zh) * 2013-08-12 2013-12-04 江苏融达新材料股份有限公司 立磨回料闭路循环选铁系统
KR102540080B1 (ko) * 2023-02-10 2023-06-05 (주)코어메탈 철분리효율이 향상된 폐금속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8484A (zh) * 2013-08-12 2013-12-04 江苏融达新材料股份有限公司 立磨回料闭路循环选铁系统
KR102540080B1 (ko) * 2023-02-10 2023-06-05 (주)코어메탈 철분리효율이 향상된 폐금속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068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EP1490182B1 (en) Method for separating adhered paper from paper-covered gypsum board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0527301B1 (ko) 조립식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생골재처리장치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808548B1 (ko)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0881217B1 (ko)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70008447A (ko) 다수의 빔이 설치된 휘다
KR100463447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용 조립식 컨베이어 벨트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967539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KR100689796B1 (ko)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200195222Y1 (ko) 폐전주쇄석철스크랩선별콘베어장치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0749830B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220045526A (ko) 폐나무를 포함하는 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